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철(Bong Chul Kim),문주원(Joo Won Moon),최명일(Myung Il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0

        본 연구는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00명의 TV 홈쇼핑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는 제품구매(α=.908), 지식습득(α=.871), 시간 보내기(α=.758), 쇼핑호스트 호감(α=.758) 등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제품구매가 가장 큰 시청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동기와 시청만족과의 관계를 보면, 제품구매, 지식습득, 쇼핑호스트 호감이 시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동기와 구매의도의 관계를 보면, 제품구매, 지식습득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TV 홈쇼핑 시청동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시청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제품구매→시청만족도→구매의도``, ``지식습득→시청만족도→구매의도``, ``쇼핑호스트 호감→시청만족도→구매의도`` 등의 경로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시간보내기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TV 홈쇼핑 시청 동기는 시청만족도를 통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how TV viewing motivation of home shopping affects viewing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viewers of TV home shopping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Viewing Motivation of Home shopping constructed with four factors, such as ``buying goods``(a =.908), ``getting knowledge``(a=.871), ``killing time``(a=.758), and ``likability to shopping host``(a=.758). Three factors - ``buying goods``, ``getting knowledge`` and ``likability to shopping host`` - significantly affected viewing satisfaction; whereas, two factors - ``buying goods``, ``getting knowledge`` -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Viewing satisfaction showed moderating effect in the three paths of ``buying goods``→``viewing satisfaction``→``purchase intention’, ‘getting knowledge``→``viewing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and ``likability to shopping host``→``viewing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In sum, factors of TV viewing motivation except "killing time" significa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moderating by viewing satisfaction.

      • KCI등재

        유튜브 콘텐츠 형식에 따른 구독자의 행동의도 차이: 의사상호작용과 팬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은아,최주형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5 No.1

        본 연구는 유튜브 사용자가 콘텐츠 시청시 경험하는 의사상호작용과 팬덤형성 수준이 유튜브 시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료는 14세 이상의 유튜브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수집되었으며, 녹화영상 콘텐츠(250명) vs. 라이브스트리밍 콘텐츠(72명)를 주로 시청한다고 응답한 총 32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채널의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경험한 특정 유튜버에 대한 의사상호작용, 팬덤, 시청관련 행동의도(지속시청의도, 후원의도, 굿즈 구매의도) 문항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녹화된 영상콘텐츠보다 라이브스트리밍 콘텐츠를 시청할 때 의사상호작용(PSI), 팬덤 형성 정도가 높고, 지속시청의도, 유튜버에 대한 후원의도, 굿즈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의사상호작용은 팬덤 형성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시청 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팬덤 형성 수준이 높을수록 지속시청의도, 후원의도, 굿즈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콘텐츠 형식에 따른 시청관련 행동의도는 의사상호작용에 의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고, 의사상호작용과 팬덤의 순차적 경로를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튜브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느끼는 의사상호작용 경험은 팬덤 형성을 강화하고, 팬덤 수준은 지속시청의도, 굿즈 구매의도, 후원의도 형성에 결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는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실시간 방송시에 시청자와의 소통강화를 통해 의사상호작용(PSI) 경험을 높이고, 팬덤을 형성하도록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level of parasocial interaction (PSI) and fandom formation that You Tube users experience when watching content affects their YouTube viewing behavior. Data was collected online survey from You Tube users aged 14 and older, with a total of 322 respondents who reported that they primarily watch recorded video content (250) or live-streamed content (72).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their PSI toward You Tubers, fandom toward the specific You Tuber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continue watching, donate, and purchase You Tuber’s goo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of PSI, the degree of fandom formation, intention to donate to You Tuber,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You Tuber’s goods were higher when watching live-streaming content than recorded video content. Second, user’s PSI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fandom formation, but no direct effect on viewing behavior. Third, the higher level of fandom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tention to viewing behavioral intentions. Finally, we found that the differences in viewing behavioral intentions based on content types was not directly mediated by PSI, but was enhanced by sequentially mediated by PSI and fandom.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SI experienced by You Tube viewers strengthens formation of fandom, and that fandom is a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shapes the viewers’ behavioral intentions (continuous watching, donation, purchasing go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 Tube creators should improve the viewers’ PSI experience by providing more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 viewers when creating You Tube content.

