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천광역시 도서벽지 연평도 거주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 분석

        염돈일(Yeom DonIl),김영욱(Kim YoungWook),조미혜(Cho MiHye)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광역시의 도서벽지에 거주하고 있는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연평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생 총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김병준, 2001)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운동관심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따른 차이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연령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유연성, 근력)은 마동과 청소년간의 차이가 있고 아동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높았다. 셋째, 학교급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신체활동, 유연성)은 차이가 있고,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가장 높았다. 넷째, 신체활동 관심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은 차이가 있고 신체활동을 좋아할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의 수준이 높았다. 다섯째, 신체활동 주당 참여 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외모,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유연성, 신체전반)은 차이가 있고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높았다. 여섯째, 참여시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외모,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은 차이가 있고 2시간 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hysical self-concept of students who dwelt in island nearby Incheon. For the purpsoe, 112 stundents who lived in YeonPyung Isl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the questionnaire(PSDQ) which was developed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Kim byungjun, 2001). For the statistics, we used t-test for the analysis on sex, ages and also we used twoway ANOVA on the concerning of exercise, frequency and time for exercise.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1. among sex,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2.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y ages, children of school age were higher than adolescence in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and physical competence.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ctivity and flexibility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y school age, expecially children of school age showed higher physical self-description.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compete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body image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y concerning of physical activity, expecially more favority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e higher physical self-description. 5. On the physical competence, appeara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and body image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by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more frequency for physical activity was, the higher physical self prescription was. 6. On the physical competence, appeara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and body image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by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students who attent for 2 hours showed the highest physical self prescrip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따른 신체적 자기 개념

        배소라,엄우섭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5, 6학년의 PAPS 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와, PAPS의 체력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의 항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4개의 학교에서 각각 5, 6학년 4개 반을 선택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PAPS 측정결과와 설문지를 가지고 학년 및 성별 집단별로 PAPS 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PAPS의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 항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관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경우 PAPS 2, 3, 4등급에 따라 5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지구력, 신체전반 항목에서, 6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신체활동, 지구력, 신체전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PAPS 2, 3, 4등급에 따라 5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자기존중감에서, 6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APS의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 항목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대부분 유의한 관계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체적 자기개념 중 스포츠 유능감은 성별, 학년에 관계없이 PAPS 등급이 낮아질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이 낮았으며, 외모, 건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학년과 성별이 거의 없었고, 지구력은 5학년 여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학년과 성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의 관계

        박문현,정구인,서연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1

        규칙적인 운동참여를 통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긍정적인 형성과 높은 자아탄력성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경기도 Y시 초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 처리는 운동참여에 따른 신 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일원변량분석,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운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차이에서는 주당 ‘4회 이상’ 실시한 집단이 유연함을 제외 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서는 감정통제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행복감에 서도 ‘4회 이상’ 집단이 가정환경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 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개 념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nalyzing causal relations empirically of the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happiness based on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4 elementary schools of Gyeonggi-province in 2014. A convenience sampling was adopted in the study. 100 students were extracted from 2 schools and the total sample was 350. Questionnaires with no replies or untrustworthy ones were excluded from the returned 350 copies and the final data analysis was from the remaining 329 questionnaires. The study questionnaire was used PSDQ, ego-resilience scale and happiness scale. The survey tool for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questions that had been employed in previous studie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produced as follows: First, The 'four or more times a week'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in physical self-concept(without flexibility) than the other groups. The 'four or more times a week' group also showed a higher average in ego-resilience(without emotional control). And the 'four or more times a week' group also showed a higher average in happiness(without home environment) than the other groups. Second, The relations of factors(a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happiness) based on exercise participation. The relations of factors(a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happines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each other.

      • KCI등재후보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영원,김성곤,김창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및 전남 지역 초등학생 총 801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SPSS WIN 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Cronbach'??를 산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와 줄넘기 운동의 참여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 방법으로는 Tukey의 Student-Newman-keuls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 보다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보였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줄넘기 운동의 주당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보였다. 넷째, 줄넘기 운동의 회당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보였다. 다섯째, 줄넘기 운동의 참여 기간이 길수록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보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높이기 위해서는 별다른 도구나 환경의 제약 없이 좁은공간에서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줄넘기 운동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ope-skipping exercise on elementary students?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A survey on physical self-concept was conducted on 801 elementary students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12.0. Afte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obtained for each group,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t-test, a one-way ANOVA, and a post?]hoc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First, physic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4.274, p<.01). Second, physical self-concep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That is, grade (age) did not affect physical self-concept. Third, physic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rope-skipping exercise (F=55.467, p<.01). Fourth, physic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time of rope-skipping exercise (F=61.920, p<.01). Fifth, physic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of rope-skipping exercise (F=48.671, p<.01).

