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교육프로그램에서 교육생들이 인식한 학습실제성이 성취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김선화,김민정,이지은 한국기업교육학회 2009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ng power of learning authenticity on achievement and transfer of learning in the context of the corporate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fty learners who took the new employee training course from the learning center of L company. Learning authenticity was classified into four elements named authenticity of activities, authenticity of tasks, authenticity of resources, and authenticity of evaluation. Achievement was also divided into two elements, comprehension and behavior/skill demonstration. Learning achievement was measure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while learning authenticity and transfer of learning were measured at three and six months later after this training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authenticity was a predictor of achievement in the corporate training program, and significantly, authenticity of tasks predicted achievement of behavior/skill demonstration positively and authenticity of activities predicted the same variable negatively. Second, learning authenticity predicted transfer of learning positively, and especially, authenticity of tasks and authenticity of evaluation were two elements to affect on the learning transfer. Finally,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learning authenticity, therefore, achievement didn't mediate learning authenticity and transfer of learning. The findings imply that learning authenticity should be improved so that learners can transfer knowledge and skills from the training program into real work situations. 본 연구는 기업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육생이 인식한 학습실제성이 성취도와 학습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L그룹에서 실시된 2주간의 신입사원 교육에 참가한 50명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실제성은 활동의 실제성, 과제의 실제성, 자원의 실제성, 평가의 실제성으로, 성취도는 이해와 수행성취도로 나뉘어 측정되었고, 학습전이는 학습종료 6개월 후에 설문조사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학습실제성은 이해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반면, 수행성취도는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위 변인인 과제의 실제성은 수행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활동의 실제성은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습실제성은 학습전이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인 과제의 실제성과 평가의 실제성은 학습전이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성취도는 학습전이를 예측하지 못하고, 학습실제성과 학습전이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도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학습전이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제성, 특히 과제와 평가의 실제성이 높은 학습설계가 필요하며, 성취도를 학습전이로 이끌기 위한 의미 있는 측정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후보

        실제 언어 생활 중심 문법 탐구 학습

        하연실 ( Yeon Shil Ha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1

        이 논문은 최근의 문법교육과 학습자 사이의 괴리에 대한 문제가 문법 교육이 학습자와의 소통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그 해결 방안으로 실제 언어 생활 문법 중심의 탐구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문법 교육이 작은 문법 학자를 키워내는 것에 다름 아니라는 비판 이후, 문법 교육에서는 탐구학습모형에 입각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이 논문은 학습의 주체는 학습자라는 전제 아래, 학습자가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는 실제 언어 생활문법을 대상으로 탐구 학습을 하는 것이 문법 수업 현장의 소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습자가 삶의 주체로서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학습자와 소통되지 않는 문법 교육 현실에 대해 언급하고, 학습자와 소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실제 언어 생활 문법 중심 탐구 학습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언어 생활 탐구학습을 위한 원리를 제시하고, 교수자가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제 언어 생활 문법중심 탐구 학습의 예를 구안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제 언어 생활 문법 중심 탐구 학습을 적용했을 경우, 학습 주체와 학습 과정 면에서 기대되는 효과에 대해 약술하였다. 이 논문은 문법교육에서 탐구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실제언어 생활 문법 중심의 탐구학습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의 문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은 아쉽지만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모색하도록 남기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the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in order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learner and Korean grammar education caused by the lack of communications between them. Since Korean grammar education was criticized because it produces unrealistic grammarians,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learner-based inquiry study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by the community related to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his paper, it is asserted that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learner-based inquiry study can be a solution of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Moreover, it is thought that learners can achieve the subjecthood in Korean grammar eduction through it. First, the reality of Korean grammar education which didn`t communicate with learners was mentioned, and the necessity of the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was asserted. Also, preceding researche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based on inquiry study were investigated. Next, the draft for teaching materials which active teachers could use in order to realize the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were proposed. When the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education was applied, the expected effects on the subject and the procedure of the education were describe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the importance of inquiry study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s confirmed and the necessity of the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is presented. I am inconvenienced that contents and method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are insufficient. I will try to study it as the next research projec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른 실제적 과학탐구의 진화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 분석

