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일원인의 세계 내재적인 특성에 관한 알베르투스의 해석-알베르투스의 <원인론 주해>를 중심으로-

        박규희 한국중세철학회 2018 중세철학 Vol.0 No.24

        Albert der Große, der in der Mitte der mittelalterlichen Tradition der Liber de causis-Rezeption stand, hat den Liber de causis für ein aristotelisches Buch von den getrennten Substanzen gehalten und gilt auch für ein Musterbeispiel einer aristotelischen Rezeption des Ursachenbuches. Er verwendet den neuplatonisch-arabischen Aristotelismus als Hilfsmittel für die theoretische Vereinigung der aristotelischen Metaphysik und des Liber de causis, wobei in seiner Rezeption des proklischen Buches jedoch einige interpretatorischen Probleme entstanden. Seine Erklärung für die Weise der Wirkung der ersten Ursache begründet sich auf einer Theorie, welche aus dem sogennanten „Grundsatz der Peripatetiker“, al-Ghazālīs Theorem von dem notwendigen Sein und seiner eigenen Metaphysik des Fliessens (fluxus) bestehen, was jedoch sprunghafte Interpretationen des Liber de causis voraussetzt.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eine Antwort zu finden auf der Frage, aus wechem Grund Albert den Begriff der reinen Gutheit, die einerseits mit der ersten Ursache identisch ist und andererseits auf die die Welt eingeflösste Gutheit verweist, in seinem Kommentar zum Liber de causis ambivalent bestimmt hat. Nachdem er die erste Gutheit und die emanierte Gutheit miteinander identifiziert hat, konzentriert sich Albert eher für die Weltimmanenz der ersten Gutheit als für die Welttranszendenz der ersten Gutheit. Alberts Position kann rechtfertigt werden, wenn er durch seine mehr oder wenige vom Wortlaut des Liber de causis abweichende Interpretation den formalen Widerspruch der aristotelischen Wissenschafts-theorie überwinden will, welcher bei der Zusammensetzung der Metaphysik und des Liber de causis notwendig entsteht. 알베르투스는 <원인론>(Liber de causis)을 분리실체(이존실체)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으로 간주하는 중세의 일반적인 원인론 수용 전통을 충실히 따르고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13세기 라틴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원인론> 수용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알베르투스는 <형이상학>과 <원인론>을 종합하는데에 아랍-신플라톤주의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원인론의 몇몇 핵심 내용들이 굴절되어 나타난다. 그는 제일원인이세계에 작용을 일으키는 방식에 대해서 소위 페리파토스 정식(quod non tangit, non agit)과 알가잘리(al-Ghazālī)의 형이상학의 근본명제(ab uno non nisi unum)에기반한 설명을 내놓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원인론 주해』에 나타난 알베르투스의선성(bonitas)의 유출 형이상학(La métaphysique de flux)은 원인론의 자구에 충실하지 않은 해석을 전제한다. 본 논문은 알베르투스의 <원인론 주해> 에 나타난제일원인 자체이자 제일원인에서 세계로 흘러드는 제일선성의 개념을 이중적으로사용한 동기를 정당화할 근거를 찾고자 한다. 원인으로서의 제일선성과 유출된것으로서의 제일선성이 동일하다고 하면서, 제일선성의 초월적인 특성보다는 세계내적인 특성에 좀 더 초점을 두는 알베르투스의 입장은, <형이상학>을 <원인론>과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형식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보편적 질료-형상론 비판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30