      • KCI등재

        유튜브 채널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플루언서의 공감을 매개 변인으로-

        로요 ( Lu Yao ),이훈용 ( Lee Hun Yong ),김종무 ( Kim Jong 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미디어의 변화, 인터넷 발전, 스마트폰 대중화 및 SNS 중심의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유튜브와 같은 SNS 동영상 플랫폼은 시청자들에게 자유롭게 시청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은 영상 소비자에서 전파자로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유튜브 시청자들은 '좋아요', '댓글', '구독'을 통해 만족한 콘텐츠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고, 이는 다른 시청자들의 영상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의 축구 종합 예능 채널인 이스타 TV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공감요인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508개의 설문을 SPSS 27.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은 ‘정보 신뢰 공감’, ‘정보 가치 공감’,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스타 TV의 정보 공감 모든 요인이 인플루언서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정보 가치 공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스타 TV의 정보 공감 요인과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 ‘인플루언서 공감’은 시청자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정보 가치 공감’, ‘정보 신뢰 공감’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의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플루언서 공감의 매개역할 분석 결과 인플루언서 공감은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과 행동의도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 중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이 인플루언서 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시청자 행동의도가 더욱 강해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튜브에서 정보 공감에 대한 시청자 행동의도를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mid changes in media, advancements in the internet,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and an environment centered arou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 users are consuming content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Platforms like YouTube, an SNS for videos, provide viewers with an environment to freely watch and share content. Users have evolved from mere consumers of videos to broadcasters themselves. YouTube viewers express their appreciation for content by 'liking', commenting, and subscribing,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video choices of other viewe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ewer empathy towards the content provided by ESTAR TV, a YouTube soccer entertainment channel,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role of influencer empathy in this process. To this end, 508 surveys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firstly, that the factors of ESTAR TV information empathy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trust empathy', 'information value empathy', 'information content empathy',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Secondly, all factors of ESTAR TV's information empathy positively influenced influencer empathy, with 'information value empathy' having the most significant impact. Thirdly,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ESTAR TV's information empathy and influencer empathy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revealed that 'information content empathy',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and 'influencer empathy' positively influenced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while 'information value empathy' and 'information trust empathy' did not show significant impacts. Influencer empathy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Fourthly, in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influencer empathy in the impact of ESTAR TV's information empathy factors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it was found that influencer empath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ntent empathy',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ntent empathy'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is stronger when they impact influencer empathy, which in turn influences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information empathy on YouTube.

      • KCI등재

        유럽프로축구 TV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시청몰입과 재시청의도 및 타인추천에 미치는 영향

        전찬수 ( Chan Soo Jun ),김형석 ( Hyung Seok Kim ),신승호 ( Seung Ho Shi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유럽프로축구 TV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시청몰입과 재시청의도 및 타인추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눈덩이표집법(snowball sampling)을 이용하여 총300부를 배포하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간주되는 14부를 제외시키고 286(95.3%)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 for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성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유럽프로축구 TV시청동기에서 오락추구, 대리만족, 시간소비 요인이 시청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럽프로축구 TV시청동기에서 대리만족과 오락추구 요인이 재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럽프로축구 TV시청동기에서 대리만족과 오락추구 요인이 타인추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럽프로축구 시청몰입은 재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럽프로축구 시청몰입은 타인추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uropean professional football TV viewers`` motives on viewing flow, re-viewing intention and word-of-mouth.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 was selected by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otal 30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86 samples were finally used after eliminating 14 incomplete samples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Windows for SPSS 1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tertainment, vicarious satisfaction, and passing time factor of European professional football TV viewer motive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viewing flow. Second, vicarious satisfaction and entertainment of European professional football TV viewer motive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re-viewing intention. Third, vicarious satisfaction and entertainment of European professional football TV viewer motive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word-of-mouth. Fourth, viewing flow had significantly effect on re-viewing intention. Fifth, viewing flow had significantly effect on word-of-mouth.

      • KCI등재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김하연,장하원,이수범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7

