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취득한 육체(corpus assumptum)와의 관계를 통해 본 천사의 본성 -보나벤투라의 『명제집 주석』 2권 8구분 1부 1항 1문-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1 중세철학 Vol.0 No.17

        이 글은 보나벤투라의 『명제집 주석』 2권의 8구분 1부 1항 1문, 즉 보나벤투라가 비물체적인 정신적 실체로서의 천사의 본성을 천사가 취득한 육체를 중심으로 천사의 종차를 설명하는 논의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에서 보나벤투라는 천사의 육체 취득을 천사의 완전성에 따른 (secundum perfectionem substantiae) 능력이자 천사가 육체를 통해 수행하는 활동이 그의 존재와 본성상의 부족함을 완성시키려는 필요성보다는 그의 활동을 통해 다른 것들에게 봉사하기 위한 그의 의지에 따른 것으로 이해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천사와 취득한 육체 사이의 관계 설정을 통해 보나벤투라는 그가 논의를 전개하는 과정 내내 육체와의 관계와 관련하여 천사의 비교 대상으로 등장하는 영혼, 특히 자존할 역량을 갖고 있다는 면에서 천사와 유사성을 갖지만 육체와 합일하지 않고서는 충족시킬 수 없는 본성적 불완전성을 가진 인간 영혼 사이의 종차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천사의 중간자적 위상, 즉 제일원리로서 어떤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 완전성을 통해 모든 것을 창조하여 완성시키고 이들을 지배하는 신과 본성적 불완전성을 가진 정신적 존재로서의 인간 사이에 있는 천사의 위상을 제시한다. Cet article traite de l`argument bonaventurien du Commentaire des Sentences II, d.8, pars.1, a.1, q.1 a travers duquelle Docteur seraphique explique la difference specifique de l`ange conformement a sa comprehension de la relation entre l`ange et son corps assume. Dans cette question Bonaventure nous presente sa conception de l`ange qui, malgre son propre perfection independante du corps, assume les corps non pas comme complements de sa nature, mais comme instruments a administrer ou aider les creatures corporelles. Et dans ce processus, Bonaventure nous fait voir la difference specifique de l`ange relativement a l`ame humaine qui ressemble a l`ange dans le sens ou elle a capacite de subsister de maniere independante, mais s`en distingue radicalement dans la mesure ou son union naturelle avec le corps presuppose son incompletude naturelle vis-a-vis de sa propre perfection qui consiste a former un etre humain. Ce faisant, il situe les anges entre Dieu qui manifeste conformement a sa perfection independante de toutes les autres creatures sa diginite divine en tant que principe premier et gouverneur par excellence, et l`etre humain ou l`ame humaine, la creature spirituelle dotee de l`incompletude naturelle relativement a leur propre corps.

      • KCI등재

        논문 : 보나벤투라는 천사주의자인가? -보나벤투라 인간학에서 실체적 형상으로서의 영혼 개념 이해-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0 중세철학 Vol.0 No.16

