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薛生傳」과 야담 <薛生 이야기> 비교 연구 - 傳과 野談의 거리

        정솔미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7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genre distance between the Jeon(傳; biography) and the Yadam(野談; unofficial story) by contrasting two different stories that deal with the same material. One is ‘Seolsaeng jeon’, written by Oh-Doil(吳道一: 1645∼1703) and another is ‘A tale of Seolsaeng’ written by Shin-Donbok(辛敦複: 1692~1779). Both works share a common protagonist, Seolsaeng, a hermit, and also very similar storylines. ‘Seolsaeng jeon’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format of Jeon, as it is composed of both story and comment parts. However, on close inspection, ‘Seolsaeng jeon’ can be seen to incorporate the writing styles of Yadam and also Yuki(遊記: journal of a travel), thus demonstrating some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 of genre. Of course, this genre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its theme of the text. As the author’s conflict between the public service and retirement(出處), or eminence and seclusion(隱顯 ), is a main theme of this work, he chooses the Jeon as a main genre to lead the narrative. Other genres are introduced in order to reflect the writer’s frustration and fear in the sensitive political situation. ‘A tale of Seolsaeng’, on the other hand, is stylistically close to the Jeon genre, even though it is an example of Yadam, since the motive for the writing is very similar to typical Jeon. However, the theme of ‘A tale of Seolsaeng’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main subject of ‘Seolsaeng jeon’: it focuses on the earthly desire and mysticism, not the conflict between seclusion and eminence. It deliberately erases the main theme of ‘Seolsaeng jeon’ and switches it into an unconventional theme. By analyzing theses two different works, this paper concludes that although active genre movement can be seen in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works have been maintained. The two different work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which can demonstrate the Jeon and the Yadam’s typical thematic features, despite the format of the texts having been modified. 본고는 전과 야담의 근접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인 西坡 吳道一(1645∼1703)의 「설생전」과 辛敦複(1692~1779)의 야담집 『鶴山閑言』에 실린 <설생 이야기>를 비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야담과 전 양식 간의 교섭과 轉移 운동의 구체적 양상을 살피고 두 양식의 문예적 특질 및 기능과 한계를 밝혔다. 「설생전」은 전의 양식적 파격을 보인다. 작품에 이야기투를 쓴 점과 조선후기 산수유기의 감각적 묘사를 引入한 점에서 그러하다. 이와 같은 파격적 양식은 입전인물인 ‘설생’보다 ‘벗’에 초점을 맞추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는 작품의 창작 동기 및 주제의식과 깊이 연관된다. ‘벗’은 기실 오도일의 조부 오윤겸인바 오도일은 이 작품을 통해 ‘隱顯’의 기로에 놓인 두 인물을 상호 대등한 관계로 그려내면서 정치적 변란 속에서 자신과 가문의 입지를 다지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뿐 아니라 설생의 ‘회룡굴’을 다녀온 대목이 짤막한 遊記처럼 구성된 것은, 수많은 政變이 있던 숙종 재위 당시 ‘顯’의 입장을 택한 그 자신이 탈속적 공간에서 잠시나마 정신적 휴식을 취하고자 한 욕구가 반영된 결과라 여겨진다. 한편 <설생 이야기>는 야담이지만 그 창작 배경에는 전의 입전 동기와 비슷한 의식이 자리하므로 「설생전」에 비해 오히려 입전 인물인 설생에 집중하여 서사를 진행한다. 더구나 「설생전」을 문헌적으로 참고하였으므로 <설생 이야기>는 「설생전」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다. 그러나 <설생 이야기>는 설생이 거처하는 유토피아를 통해 情欲을 긍정한 점에서 파격적인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또한 「설생전」에 비해 신비적 요소를 강화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두 작품은 전과 야담의 교섭과 전이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의 중요한 정신사적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중요한 사실은, 이와 같은 정신사적 흐름을 반영하는 두 작품이 각각 ‘전’와 ‘야담’이라는 다른 양식 안에 담김으로써 효과적으로 주제의식을 전달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두 작품을 통해 우리는 조선 후기 양식 간의 교섭을 살필 수 있는 한편 각 양식이 여전히 고유하게 담당하였던 기능과 그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바둑 유행에 따른 문학적 변모 양상

