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와 유교문화 -한국민주주의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나종석 ( Na Jong-se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1

        이 글에서 필자는 민주주의와 유교문화 사이에 긍정적인 연관이 있다는 점을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 유교적 전통이 끼친 긍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제를 통해 이 글에서 비판하고자 하는 관점은 유교적 가치는 오로지 봉건적이고 반(anti)근대적이어서 근대성을 추구하는 데 결정적인 방애물이라는 통념이다. 이 통념은 한국사회에 국한해보아도 서구의 충격으로 인해 조선왕조가 멸망하고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한 경험으로 인해 지금까지 조선 유학, 특히 조선 주자학을 바라보는 주류적 관점이다. 이 글은 이런 주류적 관점에 대한 도전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의 민주주의의 실현 과정에서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축적되어온 유교적 정치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의 민주주의를 선비민주주의로 규정하고 선비정신과 민주주의의 창조적 만남의 과정을 통해 민주화 운동의 내적 논리를 해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유교적 전통이 서구의 충격을 통해 변형되는 과정을 충(忠)관념의 민주적 변형이라는 시각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유교적 정치전통의 민주적 잠재력이 한국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아직도 제대로 된 한국 민주주의론이 없는 학문적 공백을 채워보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한국의 민주주의의 실현 과정에 대한 독자적 논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해명하려는 과제는 한국적 근대성의 고유한 성격이다. 유교문화와 민주화의 상생적 만남이 바로 한국 근대성의 독자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The thesis will observ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fucianism by focusing on the positive impact Confucian traditions had on Korea’s democratization process. From this perspective, the thesis will refute the common misperception that Confucian values are only feudalistic, anti-modern and critical barriers to pursuing modernity. This misperception is dominant in regards to Joseon Confucianism and especially Joseon Neo-Confucianism, due to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s demise from the shock of opening to the West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that ensued. This thesis will challenge that prevalent misperception.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the positive roles that Confucian politic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out Joseon Dynasty, played on the development of Korea’s democracy. Here, the thesis defines Korea’s democracy as Seonbi(士)Democracy, and explains the internal dynamics of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as a process of creative merger between Seonbi Spirit and democracy. Also, the thesis will look at how Confucian traditions changed due to the shock of opening to the West, and considers the democratization of the chung(loyalty, 忠). The thesis is also an effort to produce a Korean theory of democracy, which is non-existent at present. The thesis aims to identify unique qualities of Korea’s modernity b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theory of Korea’s democratization. The author believe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culture and democracy show the distinct qualities of Korean modernity.

