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惡)의 기원에 관한 플로티누스의 이론

        송유레 한국중세철학회 2012 중세철학 Vol.0 No.18

        It is well known that the Neoplatonic notion of evil as privation of the good had important effect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edieval theory of evil. However, it has been often overlooked that the Neoplatonic theory of evil in its medieval reception is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Plotinus, the founder of Neoplatonism. As a side-effect, anachronistic attempts to interpret Plotinus’theory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conception have triggered misunderstandings and misrepresentations of it. In fact, the origin of the Neoplatonic theory of evil in the Middle Age is to be taken as a critical reaction to Plotinus’ theory within the Neoplatonic tradition. This paper tries to reconstruct Plotinus’ theory of evil on the basis of his own writing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ssue of the origin of evil, which makes it clear how Plotinus’ position differs from that of his followers, for example Augustine and Proclus. It is shown that Plotinus is a dualist in so far as he posits a principle of evil besides the principle of good, but nonetheless a monist in so far as his principle of evil comes ultimately from the principle of good. His monistic theory of emanation amounts to a paradoxical claim that the Good produces evil, which is rejected by most of his Neoplatonic followers. This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grounds for such a paradox in Plotinus. 선의 결여로서의 악이라는 신플라톤주의적 관념이 중세 철학의 악 이론의 형성과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신플라톤주의의 주창자인 플로티누스의 악 이론이 중세에 계승된 신플라톤주의적 악 이론과 상이하다는점은 자주 간과되었다. 사실, 중세의 신플라톤주의적 악 이론의 연원은 플로티누스의 이론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그의 후예들의 비판적 대안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그 결과, 기독교적 관념에 비추어 플로티누스의 이론에 접근하려는 ‘현대적’ 시도가 오히려 그것에 대한 오해와 왜곡을 초래하기도 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시대착오적인 접근법에 반하여, 플로티누스의 악 이론을 그가 직접 남긴 논의 자체로부터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악의 기원에 대한 논의에 주목함으로써 플로티누스의 입장과 프로클로스와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다른 신플라톤주의자들의 입장간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플로티누스는 선의 원리 외에 악의 원리를 상정한다는 점에서 선악이원론자이지만, 악의 원리를 포함한 만물이 궁극적으로 선의 원리에서 산출되었다는 점에서 일원론자이다. 그의 일원론적 유출설은 결국 선이 악을 산출한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낳았고, 이 주장은 그의 후예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설적인 주장의 이론적 근거를 규명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 KCI등재