        에티엔 질송 이후로 보나벤투라의 인간학은 인간의 통일성을 희생하고 영혼을 완결된 정신적 실체로 이해함으로써 영혼의 불멸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한 중세사상의 대표적 사례로 소개되어 오곤 했다. 이에 따라 보나벤투라의 주류 해석자들은 보나벤투라의 저작에서 종종 등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영혼 개념, 즉 "영혼은 신체의 실체적 형상이다"와 같은 표현이 정신적 실체로서 이해된 영혼 개념과 상충하며 인간이라는 통일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영혼과 신체 사이의 모종의 관계를 서술하기 위한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다고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들은 보나벤투라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며 영혼을 신체에 탑승하는 천사와 같은 정신적 실체로 이해하는 천사주의자라고 간주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천사주의자 보나벤투라`가 역사적 보나벤투라의 모습을 왜곡하는 해석임을 세라핌적 박사가 인격(persona) 개념을 통해 영혼이 그 본질상 신체와 결합하여 인격으로서의 인간을 이루는 실체적 형상으로서 그 위상을 갖추도록 하는 논의를 중심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보나벤투라의 인간학에서 영혼이 신체의 실체적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맥락을 확인하는 한편으로 질송과 페기스의 해석이 보나벤투라의 인간학과 관련하여 여러 중요한 문헌적 근거들에 대한 분석이나 연구를 생략한 불충분한 해석임을 드러내도록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보나벤투라가 영혼을 천사와 같은 완결된 실체로 제시하지 않았으며 질송을 비롯한 주류해석자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세라핌적 박사가 아리스토텔레스적 영혼 개념을 인격으로서의 인간이 드러내는 궁극적 완성을 염두에 두고 독특한 방식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통일성을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했음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Nous avons devant nous une image duree de Bonaventure: le sacrificateur fanatique de l`unite de l`homme. Cette image, qui est faite, revisitee, confirmee et reaffirmee depuis longtemps par les grands erudits du vingtieme siecle comme Etienne Gilson et Anton Pegis. C`est ainsi qu`elle est devenue aujourd`hui une sorte de `canon` ou bien `appareil d`interpretation` sur Bonaventure. Et c`est egalement ainsi que Bonaventure se presente comme un angeliste qui, ignorant ou rejetant la nouveaute illuminatrice de son epoque, c`est-a-dire la conception aristotelicienne de l`ame concue comme forme substantielle, considere l`ame humaine comme substance spirituelle complete. Cet article vise a montrer que cette image n`est qu`un collage reconstitue a partir des textes isoles ou brutalement mutiles du contexte bonaventurien respectif. Nous avons alors fait une revue des textes et des contextes dont le courant majeur a omis de faire d`analyses bien serieuses. C`est de cette maniere que nous avons tente de redresser une image historiquement fidele a Bonaventure. Ce faisant, nous avons pu decouvrir un certain Bonaventure qui, a travers sa conception de la personne(persona), rejette fermement des theories angelistes de l`ame humaine; et controle, assouplit, reduire soigneusement la substanteite et la completude envisageable de l`ame humaine. Nous avons pu en effet montrer que Bonaventure etablit, contrairement aux opinions du courant majeur, une place propre pour la conception de l`ame-forme substantielle en affirmant une dependance radicale et essentielle de l`ame humaine vis-a-vis du corps dans l`ordre de la perfection ultime qui consiste a constituer `un` etre humain en tant que personne.

      • KCI등재

        말없는 황소,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육체의 이원론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본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과 영혼의 구분과 관련하여 던져진 중세와 현대의 문제제기들을 검토하며 과연 토마스에게 지성-육체 이원론의 문제가 과연 그에게 그 자체로서 심각한 문제인지, 그리고 그와 연관된 문제들은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 한다. 나아가 이런 문제들이 제기되게 된 계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그의 문제적 답변, 즉 ASE와 PNIS에 입각한 문제제기에 대한 『명제집 주해』와 『지성단일성론』에서의 “인간 영혼은 독특하다”로 요약되는 답변의 의미를 모색해보려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지성-육체의 이원론이 그의 사상의 일관성이나 내용에 큰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그의 입장을 순환논증으로 보이게 하는 문제의 “인간 영혼은 독특하다”라는 표현 역시 사실상 그의 영혼론과 인간학의 출발점인 “이 개별적 인간이 이해한다”라는 역설적 경험에 대한 기술을 재확인하는 것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By exploring the problematics launched against Thomas Aquinas’s notorious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 and soul, this contribution examines whether the so-called intellect-body problem in Thomas Aquinas itself poses really a serious challenge to his theory of soul 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issues can be resulted from it. And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context of those challenge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his remarks in his Commentary on Sentences and On the unity of intellect thrown against his opponent’s critical arguments based on axioms like ASE and PNIS, and will try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the remark which can be abbreviated as “human soul is special.” In this process, this paper shows that the dualism in question doesn’t entail some serious problem in Thomas’s theory as far as the body in question can possess multiple meanings according to levels of abstraction and that the seemingly problematic assertion of “human soul is special” is nothing other than his re-affirmation of “this man understands,” that which the Angelic Doctor takes as the point of departure of his own understanding of the soul and human being.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원동자 이론 비판의 이중적 성격 -『신학대전』 1부 76문 1항의 “principium intellectivum” 개념 재검토-