      • KCI등재

        가톨릭의 평화사상과 평화권 연구 -한국사회의 새로운 평화원리 구상-

        심현주 ( Shim Hyunju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4

        현대 가톨릭교회의 평화 사상과 국제사회의 ‘평화권’ 운동은 모두 ‘보편적 인권’에 기반하는 평화체제’를 강조한다. 가톨릭 평화사상과 국제사회의 평화운동이 같은 노선 위에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던 배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변화에 있다. 전쟁의 참상, 빈곤의 고통, 국가 간 갈등을 발생시키는 구조적 폭력의 문제들은 인권의 문제를 직시하게 만들었다. ‘평화권’에 대한 구상은 더는 물리적 폭력이 없는 소극적 평화에 만족하지 않고, 경제 사회문화적인 구조적 폭력을 없애는 적극적 평화개념에 이르렀다. 평화 만들기를 위한 제안들은 ‘평화롭게 살 권리’와 ‘연대권’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이 권리들은 ‘전쟁을 거부할 권리’, ‘군사외교안보정책을 민주적으로 통제할 권리’, ‘발전과 환경에 대한 권리’ 등을 포괄하며, 평화권이 개인과 집단의 권리이며 의무라는 점을 확인한다. 난민을 포함한 이주민의 문제도 국가 간 불평등을 제거해야하는 평화의 문제에 속한다. ‘평화권’ 개념은 가톨릭의 평화사상과 공통된 지향을 가질 뿐 아니라, 아래로부터 요구되는 평화운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평화권’은 특별히 1919년 ‘거리의 평화운동’을 계승한다는 역사적 의의도 지닌다. 여전히 냉전시대를 살고 있는 비동시적 상황에서, 한국사회는 ‘평화권’에 기초한 새로운 평화주의 원리를 발전시켜야 할 과제를 지닌다. 그 원리는 한국사회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한반도의 문제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풀어 나가는 방안이어야 하며, ‘동아시아 평화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동력이 되어야 한다. The modern pacific thought of Catholic Church and ‘the right to peace’ movemen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mphasize a peace regime based on the universal human rights. The background that the catholic pacific thought and an international peace movement have the transition on the same route was the social change Post-War. The problems such as the horrors of war, suffering of poverty, and structural violence bringing about conflicts between nations make you to look the matter of human rights in the face. An idea about ‘the right to peace’ has reached over negative peace to positive peace which means the elimination of structural violence bringing about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nequality. Suggestions for peacemaking have been conceptualized into ‘right to live in peace’ and ‘right to solidarity’ that embrace ‘right to reject war’, ‘right to democratic control the military-foreign-security policies’, and ‘right to development and to environment’. These confirm that ‘the right to peace’ is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rights. The problem of an immigrant include refugee belongs to task of peace that should eliminate the inequalities between nations. The concept ‘right to peace’ has the common direction with catholic pacific thought, also it can be understood as peace movement required from below. In Korean society, ‘right to peace’ get a historic significance to take over the ‘peace movement on the street’ in 1919. A new peace principle based on ‘right to peace’ should be a way to develop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stably and persistingly. Additionally, it should be an energy to establish an ‘East Asian Peace Community.’

      • KCI등재

        존 헨리 뉴먼의 『대학의 이념』에 비추어 본 한국 가톨릭대학교들의 발전 전망

        이종진 ( Lee¸ Jong-ji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6

        본고의 목적은 고전의 가치를 지닌 존 헨리 뉴먼의 『대학의 이념』이 다루고 있는 중요한 주제들을 요약해서 소개하고, 이를 통해서 오늘날 한국 가톨릭대학교들의 현실을 진단함과 동시에 미래의 발전 전망들을 가늠해보는 것이다. 본론의 첫째 부분은, 뉴먼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 중에서 오늘날 여전히 시의성을 지니고 있는 네가지 주제들을 소개하는 것이다: 가톨릭대학교의 설립목적,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통합적 역할, 자유교양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인본주의에 입각한 교회의 의무. 이어서 둘째 부분에서는, 뉴먼의 저서에 대한 현대 미국의 대학교육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는 것인데, 이는 오늘날 대학의 문제 역시 세계화의 맥락에서 반성될 수 있는 것이기에 우리 현실을 진단하는데 참고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해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한국의 가톨릭대학교들이 비전을 세움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열거하였다: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통합적 비전과 차별성, 교육의 중요성, 교양교육과 전문교육 사이의 균형, 대학의 연구 기능이 실천적인 문제들과 연관성을 확보하는 일, 온라인 교육의 확장 추세와 관련해서 양적 성장보다는 내실화를 기하는 일의 중요성 등이 그것들이다. 결론에서는, 재정건전화의 가능성과 가톨릭대학인들 사이의 연대에 대해서 일언하였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some important topics in John Henry Newman’s The Idea of a University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ty and the developmental prospect of contemporar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In the body, this paper first presents four topics in the book of Newman which have still timeliness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Catholic University, the integrating role of Theology as Science, the importance of teaching Liberal Arts Knowledge, and the duties of the Church on the basis of Catholic Humanism. Second, it introduces some views of contemporary American Scholars about Newman’s book to consider the problems of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ird, the writer enumerates several points to which one can refer in making visions of a Catholic university: the integrating vision and the uniqueness which should reveal the identity of a Catholic universit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symmetry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the conn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agenda with the practical issues of the time, and the effective university administration in the tendency of developing electronic university.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alluded to the financial crisis of a university and emphasized the solidarity among the members of Catholic universities.

