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통존재자보다 공통존재자의 원인이 더 가지적이다 -토마스의「 형이상학 주해」 서문 분석-

        박규희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1

        『형이상학 주해』서문에서 토마스는 형이상학이 존재자 자체와 그 원인인 신과 지성체를 다루는 학문이라고 본다. 그런데 『삼위일체론 주해』와 『원인론 주해』서문에서는 가장 가지적인 것을 다룬다는 측면에서 형이상학의 또 다른 특징을 제시한다. 이 두 텍스트에 나타난 토마스의 견해를 가지고 『형이상학 주해』서문을 읽으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서문의 전반부에서 최고로 가지적인 것의 의미의 다양성이 필연적으로 제시되는데 후반부에서는 그 의미가 다시 하나로 환원된다. 둘째, 가장 마지막에 배우는 학문을 계기로 철학적 행복과 현세적 행복의 불완전성을 이야기해야 하는데 독자들은 이 주제를 『형이상학 주해』서문이 아니라 『원인론 주해』서문에서 마주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안한다. 토마스는 『형이상학 주해』서문의 전반부에서는 공통존재자의 연구를 정당화하기 위한 맥락을 설정하고 후반부에서는 공통존재자의 연구가 그 원인의 연구로 필연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논증한다. 형이상학은 공통존재자의 원인을 연구함으로써 완성되는데 토마스는 이 제일원인들이 형이상학보다는 원인론에 더 상세히 논구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형이상학은 원인론을 공부함으로써 마무리되므로 철학적 행복에 대한 이야기는 형이상학 주해가 아니라 『원인론 주해』에 실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In his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Thomas regards metaphysics as a science that deals with being itself and its causes, namely God and intellectual beings. However, Thomas, in his Commentary on De Trinitate and in the prologue to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presents other aspects of metaphysics concerning God and intellectual beings. A comparison of Thomas’s perspectives in these two texts raises two key issues within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Firstly, in the initial portion of the prologue, there is an inevitable differentiation in the meanings of the highest intelligible objects, yet in the latter part, these meanings converge into a singular notion. Secondly, upon reaching the pinnacle of metaphysical inquiry, the discussion of the incompleteness of philosophical happiness should naturally arise. However, this theme is not encountered in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but rather in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an interpretation as following: In the early segment of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Thomas establishes the contextual foundation for justifying the study of common being. Subsequently, he contends that the exploration of common being inevitably leads to an investigation of its causes. Metaphysics is completed by studying the first causes of the common being. Thomas asserts that these primary causes receive more comprehensive treatment in the Book of Causes than in Aristotle’s Metaphysics. Consequently, as metaphysics reaches its frui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Book of Causes, discussions regarding happiness are appropriately situated within the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rather than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 KCI등재

