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차선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Simwudo (尋牛圖), known as Ox Seeking Pictures, originated in the 11th-12th century and have consistently played a guiding role in the teachings of various religions in East Asia. Some Korean religions that emerged during modern times conveyed their teachings through depictions of ox seeking or herding. Among them, Daesoon Jinrihoe stands out as a representative religion. The belief system of this particular religion elucidates its distinct doctrine and worldview by reimagining Simwudo, into a new set of six panels (seven or nine panels in some variation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iffers from that of Buddhism, particularly in its treatment of meditation (禪), both in terms of context and significance. While they share similarities in the aspect of ox-seeking, the Buddhist Simwudo symbolizes human nature,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represents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propagated by Kang Jeungsan and brought into completion by Jo Jeongsan. In the Buddhist context, the subject of the search is the Ox, signifying the restoration of a deluded human's pure nature in order to achieve personal salvation and in some version of Simwudo, reenter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for ot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epicts the process of a human attaining immortality and following the teachings of Jeungsan and Jeongsan. This culminates in the final image which is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e final phase of the Buddhist Simwudo, depending on the version, is either enlightenment (personal salvation) or reentering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as a bodhisattva),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show the simultaneous achievement of the perfection of humanity and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is distinction highlight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Simwudo of these two distinctly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These differences arise from the contrasting purposes pursued by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대략 11∼12세기에 등장한 심우도는 동아시아에서 특정 종교의 가르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해왔다. 근대 이후 등장한 한국의 종교들도 소를 찾거나 기르는 그림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종교가 대순진리회다. 이 종교는 독창적인 6폭(또는 7폭, 9폭)의 심우도를 별도로 제작해 자신의 교리와 세계관을 설명한다.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선(禪) 수행의 과정을 담은 불교 심우도와는 그 내용과 의미가 다르다. 소를 찾는다는 측면에서는 양자가 같지만, 불교 심우도의 소는 인간 본성을 상징하고,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소는 증산이 펼치고 정산이 완성한 상생의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상징한다. 찾는 대상은 소지만, 그 소의 상징과 의미가 다르다. 이 때문에 불교 심우도는 오염된 인간의 본성을 청정하게 회복하여 중생제도에 나서는 그림으로,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증산과 정산의 가르침을 찾아감에 따라 인간은 신선이 되고, 세상은 구제되어 지상천국으로 완성되는 그림으로 각각 설명된다. 불교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세상 구제를 위해 내딛는 수행자의 발걸음인 데 비해서,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인간과 세상의 구제와 완성을 동시에 성취함이라는 것은 두 그림이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차이는 불교와 대순진리회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데에서 나타난 결과다.

      • KCI등재

        심우도(尋牛圖)의 일원상(一圓相) - 추상성(抽象性)과 메타포(Metaphor)로서의 일원상(一圓相) -

        신지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he 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一圓相) of the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 as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 Ten Ox Herding Pictures is the process of Seeing One's Nature and Becoming Buddha(見性成佛). In the process of practice, the practitioner seeks the gate of the Prajñā that is the gate of the enlightenment. This gate of the Prajñā is expressed in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the step of appearing of The One Round Circle, the Ox is disappeared into the shape of the gate of the Prajñā. The Buddha-Nature of Ox is changed into the light of the Prajñā with the image of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expresses enlightenment. The One Round Circle in the Eastern Asian Seon Culture is the typical symbol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is clear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en step in Ox Herding Pictures. The world of Prajñā(般若) is outside of letter. The world of Prajñā is the world of Seon. In the world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has the function of enlightenment and Prajñā as the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re are many research and paper in the field of Ox Herding Picture. There is, however, no research to investigate to connect the idea of Seon and meaning of image about the One Round Circle in view point of the Ox Herding Picture. The More studies about One Round Circle to lead image and symbol in this societies is required. 이 글은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닌 추상성과 메타포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 글이다. 심우도는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의 과정을 추상적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화의 일원상은 선의 대표적 상징체이다. 일원상이 지니는 상징성의 의미는 심우도의 전개과정 속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문자를 벗어난 반야의 세계를 선화로 그리는 선의 세계에서 일원상이 지니는 의미는 깨달음과 반야의 의미로서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하고 있다. 십(十)은 완성을 의미하며 일원상의 완결성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심우도가 추상성이면, 일원상은 추상성의 완성이다. 심우도에서 깨달음의 완성은 일원상으로 표현된다. 선종 수행의 목적은 견성성불이다. 심우도에서 일원상은 불성을 통해 반야 지혜가 드러났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심우도는 2가지이다. 하나는 곽암의 십우도, 다른 하나는 보명의 목우도이다. 어려운 선의 깨달음의 세계를 추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공통성과 추상성에 불성과 반야의 세계를 담은 것이 일원상이다. 이 글에서 일원상에 내재된 이미지의 무한한 가능성과 긍정성, 깨달음의 세계에 대한 본질적인 측면과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니는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원상이 제시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김지하 시『애린』에 나타난 "심우도"의 상징과 변용