        정하정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5 No.-

        As Go is rich in history, the literature regarding Go has been created constantly. Whilst scrutinizing the literature regarding Go, a distinctive feature can be found from the literary works in the later Jose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fad of Go and the cultural way of enjoying Go. As Go had become a fad and the cultural way of enjoying Go had been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way, the literary works which reflect these sociocultural phenomena began to be created. It is apparent that Han-si(漢詩) takes the dominant part of the literary works related to Go. Go is usually depicted as a means of amusement enjoyed by hermits or a means of socializing among literati. However, starting from 17C, various kinds of literary genre started to appear. The first noticable attribute is that Disputatious Prose(議論 散文) regarding Go began to be created abundantly. As Go became prevalent and people started to consider Go only as a means of entertainment, diverse arguments had been posed. Some criticized the illness derived from enjoying Go, and the others argued that they conceived the utility of Go by playing Go for themselves. In addition, arguments analyzing the main cause of victory had emerged as well. As Go had became papular in the later Joseon, Guk-su(國手) referring Go players at that time started to appear. Their existence intrigued literati of Joseon. So many literati created Jeon(傳) based on Guk-su, and their anecdotes had been contained in Pil-gi(筆記) and Yadam(野談). Jeon(傳) about Guk-su usually illustrated their duantless manner, their superb skills and their courtesy and respect to the oppenent. On the other hand, Pil-gi(筆記) and Yadam(野談) usually contained the anecdotes which describe their ludicrous behavior or their defeat. This can be analyzed as the distinctive literary trend forged by a fad of Go during the later Joseon. 바둑은 그 연원이 깊은 만큼 이를 소재로 한 문학 역시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바둑 소재 문학을 일별해보면 조선 후기에 돌출된 변곡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대 바둑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말하자면, 바둑이 유행하고 그 향유 문화가 기존과 달라지면서 이 문화를 반영한 문학 작품이 창작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바둑 관련 문학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漢詩이다. 여기에서는 대개 한적한 은일자의 향유 수단이나 교유 수단으로서 바둑이 형상된다. 그런데 17세기에 이르면 바둑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학 작품이 창작된다.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바둑 관련 議論 散文이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즉 바둑이 성행하고 유희성이 강화됨에 따라 바둑 향유 문화의 폐단을 지목하고 경계하는 논의들이 제기되는 한편, 자신의 바둑 경험을 통해 그 효용을 자각했다는 논의들도 함께 대두되었다. 이 외에도 國手에 주목하여 그들이 승리하는 이유를 분석하는 논의도 출현하였다. 이와 아울러 주목되는 부분은 국수를 제재로 한 문학 작품이 다수 창작된 점이다. 조선 후기 바둑의 유행에 힘입어 등장한 국수는 오늘날의 바둑 기사와 유사한 존재였다. 그들은 조선 문인들에게 흥미로운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리하여 많은 조선 문인들은 그들을 제재로 傳을 창작하였고, 그들의 일화는 筆記․野談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그중 전에서는 승부의 세계에서 견지한 의연한 자세, 전투를 연상시킬 만큼 적을 압도하는 실력과 자부심, 상대를 인정하고 예우하는 협사의 풍모 등이 부각되어 국수를 형상하였다. 그런가 하면 필기․야담에서는 허구성이 보다 강화되면서 국수에 대한 해학적 형상과 아울러 그들의 패배담을 전하였다. 이들은 바둑 관련 의론과 함께 바둑 유행 문화가 빚어낸 조선 후기의 문학적 현상으로, 조선 전기와는 차별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漢文敍事散文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의숭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This study is to organize how all those Chinese novels, a historical romance and other narrative prose have been progressed and make a proper way to look through them. The categories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divide into the former novels based on 金鰲新話(Geum-o-sin-hwa), <九雲夢>(Gu-un-mong) which was a Chines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17 century, and Chinese full-length novels written in 19 century, such as 玉樓夢(Ok-roo-mong), 玉樹記(Ok-su-gi), 三韓拾遺(Sam-han-seup-yoo), 鸞鶴夢(Nan-hak-mong), 六美堂記(Yook-mi-dang-gi), etc. In case of a historical romance and other narrative prose, all the studies so far was focused on individual works and meanings that each work contains. And in case of 傳(Jeon), each piece of work has been discussed a lot. Now the following is about what we should study forward based on the research thesis in the past. First, since the structure of Chinese novels that has been written since 17 century need to be studied more, we should look carefully into novels of wits and beauties. Because plenty of those novel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they need to be studied more. Those genre haven’t got enough attention though. Also, the status of them should be improved more. Secondly, miscellaneous writings need to be studied more. Those works were considered ‘just scattered’, but we should focus on the ‘joyful’ aspect and flexible philosophy that they have. So we should look carefully into those miscellaneous writings which belongs to 嶺南(Yeongnam) province. Thirdly, constant discovery should be needed to change the outlook on the works of narrative prose. Since studies on the fables and 夢遊錄(Mong-u-rok) has been introduced and discovered a lot so far, the effort should be continued. Fourthly, the progress of writing materials should be studied as well. In particular, writers who lived in Yeongnam province did’t get enough attention. Since some of their works contain the clue about how historical romances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made, they deserve more attention. 본고는 漢文敍事散文의 영역에 해당되는 漢文小說, 野談 및 여타 서사산문을 대상으로 최근 연구 동향을 정리해 보고 향후 연구 과제 및 전망을 마련해 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한문소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金鰲新話』를 중심으로 한 초기 전기소설과 17세기의 한문장편소설인 <九雲夢>계열, 그리고 <玉樓夢>, <玉樹記>, <三韓拾遺>, <鸞鶴夢>, <六美堂記> 등 19세기 한문장편소설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야담 및 여타 서사산문의 경우 개별 야담집에 대한 연구와 야담집 소재 개별 서사의 의미 탐색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傳의 경우 작품론에 대한 논의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 이후 漢文小說史의 구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집중해 살펴볼 필요가 있는 장르가 바로 才子佳人小說이다. 그간 소설사에서 그다지 부각된 적이 없으나 최근 다수의 작품이 발굴되어 일종의 작품군을 형성할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19세기 漢文中短篇小說에 대한 문학사의 위상 재고 역시 필요하다. 둘째, 文集의 ‘雜著’류 항목에 수록된 작품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문집 소재 ‘잡저’의 경우 그간 ‘잡스러운 작품’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문집 소재 여타 산문작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기발랄’하며 ‘의식세계’가 기존 산문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표출되고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런 차원에서 嶺南 소재 문인의 문집에 수록된 ‘잡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셋째, 서사문학사의 시각전환을 위해 지속적인 작품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寓言과 夢遊錄에 대한 새로운 자료 및 야담 및 필기집 등에 대한 신자료들이 최근 발굴, 소개되고 있으므로 자료 발굴, 탐색에 대한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 넷째, 筆記·雜錄류 소재 일화의 변모 과정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하다. 특히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한 향촌재지사족 문인의 필기집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들 자료 가운데 조선후기 야담의 형성 경로와 관련해 새로운 단서를 보여주는 것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관심 또한 아울러 요구된다.