        정현석 ( Chung Hyun-sok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0 지중해지역연구 Vol.22 No.3

        It is a difficult task to determine the exact coverage of the term “principium intellectivum” used in Thomas Aquinas’s Summa Theologiae, Ia, q.76, a.1, co. And it becomes more challenging when this term is coupled with his seemingly indifferent usage of “intellectus” and “anima intellectiva,” because this indifference seems to undermine the central thesis of the Thomistic theory of soul: the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ive soul and intellect. However, thanks to some eminent medieval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we can at least comfortably settle some difficulties and doubts relative to Thomas’s lifelong consistency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t remains however uncertain of the reason why he has used such an expansive or ambiguous term like “principium intellectivum” which can entail some serious misunderstandings concerning his famous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us”, and “anima intellectiva.” Apropos of this uncertainty, some have suggested taking the terminology in question as “une façon de parler.” However, even though we admit that this could be one of the safest ways to account for the uncertainty therein, we cannot but confess that it is not completely satisfactory. That is why we have attempted in this paper a strong reading on Thomas’s critique against the soul-mover theory in Summa Theologiae, Ia, q.76, a.1. in the context of the medieval controversy over unicity or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In this processus, we could find a possible way to interpret that this critique has double objectives and that Thomas serves, before he addresses his full-dress refutations in q, 76 aa. 2-4, the term “principium intellectivum” to set a preliminary critique against his opponents in two camps: the Latin Averroists and the Pluralists. In this line of interpretation, we could conclude that the seemingly indifferent usage of Thomistic terms “intellectus” and “anima intellectiva” are not “une façon de parler,” but “une façon strategique de parler” in strict consistency with his central thesis of the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 and intellective soul.

      • KCI등재

        13세기 영혼의 불사성과 크리스텔러의 해석

        정현석(Chung Hyun-Sok),이재경(Lee Jae-kyung)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2 No.-

        중세인들은 인간 영혼이 비물질적이며 불사적이라는 이론을 의심의 여지없이 받아들였다. 하지만 그 이론이 철학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다. 그런데 영혼의 불사성이 르네상스 철학의 전모를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주제임을 강조하는 크리스텔러는 그 시대 철학의 특수성을 드러내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13세기에는 그 주제와 연관된 주목할 만한 철학적 논변이 없었다는 해석을 한다. 크리스텔러의 해석에 도전하여 그가 지닌 중세에 대한 시각의 부당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 글은 영혼의 불사성이 13세기에 들어서면서 철학적 주제로 부각되기 시작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권위를 인정했음에도 영혼의 불사성을 철학적으로 옹호하려 했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나아가, 중세의 비엔 공의회와 르네상스시대의 라테란 공의회라는 역사적 사건을 비교함으로써 영혼의 불사성을 통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사이의 단절로 확인하려는 크리스텔러의 해석이 근거가 박약함을 보일 것이다. The doctrine that the human soul is immaterial and immortal was taken for granted by everybody in the Middle Ages. However,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could be philosophically proven was controversial.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that the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came to assume during the Renaissance, Paul Oskar Kristeller attempts to argue that when Aristotle became the chief philosophical authority in the thirteenth century the doctrine did not play a major role in medieval thought.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Kristeller’s perspective on the Middle Ages is not justified. To do so, we will argue that not a few thirteenth century thinkers defende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ith philosophical arguments. Furthermore, we wish to maintain by appealing to the historical events namely, the Council of Vienne held in the Middle Ages and the Fifth Council of the Lateran held in the Renaissance period that Kristeller’s account of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eras is not well founded.