      • KCI등재

        가톨릭의 ‘믿음적’ 가족 개념을 통한 한국 가족의 전망

        김세서리아 ( Kim¸ Seseori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현존하는 가족의 상태가 어떠하든, 혹은 결혼과 가족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어떠하든 분명한 것은 현대 우리에게 가족 담론이 일상적이고 친근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우리는 늘 가족과 더불어 가족 안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며 가족을 매우 친숙한 개념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우리가 ‘가족’이라는 이름 안에 담고 싶어하는 이상적인 ‘어떤 것’이 있다고 꿈꾼다. 그런데 그 이상적인 ‘어떤 것’은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가? 본고에서는 이를 혈연가족에 제한되지 않는 방식으로, 그리고 차별적 요소와 결별하는 형태로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를 가톨릭의 ‘믿음적’ 가족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가톨릭의 신앙에 근거한 공동체 의식과 그에 따른 가족에 대한 사고가 열린 가족으로서의 의미를 확산시키는 데에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성경이 전통적으로 가족과 가정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또한 가톨릭 교회가 최근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가족 문제와 변화적 추이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가톨릭 신앙 이론에 근거한 가족 개념을 통해 연대 의식, 유대감, 일체감 등으로 표현되는 가톨릭의 합일성을 확인하고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큰 공동체를 구성하는 원동력으로 만들 수도 있다. However the existing state of the family is, or however our thought about marriage and family is, what is certain is that for us in the modern society, family discussion is formed in our everyday life and formed intimately. That is to say we think that we always live together and within the family. We also consider family as a very familiar notion. Because of this, we sometimes dream that there is an ideal ‘something’ that we want to put into the name of ‘family’. Then how should the ideal ‘something’ be prepared? It should not be made up of a notion that is equal or familiar with the original. It should be prepared in a way that is not restricted by blood relation and in separation of the discriminative element. I suggested these methods in the thesis through the Catholic ‘faithful’ family notion. I think that cooperation made through the Catholic belief and the following speculation about family will be a useful tactic to diffuse the meaning as an open-family. This kind of though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atholic church has had a great interest in family and household traditionally and also recently the church has recognized the various forms of family problems and the diverse changes in Korea and is endeavoring to arrange an active plan for them. By the Catholic’s faithful family, we can make certain the unity expressed through alliance, relationship, accord and so on and strengthen them as well.