      • KCI등재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인식간 상호관계 분석

        이양구(Yang Gu Le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4 교육발전 Vol.43 No.3

        본 연구는 학교체육수업 환경에서 고등학생들에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체력평가 프로그램 적용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J고등학교 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성별, 건강체력 등급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인식에 대한 하위 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건강체력 등급 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점수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건강체력 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변화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맞춤형 지도활동이 필요한 부분(심폐지구력, 유연서, 근력 및 근지구력, 신체활동, 신체전반, 외모, 체지방) 역시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in predictors of the impa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rogram on the physical self-concep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setting.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75 students from J. High School located in C.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impacts of gender and physical fitness level on physical self-concept scor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their physical self-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scores between gender and fitness level. Second, although the perceptions of physical self-concept change according to gender and physical fitness level were generally positive, there were some area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flexibility,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physical activity, overall body, appearance, and body fat) that would require customized guidance activities to improve physical fitness.

      • KCI우수등재

        직장 스포츠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경험, 신체적자기개념 및 직무만족의 관계

        김유식(KimYu-sik)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는 직장 스포츠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경험, 신체적자기개념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외생잠재변인으로 여가경험, 내생잠재변인으로 신체적자기개념 및 직무만족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도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직장 스포츠 동호인 참여자 419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기초로 만든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및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직장 스포츠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경험은 신체적자기개념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자기개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스포츠 경험이 높을수록 신체적자기개념 및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직장 스포츠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경험, 신체적자기개념 및 직무만족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relation among leisure, physic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intra company sport club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419 intra company sport club located in Seoul, Gyeonggi in Korea. Samples were extracted by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s and finally 419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who did not respond or trustlessly responded. In data processing, via SPSS 18.0 version for Window,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long with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ia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is study show that leisure experience of intra company sport club participa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elf-concept, job satisfaction. And this study show that physical self-concept of intra company sport club participa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자기인식과 신체적 자기개념 효과

        박명선,홍성택,양광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남·여학생의 체육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규 체육수업 이외에 활용되고 있는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학생 자신의 인식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초등학생의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참가에 따른 심리 인지적효과 즉, 신체적 자기인식과 자기개념의 긍정적 효과의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초등학교 남·여학생의 자기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기록분석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적자기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 Marsh, Rechards, Johnson, Roche와 Tremayne(1994)이 개발하고 김병준(2001)이 번안 및 재수정한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빈도분석 및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들은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에 따라 이전보다 긍정적으로 달라진 나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건강 및 운동체력의 향상, 학생들의 생활습관, 자신감, 학습능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라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 중 건강과 자기존중감 요인을 제외한 8개의 요인들 즉, 스포츠 유능감, 신체활동능력, 신체상, 체지방 감소, 외모평가, 유연성, 지구력, 근력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남·여학생의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는 학생 스스로가 인식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화와 실제 신체적 자기개념에 효과가 있으므로 초등체육을 활성화시키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ing effects of niche physica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ir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awareness. For this study, question survey was conducted using physical self-concept survey papers which were targeting sixty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 city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make more in-depth study about the awareness of study subjects’ niche physical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s of physical self-concept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niche physical activities, t-test was conducted with 5% of significance lev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ports competence, body fat, self-respect and entire body factors among the physical self-concept factors which were measured before the niche physical exercises. In four factors, the average scor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which showed male students felt bigger sports competence through sports than female students. Second, changes o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niche physical activities were identified to have increased and examining the significances of each factor, ex post scores were identified to have increased in 8 factors except the health and self-respect which had more than 4 points higher preliminary scores.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competence and physical activities which were felt through sports and the confidence about the entire body have increased and the evaluation about body fat reduction and appearance and the evaluation about exercise functions of flexibility, endurance and muscle power have increased as well. Third, analyzed results of pre and post self-awarenes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niche physical activities showed that research subjects could experience ‘different me’ through niche physical activities and came to recognize niche physical activities are the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could contribute much to the improvement in health and exercise stamina, students’ living habits, confidence and learning ability. Therefore, it could be identified that continuous participation in niche physical activities brought not only healthy soul and body but also various positive influences like living habits, attitudes, confidence an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최리나 ( Li Na Choi ),김선정 ( Sun Jung Kim ) 大韓舞踊學會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2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해보고 규명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현재 4년제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총 330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구체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에 기초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독립변인으로 정서, 매개변인으로 내적동기,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으로 설정 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 방법은 SPSS Win ver.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처리하였으며, 각 가설의 유의수준 a=.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그리고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의 자부심, 행복, 부정적정서의 분노는 내적동기의 재미, 유능,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정적정서의 불안은 내적동기의 긴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재미, 유능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 지구력, 신체활동, 유연성, 무용 유능감, 외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능은 신체전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노력, 긴장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자기 존중감, 체지방, 건강, 신체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자부심, 행복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 지구력, 신체활동, 유연성, 신체전반, 외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정서의 분노, 불안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자기 존중감, 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적 자기개념의 무용 유능감, 체지방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정서와 내적동기간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 and internal motivation in the dance-major students on the physical self-concept. The study subjects were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in their 4th year of study as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sample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as 330.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 Win Ver. 17.0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α=.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dures and methodology. First,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 variable for dance-major college students - positive emotion, pride, happiness, negative emotion and anger -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fun, competency and effort in the internal motivation. In particular, the tension of internal motivatio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negative emotional anxiety. Second, the sub-factors of emotion for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 positive emotion, pride and happiness -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muscular strength, endurance, physical activities, flexibility, and overall physical body and appearance. Anger and anxiety of the negative emotion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self-respect and health. In particular, both dance competence and body fat have significant impact on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ird, the sub-factors of the internal motivation for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fun and competence -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muscular strength, endurance, physical activities, flexibility, dance competence and appearance in the self-concept. In particular, the overall physical body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mpetence. The self-respect, body fat, health and physical activitie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 sub-factor of internal motivation, tension.