      • KCI등재

        일반논문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보편적 질료-형상론 비판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30

        보편적 질료-형상론은 1230년대 이후부터 1260년대 중반에 이르는 약 한세대에 이르는 기간동안 중세 유럽에서 유행했던 이론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와 보에티우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근거로 12세기 이후로 유입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그 시대의 현실과 이에 따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당시 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과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들과 스콜라학자들의 사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그런데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던 중세의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해 13세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는 1246년에 집필한 『명제집 주해』으로부터 1260년대 말-70년대 초에 걸쳐 집필한 『신학대전』에 이르는 저작들에 이르기까지 집요하게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본 논문은 알베르투스가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11세기 무슬림 제국 치하의 스페인에서 활동했던 유대철학자 아비체브론(Avicebron)과 그의 저작 『생명의 원천』(Fons vitae)이라는 저자와 저작을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근본 원천으로 제시하는 논의를 그의 저작연대를 좇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알베르투스의 생애 내내 유지되고 있는 일관되고도 집요한 그의 공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유럽세계의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던 그의 필생의 동기가 발현한 구체적인 예로서 밝히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그가 아비체브론과 『생명의 원천』을 그와 동시대에 활동하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자들이 거론한 철학적/신학적 권위들로부터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유리시키고 고립시키는 데 활용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1230년 대 이후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업고 유럽의 정신세계를 장악했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아리스토텔레스나 아베로에스와 같은 이교 철학에 입각한 자신의 입장으로 대체하려는 알베르투스의 철학적 야심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L`hylemorphisme universel au Moyen Age a ete l`une des theories qui ont vu les plus grand succes au 13e siecle. Les partisans de cette theorie, en citant et en faisant les siennes non seulement les autorites chretiennes comme Augustin et Boece mais egalement celles paienne comme Aristote etc., ont fait une tradition ou se trouvent les penseurs si eminents comme Alexander de Hales, Roger Bacon, Bonaventure, Jean Peckham etc. Toutefois Albert le Grand, deja dans les annees 1240, se fait contrer cette theorie qui est soutenue par les autorites si ecrasantes et les partisans si nombreux. Et jusqu`a la fin de son carrier il a revisite de facon parfois passionnee voire de maniere obsessionnell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evoquant systematiquement Avicebron, un philosophe juif du 11e siecle en Espagne sous le domaine de l`Empire Musulman, comme la source ultime du l`hylemorphisme universel. Dans cet article, j`envisage d`analyser les arguments critiques lances par Albert le Grand a l`encontre d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particulier pour voir la maniere dont il utilise Avicebron et le Fons vitae pour ebranler ou detruire la tradition bien etablie depuis longtemps de cette theorie en question. Ce faisant, je montrerai d`abord comment fonctionne le nom d`Avicebron et le Fons vitae conformement au leitmotiv personnel d`Albert, c`est-a-dire son intention de faire connaitre les latins la veritable pensee d`Aristote. Et en continuation de cela, en particulier consacrant notre attention sur le developpement bien interessant que l`on peut remarquer dans ses oeuvres lorsqu`il s`agit de l`attitude et des expressions qu`il designe Avicebron, l`une de ses dernieres oeuvres, j`eclaircirai l`ambition si grande d`Albert le Grand en tant que philosophe et interprete d`Aristote, qui vise a fournir une solution alternative contre l`hylemorphisme universel, et a substituer une theorie dominante de la scene de la pensee medievale avec sa propre idee epaulee de penseurs paiens comme Aristote, Averroes etc.

      • KCI등재

        죽은 몸과 되살아난 몸의 수적 동일성 문제를 통한 1277년 단죄의 재조명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7

        본 논문은 가톨릭신앙의 핵심을 다루는 1277년 3월 7일 파리대학 단죄 항목들인 “사멸한 신체가 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되돌아오는 일은 생기지 않으며, 수적으로 동일한 것이 되살아나지도 않을 것이다”와 “미래의 부활에 대해 철학자가 동의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성으로 <미래의 부활을> 탐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이것은 오류다. 왜냐하면 철학자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토록 지성을 다잡아야하기 때문이다”를 중심으로 1277년 단죄 조치의 목적과 성격을 재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먼저 이 두 명제가 13세기 파리대학에서 활동하던 사상가들이 견지했던 사상과 일치하는 대상이 엄밀한 의미에서 없음을 보에티우스 다치아와 시제브라방의 주요저작들을 분석하면서 밝힌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1277년 단죄 목록 전반의 특징인 익명성과 그에 따른 문헌학적 불명료성이 텅피에의 의도를 반영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리고 그 의도와 관련하여 텅피에의 단죄 조치를 특정사상가 혹은 입장에 대한 단죄보다는 파리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거론될 수 있는 심각한 오류에 대한 예방조치로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하려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tenets and the nature of the Condemnation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1277, especially centering on the two propositions touching core values of Christianity in the Decree promulgated by Etienne Tempier: “Quod non contingit corpus corruptum redire idem numero, nec idem numero resurget”; and “Quod resurrectio futura non debet concedi philosopho, quia impossibile est eam investigari per rationem. - Error, quia etiam philosophus debet capivare intellectum in obsequium Christi”. This research first shows that those two articles corresponds none of the University members’ thoughts(including those of such figures like Boethius of Dacia and Siger of Brabant)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s. And we attempt to suggest that the anonymous character and the lack of philological and doctrinal precision of the decree reflect certain intentions of Etienne Tempier, the censor, and to pave a way to re-illuminate the Decree of 1277 not as a condemnation of some specific members of the University or their position, but as a prescriptive or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crucial errors which some might or would teach in the University of Paris.