        본 연구에서는 ‘먹방’시청자들을 대상으로 TV 음식 프로그램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TV 음식 프로그램 중 ‘먹방’프로그램을 최근 6개월 이내에 시청한 경험이 있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총 273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 20.0을 이용한 빈도분석 및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모델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검토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한 확인 요인 분석,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 및 다중 그룹 분석을 통해 총 7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동기가 시청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시청동기 요소 중 오락과 대리 만족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태도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성을 검증한 결과, 시청태도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행동 의도 요소인 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음식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따른 태도 및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새로운 논의를 제시하였다는 학술적 시사점과 TV 음식 프로그램을 통해 외식업체의 방문이나 메뉴를 구매하는데 호의적인 감정을 갖는 시청자들은 외식 소비자가 되어 방문의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외식소비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 시청만족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무(Kim, Jong M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중국의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Creator)는 자신의 많은 팔로워 수를 바탕으로 기업 제품의 간접광고를 통해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Baidu)의 발표에 의하면 중국 국민의 60%가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광고 보다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의 조언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소비자의 태도를 반영하듯 중국 개인방송 크리에이터들을 통해 창출되는 시장 규모가 1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개인방송이 기업의 광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의 시청만족도 요인이 무엇이며, 시청의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 속에서 보이는 간접광고 태도가 시청만족도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변수간에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2017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실험을 실시하고 오류가 없는 191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의 시청만족도 요인은 “즐거움 추구 요인”, “콘텐츠 매력 요인” 그리고 “사회적관계 추구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만족도 요인 중 “즐거움 추구 요인”과 “콘텐츠 매력 요인”에 대한 지속시청의도는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즐거움 추구 요인과 콘텐츠 매력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간접광고 태도는 조절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에 대한 시청만족도 요인이 무엇이며, 시청만족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 방송의 주 수입원인 간접광고가 시청만족도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변수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시청자의 시청태도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eator of China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making considerable revenue by indirectly advertizing the products of enterprises on the basis of its countless followers.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Baidu, the largest portal site in China, 60% of Chinese people trust the advice of creator of personal broadcasting more than the advertizement of products when they buy products. It is estimated that the scale of market created by creators of China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mounts to Won 18 trillion as if reflecting such attitude of consumers. In the situation where personal broadcasting is noted as advertizement means of enterprise, this study analyzes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nd whether influence that viewing intention factor has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and PPL Attitude seen in the program exerts moderator effect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and variables of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For analysis, the question paper used in preceding study was revised & supplemented to be proper to this study. On-line experiment was carried on for 200 people living in China from April 20 to 30, 2017 and 191 error-free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atching satisfaction factors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re “enjoyment pursuit factor”, “contents attraction factor” and “social relation pursuit factor.” Second, out of watching satisfaction factors,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for “enjoyment pursuit factor” and “contents attraction factor” i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Third, PPL Attitude has moderator effect for the influence that “enjoyment pursuit factor” and “contents attraction factor” have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materials o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for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 influence that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has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and the indirect advertizement, the main source of income of personal broadcasting plays the role of moderator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and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be basic materials for creators producing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to understand viewers’ viewing attitude later.

      • KCI등재

        틱톡(TikTok)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 호감도와 몰입 경험을 매개 변인으로-

        양몽림,김종무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틱톡(TikTok)에서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 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 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몰입 경험과 한류 호감도가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400부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였다. 설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틱톡 한국 관광콘텐츠의 시청동기 요인은 ‘정보 추구’, ‘오락 추구’,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크리에이터 공신력 요인은 ‘크리에이터 전문성’, ‘크리에이터 신뢰성’, ‘크리에이터 매력성’, ‘크리에이터 유희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동기 요인 중 오락 추구,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이 높을수록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크리에이터의 전문성이 한국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틱톡 한국 관광콘텐츠의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과 크리에이터 전문성이 한국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시청자가 몰입 경험을 많이 지각할수록 시청자의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틱톡 한국 관광콘텐츠의 오락 추구,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과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시청자의 한류 호감도가 높을수록 시청자의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결과를 통하여 틱톡에서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 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을 이해함과 동시에 향후 효과적인 관광콘텐츠 제작에 있어 시청자 태도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and creator credibility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TikTok. Additionally, it examined how immersion experience and Hallyu (Korean Wave) prefer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creator credibility, an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For the research, a total of 400 survey responses were utiliz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To validate the surve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on TikTok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seeking,' 'entertainment-seeking,'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while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or credibility were 'creator expertise,' 'creator trustworthiness,' 'creator attractiveness,' and 'creator playfulness.' Second, among the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entertainment-seeking,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ird, creator experti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Fourth, the interactivity of TikTok Korean tourism content, viewing convenience, and creator expertise affecte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and the more viewers perceived immersion experience,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visit Korea. Fifth, the entertainment-seeking,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of TikTok Korean tourism content, as well as creator credibilit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and the higher the viewers' Hallyu preference,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understanding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and creator credibility on TikTok, as well as understanding viewers' attitudes for effective tourism content produ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MCN (Multiple Channel Network) 스포츠 중계 시청동기가 시청가치와 관람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관여도의 조절효과