        제일원인의 세계 내재적인 특성에 관한 알베르투스의 해석-알베르투스의 <원인론 주해>를 중심으로-

        박규희 한국중세철학회 2018 중세철학 Vol.0 No.24

        Albert der Große, der in der Mitte der mittelalterlichen Tradition der Liber de causis-Rezeption stand, hat den Liber de causis für ein aristotelisches Buch von den getrennten Substanzen gehalten und gilt auch für ein Musterbeispiel einer aristotelischen Rezeption des Ursachenbuches. Er verwendet den neuplatonisch-arabischen Aristotelismus als Hilfsmittel für die theoretische Vereinigung der aristotelischen Metaphysik und des Liber de causis, wobei in seiner Rezeption des proklischen Buches jedoch einige interpretatorischen Probleme entstanden. Seine Erklärung für die Weise der Wirkung der ersten Ursache begründet sich auf einer Theorie, welche aus dem sogennanten „Grundsatz der Peripatetiker“, al-Ghazālīs Theorem von dem notwendigen Sein und seiner eigenen Metaphysik des Fliessens (fluxus) bestehen, was jedoch sprunghafte Interpretationen des Liber de causis voraussetzt.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eine Antwort zu finden auf der Frage, aus wechem Grund Albert den Begriff der reinen Gutheit, die einerseits mit der ersten Ursache identisch ist und andererseits auf die die Welt eingeflösste Gutheit verweist, in seinem Kommentar zum Liber de causis ambivalent bestimmt hat. Nachdem er die erste Gutheit und die emanierte Gutheit miteinander identifiziert hat, konzentriert sich Albert eher für die Weltimmanenz der ersten Gutheit als für die Welttranszendenz der ersten Gutheit. Alberts Position kann rechtfertigt werden, wenn er durch seine mehr oder wenige vom Wortlaut des Liber de causis abweichende Interpretation den formalen Widerspruch der aristotelischen Wissenschafts-theorie überwinden will, welcher bei der Zusammensetzung der Metaphysik und des Liber de causis notwendig entsteht. 알베르투스는 <원인론>(Liber de causis)을 분리실체(이존실체)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으로 간주하는 중세의 일반적인 원인론 수용 전통을 충실히 따르고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13세기 라틴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원인론> 수용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알베르투스는 <형이상학>과 <원인론>을 종합하는데에 아랍-신플라톤주의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원인론의 몇몇 핵심 내용들이 굴절되어 나타난다. 그는 제일원인이세계에 작용을 일으키는 방식에 대해서 소위 페리파토스 정식(quod non tangit, non agit)과 알가잘리(al-Ghazālī)의 형이상학의 근본명제(ab uno non nisi unum)에기반한 설명을 내놓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원인론 주해』에 나타난 알베르투스의선성(bonitas)의 유출 형이상학(La métaphysique de flux)은 원인론의 자구에 충실하지 않은 해석을 전제한다. 본 논문은 알베르투스의 <원인론 주해> 에 나타난제일원인 자체이자 제일원인에서 세계로 흘러드는 제일선성의 개념을 이중적으로사용한 동기를 정당화할 근거를 찾고자 한다. 원인으로서의 제일선성과 유출된것으로서의 제일선성이 동일하다고 하면서, 제일선성의 초월적인 특성보다는 세계내적인 특성에 좀 더 초점을 두는 알베르투스의 입장은, <형이상학>을 <원인론>과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형식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랑론

        손은실 한국중세철학회 2018 중세철학 Vol.0 No.24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theology of love developed by Thomas Aquinas in his Summa theologiae. We analyse his approach to amor, i.e., love as passion, belonging to the natural order, and his approach to caritas, i.e., love as a theological virtue, belonging to the order of grace. Our analysis shows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mor and caritas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his theological axiom, “grace does not destroy nature, but perfects it”. Caritas, infused by God, does not destroy amor as passion. But caritas as a theological virtue is much more dedicated and has a much more universal breadth than amor as passion. In other words, caritas perfects amor. Aquinas’ theology of love reflects the way he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grace. In this respect, he shows a different view from Augustine. Augustine tends to absorb the natural order in the supernatural order, while Aquinas affirms the autonomy and inherent value of nature. This positive attitude of Thomas toward nature reflects the influence of Aristotle’s concept of nature, which began to emerge in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and became more widespread in the thirteenth century, when Aristotle’s philosophy became a cultural language. Aquinas’ understanding of love and sex reflects this positive view of nature. This makes his theology of love much more modern than people may think. 본고는 중세 신학 문헌 가운데서 사랑에 관한 가장 포괄적이고 정교한 분석을담고 있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타난 사랑론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자연적 차원에 속하는 정념으로서의 사랑인 아모르(amor)와 은총의차원에 속하는 신적인 덕으로서의 사랑인 카리타스(caritas)에 대한 토마스의 논의를분석한다. 이 분석을 통해 토마스가 두 사랑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에도 그의유명한 신학공리인 “은총은 자연을 제거하지 않고 완성한다”가 적용됨을 밝힌다. 신이 불어넣어주는 사랑, 즉 은총의 차원에 속하는 카리타스는 인간의 정념으로서의사랑, 즉 자연의 차원에 속하는 사랑인 아모르를 제거하지 않는다. 오히려 카리타스는 아모르보다 훨씬 더 헌신적이고 보편적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적 차원의사랑을 완성한다. 이 연구결과는 자연적 질서를 초자연적 질서에 흡수시키는 경향이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그를 추종하는 다른 중세신학자들에 비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연적사랑의 자율성과 고유한 가치를 훨씬 긍정적으로 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토마스의 자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그의 사랑과 성에 대한 이해에 반영되어 나타난다.그 결과 그의 사랑 개념은 신적 사랑에 초점을 맞추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개념과 자율적 인간의 사랑으로 초점이 이동한 근대의 자연적 사랑 혹은 세속적사랑 개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 KCI등재

        중세 천사론의 탈(脫)플라톤주의적 성격-토마스 아퀴나스의 이존실체론(離存實體論)과 중세인의 옷을 입은 아리스토텔레스-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중세철학회 2016 중세철학 Vol.0 No.22