        김인옥 ( In Ok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7

        1986년에 발간된 두 권의 시집『애린』에서 김지하는 현실에 없는 ``애린``을 찾아나서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애린``을 찾아 헤매는 과정은 자아를 회복하고 생명 가치를 재인식하여 소실된 생명을 소생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 과정이 선가에서 자기 본래 진면목을 찾아나서는 과정을 노래한 ``심우송(尋牛頌)``의 구조를 닮아있다는 점에서 생명의 근원, 생명의 실상과 관련된다. ``애린 찾기의 과정``은 파괴되고 잃어버린 본성을 회복하고 생명을 탐구하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아다니는 과정``은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로 상징적으로 비유된다. 특히『애린』둘째 권에서는「소를 논함」이라는 큰 제목 하에 ``심우도``의 제3도「소를 보다」에서부터 제10도「저자에 들어가 손을 내리다」까지의 노래를 발제하여 부제로 사용하였다. 김지하는 ``심우도``의 불교적 사유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를 거부하고 ``심우도``의 상징적 의미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참된 나``에 대해 언술하였다. 이때 시어 ``애린``은 작품 속에 전혀 등장하지 않고, ``심우도``는 패러디 텍스트로 전경화 되어 시인의 사유만이 역설적으로 드러난다. 본고는 ``심우도``의 사유를 변형한 구조원리로써 작품『애린』의 패러디 규명과정을 분석하였다. 종교적 사유에서 인간 본연의 현실적 사유로 전환된 문학적 관점으로서의 의의를 찾고, 창조와 모방이라는 본질적 문제를 재성찰하였다. 과거 저항의지로 세계와의 치열한 대결을 펼치면서 훼손된 자아를 김지하는 본성을 찾아가는 열 단계의 과정을 통해 치유·회복하였다. 둥글고 밝은 조화로운 자아의 본성회복과 이를 통한 생명소생의 과정 중 시인의 시선은 세계에서 자아로 침잠하며 변화하였다. 또한 이런 과정 없이 다시는 세계로 나아갈 수 없음을 ``심우도``와의 관계를 통하여 표현해 내었다. 문학을 재현하는 현실모방적 측면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나아가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무게를 두고 문학을 정의한 것이다. Kim Ji-ha showed the process of setting out in search of ``Aerin,`` which doesn`t exist in reality, in two volumes of the poem collection, which were published in 1986. The process of scouting around for ``Aerin`` implies the one of resuscitating the lost life by recovering ego and recognizing life value. In a sense that the process resembles the structure of ``Simusong(尋牛頌)`` that the Zen sect sang the process of setting out in search of own originally true character, it is related to the origin of life and to the actual condition of lif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erin`` symbolically compares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real character, which was lost, and of exploring life. ``The process of scouting around for cow`` symbolically compares the stage of performing by searching for the real character. Kim Ji-ha minutely mentioned a thought with poem while maintaining the certain distance from symbolical meaning in ``Simudo(尋牛圖)`` with rejecting what literally accepts the Buddhist reason. This study sought for significance as the literary perspective, which was changed from the religious reason to the realistic reason in a natural human being, and reflected again on essential problem called creation and imit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losely examining parody, which appeared in a work『Aerin』, as the structural principle that modified the reason of ``Simudo(尋牛圖).`` Kim Ji-ha cured and recovered ego, which was damaged with having the fierce fight with the world, with the intention of resistance in the past through the process in 10 stages of proceeding with searching for the real character. Out of the process in reviving life for recovering the real character of harmonious self, a sight was changed with withdrawing into ego from the world. And what cannot advance to the world again without this process was expressed through relationship with ``Simudo(尋牛圖).`` It is what defined literature with putting weight further on how it will be implemented, not what remains only in the aspect of imitating reality, which revives literature.