      • KCI등재

        가톨릭 학교의 전인교육 사명에 대한 고찰

        구본만 ( Koo¸ Bon-m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7

        본 연구는 가톨릭 학교의 사명인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풍부한 의미를 드러내는 하나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은 교육관련 교회문헌, 성경 및 예수의 교육관, 가톨릭 윤리신학 및 영성신학, 인격(persona)개념의 역사적 논의와 현대 인격교육 운동의 흐름 등이었다. 우선 교회문헌 고찰을 통해 가톨릭 학교의 사명이 ‘복음화’와 ‘전인교육’으로 요약되며, 이 둘은 분리되는 사명이 아니라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 즉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으로 명명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고찰했던 성경 및 예수의 교육관은 가톨릭 전인교육이 ‘완전한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완전한 인간이란 하느님의 모상으로서의 완전성에 도달한 사람이고, 이러한 완전성은 회개, 즉 ‘인격’의 총체적 변화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도록 이끌어 주었다. 이러한 고찰은 그리스도교적 전인이 ‘인격적 인간’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스도교적 인격 개념은 ‘이성적 본성’을 갖고 윤리적 행위 결정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진 주체로서의 ‘개별성(독자성)’; 타자에게 ‘열려’ 있으며 ‘관계’를 맺는 존재임을 드러내는 ‘공동체성’; 인간적인 모든 특성이 통합된 ‘완전한 전체성’; 하느님 자녀로서의 ‘존엄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고찰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개념 모형은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은 전인, 즉 완전한 인간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완전한 인간은 그리스도의 인격에 자신을 일치시키면서 인격의 완전성에 도달한 인간, 다른 말로 인격이 총체적으로 양성된 인간을 의미한다. 인격의 총체적 양성은 세 가지 원리의 유기적인 통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는 ‘복음적 가치관’ 형성으로 이 원리는 지식의 통합에 기여한다. 둘째는 ‘그리스도교 덕성’ 함양으로 이 원리는 정서·의지·행동의 통합에 기여한다. 이 두 원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인격 안에서 완전한 통합을 이루도록 이끌어 주는 세 번째 원리가 ‘영성’으로, 이 원리는 인격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고 완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유기적 통합 과정을 통해 인격적 완전성에 도달한 전인은 ‘참 사람’이며 ‘참된 그리스도인’ 곧 ‘복음화된 사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nceptual model that reveals the abundant meaning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CEWP),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To attain its purpose, the study examines Catholic educational docu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vealed in the Bible and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Catholic moral theology and spiritual theology, a history of the concept persona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character education. Above all,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documents elucidates tha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is summarized in two terms: ‘evangelization’ and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ese two terms are integrated in the expressio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evangelization’, that is, ‘CEWP’.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vealed in the Bible and the teachings of Jesus lead to the following understandings: the goal of CEWP is to form a ‘perfect human being’. A perfect human being is one who becomes a perfect reflection of the image of God. Such perfection is achieved through conversion, i.e., the holistic transformation of the ‘persona.’ Such an understanding shows that a Christian conceptualization of the whole person is based on the ‘human being as a persona.’ Persona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dividuality(subsistence)’ as a subject who has a ‘rational nature’, and ‘self-control’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moral behaviors; a ‘sense of community’ that is ‘open to’ and has a ‘relationship with’ other beings; ‘the completed wholeness’ that integrates the entire range of human characteristics; and ‘dignity’ as a child of Go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ies, this work suggests describing the conceptual model of CEWP as follows: CEWP is a process that aims to form a whole person, in other words, a perfect person. A perfect person is someone who strives to identify his/her persona with the Persona of Jesus Christ, thus becoming a human being with an integrally formed persona. The integral formation of the human persona is realized by integrating three principles in an organic way. The first principle is the formation of a ‘viewpoint of evangelical values’ that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The second is the fostering of ‘Christian virtue’ that contributes to integrating the emotions with the will and behavior. The third is a ‘spirituality’ that organically bonds the other two principles and leads to their perfect integration in the persona. Spirituality is a principle that elicits and comple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sona. A whole human being, in perfecting the persona by such an organic integration process, is a ‘true person’ and ‘true Christian’, specifically, an ‘evangelized person.’