      • KCI등재

        논문 : 무명 저자의 『영혼론 1권과 2권의 문제들』과 13세기 영혼론의 쟁점들 -지성단일성론과 복수 실체적 형상론-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5 중세철학 Vol.0 No.21

        본 연구는 1971년 질(M. Giele)이 Oxford Merton College, MS. Lat. codex 275 fols.108-121에 수록된 무명 저자의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에 관한 강의 내용을 현대 비평본으로 편집하여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e de l’ame d’Aristote, M. 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에 실은 Ignoti Auctoris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중 13세기 중후반 파리대학에서 벌어진 인간학과 관련한 주요 쟁점, 지성단일성론(2권 4문)과 실체적 형상의 다수성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1권 17문, 2권 5문과 6문)들을 발췌하여 싣고 있다. 무명 저자의 입장은 지성단일성론과 관련하여(1권 17문) 1) 지성이 인간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삼아 결합하며; 2) 지성과 인간 혹은 육체의 결합 방식은 천체의 원동자와 천체의 결합 방식과 같기에; 3) “엄밀히 말해 인간은 이해하지 않는다(proprio sermone homo non intelligat)”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런 면에서 비슷한 시기에 파리대학 인문학부 교수로 활동했으며 종종 그와 함께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로 분류되던 시제 브라방과 같은 지성단일성론자들이 제창한 내적 작용자(operans intrinsecum)로서의 분리된 지성을 논하는 입장과 차별성을 갖는다. 한편 그는 인간의 영혼과 육체의 결합이 형상과 질료의 결합이자, 현실태와 가능태의 결합이기에 양자의 결합에 매개적 원리가 없으며(1권 17문), 식물적 활동과 동물적 활동의 원리들이 서로 다른 총체로서의 영혼이 아닌 영혼의 부분이라는 것(2권 5문), 그리고 이들이 개념상으로만 구분되며 실체적으로는 구분되지 않는다는 입장(2권 6문)을 내세운다. 이런 까닭에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에 가까워 보인다. 하지만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의 옹호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와는 달리 지성 혹은 지성적 영혼의 육체와의 실체적 결합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또한 무명 저자는 인간의 영혼과 소의 영혼의 차이가 단지 개와 소 혹은 고양이와 개의 동물적 영혼의 차이 정도, 즉 동물적 영혼 사이의 차이로 보고 있다. 이런 면에서 그의 입장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과 차별성을 드러낸다. This research deals with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written by an anonymous author of the 13th century, edited and published in 1971 by Maurice Giele in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e de l’ame d’Aristote, M.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 Especially in this research we provide translations of 4 questions concerning the issues like the Medieval Monopsychism(II, Q.4) and the Controversy over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I, Q.17; II, QQ.5-6). In these questions, we can see the Anon. of Giele differentiates himself from other Art Faculty Professors of the 13th Century University of Paris like Siger of Brabant, who shared with the former the Monopsychism, while our anonymous author affirms 1)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conjoins to a human being or a body as its object, not as its subject; 2) and that, like the celestial mover conjoins to a certain celestial body; so 3) “properly speaking, human being does not understands”. And with the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the Anon. of Giele holds that, while soul and body is conceived as form and matter or act and potency, there is no need for intermediating principles between the two(I, Q.17). And he maintains that those powers like nutritive and locomotive in themselves are not souls, but parts of soul(II, Q.5) and they are distinguished not by their substances or in their beings but by definition or in mind. This position seems to be assimilated to that of Thomas who holds the unicity of substantial form thesis. Our anonymous author however distantiates himself substantially from the position of the Angelic Doctor while he conceives that i)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is not substantial form of body or human being; and ii)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soul and the soul of a cat is comparable to that of cow’s and cat’s, that is, the difference in animal souls.

