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우도(尋牛圖)의 일원상(一圓相) - 추상성(抽象性)과 메타포(Metaphor)로서의 일원상(一圓相) - = The One Round Circle of The Ten Ox Herding Pictures- The One Round Circle as Abstractness and Metapho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2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一圓相) of the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 as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 Ten Ox Herding Pictures is the process of Seeing One's Nature an...

      The 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一圓相) of the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 as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 Ten Ox Herding Pictures is the process of Seeing One's Nature and Becoming Buddha(見性成佛). In the process of practice, the practitioner seeks the gate of the Prajñā that is the gate of the enlightenment. This gate of the Prajñā is expressed in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the step of appearing of The One Round Circle, the Ox is disappeared into the shape of the gate of the Prajñā. The Buddha-Nature of Ox is changed into the light of the Prajñā with the image of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expresses enlightenment. The One Round Circle in the Eastern Asian Seon Culture is the typical symbol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is clear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en step in Ox Herding Pictures. The world of Prajñā(般若) is outside of letter. The world of Prajñā is the world of Seon. In the world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has the function of enlightenment and Prajñā as the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re are many research and paper in the field of Ox Herding Picture. There is, however, no research to investigate to connect the idea of Seon and meaning of image about the One Round Circle in view point of the Ox Herding Picture. The More studies about One Round Circle to lead image and symbol in this societies is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닌 추상성과 메타포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 글이다. 심우도는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의 과정을 추상적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화의 일원...

      이 글은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닌 추상성과 메타포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 글이다. 심우도는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의 과정을 추상적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화의 일원상은 선의 대표적 상징체이다. 일원상이 지니는 상징성의 의미는 심우도의 전개과정 속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문자를 벗어난 반야의 세계를 선화로 그리는 선의 세계에서 일원상이 지니는 의미는 깨달음과 반야의 의미로서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하고 있다. 십(十)은 완성을 의미하며 일원상의 완결성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심우도가 추상성이면, 일원상은 추상성의 완성이다. 심우도에서 깨달음의 완성은 일원상으로 표현된다. 선종 수행의 목적은 견성성불이다. 심우도에서 일원상은 불성을 통해 반야 지혜가 드러났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심우도는 2가지이다. 하나는 곽암의 십우도, 다른 하나는 보명의 목우도이다. 어려운 선의 깨달음의 세계를 추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공통성과 추상성에 불성과 반야의 세계를 담은 것이 일원상이다. 이 글에서 일원상에 내재된 이미지의 무한한 가능성과 긍정성, 깨달음의 세계에 대한 본질적인 측면과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니는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원상이 제시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소연, "靈駕薦度의 도상해석 ‘碧蓮臺와 圓相’ -조선후기 甘露圖과 極樂九品圖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73) : 341-382, 2015

      2 최호영, "프랙탈 기하학의 원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5) : 195-206, 2017

      3 서주석, "치유와 구도의 시학으로서 「십우도」" 한국사상문화학회 (79) : 483-507, 2015

      4 허진운, "중국고대사회" 동문선 1991

      5 김춘일,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1996

      6 백련선서간행회, "임간록下" 장경각 1989

      7 남호현, "우주론적 의미의 서양 원형계 건축공간 분석" 순천대학교 17 : 1998

      8 김말환, "십우도의 수행과 자아실현" 대각사상연구원 5 : 2002

      9 신명희,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4) : 41-66, 2018

      10 요코야마 고이츠, "십우도․마침내 나를 얻다" 들녘 2001

      1 강소연, "靈駕薦度의 도상해석 ‘碧蓮臺와 圓相’ -조선후기 甘露圖과 極樂九品圖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73) : 341-382, 2015

      2 최호영, "프랙탈 기하학의 원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5) : 195-206, 2017

      3 서주석, "치유와 구도의 시학으로서 「십우도」" 한국사상문화학회 (79) : 483-507, 2015

      4 허진운, "중국고대사회" 동문선 1991

      5 김춘일,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1996

      6 백련선서간행회, "임간록下" 장경각 1989

      7 남호현, "우주론적 의미의 서양 원형계 건축공간 분석" 순천대학교 17 : 1998

      8 김말환, "십우도의 수행과 자아실현" 대각사상연구원 5 : 2002

      9 신명희,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4) : 41-66, 2018

      10 요코야마 고이츠, "십우도․마침내 나를 얻다" 들녘 2001

      11 강소연, "십우도’와 함께 가는 인생의 단계들-곽암의 십우도송, 보명의심우도송" 한국불교사연구소 21․ 22 : 2010

      12 장순용, "십우도-나를 찾아가는 여행" 세계사 2000

      13 정성본, "선의 역사와 사상" 불교시대사 1999

      14 야나기다 세이잔, "선의 사상과 역사" 민족사 1992

      15 오용석, "선불교의 수행·깨달음에 나타난 비선형적 특징에 대한 고찰- 곽암의 십우도(十牛圖)와 숭산행원의 선원(禪圓)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50) : 179-209, 2018

      16 한기두, "선과 무시선의 연구" 원광대출판부 1985

      17 박쌍주, "선가 ≪십우도≫의 교육적 의미 분석" 한국교육철학회 14 : 2015

      18 오키모토 가쓰미, "새롭게 쓴 선종사" 불교시대사 1993

      19 한방임, "북송시대 화론서 선화화보(宣和畵譜)와 그 화론적 경향" 호남사학회 (30) : 213-238, 2007

      20 김호귀, "백파긍선 『선문오종강요사기』의 潙仰宗 및 法眼宗 敎義 고찰" 대각사상연구원 (24) : 335-359, 2015

      21 오용석, "명상과 사회의 관계성에 대한 禪的 고찰 - 곽암선사의 『십우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3) : 459-486, 2015

