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들의 시텍스트 수용 양상 연구초등학교 학생들의 시텍스트 수용 양상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정우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1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제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의 시텍스트 수용 양상을 제시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은 문학교육에서 탐구의 대상이라 할 수 있는 인간(학생)을 이해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교실 현장에서 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용 양상을 보다 심도 있게 들여다보고, 현상을 심층적으로 기술하여 의미를 파악하고 대상을 이해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수용의 의미를 살피고, 수용 미학과 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의 시텍스트 수용 양상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 자신이 학생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시텍스트 수용 양상을 기술한 일종의 반성적 사례 연구이다. 이는 그간 문학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어왔던 실제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텍스트 수용 행위와 그 변화의 추이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mbody the aspects of reception for poetry- text in the situation of classroom teaching of literature in the elementary school. Actual aspects of reception can be a main mechanism to study of literary education. To do so, this study constructed the concepts of reception and set up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of literary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reception theory and literary education theory about response. Therefore, for this study, the teaching - learning process for poetry reading classes were designed and analysis of collected data which is related with aspects of reception are described. A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reflective case-study for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the aspects of reception in actual poetry read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how the general feature of the reading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by analysing the meaning of each the actual aspects of reception and qualitative transposition through the prospecting in realities of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 고찰

        김성문(Seong-Moo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1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세계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현상은 문학적으로도 매우 주목할만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사회로의 재편과 함께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정치 · 외교 · 사회 · 경제 ·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는 기존의 패러다임에 대한 교체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우리의 문학 또한 예외가 아니다. 시 · 소설 · 희곡 · 시나리오 등의 현대문학은 물론, 상대적으로 보수성과 전통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 고전문학, 특히 시조문학에서도 다문화는 작품의 주제와 제재로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즈음하여 본고는 2015년에 다문화를 대상으로 창작된 현대시조를 중심으로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본론에서는 모두 5편의 (연시조) 작품에 수록되어 있는 15수의 시조를 분석하여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을 크게 둘로 나누어 보았다. 하나는 대체로 다문화를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필연적인 현상으로 인식하여 그들을 수용의 주체인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공존의 대상으로 보는 경우로, 이러한 수용 양상을 ‘우리로서의 다문화’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다문화를 기존의 전통성과 순수성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한 결과, 차별의 관점을 통해서 다문화(의 대상)를 타자화하는 경우로, 이는 ‘너희로서의 다문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이 다문화의 수용 양상이 서로 다르게 드러나는 것은 다문화에 대한 시인의 인식 양상이 다르다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에 재현된 다문화의 수용 양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로서의 다문화’든, ‘너희로서의 다문화’든 다문화가 글로벌 시대의 보편적인 현상임을 인식하고, 모두가 소통하고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양자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다문화를 수용할지 그렇지 않고 배척할지를 선택하는 시기가 아니다. 본고처럼 문학이 다문화를 어떠한 양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근본적인 목적은 바로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기 위한 소통과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인류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이른바 문학의 존재 이유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is changing very fast in 21th century and Koran society’s entranc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a noteworthy change in this period. Along with the entrance to new society,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 existing paradigms in almost all fields such as politics, diplomacy, society, economy and culture have changed or are now under change. Our literature is no exception to that trend. The multiculturalism have appeared to not only poems, novels, playwright and scenario but also to classical literature, especially the sijo literature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have strong conservatism and tradition in various topics and materials. Under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I have researched on the form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in the modern sijo, focusing on the works created on the theme of multiculturalism in 2015. In the body of the study, I have analyzed 15 sets of sijo which are described in 5 serial sijo works and divided the forms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by the modern sijo into two categories. One is to see the multiculturalism as a target for co-existence or “our multiculturalism” as it is the natural phenomena in this rapidly changing world. The other is to recognize it as the negative one, and see the multiculturalism as “yours” from the viewpoint of discrimination as it inhibits the existing tradition and cultural purity. The different forms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re not those recognized by the poets but those reflected in the text of sijo. But both perspectiv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both see the multiculturalism as the global phenomena and that we should find the way for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Now is not the time for deciding whether we should accept the multiculturalism or reject i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perspectives and find out the method of communication of co-existence. It would als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urpose of literature, which is to make the quality of life for all humanity better.