        이준복,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This study examined what, how, and wh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by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elected 50 6th grade students of Seoul G elementary school are tested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fter being taught about structured and opened processes of scientific inquiry, the students's responses were analyzed what and why they prefer the elements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pplying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and evaluating elements of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and evaluating elements.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check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evaluating, and furthering elements.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fulfillment value, behavioral control, elaboration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ll of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선정된 서울시 G 초등학교 6학년 50명을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검사하였다. 학생들은 구조화된과학 탐구와 개방된 실제적 과학 탐구 과정에 대해 배우고 난 후, 학생들은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활용한 실제적 과학 탐구의 진화적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실제적 과학 탐구의 다양화와 평가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목표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행동조절의 정교화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더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목표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정교화, 점검 변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실제적 과학적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의 목표 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성취가치, 행동통제, 행동통제, 정교화 변인들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은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보다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KCI등재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 지향성 및 학습전략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정환 ( Jeong Hwa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 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지향성 및 학습전략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틀 요인들과 학업 성취도간에 어떠한 구조적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각 각 10문항씩 총 50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을 통해서 교수능력과 효능감은 각 6문항씩,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은 각 5문항씩, 실제지능은 4문항으로 구성된 최종적인 특성 검사를 제작해서 실시하였다.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및 실제지능 등의 외생변수와 두 매개변수(성취목표 지향성 및 학습전략) 및 학업 성취도(국어와 과학 및 영어 성적)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자가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 효능감, 실제지능, 학습전략 및 성취목표지 향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각각 .19, .25, .30, .17과 .45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수능력이 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실제지능과 결합하여, 성취도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12이며, 효능감이 학습전략, 실제지능 및 목표지향성 등과 결합하여 성취도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52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 효능감, 실제지능, 학습전략, 및 성취목표지향성 등이 성취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각 각 .31, .77, .58, .17 및 .49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에서 각 교과의 교수-학습을 수행할 때 교과의 특성을 활성화 하되, 학습자의 효능감, 실제지능 및 성취목표지향성 및 학습전략 등의 역학적인 상호작용 구조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업 성취도의 향상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ix factors, name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practica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of primary schools. For this research, a test instrument composed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and practical intelligence was constructed, validated and used for analyzing research problems. After performing factor analysis, 26 item-test was decided and used. Also, achievement test scores of Korean Language, natural science and English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s` academic achievement was influenced directly by achievement-goal orientation(.45), practical intelligence(.30),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19), learning strategy (.17) and self-efficacy(.25). Second,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 practic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and indirectly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interacting with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y. Third, total effect of self-efficacy(.77), practical intelligence(.58),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45),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29) and learning strategy(.l7)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somewhat high. Accordingly, instructional program focusing on enhancing self-efficacy, practic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improve primary school pupils` learning competency.

      • KCI등재

        실제적 맥락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 탐구 학습이 학습자 질문 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석훈(Seok Hun Jeong),한예진(Yejin Han),모윤하(Yunha Mo),손미현(Mi Hyun Son),정대홍(Dae Hong Jeong),조영환(Young Hoan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과학 분야에서 학습자의 질문은 과학적 탐구 과정을 시작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내용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불러 일으켜 학습자가 높은 인지적 성취를 이루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가 스스로 질문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질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적 맥락을 적용한 탐구 학습이 학습자의 질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적 맥락을 적용한 탐구 학습을 실시한 처치 집단을 실제적 맥락이 제공되지 않는 전통적인 방식의 탐구 학습을 실시한 통제 집단과 비교하였다. 두 집단에서 사전 질문과 사후 질문을 수집하고 신 Bloom 분류 체계를 수정하여 만든 질문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질문 수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의 질문 중 상당수가 개념적 지식에 관한 것이었고 인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실제적 맥락을 적용한 탐구 학습을 수행한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질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제기하였다. 이는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사실적인 실제적 맥락이 주어지면 학습자는 학습 내용을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관련 짓고 능동적으로 탐구 학습에 참여하게 되며, 그 결과로 깊은 수준의 이해와 고차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질문을 제기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과학 교과의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실제적 맥락을 이용하여 교수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In the field of science, learners’ ques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arting scientific inquiry, and they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achieving high cognitive achievements by encouraging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contents. However, most learners have difficulty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own questions, so learning support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ir questioning skills in a systematic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inquiry learning in authentic contexts on the level of learners’ questions in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cla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treatment group that conducted science inquiry learning in authentic contexts with the control group that did without authentic contexts. Pre- and post-questions were collected from the two groups and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question analysis framework modified from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change of questioning levels was compared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tended to ask questions about concepts, which required lower level thinking. Nevertheless, the treatment group posed higher level question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questions. When a familiar and authentic context was given to learners, they might actively engage in science inquiry learning through connecting it with their personal experiences, which led to a deeper understanding and higher level questions. Therefore, more research and supports are neede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various authentic contexts and to use them for teaching diverse topics in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실제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사례기반 심리스러닝