        보편적 질료-형상론은 1230년대 이후부터 1260년대 중반에 이르는 약 한세대에 이르는 기간동안 중세 유럽에서 유행했던 이론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와 보에티우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근거로 12세기 이후로 유입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그 시대의 현실과 이에 따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당시 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과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들과 스콜라학자들의 사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그런데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던 중세의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해 13세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는 1246년에 집필한 『명제집 주해』으로부터 1260년대 말-70년대 초에 걸쳐 집필한 『신학대전』에 이르는 저작들에 이르기까지 집요하게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본 논문은 알베르투스가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11세기 무슬림 제국 치하의 스페인에서 활동했던 유대철학자 아비체브론(Avicebron)과 그의 저작 『생명의 원천』(Fons vitae)이라는 저자와 저작을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근본 원천으로 제시하는 논의를 그의 저작연대를 좇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알베르투스의 생애 내내 유지되고 있는 일관되고도 집요한 그의 공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유럽세계의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던 그의 필생의 동기가 발현한 구체적인 예로서 밝히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그가 아비체브론과 『생명의 원천』을 그와 동시대에 활동하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자들이 거론한 철학적/신학적 권위들로부터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유리시키고 고립시키는 데 활용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1230년 대 이후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업고 유럽의 정신세계를 장악했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아리스토텔레스나 아베로에스와 같은 이교 철학에 입각한 자신의 입장으로 대체하려는 알베르투스의 철학적 야심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L`hylemorphisme universel au Moyen Age a ete l`une des theories qui ont vu les plus grand succes au 13e siecle. Les partisans de cette theorie, en citant et en faisant les siennes non seulement les autorites chretiennes comme Augustin et Boece mais egalement celles paienne comme Aristote etc., ont fait une tradition ou se trouvent les penseurs si eminents comme Alexander de Hales, Roger Bacon, Bonaventure, Jean Peckham etc. Toutefois Albert le Grand, deja dans les annees 1240, se fait contrer cette theorie qui est soutenue par les autorites si ecrasantes et les partisans si nombreux. Et jusqu`a la fin de son carrier il a revisite de facon parfois passionnee voire de maniere obsessionnell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evoquant systematiquement Avicebron, un philosophe juif du 11e siecle en Espagne sous le domaine de l`Empire Musulman, comme la source ultime du l`hylemorphisme universel. Dans cet article, j`envisage d`analyser les arguments critiques lances par Albert le Grand a l`encontre d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particulier pour voir la maniere dont il utilise Avicebron et le Fons vitae pour ebranler ou detruire la tradition bien etablie depuis longtemps de cette theorie en question. Ce faisant, je montrerai d`abord comment fonctionne le nom d`Avicebron et le Fons vitae conformement au leitmotiv personnel d`Albert, c`est-a-dire son intention de faire connaitre les latins la veritable pensee d`Aristote. Et en continuation de cela, en particulier consacrant notre attention sur le developpement bien interessant que l`on peut remarquer dans ses oeuvres lorsqu`il s`agit de l`attitude et des expressions qu`il designe Avicebron, l`une de ses dernieres oeuvres, j`eclaircirai l`ambition si grande d`Albert le Grand en tant que philosophe et interprete d`Aristote, qui vise a fournir une solution alternative contre l`hylemorphisme universel, et a substituer une theorie dominante de la scene de la pensee medievale avec sa propre idee epaulee de penseurs paiens comme Aristote, Averroes etc.