      • KCI등재

        그림책의 서사방식이 독자의 수용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택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1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서사 방식과 독자가 그림책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수용 양상을 찾아보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여 특정한 서사 방식이 특정한 수용 양상을 유발하는지를 추정적으로 밝힌 연구이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1차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먼저 각 그림책을 보고 서사 전문가가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 없이 기술한 문장들을 수집하고 그로부터 핵심 단어를 찾은 후 이를 가지고 다시 기술문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합, 유형화하는 방식으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에 있어 각 7가지씩 총 1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각 그림책마다 해당되는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을 표시하여 그 관계를 표로 정리하고 이를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 간의 상관성을 찾았다. 최종적으로 높은 정적 혹은 부적 상관성을 보인 서사 방식과 수용 양상의 유형들을 찾아 이들 상관을 바탕으로 특정한 서사 방식이 특정한 수용 양상을 유발할 것이라는 추정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specific narrative method tends to affect and induce specific mode of perception on the reader's part. The research was performed in two studies: In study 1 the researcher collected descriptions on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described by the narratologist and extracted the core words. Then the collected descriptions were re-described using only the core words. The core concepts on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were deducted by integrating and categorizing the re-described descriptions. As a result 7 types of narrative method and also 7 types of mode of perception were deducted. In study 2 the researcher marked the applicable types of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on each matching book and arranged the relations as a data table. Then the researcher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methods, modes of perception, and narrative method and mode of perception applicable to each book by processing the data statistically. The effect of narrative methods in picture books on reader's mode of perception was estimated from the analysis of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 KCI등재