        조해리 ( Hae Ree Cho ),조영환 ( Young Hoan Cho ),김미화 ( Mi Hwa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실제적인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 안과 밖의 경험을 서로 연결해주는 심리스러닝(seamless learning)이 필요하다. 그리고 심리스러닝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사례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가 스스로 사례를 만듦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의미 있게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으며, 교수자로부터 제공받은 사례를 통해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을 활용하여 어떻게 실제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서 학습자가 학교 안에서 배운 내용을 학교 밖의 실제적인 맥락에 적용하여 사례를 만들고 공유하는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을 3주 동안 실행하고,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의 장점과 제한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함께 학습자가 만든 사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이 학습 흥미와 실제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사례 개발과 동료평가의 어려움을 제한점으로 인식하였고,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습자가 만든 사례는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였고, 학교 밖의 실제적인 경험과 학교 안에서 학습한 이론을 반영하였다. 몇몇 사례는 학습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해결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이 실제적인 학습으로서 대학의 교수 및 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Seamless learning is necessary to enhance authentic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connecting school education with authentic experience out of school. In seamless learning, cases can be effectively used to help students to make a sense of their experience and share it with other students through student-constructed cases and to understand how to find and solve an authentic problem on the basis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school through teacher-provided ca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ase-based seamless learning (CBSL) in which students create and share cases through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school to authentic contexts out of school, using digital technologies.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carried out CBSL for three weeks as part of their coursework.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CBSL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constructed cases. Students perceived that CBSL had contributed to their learning interest, the improvement of authentic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 change of beliefs about learning. As limitations of CBSL, students pointed out difficulties in case construction and peer assessment as well as the lack of instructional support on individual differences. Student-constructed cases included a variety of topics that integrate theories learned in school with real-world experiences out of school. A few cases showed creative solutions to problems that students encountered in their everyday lifes. This study implies that CBSL as an authentic learning activity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실제성과 학습성과 사이에서의 과제가치 매개효과

        강명희(Kang, Myunghee),허보라(Heo, Bora),임현진(Lim, Hyunji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성공적인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영향을 주는 핵심변인들과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세 가지를 학습성과로 보았으며, 학습자가 지각하는 과제실제성과 과제가치는 성과를 예측하는 핵심변인으로 상정하였고, 이 중 과제가치는 학습과정 중 학습자의 동기를 높여 과제실제성이 학습성과를 예측할 때에 매개변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중점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A 대학교에서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된 수업의 수강생 41명이었고,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과제 실제성과 과제가치는 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과제가치는 과제실제성과 학습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결과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실제성과 학습자가 지각하는 과제가치가 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으로 구성된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고, 나아가 지각된 과제가치의 매개역할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학습과제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고, 나아가 주어진 과제가 학습자들에게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지를 학습과정 중 지속적으로 상기시켜 줄 수 있는 수업운영 전략개발과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factors of learning outcomes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WPL). Task authenticity and task value were selected as variable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in WPL. In particular, since task value enhances learners’ motiva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task value was hypothesized to act as a mediator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ing outcomes.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learners’ level of flow,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ask value significantly mediated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dependent variables: flow,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se indicated that both task authenticity and task value are crucial for the success of WPL. Future directions for WPL design point toward overcoming practical challenges and exploring ways to promote learners" task valu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경험적 조직학습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창길,임상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9