      • KCI등재

        베긴네의 출현과 가톨릭 여성 신비주의

        신창석 ( Shin¸ Chang-su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9

        13세기부터 일단의 가톨릭 여성 평신도 공동체에 소속된 이들을 베긴네라 지칭하였다. 베긴네라는 명칭은 이미 13세기 초부터 등장했다. 베긴네들은 하나의 통일된 운동이 아니였으며, 그 명칭도 집합개념이었다. 왜냐하면 각각의 공동체는 고유한 규칙들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장소에 있던 베긴네 단체들은 재정적으로 독립되어 있었으며, 수공업, 상업 그리고 간호원으로 활동하였다. 베긴네들은 수도원과 비슷한 공동체 가운데서 독신으로 신앙생활을 하였으며, 부분적이나마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시되었으며, 종교재판을 통하여 박해를 받는 것으로 보이기도 했다. 후대에 베긴네들은 점진적으로 교회에 통합되거나 교회개혁에 결합되었다. 베긴네운동의 목적은 “사도들의 삶(vita apostolica)”에 따른 사도적 청빈으로, 그리스도의 후계자로 사는 삶의 실현이었다. 중세의 독신녀들과 과부들은 평신도로서 인정된 수도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채로, 그들의 재산이나 지위와는 무관하게 이러한 신심단체에 가담하였다. 베긴네들은 윤리적이고 종교적인 활동에 헌신할 뿐만 아니라, 실천적 목표를 가지고 병자들의 간호, 버림받은 자들의 보호, 도덕적으로 타락한 자들의 구호와 교육에 헌신하였다. 나아가 베긴들은 장례에 염을 하거나 천을 짜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기도와 명상이야말로 그들의 본질적인 삶의 태도였다. 베긴네 단체에서는 예를 들어 말가리타, 막데부르그의 메히틸드 등과 같은 일련의 가톨릭 여성신비가들이 배출되었다. Ab dem 13. jahrhundert wurden die Anhoerigen einer Gemeinschaft katholischer Laien als Beginen bezeichnet. Der Name Begine taucht bereits am Anfang des Jahreshunders. Die Beginen waren keine einheitliche Bewegung, der Name war ein Sammel-Begriff. Denn jede Vereinigung gab sich eigene Regeln. Diese Vereinigungen in verschiedenen Ort hielten sich finanziell unabhaengig, bestaetigen sich im Handwerk, im Handel und in der Krankenpflege. Die Beginen fuehrten ein frommes, eheloses Leben in ordensaehnlichen Hausgemeinschaften, wurden von der katholischen Kirche teilweise als haeretisch gebrandmarkt und sahen sich der Verfolgung durch die Inquisition ausgesetzt. Spaeter wurden sie langsam kirchlich integriet oder schlossen sich der Reformation an. Ziel der Beginen-Bewegung ist die Verwirklichung eines Lebens in der Nachfolge Christi in Apostolische Armut, der vita apostolica. Die alleinstehende Frauen und Witwen im Mittelalter schlossen sich ungeachtet ihres Vermoegens oder Standes zu religoesen Vereinigungen zusammen, ohne jedoch als Laien einer anerkannten Ordensgemeinschaft anzugehoeren. Beginen widmeten sich in ihrer Wirkung nicht nur sittlich-religioesen sondern auch praktischen Zwecken, u.a. der Krankenpflege, der Betreuung Verlassener, der Rettung moralisch Gefallener und der Erziehung. Weiterhin betaetigen die Beginen sich als Leichenwaescherinnen oder uebten das Textilhandwerk aus. Gebet und kontemplation waren jedoch ihre wesentlichen Lebensinhalte. Aus der Vereinigung der Beginen gingen einige bekannte Mystikerinnen der kathoischen Kirche hervor, beispielsweise Margareta Porete und Mechtild von Magdeburg u.s.w.

      • KCI등재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정재우 ( Jung Jae-wo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1

        생명 말기의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 결정은 우리 사회에서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왜냐하면 많은 의사들의 의료행위가 종종 법적 소송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실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지금까지 생명윤리 분야에서 다양하지만 일관된 성찰을 제공해 온 가톨릭 교회의 생명윤리의 맥락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일은 적절하다. 그 맥락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생명 존중의 맥락, 둘째, 의사-환자 관계의 맥락, 셋째, 질병 상황의 맥락, 넷째, 합리적 치료의 맥락이다. 이들은 의료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좋은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우리는 환자에게 필수적인 처치 가령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 환자를 죽게 하는 일이 없어야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불균형적이고 따라서 무익한 처치를 고집하는 일도 없어야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또한 모든 결정은 역시 이런 네 가지 맥락 안에서 내려질 필요가 있는데, 즉 환자의 실제 질병 상태를 알고 영양과 수분을 마지막 순간까지 공급한다는 것을 전제로 담당의사와 환자의 대화속에서 적절한 처치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런 개념 내지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좋은 연명의료 결정이 내려지기 위한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는 일이 법규범을 만드는 일보다 더 중요하고 시급하다. 법규범은 사실 부당한 의료행위를 정당화하는데 이용될 위험도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기반을 조성한다는 것은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활성화, 병원윤리위원회의 활성화, 생명과 고통과 죽음의 의미에 관한 성찰과 토론 증진, 의료인에 대한 생명윤리와 좋은 의료행위에 관한 교육 등을 가리킨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런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은 그다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이는 법제화에 대한 우려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Decision making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to patients in terminal stage of life is a big problem in our society, in that medical practices of treating those patients are being conditioned by worries about legal litigations or punishments. In considering this situation and finding an appropriate solution to it, we can find an insight from catholic perspective in bioethics, which has been providing various but coherent reflections on this topic. Teachings of Catholic Church on medical practices can be listed in four contexts: respect of human bodily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doctors and patients, real condition of disease of a patient, proportionality of the treatments. They are fundamental conditions in which clinically and morally good medical practices can be realized. Considering them, we can conclude that it should be excluded both to kill a patient by omitting necessary treatments like nutrition and hydration and to insist on using some treatments which are disproportionate and, therefore, futile to the patient. In addition, every decision should be also made in those four contexts; a plan about applying adequate treatments should be made in a real recognition of disease of a patient, never foregoing nutrition and hydration until the last moment of life, in an interpersonal dialogue between medical doctors and the patient. To implement these principles,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prepare and establish social conditions, in which clinically and morally good decision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shall be realized, more than to set legal norms which will fall in the risk of being exploited to justify clinically and morally undue practices. Building social conditions includes promoti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tivating hospital bioethics committees, promoting reflection and discussion on meaning of life, suffering and death, educating medical professionals with bioethics and good medical practices, and so on. But unfortunately, it is hard to see a social movement to do this, which is one of reasons of concerning the legalization of this topic.

