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CS 기반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분석에 기초한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으로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관성은 교과내용 측면에서의 일치 정도를 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계량화하였다. 연관성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관성 = 여기에서 SUBk: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상 과목과의 일치도N: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 2009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83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49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론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78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실무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30 둘째,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높여야하며, 이를 위해 학과별로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에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산업체 인사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한다. ∙ 실무 관련 교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교수․학습과정에 활용한다. 특히 NCS 기반으로 만들어진 학습모듈을 주교재와 함께 활용하여 이론과 실무 내용을 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수․학습방법을 능력중심 교육으로 개선한다. 실무 능력을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학습, 모듈식 교수-학습, 문제중심학습 방법에 의한 수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 산업체 현장실습을 의무화한다. 일정 기간의 산업체 현장실습을 통해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의무화하여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거나 체험해 보는 경험을 갖게 한다. ∙ 교육과정에 대한 주기적 평가 및 피드백을 실시해야 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교원양성기관 평가요소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과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정도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evance between the curriculum of business and financial subject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The relevance was first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levance was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results were quantified. The relev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Relevance = SUBk: Match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N: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relevance analysis are as follows. ∙ The relevance of the 2009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83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49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theoretical subjects: 0.78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practical subjects: 0.30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are as follows. ∙ When reorganizing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nection with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iculum committee should be formed for each department, and the committee should include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personnel. ∙ Develop a variety of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and use them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specially, the learning module based on NCS is used together with the main tex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theory and practical contents evenly. ∙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 ability-based education. To increase practical skil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eaching by project, modular teach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 Industrial field practice should be mandatory in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industry experience through a field worksh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y have experience of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industrial field. ∙ Periodic evaluation and feedback on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degree of relevance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and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CI등재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과 과제

        박상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이 논문은 최근 교원 자격 무시험검정 기준 강화, 교육과정 최소 기준 설정 등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교원양성교육의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검토함으로써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요 쟁점과 가능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각 영역(교양교육, 전공교육, 교직교육)의 성격과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Cochran-Smith와 Fries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 틀을 활용하여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들을 훈련의 문제, 학습의 문제, 정책의 문제로 구분하여 재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미래 교원의 핵심능력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사회 변화에 따른 현장 적합성과 연계성을 강화한 교육과정 구성, 교원양성 교육과정 간 연계와 통합성 강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전 영역에서 이론과 실제의 조화, 교사교육자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발전 방향과 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정부 중견관리자양성과정 교육훈련의 비교분석

        권기혁(Kwon Ki-Hyuk),이시경(Lee Si-Ky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08 정치정보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양 기관의 중견관리자양성과정의 교육훈련 내용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대구시는 중견관리자양성과정 교육을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에 위탁운영하고 있으며, 경상북도는 산하 공무원교육원에서 자체교육으로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두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해 위탁과 자체교육의 성과평가도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설문조사결과, 중견관리자양성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하여 교육생들은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운영하고 있는 대구시보다는 자체 공무원교육원에서 운영하는 경북도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 기관 모두 기술직보다는 행정직의 교육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관리자양성과정의 교육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생들이 교육목표에 대한 확고한 인식과 열정을 가지는 것이다. 자기 주도적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이론 강의는 대폭 줄이고, 스스로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자료조사와 전문가 면접을 통해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는 Action Learning 교육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local government’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middle-level public servant by analysing educational contents. A survey on educational contents was divided into education program, facility, teaching staff parts. Daegu and Gyeongbuk trainees both answered that facilities and materials were insufficient, and also there hasn’t been great change in teaching staf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yeongbuk’s self-education training is a little bit higher than Daegu’s consignment educational system.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ublic servants for general administrative activity was a little higher than public servant for scientific technology. We have to introduce action learning to improve public servants’ education and training.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교육과정 변화