        1940년대 이후로 중세학자들은 천사를 포함한 이존실체들의 위계질서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만년 사상에서 플라톤 전통 철학의 영향을 확인해왔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시각에 대해 토마스의 플라톤 전통의 사상을 수용하는 기준과 준거점에 언제나 그가 `플라톤 철학의 비판자`로 활용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자리잡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토마스가 프로클루스와 『원인론』, 저자가 신과 물질적 존재자들 사이에 펼쳐진 위계질서 아래 정초한 범형인 혹은 보편적 원인으로서의 이존실체들을 제거하고, 그 자리를 천사들로 대체하는 논의에 주목한다. 이 과정에서 토마스의 플라톤 전통 사상에 대한 태도를 그가 이해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의식과 세계관을 기반으로 삼은 탈(脫)플라톤주의적 기획 혹은 플라톤 비판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한다. 아울러 본 논문은 플라톤의 형상이론을 비판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철학적 논의가 토마스를 통해 중세적 문제의식 안에서 수정 재구성되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과는 전혀 다른 세계관을 제시하는 데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Since 1940s, Medievalists tend to emphasize on the (neo)Platonist orientation in Thomas Aquinas`s later theory of the hierarchy of the separate substances. Apropos of this tendency, we envisage to reconstitute the problematique inherited from Aristotle, the ancient Critique of Plato`s philosophy, which runs throughout the so called (neo)Platonist orientation of Thomas Aquinas. For this objective, we will shed lights on Thomas`s arguments which eliminate the universal exemplar causes(proposed by (neo)platonists such as Proclus and the author of De causis) and substitute their places with the angels. In this processus, his theory of the separate substances will be re-illuminated as de-platonizing or critique of Platonist world view. And we will see how Thomas Aquinas reconstituted and utilized the problematique of Aristotle, the ancient Corrector of Plato, while he was developing his own world view which is by far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agirite.

      • KCI등재

        논문 : 생태신학자 빙엔의 힐데가르트

        이충범 ( Choong Bum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생태와 환경의 문제는 현재 지구적인 문제이다. 당면한 문제에 대하여 종교계들도 서둘러 해법을 내놓고 있는 실정에서 본 소고는 그리스도교 역사 속에서 그 어떤 인물보다 자연친화적이었던 중세의 여성 신학자 빙엔의 힐데가르트와 그녀의 창조 줌심적 자연관을 소개한다. 힐데가르트의 창조 중심적 자연관은 첫째 모든 피조물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고로 나타난다. 그녀에 있어서 피조물들은 상호 연결 되어 유지되며 인간 역시 피조물인 자연과 괴리되어 존재할 수도 유지될 수도 없다. 이러한 힐데가르트의 사고는 피조물과 육체에 대하여 존경과 긍정적인 태도로 묘사되고 있다. 둘째 이 중세의 여신학자는 세계를 정적인 면보다 동적인 면을 강조하여 바라보고 있다. 그녀는 여러 비유들을 통하여 자신의 동적 세계관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힐데가르트에 있어서 가장 특별한 개념은 녹색생명의 힘(viriditas)인 바 힐데가르트는 이 용어를 신의 속성으로 묘사하면서 자연만물을 관통하여 흐르는 건강한 생기로 서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힐데가르트의 자연관과 신학은 인간과 자연의 통합과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Today, the crisis of ecology and environment is a global issue. This study has probed into life and works of an environmental-friendly women mystic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Hildegard of Binge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ology of Hildegard focused on creation rather than salvation. Her creation centered theolog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Hildegard emphasized on the very interconnectedness of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All creatures could not exist or keep their identity without others. For her, everything is to be related. Secondly, by dint of several metaphors such as living light, blazing fire, music or melodics, Hildegard demonstrated her kinetic world view. Finally, Hildegard introduced the most specific concept, viriditas which can be read as vitality, greenness, fecundity, fertility, and fruitfulness. Considering it as an attribute of God, she delineated viriditas as healthy power or force penetrating creatures. In conclusion, it is suffice to say that Hildegard`s theology on nature is more wholistic and harmonic than any other medieval male thinkers.