      • KCI등재

        2WPR: Disk Buffer Replacement Algorithm Based on the Probability of Reference to Reduce the Number of Writes in Flash Memory

        Won Ho Lee(이원호),Jong Wook Kwak(곽종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2

        본 논문에서는 향상된 히트율과 더 적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쓰기 연산을 할당하는 디스크 버퍼 교체 정책을 소개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높은 집적도, 높은 신뢰성 및 비휘발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최근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삭제 이후 쓰기 연산 문제, 비대칭적인 연산 속도와 짧은 수명 등의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WPR 정책을 소개한다. 2WPR 정책은 디스크 버퍼의 각 페이지마다 이후 재참조될 가능성, 각 지역성 및 쓰기 연산에 대한 가중치 분석을 통해 교체할 페이지를 선택한다. 제안된 새로운 정책은 기존 디스크 버퍼 관리 정책에 비해 히트율을 최대 10%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쓰기 연산을 최대 5%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isk buffer replacement policy which improves hit ratio and reduces writing operations of flash based storages. The flash based storage has many advantages, including a small form factor, non-volatility and high reliability, but there are problems caused by own limitations, like not-in-place update, short life cycle and asymmetric I/O latencies. To redeem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e write weighted probability of reference(2WPR) policy. 2WPR policy predicts re-referencing probability and calculates localities of each page. Furthermore, by weighting write operations to every pages, 2WPR can reduce write operations to flash based storage. In addition, w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with higher hit ratio and reduce the number of write operations and consequently shorten the latencies of each op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our policy provides improvements of up to 10% for the hit ratio with the reduction of up to 5% for the flash writing operation compared with other policies.

      • 사회정의와 공동선 - 교회의 사회회칙 -

        김어상 한국가톨릭철학회 2003 가톨릭철학 Vol.0 No.5

        Both the utilitarianistic approach and the catholic social teaching regard the public interest. But the utilitarianism―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centers on a quantitative dimension, while the Catholic social principle argues in favor of the quality. Moreover, the utilitarianism considers only with the larger society in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neglects the principle of personality. Both John Rawls―the origin of justice in a procedural fairness―and the Catholic social principle regard an unfortunate member; however, the Maximin strategy of J.Rawls works only in the case of varying-sum game and the Catholic social teaching works in the case of zero-sum game too.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Robert Nozick―the minimal state argument―and the Catholic social principle; however, those two distinct accounts coincide. R.Nozick points up only the individual aspect of the principle of personality, while the Catholic social teaching discusses both the individual and social dimension of personality, R.Nozick stresses on only the smaller society, but Catholic social teaching stresses on both the smaller as well as the larger society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When the lowest member is treated just, hence every member in that society is treated just, then in those societies, the peace can be settled down. The justice of the Catholic church―option of the poor―discusses the cause of poor from the beginning. If the cause of poor state is sorely laziness, then the main point of an issue shall not be the rich or the poor, but be the just or the unjust. The social justice as a common denominator and the common good as a common numerater are the same in the content, but the social justice prefers a micro-approach, the other a macro-approach.