        변미혜(Byun, Mi-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음악교사는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를 통해 배출되며, 일반 음악대학에서는 교직 이수를 하거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사가 되기도 한다. 즉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사 배출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학과의 주요한 역할은 중·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질을 책임지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음악교사들을 배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적 역량 및 자질은 국가교육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국가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개정됨에 따라 교사 양성 기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양성기관에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결과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의 자질과 요건에 대한 시대적·교육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도 변화될 것을 기대하였지만, 여전히 국악과 양악 과목이 불균형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다수의 양악 관련 과목들이 개설된 가운데 국악 관련 과목들이 몇 개 추가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으로는 우리의 음악문화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지닌 음악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중등음악교사는 변화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음악교사의 자격기준을 함양함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교사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균형 있는 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총 이수학점과 기본이수학점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국악 교수진의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국가교육과정을 선도하고, 미래의 한국음악교육의 비전을 제시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Music teachers are usually educat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Also, they can be trained by completing a course in teacher education of music college, o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us, sinc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occupies a large part of producing music teachers, its curriculum aims to educate competent music teachers to responsibly accomplish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Moreover,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fication which are demanded of music teachers are rel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by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causes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educated by teachers’ training courses through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charge of training teachers.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passive to absorb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Especial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has been changed by the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was still disproportionately organized in the course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 were occupied with most of western music courses and just added by some of Korean music courses. Through this curriculum, it may be impossible that the music teachers which can instruct Korean music and culture can be trained.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contribute to educate music teachers to obtain the requirement and qualification by period?social change. For this reason, the curriculum to be well-trained music teachers should be balanced on both music courses and music education course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enough fulfill the total course credits and compulsory credits in order to be fully qualified the expertise of music subject. Lastly, readily provided this curriculum in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it will be required with the education policy to obtain enough the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Conclusively,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accept the change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s well as lead the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 국민학교 교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낙진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0 公州敎大論叢 Vol.26 No.-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국민학교 교감의 직무와 자질을 규명하고, 그러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교감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올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두 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는 문헌 연구로서 교감의 직무와 자질, 그리고 교감 양성 교육과정을 고찰하였다. 둘째, 질문지에 의한 조사연구이다. 질문지는 3 부분으로 구성해서 표본수 결정 공식에 의거 학교 소재지에 따라 모두 800명의 국민학교 교장과 교감을 대상으로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처리에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백분율,평균, 표준편차, X^2 그리고 F 검증 등이다. 3. 연구 결과 1) 문헌 연구결과 ① 교감의 직무는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장학, 교직원 조직 및 인사관리,학생관리, 시설관리, 재정관리, 사무관리, 그리고 학교一지역사회 관계의 7개 영역으로 대별된다. ② 교감의 자질은 기초적 자질(일반적 자질)과 특수적 자질(직무적 자질)로 대별된다. 기초적 자질로 8개 능력, 그리고 특수적 자질로 36개의 능력이 추출되었다. 가장 중요한 자질은 유능한 교감이 될려는 의욕이다. ③ 문헌 연구결과 잠정적으로 제안된 교감 양성 교육과정은 일반교양 교육과정과 전문교육 과정으로 대별된다. 일반교양 교육과정은 3개 교과로 구성되고, 전문교육 과정은 교직과목(5개 교과), 전공과목 (10개 교과), 그리고 교감 실습(인턴쉽)으로 구성된다. 2) 질문지에 의한 조사 연구 결과 ① 교감직이 전문화된 학교 행정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편이라는 반응이 교장은 76.9%, 교감은 65.4% 이며, 인정을 받고 있지 못하다는 반응은 교장은 19.2갔 이고 교감은 31었 이어서 그 차이가 11.8 %나 된다. ② 교감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학력은 전체적으로 학교 행정가의 54.7%가 대졸이상의 학력에 반응을 했고, 학력과 무관하다는 반응도 23%나 된다. ③ 교감 직무 수행에 있어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 부족 때문에 학교행장가의 85.7%가 문제점이나 애로점을 느끼고 있으며, 중요 문제 영역은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장학(43.6%), 교직원 조직 및 인사관리 (18.6%), 기타(인간관계 등)(14.6%), 재정관리(12.5%), 사무관리(7.1 %)의 순서이다. ④ 교감자격 연수의 교과목이 많다는 반응이 학교행정가의 50.8%나 되며, 직위별로는 P〈•이외 수 준에서 의의있는 차가 나타나고 있다. ⑤ 교감자격 연수 내용의 전문성에 대하여 학교행정가의 30.8%가 전문성이 높다에,51.8%가 보 통이다에 51.8%, 그리고 17.4었가 전문성이 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⑥ 교감자격 연수 내용의 구체성에 대한 학교행정가의 반응은 구체적이다가 28.7%, 보통이다가 52.4 %,그리고 구체적이지 못하다가 18.9%이다. ⑦ 교감자격 연수 기간의 적절성에 대한 학교행정가의 반응을 보면 연수기간이 짧다는 데에 39.8%, 적당하다는 데에 53.6%, 그리고 길다는 데에 6.6% 만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연수기간이 짧은 경우 적절한 연수기간에 대한 반응은 240시간에 43.4였, 320시간에 30.6%, 6개월에 10.8%, 그리고 480사간에 7.5% 이다. ⑧ 종합적으로 현행 교감자격 연수 교육과정상 중요한 문제는 이론과 실제간의 괴리현상(35.4%), 연수내용의 전문성 부족(22.3), 잡다한 교과목 수(10.2%), 교육내용의 구체성 결여(7.2%) 둥이다. ⑨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에 대한 학교행정가의 직위별 반응을 보면, 전체적으로 제안된 교육과정의 교과가 다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고,아주 필요하다는 교과는 초등학교 행정, 교감론, 장학론, 교 수一학습이론, 교육계획, 교육법규, 교육과정의 구조와 운영, 그리고 교육인사행정이다. ⑩ 교감 양성 교욕과정에 대한 학교행정가의 요구사항 중 빈도가 많은 중요한 것을 영역별로 보면 타음과 같다. 일반 교양과목에서는 컴퓨터 교육강화 ; 교직과목에서는 교과교육과 교수一학습이론 강조, 현장중심 연수가 ; 전공과목에서는 실무 중심의 강좌 운영, 교육법규와 장학론의 강조가, 그리고 기타에서는 교감의 직무 및 권한의 명세화와 양성 교육과정의 학점제에 의한 운영둥이 요구되고 있다. ⑪개발된 교감 양성 교육과정 모형의 기본목표,구성방침, 편제와 시간 배당, 운영상 유의점, 행정조치 사항, 그리고 교과별 주요 학습내용은 전게한 IV장의 내용과 같다. A. Purpose of the Sutd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struct a model curriculum for the professional preparation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by synthesiz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need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First, th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obtain the views of theorists and practitioners regarding tasks, competencies,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and to develop a tentative model curriculum for the preparation of them. Secondly, in assessing the pre-service curricular needs of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the ques- tionna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00 principals and 400 assistant principals throughout the country classified by regional areas. T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n professors were interviewed.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X^2, and F-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e by SPSS/PC+program at Kongju Teachers College Computer Center. C.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ajor duties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are grouped into seven categories: (1)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2) organization and staff personnel, (3) pupil personnel, (4) school facilities, (5) school finance, (6) clerical management, and (7) school-community relationships. 2. Competencies of the assistant principals contains two parts, basic and special. Basic conpeten- cies include: (1) a firm educatiional philosophy, (2) ability to utilize certain personal attributes in performing one’s job, (3)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policy, (4)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educa- tional policy, (5) understanding of the child, (6)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and skill in working with them, (7) the desire to be a competent school administrator, and (8) computer application to school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36 special competencies were developed. 3. The model curriculum *fer the preparation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presented in Table 1 reflects a synthe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need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연구