      • KCI등재

        학문후속세대,신진연구자들의 한국어문학 및 문화 연구의 동향과 방향 : 한문서사산문(漢文敍事散文)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의숭 ( Eui Soong Ha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본고는 漢文敍事散文의 영역에 해당되는 漢文小說, 野談및 여타 서사 산문을 대상으로 최근 연구 동향을 정리해 보고 향후 연구 과제 및 전망을 마련해 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한문소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金鰲新話.를 중심으로 한 초기 전기소설과 17세기의 한문장편소설인 <九雲夢>계열, 그리고 <玉樓夢>, <玉樹記>, <三韓拾遺>, <鸞鶴夢>, <六美堂記> 등 19세기 한문장편소설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야담 및 여타 서사산문의 경우 개별 야담집에 대한 연구와 야담집 소재 개별 서사의 의미 탐색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傳의경우 작품론에 대한 논의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 이후 漢文小說史의 구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집중해 살펴볼 필요가 있는 장르가 바로 才子佳人小說이다. 그간 소설사에서 그다지 부각된 적이 없으나 최근 다수의 작품이 발굴되어 일종의 작품군을 형성할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19세기 漢文中短篇小說에 대한 문학사의 위상 재고 역시 필요하다. 둘째, 文集의 ‘雜著’류 항목에 수록된 작품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문집 소재 ‘잡저’의 경우 그간 ‘잡스러운 작품’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문집 소재 여타 산문작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기발랄’하며 ‘의식세계’가 기존 산문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표출되고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런 차원에서 嶺南소재 문인의 문집에 수록된‘잡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셋째, 서사문학사의 시각전환을 위해 지속적인 작품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寓言과 夢遊錄에 대한 새로운 자료 및 야담 및 필기집 등에 대한 신자료들이 최근 발굴, 소개되고 있으므로 자료 발굴, 탐색에 대한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 넷째, 筆記·雜錄류 소재 일화의 변모 과정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하다. 특히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한 향촌재지사족 문인의 필기집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들 자료 가운데 조선후기 야담의 형성 경로와 관련해 새로운 단서를 보여주는 것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관심 또한 아울러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organize how all those Chinese novels, a historical romance and other narrative prose have been progressed and make a proper way to look through them. The categories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divide into the former novels based on 金鰲新話(Geum-o-sin-hwa), <九雲 夢>(Gu-un-mong) which was a Chines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17 century, and Chinese full-length novels written in 19 century, such as 玉樓 夢(Ok-roo-mong), 玉樹記(Ok-su-gi), 三韓拾遺(Sam-han-seup-yoo), 鸞鶴夢 (Nan-hak-mong), 六美堂記(Yook-mi-dang-gi), etc. In case of a historical romance and other narrative prose, all the studies so far was focused on individual works and meanings that each work contains. And in case of 傳 (Jeon), each piece of work has been discussed a lot. Now the following is about what we should study forward based on the research thesis in the past. First, since the structure of Chinese novels that has been written since 17 century need to be studied more, we should look carefully into novels of wits and beauties. Because plenty of those novel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they need to be studied more. Those genre haven’t got enough attention though. Also, the status of them should be improved more. Secondly, miscellaneous writings need to be studied more. Those works were considered ‘just scattered’, but we should focus on the ‘joyful’ aspect and flexible philosophy that they have. So we should look carefully into those miscellaneous writings which belongs to 嶺南(Yeongnam) province. Thirdly, constant discovery should be needed to change the outlook on the works of narrative prose. Since studies on the fables and 夢遊錄 (Mong-u-rok) has been introduced and discovered a lot so far, the effort should be continued. Fourthly, the progress of writing materials should be studied as well. Inparticular, writers who lived in Yeongnam province did’t get enough attention. Since some of their works contain the clue about how historical romances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made, they deserve more attention.