      • KCI등재

        아마추어 골퍼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른 지각된 성공/실패 귀인과 정서

        유생열(Seang Leol Yo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적으로 골프 활동에 참여하는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아마추어 골퍼와 낮은 신체적 자기 개념을 가진 골퍼간의 귀인양식, 자기제시 형태인 자기고양과 자기 장애, 정서감이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정규적으로 골프 활동에 참여하는 42명의 참여자들이 신체적 자기 개념 검사(유진, 소호성, 1998)를 통해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 참여자 11명과 낮은 참여자 11명이 선발되었고 이중 3명씩의 연구 참여자가 무작위로 선발되어 참여관찰, 서술관찰, 심층면담이 사용되었다. 자료의 진실성을 위해 다원화 비교(triangulation)을 통해 데이터 분석결과,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은 낮은 자기 신체적 개념을 가진 사람에 비해 스윙과 퍼팅에서 지각된 성공시 내적 귀인을 하는 경향이 있었고, 자기 핸디캡전략보다 자기 고양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개인의 긍정적인 정서감을 가지는데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부정적인 신체적 자기개념을 가진 개인은 스윙과 퍼팅에서 성공했다고 지각했을 때 외적요인에 귀인 시키고 자기고양 전략보다는 자기 장애의 전략을 더 사용하였으며 부정적인 정서감을 표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attribution style, self-presentation, including self-enhancement and self-handicapping, and emotions between high physical self-concept amateur golfers and low physical self-concept counterparts. A physical self-concept tool (Yoo & So, 1998) was administered to 42 golfer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golf activity to select high and low physical self-concept golfers. Eleven golfers who got high physical self-concept scores and other 11 who got low physical self-concept score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for the research. Finally, three high physical self-concept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11 candidates and other three low physical self-concepts members were also randomly assigned from the other 11 candidates. Participant observation, descriptiv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utilized to get qualitative data and analyzed by triangulation for trustworthiness. Golfers with high physical self-concepts tended to attribute their perceived success in swing/putt to internal factors which were ability and effort and use more self-enhancement strategy rather than self-handicapping, which facilitated positive emotional states. However, the participants with low physical self-concepts tended to attribute their perceived success in swing/putt to external factors which were good luck and good field conditions and use more self-handicapping rather than self-enhancement strategy and expressed negative emotion states.

      • KCI등재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최영준,이동환,오갑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자기평가체형이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남·여 중학생 332명(남: 173명, 여:159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체형을 너무마름, 약간마름, 보통, 약간살찜, 너무살찜으로 평가한 집단간 사회적 체형불만(Social Physique Anxiety Scale, SPAS)과의 관계를 이원 단일변량분산분석(two way ANOVA)을 통해 알아보았고, 신체적 자기개념(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의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다변량분산분석(two way MANOVA)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비교결과, 사회적 체형불안은 성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체형 인식에 따라서는 보통이라고 평가한 집단이 가장 낮고, 너무 살찜이라고 평가한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남학생이 신체활동, 건강, 지구력, 스포츠유능감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기체형 인식에 따른 집단간에는 보통과 약간 마름의로 평가한 집단에서 체지방, 외모, 건강, 자기존중, 유연성, 지구력, 신체전반의 7개 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체지방과 자기존중에서 사회적 체형불안과 높은 상관관계가 발견되었고, 여학생에게서 더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외에도 여학생은 스포츠유능감요인과 지구력요인에서도 사회적 체형불안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자기체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의 각 하위 구성요인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서 더 높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Physique Anxiety scale(SPAS) and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PSDQ) among Lean Group, Slim Group, Normal Group, Fattish Group, and Fatty Group of 332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Versions of the SPAS and the PSDQ. The results are as follows; O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main effect of Group(p< .05). Normal Group was lower than any other group and Fatty Group was higher than all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oys were higher than girls in the scores of self-perceptions of physical activity, health, endurance, and sports competence. And Lean and Normal Groups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scores of self-perceptions of body fat, attractiveness, health, self esteem, flexibility, endurance, and global physical. Finally, body fat and self esteem showed high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ocial physique anxiety for both boys and gir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