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의 조형적 표현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해리(Cho, Hae-R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9 미술문화연구 Vol.15 No.15

        본 논문은 국악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본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하는 작품 창작연구이다. 국악을 조형화(造形化)하는 본인 작품의 의미를 미술과 음악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기(國樂器)와 국악곡(國樂曲)을 조형화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표현법은 동양화의 선(線)과 색채(色彩)를 통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국악을 동양화를 통해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본인 작업의 의의를 밝히고자 목표하였으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미술과 음악은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친밀한 예술 장르이다. 본 연구자는 미술과 음악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국악을 조형화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초반에는 악기나 연주자 등 국악을 상징하는 외형적인 모습을 그렸다. 나아가 악기를 만드는 원재료를 탐구하고, 악기의 느낌을 추상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악기소리를 자연으로 상징하여 산수화를 그려보았다. 국악기를 조형적으로 표현하던 작업을 바탕으로 그 악기들이 연주하는 국악 기악합주곡 ‘유초신지곡(柳初之曲)’을 조형적으로 표현해보았다. 이를 위해 국악의 선율구조인 ‘이음성(異音性, heterophony)’과 음(音)을 어떻게 채색(彩)으로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다양한 개별 선율들이 다원적인 조화를 이루는 것을 채색의 중첩을 통해 회화로 표현하였다. 동양화에서 선묘(線描)는 가장 중요한 조형요소 중에 하나로, 본인의 작품에서도 필묵(筆墨)을 운용해서 생각을 드러냈다. 본인의 작품에 사용된 색채는 음악을 상징하며, 동양화의 기본 설채법(設彩法)을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표현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미술과 음악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하며, 국악을 동양화를 통해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대상인 음악을 한정적인 회화 화면에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본인의 연구 및 작품창작은 융합적인 가치가 중시되는 현대사회에 필요하며, 그 중요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탐구를 이어가고자 한다. 이것이 현대 동양미술의 지평을 넓히고, 창의적인 조형감각을 일깨우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uthor’s artworks that show the formative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國樂). The autho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usic, which is the background of forming(造形化) the artwork. Based on the relationship, this paper will illustrate and analyze author’s own artwork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國樂器) and musical song(國樂曲). In detail, the colors(色彩) and lines(線) of Oriental painting are important elements for visualizing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This thesis reveals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author’s artwork and suggests the potential for a future development. Art and music are intimate art genre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author has continuously researched the way to forming Gugak visuall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usic. In the beginning, the author painted an symbolic outward appearance of Gugak, such as musical instruments and performers. Furthermore, she explored the original materials, of which instruments are made up, and expressed an abstract feeling of instruments, and painted a symbolic landscape painting as if the sound of instruments is a nature itself. In addition to serial artworks of musical instruments and performance, the Gugak music, called ‘EuChoSinJiGok(柳初之曲)’was also visualized in a formative manner. This work was created based on the study of the melody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alled ‘Heterophony’ and instrumental ensemble. The melody structure of Gugak, heterophony, was studied in terms of color and its various melodies were expressed in painting through a multicolored overlay. In Oriental painting, drawing line(線描)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ming elements. By focusing on the basic color(設彩法) of Oriental painting, the author revealed his thoughts through the use of brush and black ink(筆墨) in work. Aside from black ink, the colors represent music. The researcher"s work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usic, and visualize Gugak in a formative manner through Oriental painting. It is a study of how music, a subject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can be visualized on a limited conversation screen. This research and creation is necessary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convergence is highly valued. By continuing this research, the author intends to broaden the spectrum of modern Oriental painting and awake the creative sense of visualization.