      • KCI등재

        오경웅과 비교신비주의

        이향만 ( Lee Hyang-m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0

        오경웅은 중국의 법관이며 철학교수이자, 외교관이며 법학자로서 중국어뿐만이 아니라 영어, 불어, 독일어로 된 법학과 영성적 저작을 남겼다. 또한 『도덕경』과 『시편』과 『신약성경』등을 번역하였다. 그는 미국 대법관 홈즈와 학술적인 교류를 맥고 홈즈의 법철학에 대한 저작을 남겼다. 오경웅은 법철학과 법이론에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토마스 아퀴나스와 교부들의 가르침을 근간으로 하는 그의 법철학에 대한 저작 『정의의 원천』을 남겼다. 그는 중국 헌법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중국 중일전쟁 중에 리지외의 데레사의 『한 영혼의 일기』를 읽고 가톨릭에 귀의하게 되었다. 오경웅은 그녀에게서 붓다와 공자와 노자의 덕의 종합을 발견하였다. 그는 그리스도교 안에서 말씀이 사람이 되시는 약동하는 성심의 사랑안에서 노자의 초연하고 교묘한 정신과 공자의 자애롭고 진실된 친절이 결합되고 고양된 상태를 발견하였다. 그후 그는 그리스도의 사랑 안에서 발전하는 영혼의 세 단계를 설명한 『내심낙원』을 저술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중국의 성현들과 그리스도교의 신비가들, 즉 십자가의 요한과 아빌라의 데레사를 비교하였다. 오경웅은 유교와 도교와 불교의 최상의 특징이 계시의 빛에 의해서 고양되고 변모된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하게 됨을 설득력있게 논증하였다. 『선학의 황금시대』에서 그는 머튼이 말하듯 그리스도교를 선과 비교하는 것이 수학과 테니스를 비교하는 것과 같이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그 안에 내재된 형이상학적 직관이 실존적이고 실증적임을 보여주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하여 중국 선 전통의 배경이 장자의 사상임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그의 전기적인 저작에서 보편적 영성의 발전단계를 발견하게 한다. John C. H. Wu; Tradition(吳經熊) wrote as Chinese jurist and author works in Chinese, English, French, and German on legal topics, Christian spirituality, Chinese literature, and translation of the Tao Te Ching, Psalm, and New Testament. He maintained a correspondence with U.S. Supreme Court Justice Oliver Wendell Holmes, Jr. and later produced scholarly work examining Holmes‘ legal thought. John Wu was interested in the philosophy and theory of law, and in his later book, Fountain of Justice as Catholic lawyers he refers often to Thomas Aquinas and his concept of law and to the messages of the various Popes which have a bearing upon the philosophy of law. He was the principal author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In the Sino-Japanese war he found the living synthesis between all pairs of opposites in Saint Therese of Lisieux’ work Story of a Soul. She seemed to him to combine the heart of the Buddha, the virtues of Confucius, and the philosophic detachment of Lao Tzu. After that time he was a convert to Roman Catholicism. Only Christianity has satisfied all the aspirations of my heart and confirmed all the thoughts of his mind, and woven the two strains of my inborn nature [the spirit of Taoism; the spirit of Confucianism] into a perfect harmony. Then he wrote book, The Interior Carmel: the Threefold Way of Love that probe the depths of the soul’s progress in the love of Christ. He compared in this book the spiritual Living of the great Chinese sages and mystics with those of Christian saints and mystics such as Therese of Lisieux, John of the Cross, and Teresa of Avila. John Wu convincingly argued that the best features of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find their fulfillment in Christ, elevated and transformed by the light of divine revelation. In The Golden Age of Zen John Wu recognized that comparing Christianity to Zen is as impossible as comparing mathematics to tennis, thinks Merton, who also feels that Zen involves grasping certainty in the sense of “an authentic metaphysical intuition, which is also existential and empirical.” He showed through this work Chuang-Tzu’s thought as background of the chinese Zen tradition. As result his biographical works can be found the universal spiritual fold in soul’s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