        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대학 10개를 대상으로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후, 워드클라우드 분석 방법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와 문헌 고찰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교원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재정립, ② 핵심역량 기반의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설계, ③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개발 주체로서의 학습자 참여, ④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본연의 가치와 특수성 간 균형 설계 등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시대적인 변화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본질적 가치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총체적인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원이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해 주었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설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iculum status of 10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was derived. Results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explor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① re-establishment of curriculum documen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②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y, ③ learner participation as the main bo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④ the intrinsic value and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balance design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should be a holistic dire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include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essential valu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problem situation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강사양성과정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전경미(Chun, Kyungmi),공수연(Kong, Suyoun),정기섭(Chung, Kiseob)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적ㆍ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취업지원책의 일환인 다문화강사양성을 심층 분석하여 다문화강사양성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강사 양성 수료자 8명, 과정생 3명, 담당실무자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은 문헌연구를 토대로 질문내용을 반구조화 하여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질적연구의 방법 중 사례연구방법을 선정하였다. 면접은 1회시 평균 2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4차 면접까지 진행하였다. 각각의 면접은 모두 녹음되었고, 전사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 및 연구윤리규정을 따랐다. 연구결과 26개의 의미단위를 거쳐 9개의 하위범주를 통합하여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경제적 자립과 자기성취를 위해 다문화강사에 도전하고, 강사활동과 양성과정에 참여하면서 성취감을 느끼지만 내적갈등을 경험하는 양가적 감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양성과정 교육경험에 대하여 긍정적 만족감을 표현하지만, 개인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들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다문화강사양성과정의 개선방안으로 다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양성과정 수료 후의 안정적인 일자리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적인 다문화강사 양성과정의 구축을 위해 중장기 지원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이중구조와 다발적 지원 사업을 방지하기 위해 공통 프로그램과 특성화된 프로그램의 조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would deduct improvement plan for multicultural training courses by doing an in-depth analysis of multicultural teachers training courses which is a part of support measures to get a job by using human and cultural resources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8 women who completed the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s, three trainees and four hands-on staff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mi-structuring contents of question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mo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interview took about average two hours once and the fourth interviews were conducted. Each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it was followed agreement for research participation and code of research ethics. As results of research, three themes were deducted by integrating 9 subcategories by passing through 26 meaningful units. Concretely, research participants challenge to multicultural teachers for economic independent and self-achievement and feel sense of accomplishment during teaching activities and training courses but experience inner conflicts and have ambivalent feelings. They express positive feeling of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al experience during training courses, but appeal for difficulties due to individual,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s. Taken together, as an improvement plan for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t was deducted as follows: First, a steady support method is required through fixed pay.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mediumand long-term support to establish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s systematically. Third, it is required specialized program to prevent dual structure and multiple support pro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발