      • KCI등재

        『한성신보』 소재 전계(傳系) 서사물의 역사적 성격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39

        <P>이 연구에서는 친일 기관지 한성신보에 실린 네 편의 서사 작품들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분석한다. 잘 알려진 대로 한성신보에서는 최초로 연재소설이 게재된다. 연재된 소설의 대부분은 고소설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한 작품이거나 야담이나 전(傳)과 같은 전대의 서사 양식이 대부분이었다. 연재된 서사 작품들은 대개가 유가 이데올로기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거나 매우 뒤틀린 여성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 편의 서사 작품(「이소저전」, 「김씨전」, 「이씨전」, 「이정언전」)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탐구하려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이들 작품들이 1920년대 이후의 근대 단편 소설의 ‘내면’과 관련하는 측면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P><P> 요컨대 「趙婦人傳 (조부인젼)」과「郭御史傳」이 군국주의 일본이 1890년대 침략의 논리로 차용한 ‘양처현모주의’를 인위적으로 주조한 서사물물이라면, 「李小姐傳」, 「李正言傳」, 「金氏傳」, 「李氏傳」은 ‘성애화, 혹은 관음의 대상’으로만 형상된 식민지의 ‘이지러진 여성(몸)’과 그것을 ‘소비하고, 통제하고, 관리하는’ 남성 가부장주의를 왜곡되게 그려낸 서사물이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처럼 성애화된 여성을 소비하고, 관리하고, 평가하는 ‘술어적 주체(남성)’의 이지러진 내면이나, 또 그러한 대상으로서의 ‘일탈의 여성 인물 형상’이 이 시기 공간된 민족지 계열의 신문 잡지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1920년대의 근대 단편들(횡보의 초기 삼부작이거나 김동인과 이광수 일부 작품에서 드러나는 신여성)에서 뜬금없이 만들어 지는 신여성의 황량한 ‘내면’이 썩 이질적인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한성신보 소재 전계 서사물이 이러한 내면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성신보』 소재 전계(傳系) 서사물의 역사적 성격