        한국 근‧현대시에 나타나는 프로메테우스 수용양상 소고

        김효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The Prometheus Myth gives us tremendous inspiration. Prometheus symbolizes the human spirit struggling with extremely grave pain, and provides an archetypal image for exploring human civilization. Besides, he is an exemplar fighter, encouraging us to overcome Class Conflict in the Marxist point of view. Therefore, he is evenly admirable i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All kinds of myths, including the Prometheus Myth, do not exist as a fixed archetype, but they have been remodeled and reshaped as both an archetype and an exemplar. This article will illustrate the aspects of the Prometheus Myth in Korean poems, that is to say, how the Prometheus Myth is received and transform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Originally, a major part of Korean Poetry has had nothing to do with the Prometheus Myth or its archetype. In Modern Poetry only a few poems of three poets (Yun Dong-Joo, Seo Jeong-Joo, Kim Hyeon-Seung) represent the receptional aspects of the Prometheus Myth. And in Contemporary Poetry only eleven Collections of poems of ten poets(Moon Byeong-Ran, Kim Kyeong-Soo, Jin Heon-Seong, Beom Dae-Soon, Yoo Yeong-Cho, Kim Gye-Deock, Lee Jae-Sick, Jeong Yong-Jin, Kang So-Yi, Jin Hyeock-Il)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metheus Myth or its archetype. In all the poems that show its receptional aspects, they also show their obvious cultural limits at the same time. The Mythological Universality c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 even though the receptional aspects of the Prometheus Myth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do not show the quantity like Occidental Poetry which finds its cultural roots in Ancient Greece and Rome.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커다란 영감의 원천이다. 프로메테우스라는 신화적 존재는 극심한 고통을 감내하고서라도 투쟁하는 인간 정신을 상징하고, 인류에게 문명을 일으킬 수 있게 해 준 원형적 이미지를 제공해준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계급투쟁을 타파할 용기를 인류에게 보여준 본보기적인 신화 속 투쟁가이기도 하다. 그래서 동‧서양 공히 프로메테우스에게 애정을 보인다. 프로메테우스 신화뿐만 아니라, 모든 신화는 결코 고정불변의 원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신화 자체도 끊임없는 손질을 거치며 형태를 갖춰가고, 만들어진 형태는 또 다시 다른 모습으로 바뀌고, 거듭해서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모습을 가진 프로메테우스 신화 자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근‧현대시 속에서 프로메테우스 신화가 수용되어 온 양상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으로 윤동주 시 「간(肝)」, 서정주 시 「러시아의 까즈베크峯이 어느 날 하신 이야기」, 「방랑에의 유혹」, 그리고 김현승의 시 「정복자들에게 – 월세계에 첫발을 디딘」 또는 「세계는 위대하게 커졌다 – 아폴로 14호의 성공을 듣고」, 시 「불을 지키며」 등의 시 텍스트들을 통해서 다양한 수용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 최근 20여 년 동안 출간된 시집들 중 11권을 중심으로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고 있거나 모티브화해서 시작 활동을 한 작품들을 통해서 가장 현대적인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수용 양상을 정리해 보았다. 그런데 의외로 윤동주, 서정주, 김현승의 수용 양상이 오히려 최근의 20년의 수용 양상보다 더 다채롭고 폭넓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사실 윤동주, 서정주, 김현승의 수용 양상도 그 한계가 분명한데 이보다 더 부족하다고 하면, 전반적인 한국의 시작품들 안에 인용되거나 언급되는 수용 양상들은 지극히 한정적이고 반복적인 재탄생의 틀을 보여줄 뿐이다. 이런 와중에서도 항거자로서의 처절한 현대적 프로메테우스를 노래한 문병란의 시, 한국불교적인 이미지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녹여내어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현대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강소이의 시 그리고 진혁일의 시적 발상에 주목할 수 있다. 권력에 맞서 정의와 자유를 수호하고 인간에게 문명의 길을 알려준 ‘앞을 내다보는 자’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인간 사회의 발전과 행복은 없었을 것이다. 유형, 무형의 폭력적 권력에 맞서 불굴의 의지로 대항했던 프로메테우스의 신화는 비록 그 한계성과 문화적 배경의 생경함으로 한국 시에서는 그 수용 양상이 서구 문학과는 많은 차이가 나고 빈약하지만, 동서양을 통 털어 그리스 신화가 갖는 신화적인 보편성을 운운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 의의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한(韓)ㆍ중(中)ㆍ일(日) 상용한자(常用漢字) 한자음(漢字音) 학습연계 활용을 위한 한(韓)ㆍ일(日) 한자음(漢字音)의 수용 및 대응양상에 관한 연구 - 지섭운(止攝韻)의 한(韓)ㆍ중(中)ㆍ일(日) 상용한자(常用漢字) 한자음(漢字音)의 통합비교분운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최지수 ( Choi Ji-s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본 연구에서는 中古漢語 止攝韻의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작성하여, 韓ㆍ中ㆍ日 漢字音의 음운체계와 韓ㆍ日 漢字音의 수용 및 대응양상을 분석하였다. 止攝韻에서의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現代 韓國漢字音 -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 -er형, -ei형, -a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e형 -o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i-i-i형, i-ei-i형, i-i-o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2. 現代 韓國漢字音 -ï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e형, -a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ïi-i-i형, ïi-i-e/ïi-i-a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3. 現代 韓國漢字音 -a/-a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a/ai-i-i형으로 나타난다. 4. 現代 韓國漢字音 -u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ua형으로 대응 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ui-wei-i형, ui-uei-i형, ui-uei-ui형, ui-ua-ui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5. 現代 韓國漢字音 -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u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u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u-uei-ui형, u-ei-ui형, u-u-ui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6. 現代 韓國漢字音 -uə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uəi-uei-i형, uəi-i-i형으로 나타난다. 7. 現代 韓國漢字音 -o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o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u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oi-oi-ui형으로 나타난다. 8. 現代 韓國漢字音 -j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ju-wei-i형, ju-ei-ui형, ju-uei-i형, ju-i-i형으로 나타난다. 9. 現代 韓國漢字音 -jə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 -ue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으로 대응된다. 韓ㆍ中ㆍ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jəi-i-i형, jəi-uei-i형으로 나타난다. In this study, the phonetic system of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and their acceptance and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on the Group Zhi(止).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1. Sino-Korean -i type is matched in -i, -er, -ei, -ai type in Chinese consonants, and -i, -e, -o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for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odels are i-i-i, i-ei-i, and i-i-o. 2. Sino-Korean -ïi type is matched in -i type Chinese consonants, and -i, -e, -a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in Korea, China, and Japan are ïi-i-i and ïi-i-e/ïi-i-a types, indicating a high ratio. 3. Sino-Korean -a/-ai type is matched in -i type Chinese consonants, and -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in Korea, China, and Japan appear to be a/ai-i-i. 4. Sino-Korean -ui type is matched in -uei, -ua type Chinese consonants, and -i, -u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It can be seen that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in Korea, China, Japan are ui-wei-i type, ui-uei-i type, ui-uei-ui type and ui-ua-ui type, and the ratio is high. 5. Sino-Korean -u type is matched in -uei, -ei, -u type Chinese consonants, and -u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in Korea, China, Japan are u-uei-ui and u-ei-ui, u-u-ui indicating a high ratio. 6. Sino-Korean -uəi type is matched in -uei, -i type Chinese consonants, and -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s to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rms appear to be the uəi-uei-i and uəi-i-i types. 7. Sino-Korean -oi type is matched in -oi Chinese consonants, and -u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 of response pattern for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rms appear to be the oi-oi-ui type. 8. Sino-Korean -ju type is matched in -uei, -ei, -i type Chinese consonants, and -i, -u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in Korea, China, Japan are ju-wei-i, ju-ei-ui, ju-uei-i, ju-i-i, indicating a high ratio. 9. Sino-Korean -jəi type is matched in -i, -uei type Chinese consonants, and -i type in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The types of response patterns in Korea, China, Japan are jəi-i-i, jəi-uei-i, indicating a high ratio.