      • KCI등재

        ‘차용’ 표현으로 본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尋牛圖)’ 연구

        오세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불교 사찰이나 대순진리회(Daesoon Jinrihoe) 도장에 가면 벽면에 소가 있는 그림을 볼 수 있다. 이 소 그림을 ‘심우도(尋 牛圖 Simwoodo)’라고 한다. 수도과정을 동자가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형식의 심우도 그림은 티벳이나 도교(道敎)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는 주장도 있으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며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사용하여 불교의 그림으로 인식 되어 왔다. 대순진리회의 심우도에서도 수도인이 입도(入道)를 하고 수도과정을 거쳐 도통(道通 Dotong)에 이르는 과정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에서 ‘차용’기법은 현대미술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미술사나 광고 미디어 등에서 과거에 이미 등장한 형상과 다른 형상을 합성시켜 새로운 작품을 제작하는 기법을 말한다. 즉 과거나 기존에 존재했던 작품이나 이미지를 빌려와 합성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서양에서는 마네(E. Manet), 피카소(P. Picasso), 뒤샹(M. Duchamp)을 거쳐 레빈(S.Levin)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가들이 과거 미술사의 유명한 작품들을 차용하고 새롭게 만들어 원작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의미를 확장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 사찰이나 대순진리회에서 사용하는 ‘심우도’를 현대미술의 ‘차용’ 개념으로 접근하여 불교 사찰의 심우도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가 같아 보이지만 차이가 있으며 서로 차용의 독창성이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그 결과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가 오래전부터 소를 상징으로 하여 전해져 오는 목상도(Moksangdo), 목우도(Mokwoodo), 십우도(Sibwoodo), 팔우도(Palwoodo) 등 유명 ‘심우도’의 개념을 차용하고 새롭게 각색함으로써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심우도’로 표현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In the Buddhist temple or the studio of Daesoon Jinrihoe, we may run into the painting of cattle on the wall. This cattle painting is called ‘Simwoodo’. Some say Simwoodo that takes the form of comparing the ascetic process with a child looking for cattle originated from either Tibet or Taoism, but the origin is not clearly unknown. Yet, as the Zen sect of Buddhism has been adopting it, it is recognized as Buddhist painting. Simwoodo in Daesoon Jinrihoe, too, is a painting to depict the process of ones becoming an ascetic and reaching Dotong through cultivation easily. In the field of fine arts, ‘appropriation’ technique is often adopted particularly in contemporary art. It is a method to produce a new work by combining a form that appeared in art history or advertising media previously with another form. In other words, it is creating a new work by borrowing either works or images that have already existed and combining them with others. In the West, many artists including E. Manet, P. Picasso, and M. Duchamp up to S. Levin practiced appropriation on famous works in art history and created them newly so as to extend the original meaning that the original work has. This study is intended to approach ‘Simwoodo’ used in Buddhist temples and Daesoon Jinrihoe with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art and discuss the point that Simwoodo in Buddhist temples and Daesoon Jinrihoe seem similar but are, in fact, different and have their own uniqueness in terms of appropriation. As a resul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Simwoodo in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are expressed as new ‘Simwoodo’ as they appropriate the concept of well-known ‘Simwoodo’ such as Moksangdo, Mokwoodo, Sibwoodo, and Palwoodo that have been handed down from a long time ago taking cattle as a symbol.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본 연구는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심우도(尋牛圖)’는 동자가 소를 찾아가는 모습으로 인간의 수도과정을 비유한 도상이다. 심우도의 동자는 수도자이고, 소는 상제께서 세상에 펼친 대순사상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심우도가 이화-기화-실화의 공공작용의 3단계로 전개됨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공공작용의 이화단계는 ‘심심유오(深深有悟)’와 ‘봉득신교(奉得神敎)’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심심유오’는 깊고 깊은 생각 속에 봉득신교에 대한 자각이 있기에 생각이화의 도리를 발견한다.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어느 순간 인간 존재의 근원에 의문을 갖고 음양합덕의 생각이화에 의해 봉득신교를 받들면서 도상은 소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의 공공작용의 기화단계는 ‘면이수지(勉而修之)’와 ‘성지우성(誠之又誠)’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면이수지’는 부지런히 수도에 매진하여 소의 기운을 감득하고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인조화를 모색하며 생명파악에 집중한다. 아울러 해원상생에 의한 생명기화를 통해 정성에 또 정성을 들여 선천의 상극기운과 습관을 버리고, 도상은 이치를 감득하고 소를 탄 채로 피리를 부는 형상이다. 그리고 공공작용의 실화단계는 ‘도통진경(道通眞境)’과 ‘도지통명(道之通明)’의 상관연동으로 일상생활에서 도를 체화하는 단계이다. ‘도통진경’은 참된 도에 이름이며, 피리를 불며 흰 소를 타고 가는 동자의 도상에서 도를 체화하는 경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지통명’은 마침내 도가 밝아져 후천개벽 세상을 전개함을 의미한다. 흰 소를 따라간 동자는 신선이 되었다. 선녀들이 음악을 들려주고, 불로초가 피어 있고, 학들이 노니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모습이다. 인간은 지상신선 되고, 지상선경이 되어 인존구현의 생활실화로 드러나서 시공(時空)을 넘나드는 대자유인으로 결실을 맺는 형상이다. 대순사상 심우도는 동자가 소를 찾아 좁고 험한 산길을 지나가는 모습에서 출발하여 소의 뒷모습을 본 이후 앞으로 가야할 길이 험난한 줄 알면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도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부지런히 나아가는 근면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동자는 흰 소를 만나 친해지는 시기로 전환이 되면서 일상생활이 변모한다. 동자는 ‘흰 소(白牛)’를 상봉하며, ‘도지통명’의 생활실화를 통해 인존구현의 진여실상을 평상심으로 구현한다. 본 연구는 문헌학과 해석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분석으로 다양ㆍ다중ㆍ다층의 해석학으로 후천개벽의 생활실화에 접근하며, 후천개벽의 실천담론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대순사상 심우도의 미래전망은 생각이화ㆍ생명기화ㆍ생활실화의 삼차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ommunal action in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as an expression of future prospects. The Ox Seeking Pictures in Daesoon Thought seeks out renewal of thought, renewal of life, and true living. Here, the Ox Seeking Pictures symbolize a world in which good fortune comes true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the ox and the supporting teaching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prospects for achieving the renewal of thought. The correlation between Deep Contemplation Leading to Awakening and Finding and Following Heavenly Teachings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reason into a practice implemented in daily life. The correlation between a human being’s awareness and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s transformation into true living based on everyday practic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In this investigation, we can say that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symbolize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lives. No life should be destroyed or violated by another. Heaven, Earth, and Humanity can be changed and born anew. The visions of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 that this paradise in the world results from Daesoon principles. This provides a unique insight when compared to the bodhisattva ideal conveyed through the Ox Seeking Pictures of Mahayana Buddhism. Daesoon’s Ox Seeking Pictures consist of a three-way interlocking of renewal of thought, implementation in lif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The communal spirituality based in Daesoon Trut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nd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he renewal of thought through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a new life based upon the spirit of Mutual Beneficence. Third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this narrative picture shows the oxherd as searching for an ox which is the symbol of Daesoon Truth and Dao. Even though he catches the ox, he is still holds the rope to tie the ox to himself. He makes an effort to keep the ox steady. Finally, the oxherd’s enlightenment becomes the source of responsibility to help unenlightened people in their struggl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se paintings as the start of the Later World.