        김찬기(Kim Chanki)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이 연구에서는 친일 기관지 ?한성신보?에 실린 네 편의 서사 작품들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분석한다. 잘 알려진 대로 ?한성신보?에서는 최초로 연재소설이 게재된다. 연재된 소설의 대부분은 고소설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한 작품이거나 야담이나 전(傳)과 같은 전대의 서사 양식이 대부분이었다. 연재된 서사 작품들은 대개가 유가 이데올로기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거나 매우 뒤틀린 여성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 편의 서사 작품(「이소저전」, 「김씨전」, 「이씨전」, 「이정언전」)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탐구하려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이들 작품들이 1920년대 이후의 근대 단편 소설의 ‘내면’과 관련하는 측면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요컨대 「趙婦人傳 (조부인젼)」과「郭御史傳」이 군국주의 일본이 1890년대 침략의 논리로 차용한 ‘양처현모주의’를 인위적으로 주조한 서사물물이라면, 「李小姐傳」, 「李正言傳」, 「金氏傳」, 「李氏傳」은 ‘성애화, 혹은 관음의 대상’으로만 형상된 식민지의 ‘이지러진 여성(몸)’과 그것을 ‘소비하고, 통제하고, 관리하는’ 남성 가부장주의를 왜곡되게 그려낸 서사물이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처럼 성애화된 여성을 소비하고, 관리하고, 평가하는 ‘술어적 주체(남성)’의 이지러진 내면이나, 또 그러한 대상으로서의 ‘일탈의 여성 인물 형상’이 이 시기 공간된 민족지 계열의 신문 잡지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1920년대의 근대 단편들(횡보의 초기 삼부작이거나 김동인과 이광수 일부 작품에서 드러나는 신여성)에서 뜬금없이 만들어 지는 신여성의 황량한 ‘내면’이 썩 이질적인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한성신보? 소재 전계 서사물이 이러한 내면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This paper analyzes four narrative works printed in Hanseongsinbo, a pro japanese newspaper, in the light of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As it was well known, this paper printed the first serial novels. Most of them were the works to take after old novel forms in Joseon period as it was or the works to take descriptive forms like the historical romance or the personal history (Jeon). Most of them typically showed Confucian ideology or twisted recognition on woman a lot. Non the less, the reason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for 4 naractive works (Leesojeojeon「이소저전」, 「Kimssijeon 김씨전」, Leessinjeon 「이씨전」, Leejeongeonjeon 「이정언전」) is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forming modern short story. In this respect, this paper is going to research the viewpoint of these works on description and woman, and survey how they could be involved in forming modern short novel based on these researches

      • KCI등재

        『별건곤』 서사 독물의 대중성에 대한 매체 전략연구

        김경미(Kim, Kyung-mi)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3

        This paper analyzes the orientation of Byeolgungon’ narrative pieces as well as the media strategies it adopted as a magazine intended for the masses. The objective is to show that these pieces of writing are not only correlated to internal factors, such as censorship, since the magazine started up as colonial press, but also to external causes, such as contextual aspects, i.e. cultural transfer. With the title ‘Leisure Pursuits’, Byeolgungon assumed its peculiarity in colonial Joseon when consumer culture had not developed yet. The serial publication of yadam (historical narratives) in Byeolgungon is a clear evidence of cultural transfer as yadam is primordially influenced by the Japanese art of storytelling, shinkangdam. Unlike Gaebyuk, which was a journal of current affairs, the bibliographical composition and the readership of Byeolgungon clearly show that it was targeted at a common mass that was hitherto marginalized, such as women, proletarians, and youth. Rather than ‘politics and current affairs’, its content largely consisted in various types of writings which came under the label ‘leisure pursuits’, which became the title of the magazine. Moreover, the massive publication of yadam, kidam (anecdotic narratives), and other types of kangdam (storytelling) that imitated the Japanese shinkangdam and was preferred to the pure literature towards which inclined the intellectual readership, also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Byeolgungon. In particular, due to censorship 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Byeolgungon made use of ‘imagination’ and ‘hypothsis history’ rather than ‘reality’ as a media strategy. As a result, the readers began to break away from the ‘race’ ideology. By employing such a strategy, Byeolgungon eventually monopolized the popular magazine キング(King) of the Japanese Empire where capitalism and consumer culture prevailed, and became an assimilative magazine of the newly born colonial Joseon. The sole internal factor that is the colonization cannot explain the active use of the fresh opportunity, the background of the title ‘Leisure Pursuits’, the peculiarity of the bibliographical composition, and the active utilization of historical narrative. Only when the correlation with the imperialist magazine キング and cultural dynamic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could the identity of Byeolgungon as well as its significance patently appear.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왜란 의병장 諸沫 이야기의 기록과 전승