        차우규,김태헌 인구교육센터 2013 인구교육 Vol.6 No.1

        이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인구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강사 양성의 범위를 넘어 인구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와 적용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와 교육의 전문가양성을 위한 노력을 추구하고 있다. 학교와 사회의 인구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표준교육과정으로 정규 교육과정(석사과정 또는 특별 연구과정)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과목 중에서 대표적인 교과목을 선택하여 표준강의안을 개발함으로서 앞으로 전문 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설과 효과적인 교육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로는 다음과 같다. (1)인구교육의 목표를 총괄목표와 하위목표(가치영역별 목표, 학문배경별 목표 등)로 구분하였다. (2)인구교육의 동향을 통해 인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3)인구교육 석사과정 전공 교육과정을 영역별(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로 교과목을 해설하였다. 인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즉, 우수한 인구교육 전문가양성과 가르치고 학습하기 좋은 맞춤형 인구교재가 필요하다. 또한, 인구교육 전문가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그 동안 일부 기관이나 단체에서 인구교육 전문강사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있지만, 그것은 단기 연수 과정 수준으로 전문가 양성에는 한계가 많았다. 대학원과정에서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석사학위 과정의 개설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어느 정도 타 영역의 수준과 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준비하고 노력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 이 연구는 그 일환으로 진행된 것이며, 향후 이런 노력과 준비가 더 체계적이고 대규모로 진행되어 학문적 기반을 튼튼히 할 때 인구교육 전문가양성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극복 문제는 제도 개선과 문화 변혁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 나가야 하며, 그 중심에는 인구 및 인구교육 정책 리더양성을 위한 인구교육전문가양성 노력이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요구 분석 - 다문화강사양성과정을 중심으로 -