      • KCI등재

        심우도의 사실적 구현에 관한 연구 - 홍인의 심게(心偈) 작성 지시의 의도 -

        신지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61 No.-

        이 글은 심우도 속에 나타나 있는 설화적인 선의 구도과정을 현실적인 세계의 선수행의 진실적인 모습을 담기 위해서 혜능과 홍인의 사실감 있는 수행과 지도의 과정을 중국의 살아 숨쉬는 돈황문서들 중에 돈황본 『단경』에 입각해서 재구성하여 보았다. 심우도가 선종의 중요한 수행의 방침이지만 단지 이상적인 세계 속의 영상으로 존재하는 현실에 대해서 아쉬움을 느끼면서 본인이 전공한 선사상을 접목을 시켜서 심우도에 생명을 싣고자 하였다. 이 심우도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심우도 자체의 각각의 가치를 평하는 것은 너무나 큰 작업이었으므로, 심우도에 대해서 송을 지은 선사들의 귀중한 한시들을 참고로 하여서, 보명의 심우도의 쌍민의 10단계의 4구의 마지막 한자로써 모일 총자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사료들에 입각하여 혜능의 견성의 선사상과 모일 총자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고 본 논문은 가정하고 출발을 한다. 물론 여기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한시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깊이 있게 될 필요가 있지만 본 논문은 심우도의 전개과정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였다. 보명의 심우도에 대한 점수론적 평가들이 있지만 여기에 대한 논점은 본 논문에서 다루지 않는다.