      • KCI등재

        소나무 수용 시조의 작품 유형과 그 의미

        변승구(Byun Seung-ku)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3 No.-

        소나무는 한민족의 삶과 오랜 시간동안 함께 해 왔으며 한국문학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소나무는 한국시가 문학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시조에도 상당수가수용되었다. 따라서소나무가수용된시조를살펴볼필요성이있다고하겠다. 본고는소나무가수용된시조를작품과작자분석을비롯하여유형과그역할과의미를밝혀보았다. 먼저 시조에 나타난 ‘소나무’의 작품을 살펴보았는데 ‘소나무’가 수용한 시조는 단시조가 148수이고 장시조가 43수로 총 191수가 확인된다. 양으로만 본다면 단시조가 3배이상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시조의 작자는 56명에 작품 수는 114수였다.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 인물은 김득연으로 12수이다. 한편 시기적으로 ‘소나무’의 수용은 조선조 전반에 두루 나타나고 있으며 양적으로만 본다면 주된 작자층은 문신계층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나무가 수용된 시조의 유형을 분류하였는데 유형은 단독과 조합, 그리고 상태와 공간이며 그 외 부산물과 소리 등이었다.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은 단독 유형인 ‘松’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합이 11항목에 51회, 다음으로는 ‘상태’가 11개 항목에 49회였다. 그 외 ‘공간’과 ‘부산물’, 그리고 ‘소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과 빈도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로시조에나타난소나무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소나무가수용된시조의유형은크게‘단독’과‘조합’, 그리고‘상태’와‘공간’이있으며그외‘부산물’과‘소리’로나눌수있다. 구체적으로 ‘단독’은 외형과 내면으로 나누어 그 속성을 살펴보았고 ‘조합’은 자연물과 식물, ‘상태’는 내 외적, 그리고 ‘공간’은 광의와 협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편 ‘부산물’은 가공물과 비가공물로 ‘소리’는 실제와 비유적 소리로 분류하여 고찰해 보았다. 끝으로 소나무 시조의 역할과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먼저 소나무가 수용된 시조는 다양한 유형화를 보이고 있다는 점과 소나무의 다양한 특성과 유형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소나무가 수용된 시조는 한국문학의 전통적 이미지를 계승 및 확대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이처럼 소나무가 수용된 시조는 다양한 유형화와 수용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 서 소나무를 비롯하여 다양한 소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면 시조의 미적 특질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A pine tree has shared it’s life with Korean people for a longtime and has been accepted in various ways on Korean literature. Pine trees have appeared on many Sijos, which represent Korean poetry literature. Therefore, it is worthwhile for a pine tree to be examined in Sijo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ypes of pine trees accepted in Sijo as well as to study the authors who are using pine trees as a writing material in their work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148 short Sijos and 43 long Sijos, which makes the total of 191 are accepting pine trees. 56 authors are using pine trees in their works whose total number of works is 114. Kim Dun Yeon is the one who used the pine trees most frequently in his 12 works. In the meantime, the acceptance of pine trees is found throughout the era of Joseon Dynasty and the main authors are civil ministers. I also classified the types of pine trees in Sijo, which are a pine tree itself, combination, the status and space and sound. The most frequent type is ‘松’ followed by combination of 11 categories, which is 51 times and 11 items for the status, 49 times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and frequencies ranging from ‘space’ and ‘by-product to ’sound’. Third, I looked at the types of pine trees which are accepted in Sijo. The types of acceptance of the trees are largely divided into ‘solo and combination’ and ‘status and space’ and ‘by-product and sound’. Specifically, I divided the ‘solo’ into the shape and inner shape, ‘combination’ into the natural objects and plants, ‘status’ into being internal and external, and ‘space’ into being broad and narrow to examine the aspect of acceptance of pine trees. On the other hand, the ‘by-products’ were divided into processed goods and non-processed goods and the ‘sound’ was divided into real sounds and figurative sounds. Lastly, I figured out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ijo with pine tre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ijos with pine trees show various types and accept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ine trees and succeed the traditional image of Korean literature. I have been able to identify that those Sijos show various aspects of acceptan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using various writing materials including pine trees in Sijo can enrich literary works.