      • KCI등재

        13, 4세기 도미니코회에서의 가능지성의 가능성 개념의 변화 -알베르투스부터 에크하르트까지-

        이상섭 ( Lee Sang-sup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3

        이 연구는 알베르투스로부터 토마스 아퀴나스, 디트리히를 거쳐 에크하르트까지 13, 4세기 도미니코회 내의 가능지성의 가능성 개념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시기의 도미니코회에서 알베르투스의 지성론은 토마스[주의]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가진 디트리히와 에크하르트에 의해 더욱 근본적이고 진보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어, 토마스주의와 함께 도미니코회의 지성론의 커다란 줄기를 형성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13, 4세기 도미니코회의 가능지성론은 알베르투스주의와 토마스주의의 대립, 수용과 종합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능동지성보다 가능지성을 중심으로 사유하였고, 비록 초자연적 은총을 통해서 저 세상에서 지양되지만 자연본성에 따르는 가능지성의 가능성을 물체의 영역에 한정하였다. 능동지성을 중심으로 가능지성의 가능성을 사유한, 그래서 가능지성의 가능성을 능동지성에 의한 형상화의 가능성으로 파악한 알베르투스를 따라 디트리히는 능동지성의 역할을 최소화한 토마스에 반대하여 가능지성을 능동지성으로부터의 유출로서 설명한다. 이에 따라 가능지성의 가능성은 대상에 대한 능동성을 갖게 되며, 더 나아가 능동지성에 의한 가능지성의 형상화를 통해서 능동지성의 양태에 따르는 신 인식에 이르도록 그 가능성이 확장되게 된다. 에크하르트는 토마스처럼 능동지성보다 가능지성에 더 큰 관심을 두었고, 가능지성의 비어있음에서 신을 수용할 가능성을 발견한다. 가능지성은 모든 피조물을 벗어버림으로써, 심지어 자기 자신까지 비어버리고, 그럼으로써 그 안에서 오직 신만이 신 자신만이 활동하게 되도록, 신의 작용에 대해 전적으로 수동적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as its objective to consider how the concept of the possibility of the ‘possible intellect’ had changed within the Dominican Order in the 13<sup>th</sup> and in the 14<sup>th</sup> centu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thoughts of Albert the Great, Thomas Aquinas, Dietrich of Freiberg and Meister Eckhart. The theory of intellect of which Albert the Great laid the foundation had been developed in a more radical and progressive way by Dietrich and Eckhart taking a critical view of Thomas Aquinas and, together with Thomas’ theory of intellect, formed two significant streams within the Dominican Order at that time. The theories of possible intellect within the Dominican Order therefore had been developed through their opposition, reciprocal reception and synthesis. While explaining the human intellect, Thomas Aquinas attributes more importance to the possible intellect than to the active intellect, the function of which he minimizes to abstraction, and also limits the ‘natural’ possibility of the possible intellect to the cognition of the essence of material beings, although this limitation could be broken through by the supernatural grace. Following Albert the Great who thinks of the possibility of the possible intellect in its order toward the active intellect as true-Self, and therefore as the possibility of its being completely informed through the active intellect, Dietrich criticizes Thomas Aquinas who minimized the role of the active intellect and considers the possible intellect as the emanation out of the active intellect. Emanated from the active intellect, the possible intellect becomes active toward its object and completely returns to its origin through fully being informed by the active intellect as its form and finally comes to know the first principle in the first principle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first principle. Eckhart is more interested in the possible intellect than in the active intellect like Thomas, but thinks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ossible intellect ultimately lies in the capacity of God. Through the complete negation of every created, even of itself, the possible intellect becomes totally empty and passive so that it can transcend itself as creature and become capable of God and have God alone working in itself, now not as creature, but as God Himself.