      • KCI등재

        사찰벽화 심우도(尋牛圖)에 나타난 화엄사상의 현대적 의미

        임홍경 ( Im Hong Gung ),홍상욱 ( Hong Sang Ook )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5

        본 연구는 사찰벽화 尋牛圖에 나타난 화엄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여, 급변하는 시대에 무한경쟁과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우울 등을 경험하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해답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곧 다가올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尋牛圖는 소를 통하여 자신의 본성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10단계로 표현한 그림이다. 사찰벽화 심우도에 나타난 화엄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이 살필 수 있다. 첫째, 심우도에서는 자기 본성을‘소(牛)’에 비유하여 번뇌로 덮인 소를 길들이고 본래의 깨끗한 소로 회복해 가는 과정을 담고 있는데, 여기에서『華嚴經』의 佛性思想을 찾아볼 수 있다. 즉, 모든 사람은 佛性이 있고 佛身이 우주에 두루 충만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심우도에 나타난 불성사상을 통하여 현대인들이 명상과 자아성찰의 시간을 갖는다면 경쟁과 스트레스로 힘든 마음을 치유하고 인성회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심우도 각 단계별로 화엄의 法界緣起思想인 四法界緣起와 연결시킬 수 있다. 심우도에서 동자가 소를 찾아 나섰다가 다시 소를 타고 근원인 집으로 돌아온 뒤 결국 너와 나가 없이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는 구도는 화엄사상의 법계연기의 철학적 구조와 유사하다. 즉, 우주의 모든 사물은 그 어느 하나라도 홀로 일어나는 일이 없이, 끝없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서로가 서로의 원인이 되며, 대립을 초월하여 하나로 융합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르침은 갈등과 폭력, 개인주의가 팽배한 현 시대에 조화와 화합의 원융무애한 길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초연결 사회에서 회통과 공존의 연기적 관계의 지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화엄의 普賢行願思想은 심우도의 마지막 단계인 입전수수에서 포대화상이 저자에 나아가 이웃에게 손을 내미는 실천행으로 드러난다. 앞으로 세계인류가 전쟁이나 환경오염 등의 불안에서 벗어나 함께 공존하는 길은 자신의 공덕을 이웃에 돌리고 봉사하는 실천행에서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심우도는 대부분의 한국사찰 벽화에서 만나볼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심우도를 통하여 자기성찰과 치유를 얻고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발견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현대인들이 자신의 공덕을 이웃에게 베푸는 삶을 살아간다면 자신의 인성회복은 물론 인류와 환경생태계가 공존하는 연기적 관계 실현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Modern peopl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era are experienc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infinite competiti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e. In addition, we need to prepare for the future cal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e Hwaeom thought of Buddhism would be a good example to provide the answer. A place where modern people can easily find opportunities to find themselves is through temples and mural paintings of Simwoodo. One can get good wisdom to prepare for a future society through the meaning and harmony of Simwoodo. It is necessary to look at Shimwoodo and Hwaeom thoughts, Buddha statues, legal acting thoughts, and Bowon Haengsang thoughts. First, the Buddha statue was found in the cow of the cow, who was looking for her own cow. Simwoodo contains the process of taming and recovering a cow (nature) stained with anguish. The practice, based on Buddha-nature ideology, can expect to effect humanities recovery through the healing, meditation and self-reflection of modern people. Second, I linked the picture of the ten stages of Shim Woo-do with the 'Legal Justice Actress', a legal acting ideology. The Hwaeom acting ideology suggests a path of harmony and harmony in the present era of conflict, violence and individualism. We can find the wisdom of equal and smooth human relations without discrimination in the future 'super-connected' society, in which the heavy and heavy acting ideology that everyone i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falling into each other. Third, the idea of Bowon Haengwon is revealed as the practice of Bohyeon Haengwon in the final stage of Shim Woo-do. In the future, the way that humanity in the world coexists finds a clue to the answer in Bohyun's practice of sharing his merit with regeneration. Sim Woo-do is a painting that can be easily found in most Korean temple murals. People also have a shift in perception of reflecting on themselves through deepness. It is thought that if we recognize the original 'cow' in our lives and practice Bohyeon's practice, it will have a good influence on not only our recovery of personality and healing, but also the realization of true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핵심감정 극복과정에 대한 심우도(尋牛圖) 그리고 무아(無我)·연기(緣起)적 성찰