        전경미,장영신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2 No.3

        최근 한국 사회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증가는 사회통합대책의 중요한 관심대상이 되 고 있으며, 세계화, 국제화 시대 여성결혼이민자의 잠재적 가능성 및 장점의 인식은 여성 결혼이민자 교육관련 취업교육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 민자의 취업지원 중 하나인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생의 요구분석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만족도와 참여도를 높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함에 있다. 이를 위해 여성결혼이민자 교육관 련 취업 사항과 인력 양성과정 현황 및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정책을 살펴보는 선행 연구 와 분석을 통해 연구 질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강사 양성과정을 수료한 인천 A센터와 용인B센터의 슈퍼바이저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프로 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요구를 심층인터뷰(constant comparative method)의 단계에 따 라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3개의 주제, 6개의 부주제, 14개의 하위코드가 도출되었다.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교육생의 요구분석을 통한 본 연구결과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수 료 후 바로 활동가로 활동하기 위해서 다문화에 대한 이론적 교육에 치중하기 보다는 실 제적인 교육 즉, 실습 및 참관수업과 교안작성 등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원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프로그램 중 다양한 교 수법과 실습을 통한 경험의 축적은 향후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강사로서의 역량과 교사로서의 인식 및 태도 변화를 도모하는데 더욱 유익한 연구 및 현장 사례가 될 것이다. Increase of immigrant women for marriage has received a high level of attention for social integration measures. Recognition of the immigrant women’s strengths and competence amidst the globalization has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career training for immigrant wome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conducts analysis of trainees’ needs of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immigrant women. The study thereby seeks to provide alternatives which enables a mor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ourse.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employment aspect of immigrant women and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training course and employment policy for immigrant women, we have produced a list of questions. This study selects of Incheon A center and Youngin B center, who have respectively completed the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ed documents and conducted analysis. We have codified and defined the scope of the demands of the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Strauss and Cabin. As a result, we have produced three topics, six sub topics and fourteen sub-cod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discovered that they desire practical training such as attend classes and writing lesson plans rather than the theoretical aspect. Therefore, a variety of didactics and accumulation of experience suggested by this study will be a useful case study for promoting a change of attitude and a capability.

      • 누리과정도입에 따른 유치원교사의 전문성 제고방안

        이희경 ( Hee Kyung Le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3 실천유아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누리과정이 도입되면서 유치원 교사양성교육에 요구되는 교사교육의 전문성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유치원교사의 국가 자격기준을 검토하고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유치원교사 양성 및 양성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 양성현황은 양성대학 유형과 입학정원, 졸업자 및 취업률, 수업연한, 자격증 발급수.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 현황 등을 분석해 제시 했으며, 양성교육과정현황은 교사자격 과목의 이수기준에 비추어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 편성현황을 분석해 제시했다.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으로 첫째, 유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은 교사자격기준을 강화한 표준화 기반의 4년제 학사 과정으로 제고되어야 하며, 둘째, 유치원교사 양성기관은 누리과정 운영에 충실한 교원을 양성해야 한다. 향후 순차적인 전문대학 수업연한의 조정이 요구되며 누리과정 기반의 양성교육과정 운영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way of enhancing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For this, as the study method, the legal qualification criteria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systems of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currently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of junior colleges that have 2~3 year courses and universities that have 4 year cour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ll curriculums for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need to be a 4 year bachelor`s degree based on the tightening of teacher qualification criteria recently. Secondly, all the institutions for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educate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so that after graduation they can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 efficiently. Consequently, the years required for graduation of junior colleges needs to be extended to 4 year courses gradually, and the curriculum of the courses should be implemented focusing on the Nuri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