      •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 고찰

        김성문(金成紋)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Vol.2016 No.08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세계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 로의 진입은 문학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사회로의 재편과 함께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정치 · 외교 · 사회 · 경제 ·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에 대한 교체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우리의 문학 또한 예외가 아니다. 시 · 소설 · 희곡 · 시나리오 등의 현대문학은 물론, 상대적으로 보수성과 전통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 고전문학, 특히 시조문학에서도 다문화는 작품의 주제와 제재로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즈음하여 본고는 2015년에 다문화를 대상으로 창작된 현대시조를 중심으로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론에서는 모두 5편의 연시조 작품에 수록되어 있는 15수의 시조를 분석하여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을 크게 둘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하나는 대체로 다문화를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인식하여 수용의 주체와 함께 살아나가야 할 공존의 대상으로 보는 경우로, 그 수용의 양상을 ‘우리로서의 다문화’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다문화를 기존의 전통성과 순수성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현상으로 인식, 차별의 관점을 통해서 다문화(의 대상) 를 타자화 하는 경우로, ‘너희로서의 다문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양상은 다문화에 대한 시인의 인식을 일컫는 것이라 아니라 텍스트에 수용된 다문화의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로서의 다문화’든, ‘너희로서의 다문화’든 다문화가 글로벌 시대의 보편적인 현상임을 인식하고, 모두가 소통하고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말하고 있다는 것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다문화를 수용할지 그렇지 않고 배척할지를 선택하는 시기가 아니다. 본고처럼 문학이 다문화를 어떠한 양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근본적인 목적은 바로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기 위한 소통과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기다. 그리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인류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데 기여하는 문학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전통연희의 무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