        인간 지성의 발전단계에 대한 신플라톤주의적인 해석 -리디아의 프리스키아노스 (위僞-심플리키오스)의 <영혼론 주해>를 중심으로-

        박규희 한국중세철학회 2019 중세철학 Vol.0 No.25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intellect shown in Priscian’s commentary on De anima (CAG XI) which was known as Simplicius’ commentary. Claiming that the truth in philosophy should be in the unity of Aristotle and Plato, Priscian set forth his own neoplatonic thoughts by which he explains the text of Aristotle’s De anima. In this paper it will be shown what Priscian’s theory about intellect in the human soul is, focusing on his interpretation and neoplatonic reception of some principal issues in De anima such as three stages of development of the human intellect, imagination and the passible intellect. Therefore, this paper is understood as a case study about a neoplatonic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De anima in the late antiquity. In Priscian’s theory Aristotle’s three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intellect corresponds to the neoplatonic tripartite structure of the intellect. According to Priscian of Lydia, the human intellect consists of the substantial intellect which is in the rational soul the cause of all intellectual activities and the intellect which proceeds and outgoes from it. The proceeding intellect is divided into the imperfect and the perfected intellect in accordance with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object of its apprehension. The outgoing intellect transfers from a state of imperfection to that of perfection and then to that of actual thinking which is identified with the higher, substantial intellect in a derived sense. For Priscian the involvement of imagination in thinking and the necessary connection with body is not understood as a complete reliance of imagination on sense-perception, but as a forming and defining faculty for sense organ. As for the passible intellect, it is understood not as that which would perish just on account of its union with the body. The destruction of the passible intellect is rather to be understand in a sense that the intellect destructs itself, inasmuch it is a caused thing, to return to essential itself as a cause. Interpreting the concept of imagination and the passible intellect in new ways, Priscian adopts the Aristotelian tripartite development of the human intellect for the tripartite ontological structure of the intellect in the neoplatonic System 본 논문은 심플리키오스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는 영혼론 주해 (CAG XI)에나타난 프리스키아노스의 지성론에 대한 연구이다. 프리스키아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을 풀이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신플라톤주의적인 사상을 적극개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혼론에서 지성의 발전단계와 표상력 및 수동지성에관한 논의와 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프리스키아노스의 이론을 알아보고자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의 신플라톤주의적인 해석과수용에 대한 한 가지 사례연구가 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성의 세 가지의 발전단계는 프리스키아노스의 인간 지성론에서의 신플라톤주의적인 삼중구조에 상응한다. 프리스키아노스에 따르면 인간의지성은 인간의 정신활동의 원인인 실체적 지성과 실체적 지성에서 유출된 발출지성으로 구성된다. 발출지성은 인식대상의 존재론적 지위에 따라 다시금 미완성 상태와완성 상태로 나뉜다. 인간의 지성은 미완성 상태에서 완성상태로 옮아가고, 그리고현실적으로 사유함으로써 실체적 지성과 동일하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발전과정으로 이해된다. 프리스키아노스는 인간의 표상력과 신체와의 결합을 감각기관에 대한 표상력의 전적인 종속으로 보지 않고, 감각기관을 규정하는 형상적 능력으로 이해한다. 또한 수동지성의 소멸은 신체의 소멸에 동반되는 소멸이 아니라, 유출된 자기 자신을 원인으로서의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지양한다는 의미에서의 소멸로 이해한다. 표상력과 수동지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통해 프리스키아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 지성의 발전단계를 신플라톤주의 체계 안에서의 지성의존재론적인 발전단계로 해석하는 데에 성공한다

      • KCI등재후보

        급성 위장염 환아에서 bicarbonate gap의 임상적 의의

        박규희,정성관,임형은,유기환,홍영숙,이주원,Park, Kyu-Hee,Jung, Seong-Kwan,Yim, Hyung-Eun,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2

        목적 : 소아기의 급성 위장염은 소화장관액의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물질의 체외 상실로 인하여 산-염기 대사의 장애를 초래한다. 중탄산염차이(bicarbonate gap, 이하 BG)는 델타음이온차이(delta anion gap, 이하 ${\Delta}AG$)와 델타중탄산염차이(delta bicarbonate, 이하 ${\Delta}HCO_3{^-}$) 의 차이로 정의되며 혼합 산-염기 대사의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BG에 따른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1일부터 2008년 4월 31일까지 구로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급성 위장염으로 입원한 1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은 검토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BG이 -5 미만이거나 5 초과인 A군과 -5 이상이고 5 이하인 B군으로 나누어 입원기간, 열, 구토, 설사 등의 임상양상과 나트륨, 칼륨, 염소, 알부민, 단백질, 혈액요서질소(blood urea nitrogen, 이하 BUN), 크레아티닌, 혈청 내 이산화탄소, 음이온차이, ${\Delta}AG$과 ${\Delta}HCO_3{^-}$ 등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BG이 -5미만인 A군은 66명, BG이 -5이상인 군인 B 군은 69명이었다. 입원기간은 A군에서 $5.3{\pm}2.1$일, B 군에서 $4.7{\pm}1.6$일로 A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입원 전 설사 기간은 A군에서 $3.13{\pm}1.7$일, B군에서 $2.3{\pm}1.7$일로 A군에서 더 길었으며 총 설시사간은 A군에서 $4.2{\pm}2.8$일, B군에서 $3.3{\pm}2.5$일로 A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0.05). 혈청 내 나트륨,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Delta}AG$은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며 혈청 내 염소, ${\Delta}HCO_3{^-}$는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열, 구토 기간과 칼륨,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알부민 AG과 $HCO_3$ radio의 검사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염을 보이는 환아들 중에서 BG이 -5 미만인 A군에서는 입원기간과 입원 전 설사 시간, 총 설사기간이 더 길어 임상경과가 좋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검사 결과 또한 혈청 내 나트륨, 총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Delta}AG$, 혈청 내 염소, ${\Delta}HCO_3{^-}$는 BG 범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아기 급성 위장염에서 BG은 임상 경과의 예측 및 치료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value of bicarbonate gap (BG) in acute gastroenteritis by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35 patients who had acute gastroenteritis. W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BG{\leq}-5$ (group A), BG>-5 (group B). We made a comparative study for clinical manifestations, serum electrolyte, albumin, protein,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anion gap (AG), delta anion gap (${\Delta}AG$) and delta bicarbonate (${\Delta}HCO_3{^-}$)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diarrhea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 A than group B. In laboratory findings, serum sodium, serum total $CO_2$, total protein, $AG_{corrected}$ and ${\Delta}AG$ were lower in group A than group B. ${\Delta}HCO_3{^-}$ and chloride were higher in group A than group B. Conclusion : BG may be a sensitive predictor enough to access the severity of acute gastroenterit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2008-2011년 한국 수도권에서 60개월 미만 하기도 감염 소아에 서의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의 계절적 변동