        조정윤(Cho Jeong-yun)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3 No.-

        본 논문은 조선 중기 의병장 諸沫(1552-1593)에 관한 이야기가 記事로부터 筆記와 野談, 傳 등의 산문 작품으로 전승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제말은 固城 출신의 常民이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熊川·鼎巖 등지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니 戰功이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를 제수받았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전사하고 남겨진 기록도 없어서 그의 공업은 그렇게 묻히는 듯하였다. 그러다가 남구만의 기록에 의해 그의 사적이 처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정석유가 제말 혼령과 遭遇한 이야기가 생산되면서 그의 이야기는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후로 제말 사적과 혼령의 출몰에 대한 기록은 빠르게 확산되어 筆記와 野談, 傳 등으로 재생산되었다. 정조는 제말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시호를 하사하였으며, 사적비를 세우고 치제문을 내렸다. 후손인 諸安國은 전하는 기록들을 바탕으로 家狀을 지어 신도비명을 받고, 제말 관련기록을 모아 『삼충록으로 편찬하였다. 이렇듯 의병장 제말은 임진왜란의 戰功에도 불구하고 남겨진 기록이 없어 잊힐 뻔하다가 남구만의 우연한 기록과 정석유의 기이한 이야기 전승에 힘입어 국왕의 褒彰을 받고 신도비명까지 작성되는 주인공이 되었다. 제말 기록 전승의 특징과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말 기록은 그의 사후 70년까지 전하는 기록이 없다가 우연히 전해지는 이야기와 혼령 출몰담이 기록되면서 필기와 야담, 傳 등의 작품으로 전승되고, 이를 바탕으로 碑誌文까지 작성되는 다소 독특한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정석유의 기록은 기이성을 바탕으로 빠른 파급력을 낳아 여러 유형의 산문 작품을 산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제말 이야기는 신돈복의 奇異 인식 및 창작 능력과 결합하여 서사가 확대되고 편폭이 길어지는 등 서사성이 강화되면서 야담 양식으로 전승되었다. 넷째, 제말 이야기의 기록과 전승에는 기본적으로 ‘忠烈’의 유교적 가치관을 선양하고 묵수하려는 사대부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또 제말 혼령 이야기의 빠른 확산과 재생산은 후세에 길이 이름을 전하고자 하는 인간의 근원적 열망을 바탕으로, 업적이 있는 데도 그것이 실현되지 못했을 경우의 억울함이 귀신과 같은 비현실적 현상을 낳을 수 있다는 기록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보여준다. This paper reviews the process and aspects of the record on Jemal, which was passed down from Gi-sa to the prose works such as biography, handwriting, and Yadam, and aims to examine its features and meanings. Jemal, a common people, was born in Goseong. After the outbreak of the Imjin-year war, he raised righteous armies and won a battle in the battles of Ungcheon and Jeongam. His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was known to Royal court and he was ordained a Seongjoo ministry. But he was shortly killed in the war and his achievements seemed to be so buried because there were no records left. For the first time, Jemal’s achievements became known to the world by the record of Nam Gu-Man. Later, when Gi-sa that Jeong Seok-Yu met Jemal’s spirit was written, his story became widespread. Then records for his achievements and appearance of spirit was rapidly spread. It was reproduced with handwriting, Yadam, and biography. King, Jeongjo, who was impressed by the transmitted story, granted him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the Minister of War, and the posthumous epithet, and set up his memorial stone, and issued a praising funeral oration. Hence, his descendant, Je An-guk wrote record of conduct based on the inherited stories. After that, he obtained Shindobimyung from Byun Jong-Un and collected the related records and compiled it as 『Samchungrok』. Like this, Jemal, General of the righteous armies, was almost forgotten in spite of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because there were no records left, but thanks to the accidental record of Nam Gu-Man and Jeong Seok-Yu’s bizarre story, Shindobimyung was written after receiving the king’s help.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story transmission about Jemal. First, there were no records left about his life until 70 years after his death. As an inherited story and the story of the spirit appearing by chance were recorded, works such as writtings, Yadam, and biography were transmitted and then Bijimoon based on these was written. Second, Jemal’s spirit appeared to Jeong Seok-Yu. He appealed his resentment and requested Chimyo, Combined with it, ancient event about Jemal spread quickly. This means that Jeong Seok-Yu’s record produced a rapid ripple effect based on mystery and produced several styles of prose works. Third, the story about Jemal wa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Yadam as narrativity was strengthened, such as the expansion of narrative and lengthening of the content of the work, combined with the awareness and creative ability of Shin Don-bok. Fourth, at the bottom of which the story about Jemal was first recorded and spread, there was basically a consciousness of the gentry trying to admit and embrace the Confucian values of unswerving loyalty. In addition, the rapid ripple effect of the story about Jemal’s spirit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about the fundamental desires of humans to convey their names to future generations and unfortunate unfulfilment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