      22 "만속장경"

      23 정유진, "돈황본 육조단경 연구" 경서원 2011

      24 정유진, "돈오입도요문론" 경서원 2007

      25 "대정신수대장경"

      26 신명희, "깨달음과 교화에 관한 小考 ‒ 十牛圖의 入纏垂手 사상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80) : 155-187, 2016

      27 강문선, "곽암의 십우도에 나타난 선사상" 국불교학회 26 : 2000

      28 "고려대장경"

      29 "龍樹菩薩傳 第1卷(T50)"

      30 "馬祖道一禪師廣錄(四家語錄 卷一) 第1卷(X69)"

      31 "遺敎經(K13)"

      32 "般若波羅蜜多心經 第1卷 (T8)"

      33 韓國文化財官理, "第6圖, 石窟庵修理工事報告書" 韓國文化財官理局 1967

      34 장순용, "禪이란 무엇인가 : 十牛圖의 사상" 세계사 1992

      35 조수동, "禪수행의 치료적 함의" 새한철학회 1 (1): 379-402, 2007

      36 김미선, "禪家의 尋牛詩 世界" 한국사상문화학회 (81) : 7-30, 2016

      37 趙洙貞, "禪宗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 十牛圖를 중심으로"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4

      38 "碧巖錄(T48)"

      39 정성본, "碧巖錄" 한국선문화연구원 2006

      40 "無門關(T48)"

      41 宋昌壽, "潙仰宗의 成立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5

      42 "涅槃經(T12)"

      43 鄭午昌, "正版中国画学全史" 上海古籍出版社 2001

      44 "景德傳燈錄(T51)"

      45 "敦煌本六祖壇經(T48)"

      46 남계원, "尋牛圖의 禪思想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2015

      47 "宗寶本 壇經(T48)"

      48 장완석, "宋代 『宣和畵譜』를 통해 본 畵論美學" 한국철학사연구회 (25) : 381-410, 2009

      49 李學勤, "字源" 天津古籍出版社 2013

      50 "妙法蓮華經(T9)"

      51 "大般涅槃經 「迦葉菩薩品」(T12)"

      52 "大乘起信論(T32)"

      53 "增一阿含經(T2)"

      54 李圃, "古文字詁林" 上海教育出版社 2004

      55 金南喜, "十牛圖 연구 : 廓庵十牛圖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6

      56 정인보, "十字00" 연세대학교출판부 1983

      57 "信心銘(T48)"

      58 혜원, "信心銘 3"

      59 "佛弟子覺因錢唐 胡文煥 著 十牛圖頌 第1卷 「新刻禪宗十牛圖」(X64)"

      60 전관수, "佛國寺創建說話 硏究" 국학연구원 (151) : 147-182, 2010

      61 "人天眼目(T48)"

      62 一然, "三國遺事" 孝善第九 1281

      63 柳炳德, "一圓相 眞理의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1975

      64 이점숙, "『분양송고』에 관한 一考" 한국선학회 (21) : 47-80, 2008

      65 장재진, "『법화경』에 나타난 ‘공간⋅장소⋅방위’와 정토세계" 한국불교학회 (71) : 289-318, 2014

      66 김호귀, "『단하자순송고』 및 『허당집』의 구조와 그 특징 고찰" 한국선학회 (47) : 99-129, 2017

      67 이정미, "『宣和書譜』에 담긴 人物論 探究(1) -각 시대 및 6書 분류에 의한 대표적 서예가들을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85) : 37-70, 2013

      68 김혜경, "‘十’字에 관하여 - 十干의 ‘十’에 주목하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7-34, 2010

      69 H. Saddhatissa, "The Sutta-Nipata: A New Translation from the Pali Canon" Routledge 2013

      70 John C. Huntington, "The Circle of Bliss: Buddhist Meditational Art" Serindia Pubns 2003

      71 "Sutta Nipata"

      72 "Samyutta Nikaya"

      73 Croom, Fred H, "Principles of Topolog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89

      74 Rainer Herges, "Naturwissenschaftliche" Rundschau 2004

      75 "Metaphor"

      76 Williams, Paul,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2009

      77 Bonahon, Francis, "Low-dimensional geometry: from Euclidean surfaces to hyperbolic knots" AMS Bookstore 2009

      78 "Khuddaka Nikaya"

      79 Euclid, "Euclid books I, II" Macmillanin 1883

      80 Richard Fitzpatrick, "EUCLID'S ELEMENTS OF GEOMETRY"

      81 David E. Aune, "Circle" 3 : 2005

      82 Wen Yuan-Ning, "Chinese Painting" Ⅸ (Ⅸ): 1935

      83 Lewis, Mark Edward, "China’s Cosmopolitan Empire: The Tang Dynas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84 Williams, Paul, "Buddhist Thought" Routledge 2000

      85 "Brahmanadhammika Sutta 13.24, Sn, KN"

      86 "Anguttara Nikaya"

      87 J.E. Cirlot, "A Dictionary of Symbolism" Philosophical Library) 1971

      88 강소연, "<십우도>(2)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 한국불교사연구소 46 : 2016

      89 강소연, "<십우도> 소 찾는 아이”는 누구인가" 한국불교사연구소 45 : 2015

      90 고명석, "19편 대혜선사의 발원, 고명석의 발원문 세계"

      91 조병활, "13.부처님의 발자국(佛足跡)"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