      • KCI등재
      • KCI등재

        중세철학에서 「내면성」의 의미-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이명곤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인간존재를 고찰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인간을 영혼(정신)과 육체(질료)로 구분하 여 고찰하는 이원론적인 혹은 일원론적인 관점이다. 하지만 현대의 실존주의에서 는 ‘내면성’의 개념이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내면성의 개념은 중세철학에서도 진지하게 고려된 바가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중세의 대표적인 철학자라 할 수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에서 ‘내면성’이란 어떠한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다루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내면성의 개념은 그의 『고백록』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그는 인간적 삶의 한 가운데서 체험되는 내면성의 의미를 일종의 실존적인 해명(고 백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의 구조에 대한 형이상 학적 분석을 통해서 ‘내면성’의 개념을 말해주고 있다. 두 철학자 모두에게 공통되 는 것으로서의 내면성의 개념은 신(존재)이 존재하는 모든 것의 존재함의 근거(지반)라는 차원에서 이해되는 내적인 것이다. 이는 ‘존재론적인 지반으로서의 기저, 혹은 근거’를 말하는데, ‘심오함 것’이란 의미를 가진다. 반면 유사하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점은 보다 실체적인 것이 보다 우유적인 것에 대해 ‘내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성인들의 존재방식을 말하면서 진리자체(신적 인 진리)가 다른 개별적인 진리들에 대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토마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유기적인 통일체로 고려하면서 보다 실체적인 것(고 유한 것)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두 철학자들 사이에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곳은 ‘관계성’ 혹은 ‘열림’에 대한 ‘내면성’의 역할 혹은 의미에서 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실존의 공허를 채워주는 내면의 풍요’ 혹은 ‘정신적인 것’을 또한 내면성의 의미로 이해하는데, 이는 ‘관계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관계성을 통해 내면성이 형성되기 보다는 인간이 보다 내면적이 되면서 보다 타자에로의 열림이 가능하게 되고, 내면성을 통해서 관계성이 깊어지고 풍요로워진다고 이해되어 진다. 그리고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차이점은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은 필연적으로 초월성을 동반하는 것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점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 로 아우구스티누스에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자아가 완성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되는 데,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관점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면성에 대한 고찰은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유한한 인간이 어떻게 절대자인 신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질적으로 다양한 존재로 형성된 세계가 하나의 유기체적 전체(통일성)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다양한 한계를 지닌 인간이 타자와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지 하는 점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Le point de vue général pour comprendre l'être humain c'est de regarder l'homme comme la composition de l'âme(esprit) et du corps(matière) soit par le monisme soit par le dualisme. Mais dans l'existentialisme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très importante pour comprendre l'homme. Or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traitée aussi sérieusement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âge. Dans notre recherche nous traitons quelle est la signification de la notion de l'intériorité chez St. Augustin et chez St. Thomas qui sont les deux représentants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Chez St. Augustin la notion de ‘l'intériorité’ se manifeste surtout dans ses ‘Conféssions’. Il la manifeste comme explication existentielle (fome de la conéfession) expérimentée au coeur de sa vie humaine. Par contre st, Thomas la manifeste par l'analyse métaphysique de la structure de l'être. La signification exactememt la même chez eux, c'est que Dieu(Esse) en tant que fondement de tout ce qui existe est l'intériorité de tout être. Dans ce sens là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celle du profondeur comme fondement ontologique. Le point de vue qui est resembleant mais différent est que une chose substentielle est plus intérieure que celle de accidentelle. Pour St. Augustin la vérité elle-même qui se trouve chez les saints est plus inérieure que celle des vérités particulières. Tandis que St. Thomas en considérant les êtres comme unité substentielle, considére ce qui est substentiel(propre à l'essence) est plus intérieur que celui de propriétairs. Or ce qui est manifestement différant ces deux philosophe, c'est que St. Thomas considére l'intériorité accompagne nécessairement la transandance, tandis que St. Augustin ne le traite pas. Quant il s'agit de l'intériorité en tnat que ‘spiritualité’ en rapport à la relation, St. Augustin pense que l'intériorité est ce qui remplace le vide de existence humaine et qu'elle se forme par la relation humaine ou divine. Tandis que St. Thomas pense que ce n'est pas la reation qui constutue l'intériorité, mais que l'homme en devenant intérieur devenue ‘ouvert’ et sa reation devenue aussi profonde. Le dèrnier point de vue est que pour St. Augustin la consciencede soi s'accomplit par l'intérioirté, tandis que pour St. Thomas par l'intérioirté il est possible de s'ouvert vers un monde plus grand. La notion de l'intériorité ainsi compris nous donne un point de vue très important pour copmprendre l'homme et le monde. C'est-à-dire pour comprendre les questions ainsi : comment l'homme qui est reatif peut avoir la reation avec Dieu qui est absolu, comment le monde constitué des éléments divers puet être une unité organique et comment l'homme qui possède les limites peut être ouvert aux autres et au monde plus grand?