      • KCI등재

        천사와 지성체: 신학과 철학의 사이에서

        정현석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9 No.-

        13세기 초중반 대학총장 필리푸스와 같은 중세 사상가들은 성서에서 신 과 자연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비물질적 실체인 천사와 고대 그리스와 중세 무슬림 철학자들이 거론했던 비물질적 실체로서의 지성체를 동일시하며 이성과 신앙, 그리 고 철학과 신학의 조화를 꾀했다. 반면 알베르투스는 이와 같은 동일시가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것은 물론, 신학과 철학의 고유한 영역을 상호 부 당하게 침범케 하여 양자 모두에게 독이 될 것을 우려한다. 이에 따라 알베르투스 는 철학에서 논하는 지성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천사와 엄격하게 구분하는 가운데 이성과 신앙, 그리고 철학과 신학이 각각 고유한 위상을 확보할 수 있는 세계관을 제시한다. 특히 알베르투스가 천사와 지성체를 구분하는 가운데 드러낸 철학의 고유한 위상과 영역을 보장하려는 태도는 그가 왜 중세와 르네상스 는 물론 후대의 사상가들까지도 그를 철학의 수호자로 거론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 KCI등재

        13세기 중세 영혼론의 맥락에서 본 단테의 영혼 이해

        정현석 한국중세철학회 2019 중세철학 Vol.0 No.25

        Dante’s description of soul in the Convivio and the Divina Comedia would be one of the most challenging subjects for so many medievalists. Some influential figures of Dante studies in the first two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have emphatically suggested that, at the backbone of Dante’s understanding of soul, lies Thomas Aquinas’s doctrine of soul. However, Dante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human soul as an incessant and continuous series of the formal dispositive principles which are disposed to be absorbed and perfected in the end by the ultimate one, the human soul. In this regard, Dante shares much more with Albert the Great or with Bonaventure than with Thomas Aquinas: the latter emphasized on discontinuity of human soul’s the development which consists in a series of the generation and the corruption of formal principles until the arrival of the ultimate one. Recently, some, on the ground of Dante’s description on the union of soul and aerial body in Purgatorio 25, have suggested his partial admission of Thomas Aquinas’s theory of unicity of substantial form. The essential of their interpretation lies in this: while Dante followed Bonaventure’s plurality thesi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human soul in this world, he was a disciple of Angelic Doctor when it comes to the postmortem condition of the human soul. And as for its proof, they suggested Dante’s description of the union between aerial body and soul after death in which they find unio sine medio. However, medieval scholastics, even the partisans of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thesis, were almost in consensus when it comes to the immediate union of soul and prime matter, though they had their own ways of explanation. So one cannot definitely designate specific influence of a certain scholastic thought on the ground of this unio sine medio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it would be almost impossible not to admit Bruno Nardi, who paved way to approach Dante’s thought in the context of Albert the Great’s influence on the Poet,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figure in Dante Studies in the Twentieth Century . However, some genealogical studies on Dante’s sources, especially on Dante’s embryology, show us that in Dante’s understanding, manifest some typical features of Aristotelian tradition, while the Universal Doctor’s position shares some important features(like some active roles played by female semen in embryo-genesis) with the Galeno-Avicennian tradition: it is not a gap to be left unnoticed. In this regard,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Dante Studi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Century would be critical and precise reassessments of Nardi’s classical works on the influences of the Scholasticism on Dante’s thought. 단테의 향연과 신곡 연옥 25장의 영혼에 대한 논의는 여러 중세연구자들의관심을 끌어왔다. 20세기 첫 20년 이래 여러 연구자들은 단테의 영혼 이해의철학적 배경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에 주목했다. 하지만 단테는 인간 영혼의 생성과정을 이전 단계의 생명활동의 원리들이 궁극적 완성을 가져오는 최종형상에의해 완성되는 방식으로 포섭되는 비단속적 연속의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단테의 입장은 이전 단계의 원리가 소멸한 뒤 이후 단계의 원리가 그자리를 대체하는 단속적 불연속성을 특징으로 삼는 토마스의 입장과 근본적인차이를 드러내며 오히려 알베르투스나 보나벤투라의 입장과 공유하는 내용이더 많다. 한편 비교적 최근에 연옥 25장에서 공기로 된 육체와 영혼의 결합을 논하는부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등장했다. 이 해석의 요체는 단테가 생전 영혼의 문제에서는 보나벤투라 등의 복수 실체적 형상론을 따랐지만 사후 영혼의 문제에서는토마스의 단수 실체적 형상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했다고 주장하는 데 있다. 그리고그 근거로 단테가 영 육의 결합을 영혼과 질료(공기)의 직접적이며 비매개적 결합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든다. 하지만 영혼과 질료 혹은 제일질료의 직접적이며비매개적 결합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자들은 물론, 여러 복수 실체적 형상론자들도설명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대개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는 사안이었다. 따라서이 서술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와 단수 실체적 형상론의 영향을 특정할 충분한근거는 없다. 나아가 브루노 나르디(Bruno Nardi) 이래 정착한 알베르투스의 영향이라는맥락에서 단테의 철학적 입장을 규명하는 작업이 20세기 단테 연구에서 이룬가장 큰 성취 중 하나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세세한 부분에서, 특히생명발생 기전과 관련하여 갈레노스-아비첸나 전통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알베르투스의 입장과 전형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에 따르는 단테의 입장 사이에는건너기 어려운 간극이 있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이런 면에서 앞으로 상당기간동안 21세기의 단테 사상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나르디의 고전적 연구에 대한비판적 재검토와 도전을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응당 요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윤리학의 학적 성격 -알베르투스의 전기- 『윤리학 주해』(Super Ethica)의 서문 분석-

        박규희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0

        It was not until the complete translation of the Nicomachean Ethics by Robert Grosseteste that the Latin world became acquainted with Aristotle’s ethics, and it was Albert the Great who became a pioneer in the development of ethics in the Medieval Ages with his commentary on Ethics. Albert’s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theories of moral happiness and contemplative happiness unifies them, and this reading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autonomy of Aristotelian ethics as science. Having demonstrated that scientific knowledge of human moral behavior is possible, Albert goes on to identify the scientific character of ethics by situating it within three formal categories. First, the subject-matter of ethics are human behavior and happiness, which Albert distinguishes as the final intention of ethics and common subject, respectively, and establishes a unity of subject-matter by establishing an order between them. Second, ethics is divided into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according to the kind of good, yet Albert believes that these two disciplines actually form a single ethical system because they have a relation of principle or cause and effects to ethics. Third, ethics is bound to define its purpose and research method within the dichotomy of “ethica docens” and “ethica utens”, but Albert harmonizes moral practice and ethics by understanding these two as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matters of ethical study,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 intention and the common subject. Authorizing Aristotelian ethics as an independent science, Albert opens up a possibility of discussing virtue, ethics in general, and happiness in a Christian-theological context. This paper analyzes Albert’s views on the disciplinary form of ethics by examining the preface to his First Commentary on the Nicomachean Ethics (Super Ethica).