        김건우,나청우,이준성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test impact of MCN sports broadcasting viewers’ viewership motives on the perceived viewership value, the viewing inten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2) to test the moderating impact of sports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motives and the viewing value among MCN sport broadcasting viewer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total of 150 samples were recruited via online survey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5.0 and AMOS 22.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among the viewer’s viewership motives, the entertainment persue and information persue had positive impacts on the viewership value, while the vicarious satisfaction and social exchange did not and the time consuming had negative impacts. 2) the viewership value had positive impacts on the viewing inten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3) sport involvement was not proved to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ship motives and the value. In su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cations. 본 연구는 MCN(Multiple Channel Network) 스포츠 중계 시청동기의 하위요인인 오락추구, 정보추구, 대리만족, 사회교류, 시간소비가 시청가치와 관람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스포츠 관여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37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SPSS 25.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경로분석(path analysis)과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CN 스포츠 중계 시청동기 중 오락추구, 정보추구 요인은 시청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CN 스포츠 중계 시청동기 중 대리만족, 사회교류 요인은 시청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CN 스포츠 중계 시청동기 중 시간소비 요인은 시청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CN 스포츠 중계의 시청가치는 관람의도,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CN 스포츠 중계의 스포츠 관여도는 시청동기가 시청가치에 대하여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CN 스포츠 중계에 대한 시청동기가 시청가치, 관람의도, 추천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스포츠 미디어가 가지는 마케팅 가치에 대한 유용한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디어에 관련된 기업 혹은 협회는 일반적인 중계 형태나 MCN 중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 중계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마케팅 자료로서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Vlog)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 관계 분석 -시청몰입과 시청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정윤주,김종무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 브이로그(Vlog)를 시청하는 대학생들의 시청동기 요인을 파악하고,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시청몰입,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간의 관계에서 시청 몰입과 시청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8월 14일부터 9월 14일까지 온라인 설문 후 오류가 없는 33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튜브 브이로그 시청동기 요인은 외로움 해소, 매개된 관음증, 시간 보내기, 오락추구 4가지로 구분되었다. 둘째, 유튜브 브이로그 외로움해소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브이로그 매개된 관음증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 시청만족, 지속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브이로그 시간보내기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튜브 브이로그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 시청만족, 지속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시청몰입은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청만족은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즉,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만족의 매개효과가 없으면 지속시청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 시청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수용자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혔음에 의의를 가지며, 기존 선행연구의 전통/뉴미디어의 시청동기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매개된 관음증’동기가 추가되었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is thesis helps understand viewing motivation factors of undergraduates who watch a Vlog on YouTube, and suggests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about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flow,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Also, in relation of viewing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It has a purpose to reveal their relationship on viewing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Empirically do roles as intermediation. For that, we did a questionnaire on the Internet from 14 Aug 2019 to 14 Sep 2019 and analyzed the data of 332 papers were used to an analysis of result except some papers written by unfaithful people and someone who haven't ever watched YouTube. First of al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viewing motivation of watching a Vlog on YouTube was divided into 4 factors such as loneliness alleviation, mediated voyeurism, killing time,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Second, It is represented that loneliness alleviation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but It doesn’t have positive effect to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Third, It is shown that mediated voyeurism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Forth, It is presented that killing time has a negative effect to viewing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don’t have any effect to killing time motivation. Fifth, It is signified that entertainment motivation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Sixth, viewing flow have a partial mediation about a relationship of mediated voyeurism,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Finally, viewing satisfaction have a perfect mediation about a relationship of mediated voyeurism,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In other words, mediated voyeurism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doesn’t have any direct effect to viewrs’ satisfaction, if it doesn’t have an mediated effect of viewing satisfaction. Like this results, the research of viewers who watch a Vlog on YouTube has a further significance. Because, there is scarce information about watching a Vlog on YouTube and precedented research was rarely conducted. Based on receiver’s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It has a significance, because this research empirically validities a hypothesis and widens widths of a study. Also,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because ‘mediated voyeurism’was added which couldn’t be grasped by studying viewing motivation of traditional/new media.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이 시청몰입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바씨아오쯔,최동오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4 e-비즈니스 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시대에 소비자가 지각한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규명하고, 다른유형의 요소가 소비자의 시청몰입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은 이용용이성, 정보성, 오락성과 경제성으로 분류되었다.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과재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소비자의 시청몰입의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를이용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중국 성인 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비대면 시대에 소비자가 지각한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규명하고, 다른 유형의 요소가 소비자의 시청몰입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특성이소비자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과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소비자의 시청몰입의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라이브 커머스의이용용이성, 정보성, 경제성 특성이 시청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으며, 이용용이성의 영향력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성, 경제성 특성이 재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에 미쳤으며, 경제성의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셋째, 소비자의 라이브 커머스를 시청할 때 몰입형성이 재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주고,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이 시청몰입을 통해 재구매의도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패턴을 분석한 점은 중국 시장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활용 가능한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여으로 주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있는 기업들에게도중요한 정책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live commerce’s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consumers in the non-face-to-face era and explored the impact of thes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commit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n consumer behavior change (commitment, repurchase intention). Then,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s'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and repurchase intention. Research Methods: Investigation of statistics for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commitment, repurchase intention of Chinese consumers. SPSS and AMOS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in Research: Firstly, the ease of use, informativeness, and payment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and the informativeness and paymen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consumers watch live commerce, flow has a direc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have an indirec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commitment. Research Conclusion: The effect of improving repurchase intention can be expected by increasing live commerce's characteristic and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