        박규희,이은희,서원희,김윤경,송대진,최병민,정지태,홍영숙,신정희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4

        목적: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는 영아와 어린 소아의 모세기관지염과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특히 미숙아나 만성 폐질환 혹은 선천성 심질환이 있는 영아와 같은고위험군은 RSV 감염에 더 취약하고 중증 경과를 보인다. 따라서RSV 감염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RSV 감염의 유행시기에 palivizumab을투여하는 예방요법을 시행하고 있는나 RSV 감염 유행시기는 지역마다 다양하게 관찰되며 같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매년 유행시기의 시작과 끝 그리고 기간의 변동을 보이고 있어 palivizumab 예방 요법의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palivizumab 예방요법의 적절한 시행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얻고자 소아 하기도 감염과 관련된 RSV 감염의 역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8년 5월부터 2011년 4월까지 고려대학교의료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에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하여 RSV 배양검사혹은 다중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한 60개월 미만의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RSV 배양 검사 혹은 PCR 검사 중 하나에서 양성으로 보이는 경우를 RSV가 검출되었다고 정의하였으며 대상 환아들의 RSV 검출률을 주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RSV 감염이 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 2세 미만의환아들을 대상으로 출생시 재태주령과 출생체중에 따른 RSV 감염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하여 RSV 검사를 시행한 환아는 9,178명으로, RSV 검출률은 18.8% (1,721명)이었으며 2세 미만이 80.2%(1,381명)였다. 급성 하기도 감염 환아의 RSV 유행시기는 2008-2009년에는 8월 둘째주부터 3월 넷째주까지 약 33주간, 2009-2010년에는 10월 첫째주부터 4월 셋째주까지 약 29주간, 2010-2011년에는 9월 셋째주부터 3월 넷째주까지로 약 28주간 되어 유행시기의 시작과 끝 그리고 기간에서 매년 변이를 보였다. 2세 미만의 영아에서미숙아와 저체중출생아로 출생하였던 경우에 RSV 유행시기 및 RSV 비유행시기 모두에서 RSV 검출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국내에서도 RSV 감염 유행시기의 시작과 끝 그리고 기간의변동이 매년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의료진들은 그 지역에서의RSV 감염 유행시기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palivizumab 투여의 시작시점과 투여 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RSV 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palivizumab 예방요법의 비용 효과성을증대시키기 위해서는 RSV 감염 유행시기 및 양상에 대한 국가적인실시간 관찰 체계가 필요하겠다. Purpose: Palivizumab prophylaxis has been used in the high risk groups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infections, especially with the prematures, infants with chronic lung diseases or hemodynamically significant congenital heart disease. Substantial variations in timing of RSV outbreaks presents a challenge for the optimized use of palivizumab prophylax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RSV associated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LRTI) in children, to help guide in the application of palivizumab prophylaxis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e performed RSV culture or multiplex RT-PCR from children under 60months of age admitted for LRTI at three hospitals in the capital area of Korea from May 2008 to April 2011. The study identified RSV infection and analyzed the RSV detection rates. Results: RSV detection rate was 18.8% (1,721/9,178). The RSV season of 2008-2009 is from the second week of August to the fourth week of March and, that of 2009-2010 is from the fir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Apirl and that of 2010-2011is from the third week of September to the third week of March. The RSV detection rate in preterms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RSV season and non-RSV season. Conclusion: The RSV seasons were shown to have variations in onset, offset, and durations in each year. Physicains should determine the timing of the first and final doses of palivizumab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bout the RSV season in their own area. The realtime surveillance systems to analyze the variations of RSV seasons are necessary for the effective and economical preventions of RSV infections in high risk groups.