      • KCI등재

        실제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사례기반 심리스러닝

        조해리 ( Hae Ree Cho ),영환 ( Young Hoan Cho ),김미화 ( Mi Hwa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실제적인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 안과 밖의 경험을 서로 연결해주는 심리스러닝(seamless learning)이 필요하다. 그리고 심리스러닝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사례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가 스스로 사례를 만듦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의미 있게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으며, 교수자로부터 제공받은 사례를 통해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을 활용하여 어떻게 실제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서 학습자가 학교 안에서 배운 내용을 학교 밖의 실제적인 맥락에 적용하여 사례를 만들고 공유하는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을 3주 동안 실행하고,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의 장점과 제한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함께 학습자가 만든 사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이 학습 흥미와 실제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사례 개발과 동료평가의 어려움을 제한점으로 인식하였고,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습자가 만든 사례는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였고, 학교 밖의 실제적인 경험과 학교 안에서 학습한 이론을 반영하였다. 몇몇 사례는 학습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해결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례기반 심리스러닝이 실제적인 학습으로서 대학의 교수 및 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Seamless learning is necessary to enhance authentic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connecting school education with authentic experience out of school. In seamless learning, cases can be effectively used to help students to make a sense of their experience and share it with other students through student-constructed cases and to understand how to find and solve an authentic problem on the basis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school through teacher-provided ca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ase-based seamless learning (CBSL) in which students create and share cases through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school to authentic contexts out of school, using digital technologies.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carried out CBSL for three weeks as part of their coursework.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CBSL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constructed cases. Students perceived that CBSL had contributed to their learning interest, the improvement of authentic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 change of beliefs about learning. As limitations of CBSL, students pointed out difficulties in case construction and peer assessment as well as the lack of instructional support on individual differences. Student-constructed cases included a variety of topics that integrate theories learned in school with real-world experiences out of school. A few cases showed creative solutions to problems that students encountered in their everyday lifes. This study implies that CBSL as an authentic learning activity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과학담화에서 과학자와 중학생의 제스처 비교-분자운동과 물질의 상태변화를 중심으로-

        김지현 ( Ji Hyeon Kim ),조해리 ( Hae Ree Cho ),영환 ( Young Hoan Cho ),정대홍 ( Dae Hong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과학 담화에 동반되는 제스처는 정신 모형의 구성과 모델에 기반한 추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제스처는 학생의 내면에 기저한 정신모형을 유추하는 근거인 동시에 학생의 불완전한 과학적인 사고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 교육의 맥락에서 제스처의 역할을 탐색해보고자 과학적 담화에서 제스처의 특징을 살펴보고 과학자와 중학생의 제스처를 비교하였다. 각각 10명의 과학자와 중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일대일 면담에서는 ‘분자운동과 상태 변화’에 관한 세 가지 면담과제가 제시되었고 면담은 반구조화된 clinical interview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과학자와 중학생의 제스처는 모두 비디오로 녹화하였으며,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에 기반하여 4명의 연구자가 반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와 중학생의 제스처는 4가지 측면(제스처의 특징, 제스처의 사용, 제스처의 내용, 제스처의 기능)에서 상이한 특성을 보였다. 과학자는 다양하고 정교한 제스처를 보다 빈번하게 체계적으로 사용했으며, 중학생 또한 과학적 사고와 소통의 도구로 제스처를 과학담화에서 사용했으나, 중학생의 제스처는 과학자의 제스처에 비해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했으며 기능적인 특징에서도 상당한 차이점이 있었다. 이 결과는 제스처가 과학적 사고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내면에서 일어나는 인지활동을 알아보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으로 학생들이 제스처를 과학 개념의 이해와 추론을 돕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Gestures accompanied by scientific discour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mental models and making model-based inferences. According to embodied cognition literature, gestures can be a source of recognition of the mental models of students and help them in changing naive beliefs about science.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gestures of scientists with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explaining scientific phenomena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estures and scientific discourse. In the study, 10 scientists and 1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clinical interviews and the tests of knowledge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engaged in one-on-one clinical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about three tasks regarding the molecular movement and the state change of matter. Four researchers carried out open coding and applied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in order to analyze video-recorded gestures. This study found four themes (feature of gesture, use of gesture, content of gesture, function of gesture) about the differences of gestures between scientis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sts used more diverse and elaborate gestures systematically and frequently in the interview. Although students used gestures in their scientific talk and reasoning, the gestures of students were not well grounded on scientific knowledge and had different functions from those of scientis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gestures can represent underlying cognition and strengthen scientific thinking. We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gestures as a tool to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and make in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