        김석만(Suk Man Kim) 민족미학회 2011 민족미학 Vol.10 No.2

        이 논문은 봉산탈춤의 창작과정을 다루고 있다. 논문은 전체 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 창작탈춤의 교육은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이어서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개설한 <전통연희의 무대적 수용>이라는 실습과목을 소개하였다. 전체 과정을 강의, 특강 18시간, 탈춤강습 12시간, 연구와 토론 6시간, 장면발표 12시간 등 총 48시간 동안의 케이스 스터디를 소개하고 있다. 탈춤의 구성요소로, 말, 탈, 춤, 판, 흥, 다섯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는데, 탈춤이나 전통연희를 잘 모르는 대학생들이나 일반인들에게 전통탈춤을 쉽게 접근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런 다섯 가지 요소를 가지고 탈춤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면, “말을 타고 춤판에서 흥을 내자”로 요약할 수 있다. 간결한 캐치프레이즈로 탈춤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있다. 이어서 봉산탈춤의 세가지 매력으로 불림, 등퇴장양상, 연풍대 춤을 설명하는데 이 부분이 이 논문의 핵심이라고 할만하다. 탈춤의 연극미학적 특징을 불림과 등퇴장의 기능에서 찾고 있다. 불림이란 장단이나 음악반주를 청하는 외침이지만 등장인물은 불림을 통해서 행동의 목적을 드러내고 있다고 본 것이다. 등퇴장 양상은 각 장면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대목으로써 장면구분을 통해서 구성의 기능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의 행동과 구성을 불림과 등퇴장 양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메르치아 엘리아데의 ‘환상적 실재’의 개념을 빌려서 전통연희의 현대적 수용에서 형식에 그치는 모방적 수용이 아닌 창조적 수용의 가능성과 경계해야할 형식적 입장을 지적하고 있다. 봉산탈춤의 현재적 수용이라는 명제아래 봉산탈춤의 창작적 요소를 명쾌하게 분석하여 이를 매개로한 창작과정의 실례를 케이스 스터디로 보여 주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creative process of Bong San Tal Chum. [Bong San Mask Danced Drama] This paper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1 raises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creative process might be possible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art forms into the contemporary performance. The author explains his personal but academic experiences when he have taught the subject of <전통연희의 무대적 수용, The Stage Adapt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at the School of Drama,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hapter 2 deals with the 5 plot elements as words, mask, dance, pan[stage], and heung [a hyped feeling]. Traditional performance, such as Bong San Tal Chum, is not familiar one among most of young generation. So, the author has created a sentence form the above five elements. “Let"s Ride a Horse with Heung in Chum Pan.” Next two chapters deal three attractives form Bong San Tal Chum and their dramatic functions. Those three are Bulrim[불림], Style of entrances and exits, Yeoun Pong Dae[연풍대, one of the dance expression]. Bulrim and the style of entrances and exits of each characters make this Mask Danced Drama so unique and very theatrical. Bulrim tells audience each characters" action and their purpose of entrance. The Style of entrances and exits form various characters helps audience to understand the plot structure.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borrows a concept of "fantastic reality" what Mircia Eliade (1907-1986) used to criticise the lifeless adaptation of Rumanian performance form its traditional arts form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piritual recreation of the performance environment from the past.