      • KCI등재

        13세기 중세 영혼론의 맥락에서 본 단테의 영혼 이해

        정현석 한국중세철학회 2019 중세철학 Vol.0 No.25

        Dante’s description of soul in the Convivio and the Divina Comedia would be one of the most challenging subjects for so many medievalists. Some influential figures of Dante studies in the first two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have emphatically suggested that, at the backbone of Dante’s understanding of soul, lies Thomas Aquinas’s doctrine of soul. However, Dante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human soul as an incessant and continuous series of the formal dispositive principles which are disposed to be absorbed and perfected in the end by the ultimate one, the human soul. In this regard, Dante shares much more with Albert the Great or with Bonaventure than with Thomas Aquinas: the latter emphasized on discontinuity of human soul’s the development which consists in a series of the generation and the corruption of formal principles until the arrival of the ultimate one. Recently, some, on the ground of Dante’s description on the union of soul and aerial body in Purgatorio 25, have suggested his partial admission of Thomas Aquinas’s theory of unicity of substantial form. The essential of their interpretation lies in this: while Dante followed Bonaventure’s plurality thesi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human soul in this world, he was a disciple of Angelic Doctor when it comes to the postmortem condition of the human soul. And as for its proof, they suggested Dante’s description of the union between aerial body and soul after death in which they find unio sine medio. However, medieval scholastics, even the partisans of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thesis, were almost in consensus when it comes to the immediate union of soul and prime matter, though they had their own ways of explanation. So one cannot definitely designate specific influence of a certain scholastic thought on the ground of this unio sine medio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it would be almost impossible not to admit Bruno Nardi, who paved way to approach Dante’s thought in the context of Albert the Great’s influence on the Poet,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figure in Dante Studies in the Twentieth Century . However, some genealogical studies on Dante’s sources, especially on Dante’s embryology, show us that in Dante’s understanding, manifest some typical features of Aristotelian tradition, while the Universal Doctor’s position shares some important features(like some active roles played by female semen in embryo-genesis) with the Galeno-Avicennian tradition: it is not a gap to be left unnoticed. In this regard,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Dante Studi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Century would be critical and precise reassessments of Nardi’s classical works on the influences of the Scholasticism on Dante’s thought. 단테의 향연과 신곡 연옥 25장의 영혼에 대한 논의는 여러 중세연구자들의관심을 끌어왔다. 20세기 첫 20년 이래 여러 연구자들은 단테의 영혼 이해의철학적 배경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에 주목했다. 하지만 단테는 인간 영혼의 생성과정을 이전 단계의 생명활동의 원리들이 궁극적 완성을 가져오는 최종형상에의해 완성되는 방식으로 포섭되는 비단속적 연속의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단테의 입장은 이전 단계의 원리가 소멸한 뒤 이후 단계의 원리가 그자리를 대체하는 단속적 불연속성을 특징으로 삼는 토마스의 입장과 근본적인차이를 드러내며 오히려 알베르투스나 보나벤투라의 입장과 공유하는 내용이더 많다. 한편 비교적 최근에 연옥 25장에서 공기로 된 육체와 영혼의 결합을 논하는부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등장했다. 이 해석의 요체는 단테가 생전 영혼의 문제에서는 보나벤투라 등의 복수 실체적 형상론을 따랐지만 사후 영혼의 문제에서는토마스의 단수 실체적 형상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했다고 주장하는 데 있다. 그리고그 근거로 단테가 영 육의 결합을 영혼과 질료(공기)의 직접적이며 비매개적 결합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든다. 하지만 영혼과 질료 혹은 제일질료의 직접적이며비매개적 결합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자들은 물론, 여러 복수 실체적 형상론자들도설명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대개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는 사안이었다. 따라서이 서술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와 단수 실체적 형상론의 영향을 특정할 충분한근거는 없다. 나아가 브루노 나르디(Bruno Nardi) 이래 정착한 알베르투스의 영향이라는맥락에서 단테의 철학적 입장을 규명하는 작업이 20세기 단테 연구에서 이룬가장 큰 성취 중 하나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세세한 부분에서, 특히생명발생 기전과 관련하여 갈레노스-아비첸나 전통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알베르투스의 입장과 전형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에 따르는 단테의 입장 사이에는건너기 어려운 간극이 있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이런 면에서 앞으로 상당기간동안 21세기의 단테 사상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나르디의 고전적 연구에 대한비판적 재검토와 도전을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응당 요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 -