      • KCI등재

        중세 ‘형이상학’의 여정 -아리스토텔레스, 아비첸나, 아베로에스 그리고 알베르투스를 중심으로 근대를 향한 중세 형이상학-

        유대칠 ( Yu Dae-chil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0 지중해지역연구 Vol.22 No.1

        The name ‘ontology’ is a word coined by modern philosophers. For many years, philosophers used the name ‘metaphysics’ instead of ‘ontology.’ But the name ‘metaphysics’ did not have a clear definition, and the metaphysical discussion in Aristotle’s book ‘metaphysics’ was not clear. The philosophers of medieval Islam attempted to solve this problem. Avicenna, a medieval Muslim philosopher, argued that ‘being qua being’ or ‘being in general (ens commune)’ is a proper object of metaphysics. For him, ‘metaphysics’ is ‘ontology.’ Medieval Muslim philosophers such as Averroes rejected this view of Avicenna. Averroes saw ‘metaphysics’ as ‘natural theology.’ Is the object of metaphysics ‘being in common’ or ‘God’? Is ‘metaphysics’ ‘ontology’ or ‘natural theology’? The medieval European philosopher Albertus Magnu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on the side of Avicenna. He thought God cannot be a proper object of metaphysics made of human reason, because God is only the object of faith and can not be the object of rational thought. After the long hardships of medieval philosophers, modern philosophers no longer wondered whether metaphysics was an ontology or a natural theology. Modern philosophers did not think metaphysics was one of these two branches; they thought it was a study that included both. To this end, they began to call metaphysics, which studies ‘being qua being’ or ‘being in general’, ‘Generalis Metaphysica’, and created a new name for metaphysics, ‘ontology’. And metaphysics, which studies existences such as ‘God’, began to be called ‘Specialis Metaphysica’. The result of this modern philosophy is the result of the difficult journey of medieval metaphysics. This paper does not simply see medieval metaphysics history as a conflict between ‘ontology’ and ‘natural theology’, but rather it tries to show that the conflict is a journey toward modern metaphysics. Medieval philosophers had already done academic acts on ‘being in general’; there was simply no proper name for them. But modern philosophers have made that proper name, and the name metaphysics has become more clear. And this paper also shows that medieval Muslim philosophers play a major role in all these journeys.

      • KCI등재

        논문 : 형이상학의 대상에 대한 논쟁 철학적 신론 vs. 보편적 존재론 -스콜라철학 융성기를 중심으로-

        박승찬 ( Seung Chan Park ) 한국중세철학회 2010 중세철학 Vol.0 No.16

        형이상학에 대한 수용과 비판의 역사 안에서는 형이상학의 다양한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혼란의 시작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형이상학』의 주제 내지 대상이 무엇인지를 뚜렷이 밝히지 않았다는 사실이 자리 잡고 있다. `보편적 존재론`과 `철학적 신론` 사이에 나타나는 애매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해석가들이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형이상학의 대상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이 벌어졌다. 이러한 논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주해적인 측면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철학 개념 전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시금석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보에티우스의 『삼위일체론』에서 나타나는 철학적 신학으로 이해된 제1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통합모델`이 스콜라철학 융성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형이상학을 보편적 존재론으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계시신학과 철학적 신학의 대상과 역할을 뚜렷이 구분하는 "구분모델"에 도달하게 되었는가 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배경지식으로 아랍철학에서 벌어진 보편적 존재론(아비첸나)과 철학적 신론(아베로에스)의 경합과정도 검토하였다. 이어서 보편적 존재론의 입장을 스콜라철학에 수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두 철학자, 군디살리누스와 알베르투스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토마스 아퀴나스 이전에 본격적인 전환을 위한 준비가 충분히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많은 학자들로부터 형이상학의 대상 문제에 대한 고전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독창성은 `공통 존재자 자체`라는 형이상학의 `주제`와 다른 고찰대상, 특히 신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정한 체계적인 종합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이 지닌 철학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Ever since Aristotle`s day, philosophers and critics have presented different concepts of metaphysics. The confusion arises because Aristotle never clearly defined either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metaphysics. Many interpreters tried to solve the ambiguity between `universal ontology` and `philosophical theology`, thus sparking many and varied debates on the object of metaphysics. These debates are very important in regard to the exegeses, as they lead to a clearer understanding Aristotle`s intention and act as a touchstone when examining changes in philosophy. This paper tries to clarify, how the `integrating model` developed into the `differentiating model`. The `intergrating model` emphasizes the unity of the first philosophy(philosophical theology) with the Christian theology in Boethius`s `De Trinitate` while the `differentiating model` discriminates apparently the objects and roles of revealed theology and those of philosophical theology. To help understand these processes, the debates on universal ontology(Avicenna) and philosophical theology(Averroes) in Arabic philosophy are considered as background. Gundissalinus and Albert the Great were two philosophers, who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acceptance of universal ontology into scholasticism; their texts were analysed, confirming that the philosophical world was prepared for fundamental change well before the arrival of Thomas Aquinas. In the options of many scholars, Thomas originated the classic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object of metaphysics in his systematical synthesis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on being as such` as the subject of metaphysics and others(especially God) as objects. The author intends to follow this study with research into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is changing process.