        이희백(Lee Hee-Back)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8 동서정신과학 Vol.21 No.1

        본 연구는 핵심감정 극복 과정을 심우도(尋牛圖)의 깨달음의 과정(10단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현대서양정신치료의 치료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단계인 7단계까지 본 연구자의 공부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핵심감정의 극복이라는 특정주제에 대하여 연구자의 성장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과 그 의미를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자기-내러티브 탐구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핵심감정의 극복은 서양 정신치료 방법으로 완전히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핵심감정의 극복을 위해 위빠사나 명상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핵심감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핵심감정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느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핵심감정 극복 과정에서 기존의 이론과 차이가 있었던 점은 핵심감정의 시작이 태아 시절부터 라는 점과 이를 완전히 치유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핵심감정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태아시기에 대한 치료 작업 뿐 만 아니라 태어난 이후, 삶의 과정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고착(fix) 되어 있는 시점의 감정들을 모두 이미지 하여 표현하고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공감적 작업을 하여야 완전히 해결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태아 때부터 시작하여 과거의 나(‘그때 그 아이’)의 이미지 형상을 내면에 띄어두고 작업하는 것이 치유과정에서 훨씬 효과적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핵심감정의 완전한 해결은 완전히 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순수한 마음과 자신의 내면 감정과 ‘그때 그 아이’를 정확히 만나고 공감하고 공감적 반응을 온 마음을 다해서 하는 정성, 그리고 ‘그때 그 아이’가 완전히 치유되었다는 확신이 떠오를 때 까지 끝까지 끈기 있게 해 나갈 때, 완전한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감정은 극복하였으나 핵심감정 공부와 심리학적 치료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 진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원래 이에 답하는 것이 핵심감정 공부의 목적이 아니다 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8단계부터는 핵심감정이라는 개념적 틀을 벗어나 존재의 근원에 대한 질문으로 방법론을 완전히 바꾸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참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과 에고(ego 개체 즉 이 몸과 마음이 나라는 착각)의 작용에 속지 않고 참나를 깨닫기 위해 “이것이 누구에게서 일어났는가?”를 전체성(절대, 참나, 진아, 본래성품, 무극)의 관점에서 질문하여 무아(無我)와 연기(緣起)의 진리를 체득하여야 ‘개체(個體)로서의 나’라는 착각으로 인해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존재적 불안과 고(苦)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8-10단계에 대한 저자의 체험은 다른 논문에서 밝히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and selfless(無我)`The Dependent Arising(緣起) theory reflection on overcome process of nuclear feeling. In this study, the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was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most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research`s own growth process on a specific topic of overcoming the nuclear fe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e have experienced that the overcoming of nuclear feelings has a limit to be completely solved by western psychotherapy metho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use the Vipassana meditation method together to overcoming of nuclear feel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nuclear feelings,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e what their nuclear feelings are. The researcher`s nuclear feelings overcorrection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y in that the biginning of the nuclear feelings was from the time of the birth of a child and it was an experience that could completely heal it. In addition to this, in order to complete the nuclear feeling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reat the fetal period, but also to empathize, empathize and comfort all the emotions that have been fixed since the birth. And I have found that starting from the birth of the fetus, and working on my image of the past is a much more effective approach in the healing process. The complete solution of the nuclear feelings is a pure heart that I must solve my problem completely, my own emotions, and then I meet with the child exactly, empathize and empathize with the wholehearted mind, and then the assurance that the child is completely healed I have experienced that complete resolution is possible when persevering until the end. Finally, I overcome the nuclear feelings, but I found that did`t answer the question Who am I? , What is the truth? . From the 8th step, the methodology must be completely changed in such a way as to leav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nuclear feelings and ask about the origin of existence. In order to realize the truth, we have to inquire and deeply inquire who this has happened to . Steps8 through 10 will be studied in other papers.