      • KCI등재후보

        <현몽쌍룡기> 연작의 <소현성록> 연작 수용 양상과 서술시각

        허순우(Hur, Soon-Woo) 한국고전연구학회 2008 한국고전연구 Vol.0 No.17

        국문 장편소설들이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는 하지만, 기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작'이나 '파생작'의 경우를 제외하면 구체적으로 어떤 작품들이 연관이 있고 또 전작에 대한 독서의 결과를 어떤 측면에서 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편이다. 그러므로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일은 국문 장편소설의 관련성을 뒷받침해주는 증거 수집의 일환으로써 의의가 있으며, 대상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현몽쌍룡기> 연작은 <소현성록>이라는 제명을 직접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소현성록> 연작의 인물과 배경, 사건 등을 수용하고 변용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작품을 창작경우로서 직접적인 파생의 관계에 놓여 있지는 않지만 기존 작품을 새로운 작품 창작에 활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창작 방법은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전작을 떠올리게 하고 두 작품을 견주어 읽도록 함으로써 적극적인 독서를 유도하고, 새로운 작품의 작가이면서 전작의 독자이기도 한 작가의 생각을 작품 내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인 소설 비평으로서도 의미가 있다. <현몽쌍룡기> 연작의 작가는 <소현성록> 연작으로부터 역사적 허구인물인 소황후를 차용하여 서사를 확대하는 과정에 활용했으며, 도덕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으면서도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과 관련해서는 도덕적 판단보다 가문의 안위를 우선에 두어 도성과 거리를 두고 자신들의 부와 명예를 추구했던 소씨 가문을 대표하는 자운산이라는 공간의 속성을 일면 이어받으면서도 배타성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재설정하기도 했다. 방일(放逸)한 남성 인물의 팔에 앵혈을 찍는 것과 같은 흥미 위주의 화소와 함께 본격적인 18세기 국문 장편소설에서는 보기 드문 첩 두기 화소를 수용하고 능력위주의 가권 계승을 옹호하면서도 다양한 가권 계승의 양상을 제시하여 독자들을 설득하려 했다. 수용과 변화의 지점들은 <현몽쌍룡기> 연작의 서술 시각을 대변하는 것들인데, <현몽쌍룡기> 연작의 작가는 <소현성록> 연작에서 단편적으로 언급되었던 사건들을 수용하여 서사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사건의 의미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기도 했으며, 사건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거나 개연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했다. 교훈을 나열하는 식의 구성에서 벗어나 하나의 사건이 다른 하나의 사건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고안했으며, 역사적 사실 또한 허구적 작중 인물이 경험하는 사건과 연결되도록 서술하고 있었다. 동시에 변화하는 국문 장편소설 독자층의 의식을 반영하여 가권 계승 등과 같은 문제를 일방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다양한 사례 제시를 통해 독자를 설득하려 했으며, 일부일처제 사회에서 살고 있는 여성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원비(元妃)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시켜나갔다. <현몽쌍룡기> 연작의 작가는 초기 국문 장편소설보다 노골적이지 않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하려 시도했으며, 소설의 교훈서로서의 측면과 함께 오락물로서의 기능에 대해서도 고려를 했던 것이다. They who study the Korean full-length novels recognize some of the novels are connected each others but the exact informations in terms of both which ones are influenced others and how the past-readers felt after reading the Korean full-length novels at that time are very restricted. And therefore it's a very meaningful study that compiling and studying the exact informations through the related novels. The series of <Hyeonmongssangryonggi> show how the series are accepting and changing the characters, backgrounds, events of the <Sohyeonseongrok> series. But in the series of <Hyeonmongssangryonggi>, but we can't find the direct mentions about <Sohyeonseongrok>. These ways of creation maybe reminded the past-readers of the former stories that they had read and helped them to compare through the related novels. So finally we can say that these ways of creation are a part of the novel critics, because the writers of these kind novels tried to show their feeling about the novels they had read. The writer of the series of <Hyeonmongssangryonggi> seems to try to expand the narration of <Hyeonmongssangryonggi> series with the character of So-empress taken from the series of <Sohyeonseongrok>. And The writer of the series of <Hyeonmongssangryonggi> seems to take over the meaning of the place Jaun-mountain(紫雲山), which represents the So family, and try to overcome that the So family's exclusion of the other family. The accepting and changing portions are representing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the series of <Hyeonmongssangryonggi>. At first, the writer of <Hyeonmongssangryonggi> series is trying to accept some contents in the series of <Sohyeonseongrok>, and then, trying to improve some range of probability in the series of <Hyeonmongssangryonggi> In other words, the writer of <Hyeonmongssangryonggi> series seems to consider both aspects, some lessons and some amusing entertainments.

      • KCI등재

        稼亭 李穀 散文의 『孟子』 受容 樣相

        양재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본고는 稼亭 李穀의 散文에 나타난 孟子의 受容 樣相을 살펴보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가정은 여러 작품 속에서 맹자의 구절을 다양하게 인용하거나 변용하여 글의 주제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시에 있어서도 자신의 생각이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구절을 인용하거나 새롭게 의미를덧붙여 표현했으나, 짧은 구절 속에서 표현을 해야 하며 자구의 수도 한정적이기 때문에 핵심 의미만을 인용하거나 짧게 변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산문의 경우는 이러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형식으로 수용및 변용이 가능하며, 여러 작품 속에서 사용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아래와같은 수용 양상의 일면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경문의 구절을 직접 인용한 경우에서 가정은 당시 왕들의 잘못된 정치인식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며 집정자들에게 올바른 사회관계의 정립을 요구하기도 하며 王道와 覇道에 대한 구분을 하며 맹자의 구절을 원숙하게 인용하였다. 둘째, 어휘 및 화법을 수용한 경우는 대체적으로 임지로 가는 관리나 여행을 떠나는 사람을 전별하며 보내는 글 속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한 가뭄의 원인에 대해 밝힌다는 논술적인 글인 「原水旱」에서도 맹자 특유의 어휘와 화법을 수용하며 당시 정책에서 임시변통의 구제는 소용이 없다는 논지를 밝혔다. 셋째, 논리 및 전개방식을 수용한 경우는 맹자의 전개방식을 여러 편에서가져와 변용시키기도 하며 문장의 단락 구분과 전개과정을 수용하였다. 또한맹자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인 問答法과 詩書의 인용 방식을 수용함으로써글의 주제와 논지를 강화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