      • KCI등재

        에지디우스 로마누스의 <<인간육체형성론>> 제6장과 13세기 중세 생명발생론

        정현석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2022 연세의사학 Vol.25 No.1

        Giles of Rome’s De formatione humani corporis in utero, written probably around the last 15 years of the thirteenth century, is the first medieval treatise focusing explicitly on embryology. In this treatise, especially in chapter 6, Giles provides seven polemic arguments(viae) against some medieval variants of the Galenist thesis on the active role and the nature ascribed to the vaginal secretion(called in his days “female sperm”). in this process, Giles wrestled with the most influential medieval authorities of both Aristotle and Galen: Avicenna and Albert the Great. Against those two great medieval authorities who envisaged assimilating the Galenist thesis on the basis of Aristotle’s theory, Giles launched his counter-arguments which consisted in isolating and rejecting the Galenist idea on female sperm in question by appealing to another peripatetic authority: Averroes, the Commentator. And he arrived at his conclusion that the so-called “female sperm” had no essential role in the generation process and showed the Galenist thesis incorporated in the thoughts and works of the two medieval authorities entails some futile duplications of active principles in the ‘orthodox’ Aristotelean point of view. In these Egidian arguments in Chapter 6 of De formatione humani corporis in utero, one can find some interesting medieval contexts that reflect how the intellectuals of the thirteenth century, in conformity with their theoretical interests mainly based on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dealt with some medical problems handed down to them, and in consequence, articulated them as much more for speculative philosophers or metaphysicians than for practicing medical doctors. In this respect, in Giles’s work, one can find a case of the medieval theories on medicine before the rise of in centuries yet to come.

      • KCI등재

        철학을 토대로 신학을 완성한 교육자 토마스 아퀴나스

        박승찬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0

        As distance educational methods have increased in prevalence since COVID-19, the unique role of educators has been reconsidered.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of Thomas Aquinas, who is recognized as the best Catholic teacher. Specifically, this research considers the education Aquinas received as a student and the main stages of his life as a teacher. Chapter II looks at Aquinas’s growth and learning and how, with the help of his teachers, he acquired knowledge of Christian traditions and Aristotle’s new theories. Chapter III examines in detail how Aquinas started his teaching career at the University of Paris and how he went on to work as a top teacher and educational reformer while traveling between Italy and Paris. In Chapter IV, through our observation of Aquinas’s educational journey, we confirm that Aquinas’s main work, Summa Theologiae, originated from his passion for education. On this ba- sis, we reflect on the synthesis of “love for wisdom” and “love for humanity” that is evident in Aquinas’s life and teaching. Our hope is that these reflections will give modern educators who find themselves frustrated by a multitude of obstacles when teaching their students the courage to reconsider their mission and find ways to overcome their challenges.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교육 방식이 발달하면서 ‘교육자의 고유한 역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가톨릭 최고의 스승으로 인정받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육관과 교육원리를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그의 생애 안에서 학생으로서 받았던 교육과 스승으로서 활동했던 주요 단계들을 상세히 살펴보겠다. 우선 뛰어난 학생으로 스승들의 도움을 받아 그리스도교 전통과 새롭게 등장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배우고 습득하게 되는 토마스의 성장과정을 살펴보겠다(II장). 이를 토대로 파리대학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한 토마스가 이탈리아와 파리를 오가면서 최고의 스승이자 교육 개혁가로서 활동하는 모습을 상세히 고찰할 것이다(III장). 이러한 교육 여정에 대한 관찰을 통해 토마스의 주저 신학대전이 바로 그의 교육에 대한 열정이 집약된 정수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토마스의 생애 안에 나타난 ‘지혜에 대한 사랑’과 ‘인간에 대한 사랑’의 종합에 관해 성찰해 볼 것이다(IV장). 이러한 고찰이 나날이 급변하는 사회 상황 속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에 부딪혀서 좌절하고 있는 많은 교육자에게 자신의 사명을 돌아보고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를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