        박승찬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근대 이후 과학과 기술은 놀랄 만한 진보를 이루었지만, 최근 들어, 특히 코로나19 이후에 과학과 기술 덕분에 행복해지리라는 진보에 대한 순진한 믿음은 사라졌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회칙 「신앙의 빛」 은 보편적인 진리를 의심하는 회의주의, 현세적 행복에 대한 집착, 무신론적 인본주의, 과학의 발전을 절대시하는 과학주의 등이 인간 자신의 존엄한 가치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현대 과학 및 사상의 발전 앞에서 그리스도교 지식인들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이에 답해 줄 멘토로 ‘스콜라 철학의 완성자’라 불리는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를 선택하고,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하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워낙 방대한 답변 가능성을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토마스를 평생에 걸쳐서 소개하고 연구해 온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을 통해 주요 요소를 압축해 보았다. 우선 토마스 아퀴나스가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위해 노력한 모습을 요약한 후, 근대 철학이 대두하면서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응답으로 발전한 신-토마스주의의 명암을 평가해 보았다.(제II장) 이어서 토마스가 제시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이루기 위한 기본자세로서, 다른 사상과 학문에 대한 개방성, 영원한 진리에 대한 지속적인 추구, 은총에 대해 신뢰하면서도 인간의 자유를 존중해야 함을 밝혔다.(제III장) 이를 토대로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대 가톨릭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즉 우리는 토마스를 본격적으로읽음으로써 철학의 지혜적 차원을 회복할 수 있고, 진정한 형이상학을 복원하며, 그리스도교의 통합적인 인간관을 계승함으로써 풍부한 인격 개념에 근거한 진정한지혜를 발굴할 수 있다. 이로써 현대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제IV장) 이와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후배 학자들의 귀감이되는 이재룡 신부가 이룬 업적을 높이 평가하며, 현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가톨릭 철학이 맡아야 하는 새로운 과제들에 대해서도 성찰해 보았다.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made remarkable advances in modern times, recent events, especial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have diminished the naïve belief that progress will make us happier. In his encyclical Lumen Fidei, Pope Francis highlighted the argument that the threat of skepticism, which doubts universal truths, and the preoccupation with temporal happiness, atheistic humanism, and scientism, which absolutizes scientific progress, threate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how Christian intellectuals should navigate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hought. In this study, we turn Thomas Aquinas, known as the “perfecter of scholastic philosophy,” to answer the question, “Why should we read Thomas Aquinas in 21st century Korea?” To address this, we draw inspiration from Father Jae-Ryong Lee’s lifelong dedication to introducing and studying Thomas. We begin by summarizing Thomas Aquinas’s efforts to reconcile faith and reason, and then asses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Neo-Thomism, which emerged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posed by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Chapter II) Next, we then identify St. Thomas’s “reconciliation of faith and reason” as a fundamental stance for renewal in the modern world. This stance involves openness to different ideas and disciplines, the ongoing search for eternal truth, and respect for human freedom while placing trust in grace.(Chapter III) Building on this foundation, we emphasize that the serious study of Thomas Aquinas points the way forward for contemporary Catholic philosophy. By delving into Thomas’s work, we can reclaim the wisdom dimension of philosophy, restore authentic metaphysics, and discover genuine wisdom rooted in a rich conception of personhood by adopting the intergrated Christian view of man. This provides crucial foundation for adressing the ethical challenges of the modern world.(Chapter IV) Finally, in recognition of Father Lee’s accomplishments as an example for younger scholars pursuing these goals, we reflect on the new responsibilities that Korean Catholic philosophy must undertake to overcome the contemporary c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