      • KCI등재

        보에티우스의 ≷데헵도마디부스≸(De Hebdomadibus)에 나타난 프로클로스의 영향 연구

        박규희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신학 소품≸(Opuscula sacra)의 세 번째로 실린 짧은 논고 ≷실체들이 실체적인 선이 아님에도 그 자신인 한에서 선할 수 있는 방식≸에서 보에티우스는 정확히 제목에 드러난 것을 해명한다. 중세에 ≷데헵도마디부스≸라고 알려진 이 책은 실체의 선성을 존재와 존재자의 구별 또는 존재와 본질의 구별, 그리고 관여사상을 통해 다룬다. 공리적-연역적 서술 방법으로 쓰여진 이 책은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나 신플라톤주의의 전통에 놓여 있다. 하지만 작품의 역사적 맥락이 충분히 해명되지 않아 ≷데헵도마디부스≸에서 보에티우스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토마스 아퀴나스의 ≷데헵도마디부스 주해≸는 거기에 담긴 사변적 풍부함과 깊이 때문에 텍스트를 이해하는 한 가지 타당한 해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토마스는 보에티우스의 존재 개념에서 분여되지 않는 존재와 분여되는 존재를 구별함으로써 보에티우스의 관여사상을 조리있게 해명한다. 만일 토마스의 해석이 정당하다면, 보에티우스에게서 나타나는 분여되지 않는 존재와 분여되는 존재의 구별은 프로클로스의 관여구조 분석과 일치한다. In the third treatise in Opuscula sacra titled “Quomodo substantiae in eo quod sint bonae sint, cum non sint substantialia bona” Boethius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revealed in the title: the way in which substances are good insofar as they are not substantial good. This treatise, also known as “De Hebdomadibus” to medieval philosophers, deals with the goodness of substance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existence and the existent, using an axiomatic method. This book, both in content and form, is situated within the tradition of Neoplatonism. However,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work is not sufficiently explained, making it challenging to understand Boethius’ intentions in De Hebdomadibus. On the other hand, Thomas Aquinas’ Commentary on De Hebdomadibus is recognized as a valid interpretation due to its rich and profound analysis of the text. In particular, Thomas elucidates Boethius’ philosophical ideas by distinguishing between unparticipated and participated being in Boethius’ theory of participation. If Thomas’ interpretation is valid, Boethius’ distinction between unparticipated and participated being corresponds with Proclus’ analysis of structures of metaphys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윤리학의 학적 성격 -알베르투스의 전기- 『윤리학 주해』(Super Ethica)의 서문 분석-

        박규희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0

        It was not until the complete translation of the Nicomachean Ethics by Robert Grosseteste that the Latin world became acquainted with Aristotle’s ethics, and it was Albert the Great who became a pioneer in the development of ethics in the Medieval Ages with his commentary on Ethics. Albert’s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theories of moral happiness and contemplative happiness unifies them, and this reading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autonomy of Aristotelian ethics as science. Having demonstrated that scientific knowledge of human moral behavior is possible, Albert goes on to identify the scientific character of ethics by situating it within three formal categories. First, the subject-matter of ethics are human behavior and happiness, which Albert distinguishes as the final intention of ethics and common subject, respectively, and establishes a unity of subject-matter by establishing an order between them. Second, ethics is divided into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according to the kind of good, yet Albert believes that these two disciplines actually form a single ethical system because they have a relation of principle or cause and effects to ethics. Third, ethics is bound to define its purpose and research method within the dichotomy of “ethica docens” and “ethica utens”, but Albert harmonizes moral practice and ethics by understanding these two as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matters of ethical study,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 intention and the common subject. Authorizing Aristotelian ethics as an independent science, Albert opens up a possibility of discussing virtue, ethics in general, and happiness in a Christian-theological context. This paper analyzes Albert’s views on the disciplinary form of ethics by examining the preface to his First Commentary on the Nicomachean Ethics (Super Eth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