        본 연구는 현재 반복되고 있는 재난은 이론과 실제적인 측면의 경험적 학습이 관리정책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정부의 재난관련 지식정보와 경험이 실제로 위기해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과거 10여년의 주요 학술연구를 종합·분석하고, 대표적 재난의 증감률을 중심으로 경험의 영향을 유추하여 탐색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경험적 조직학습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모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지식을 쌓고 적용하는 이론적 경험과 재난피해의 증감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 실제적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식축적, 실제적 체험에 의한 경험적 조직학습 모두 인상적인 영향을 주거나 인과성을 찾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재난피해 노력이 나타나지 않고, 반복적 문제점이 나타나는 바 조직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학습이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또한 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장중심의 재난관리체계 운영, 재난예산 활용과 예방적 연구활동 역량 강화, 통합운영시스템 구축과 현장관리 전문성 강화, 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관리계획 구축과 운영 등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또한, 시민과 함께하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역량강화에도 조직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address a concern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of the local governments from a series of disasters have not been reflected into their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for the past 10 years and explored a trend of the changes in typical types of disasters such as fire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The data analysis did not support the roles of accumulated knowledge or experiences as a determinant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an importance of operating the on-scene disaster management, facilitating research activities on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improving the on-scene professionalism, developing the disaster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 local contexts, and involving the public into local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and capacity building.

      • KCI등재

        학습경험에서의‘실제 삶의 맥락과의 연관성’문제에 대한 일고: 상황학습론의 해석

        송슬기,손민호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5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에서 중요시하는 전이에 대한 논의와 전이를 가능케 하는 조건으로서 ‘학습자 삶의 실제 맥락과의 연관성’에 관한 한 가지 해석으로 상황학습론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상황학습론은 그간 간과되었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학습의 상황성을 기초로 하여 교수학습 설계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는 상황학습론에서 도출된 결과들이 2022 교육과정에서 이야기하는‘삶과 연계된 학습’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 주리라 기대하였다. 연구에서는 상황학습 이론 및 상황학습의 학습 디자인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문제 그 자체의 유사성이 아닌, 학습자가 문제 상황들 간의‘연관성’을 발견하는 과정, 바깥 세계의 맥락과 자기 맥락의 간극을 좁혀나가려는 탐구 과정 속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지식의 재구조화를 통해 실제적 맥락에서의 탐구가 가능해진다고 제시하였다. 상황학습론의 연구결과들을 고려했을 때 전이를 위한 교육, 삶과 연계된 교육이란 반드시 실제 맥락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를 넘어 학습자에게 자기 탐구가 가능한 맥락을 설계해주는 교육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상황학습론에 대한 해석을 넘어, 실제성을 마련해가기 위한 교육현장에서의 교수학습 디자인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실제적 지능 촉진 교수-학습법이 학업성취와 영어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정환(Jeong Hwan Kim),김윤숙(Yun sook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방법이 분석적 능력이 뛰어난 학생에게 유리하다는 믿음에서 제기된 Sternberg, Ferrari, Clinkenbeard, & Gringorenko(1996, 1999)의 연구는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방법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때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오랫동안 지속된 학업실패로 인해 학습에 관심이 적은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고 전통적인 지능 개념보다 더 포괄적으로 학생들의 능력을 나타내는 실제적 지능을 지도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2000)의 실제적 사고를 방해하는 요소와 더불어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실제적지능 구성요소 중에서 학습전략, 자기 및 타인 이해 능력, 대인관계 능력, 긍정적인 자기개념, 성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 지능 촉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학업성취와 영어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학습집단 구성방식에서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의 효과를 비교했으며 협동학습 집단 중 2명으로 구성된 실험반과 4명으로 구성된 실험반의 결과와 실험과정에서 발생하는 역동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한 실험결과에서 어휘력은 사전검사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p>.05), 사후검사와 지연검사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드러냈다(p<.001). 기말고사 성적 또한 실험집단 모두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영어 불안에 대한 사전검사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다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즉 실제적 지능 촉진 교수-학습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습집단 구성방식에서는 협동학습이 개별학습보다 더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onventional education in school strongly tended to favor students with memory and analytical strength. To help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trai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ach students stumbling blocks practical thinking and programs to help practical thinking. Based on prior studies, this study decided five practical intelligence components ;learning strategy, the ability to understand self and others, positive self-conception, relationship, integ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vocabulary test scor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ost testing(p<.001), and delayed testing(p<.001); Experimental groups" scores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s scores in both post and delayed tests. But there was on significant difference of English Anxiety test scor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both post and delayed tests.<BR>  The effects of teaching for practical thinking were more effective cooperative group learning than individual study. And the group 2 on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nglish anxiety, and group 1, 2, 3 al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hievement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