      • KCI등재

        시제 브라방의 지성과 육체의 관계 이해 -시제 브라방의 『영혼론 제3권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3 중세철학 Vol.0 No.19

        Dans cet article, on traitera la conception sigerienne de l`intellect comme intelligens in corpore qui apparait dans ses Quaestiones in tertium de Anima(une oeuvre redigee dans les annees 1260). En particulier cet article vise a montrer que cette conception d`intelligens in corpore et les arguments qui en suivent font se differencier la position de Siger de Brabant et preparent le fondement de sa position critique a l`encontre de celle de quidam, selon lesquels, comme le temoigne Thomas d`Aquin dans sa Summa theologiae et son De unitate intellectus, l`intellect s`unit au corps humain a l`image du pilote a la navette. Dans ce processus on va comprendre en quoi consiste l`essentiel et l`originalite de cette conception sigerienne, lorsque notre maitre brabancon fait nous voir une union intime entre l`intellect et le corps dans l`unite de l`homme individuel pensant comme operateur positif ou actif, c`est-a-dire en tant que sujet-operant(subiectum-agens) faisant sa propre operation specifique a travers l`intellect dans la mesure ou celui-ci fonctionne dans le corps au titre de principe intrinseque d`un etre humain pensant. Et c`est ainsi que l`on va voir egalement comment il prepare en avance avec cette conception d`intelligens in corpore le terrain fondamentale pour sa propre conception de l`operans intrinsecum qu`il developpera dans ses futures oeuvres et argumentations.

      • KCI등재

        보나벤투라의 인간학에서 영혼의 자립가능성과 인간의 통일성의 관계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5

        본 발표문은 질송(E. Gilson) 이후 약 90년간 보나벤투라 영혼론을 주도해온 주류 해석, 특히 보나벤투라의 영혼 불멸성에 대한 논의와 그의 신학적 영감에 대한 해석에 맞서 보나벤투라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표문에서는 브라디(I. Brady)의 해석에 발맞추어 “인간의 통일성을 희생함으로써 영혼의 실체성을 확보한 보나벤투라”라는 기존의 해석이 제시한 초상(肖像)을 수정하는 한편으로, 보나벤투라의 소급적 실체로서의 인간의 영혼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나벤투라 영혼론의 일관성이 영혼이 신체와 분립하는 정신적 실체로서 정초시키려 하는 시도에서 발견된다는 질송 이후의 주류 주석가들의 입장과는 달리 영혼과 신체의 결합인 인간 존재의 통일성을 다지는 데에서 드러남을 보이고자 한다. Cette présentation vise à fournir une interprétation alternative sur la science bonaventurienne de l’âme à l’encontre de celle du courant majeur issue d’E. Gilson, en particulier sur l’orientation théologique de Bonaventure vis-à-vis de son argumentation de l’immortalité ou du caractère pérénniel de l’âme humaine. Je tenterai en effet dans cette présentation, contrer le portrait de Bonaventure qui, selon le courant majeur, a sacrifié l’unité de l’homme au prix de substantialité de l’âme. En outre, j’analyserai la conception de substantia per reductionem chez Bonanventure pour contrer position d’E. Gilson selon laquelle Bonaventure a sacrifié unité substantielle de l’homme aux prix de faire l’âme une substance spirituelle complète. C’est ainsi que nous pourrions vérifier que la cohérence bonaventurienne consiste non pas à établir l’âme humaine comme substance spirituelle séparée du corps, mais à affirmer l’unité de l’homme qui est composé de l’âme et du cor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