      • KCI등재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해결을 위한 불교 상담 -심우도(尋牛圖)를 중심으로-

        정미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4 불교문예연구 Vol.4 No.-

        학교현장에서는‘학교폭력’, ‘집단따돌림’, ‘학교부적응’등의 문 제가 이슈화되어 청소년들과 교사, 학부모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 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청소년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또래들로 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것이다. 특히 자신이‘왕따’라는 평을 듣거나 친구들에게 그렇게 인식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집단따돌림은 넓은 의미에서 학교폭력의 한 유형으로, 서구에서 정의하는 스쿨불 링(School bullying)과 일본의 이지메(Ijime)와 비슷한 개념이다. 따 돌림을 당하는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감이 부족하고 다른 사람의 태도와 말투의 이면에 숨은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며, 그 상황과 분위 기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친구들로부터 배척당하면서 집단따돌림 의 피해자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집단따돌림의 해결을 위해서 선(禪) 수행의 심우도(尋牛圖) 는 존재의 근원을 통찰하여 본 성품을 자각하게 하는 길잡이가 된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자신을 알아차리고 나아가 탈자동화를 거쳐서 자 기의 정체성을 찾아가게 하는 것은 청소년의 비행과 집단따돌림 현상 에서의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심우도는 누구나 알기 쉽게 문자나 언어의 설 명 없는 불립문자(不立文字)로 마음속으로 스며들게 하며, 참나를 찾 아가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10단계의 그림으로 나누어 깨달음을 찾아가게 하는 심우도는 청소년의 문제해결을 위한 자기치 유력(self-healing)을 높일 것이다. The problems of ‘School Violence’, ‘bullying’, ‘school maladjustment’etc, being issued In schools, the situation gives a lot of trouble to Youth, teachers, and parents. Nowadays, Youth are most afraid of getting Bullying from their peers. In particular, they are most afraid of listening to the assessment of ‘bullying’or being recognized as an outcast from the friends. Bullying is a type of school violence in the broad sense, and school bullying in the West and Ijime in Japan is similar in concept. Students suffer the bullying is generally a lack of confidence, nor to grasp the hidden information on the back of other people’s attitude and tone, as they do not realize the situation and atmosphere.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being excluded from the friends and become the victim of bullying. In order to address this bullying, Simwoodo of Zen practice become the guidance to be aware of their own nature by insight into the origin of the existence. And to notice their own and usher to find their identity through the deautomatization further to Young people would give implications to victims and perpetrators for both in misconduct and bullying phenomenon of youth. In this context, Simwoodo is an easy-to-understand anyone, does not depend on the written word without description of languages or character, instill in one’s heart, it is represented in painting the process of finding. Simwoodo divided into 10 steps picture to advancing towards the enlightenment will increase the self-healing to solve the problems of youth.

      • 심우도와 고통의 패러다임

        원혜영 ( Haeyoung W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5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1 No.3

        이 논문은 초기불교에서 언급하고 있는 사성제와 심우도를 통해 자아를 찾고자 하는 맥락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심우도는 언어적인 설명과 분석이 필요없는 선종 계통의 그림이며, 마음을 관통하려고 직접적인 접근은 몇 개의 시구와 함께 대중화되었다. 초기불교에서 논의하고 있는 고통의 패러다임은 사실상 자아에 관한 획기적인 관점을 종전의 인도 전통에서 벗어나게 한 것으로, 그것은 무아(無我)를 직접적으로 거론하고 있지 않더라고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한다. 십우도가 가지고 있는 ‘자아 찾기’도 이런 점에서 무아를 떠올리게 한다.사성제의 핵심이 고통의 해결에 있듯이, 심우도에서 검은 소를 길들임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지만, 자아가 지니고 있는 고통을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핵심을 가졌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우리가 자아를 신비적으로 보는 관점은 사실상 그것이 애매하고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초기불교에서 고통을 치유하고 해결하는 방편으로 자아에 대한 집착과 떠남은 선(禪)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자아라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 탐색 가능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대중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는 초기불교의 교리보다 어쩌면 심우도의 그림이 더 효과적일 수 있겠다. 자아를 찾으면서 그 근원에 자리 잡은 고통의 패러다임도 상당히 시적이고 심오한 깨달음으로 이끈다. 독특한 배경이 그것을 소요하고 있음을 함께 발견하게 한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aradigm from Pain through the Picture of Sim Woo do and to reconstruct the suffering in the early Buddhist. This Picture of Sim Woo Do would be the very concept of Zen rather than the need of explanation that is explanation that is expository and analytical with letters and languages it emphasizes on direct approach of mind penetration with Buddhist revelation. The composition of a pictures was formed to parallel type of reiteration space with was not flat in addition to ascetic process of Sim Woo Do.So I argue that the Picture of Sim Woo Do is very useful for the self, and that through this paper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t one``s self and add abundance of life by finding ref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