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재난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의 모색

        강희숙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history of mankind is a history of disaster. Thus, human beings have documented various types of disasters that have led to tremendous changes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meanwhile, they have continued their efforts to overcome and heal the traces and wounds left by disasters, as well as to constantly repeat or reconstruct stories based on memories and perceptions of them. This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focused on two of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issues among the discourses that should be assumed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agenda, <memory, narration and healing of East Asian disaster, and establishment of disaster humanities>: What is disaster humanities and Why East Asia?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on “What is Disaster Humanities?”, it was also regarded as the study that places ‘human’ at the center of access to or research into disasters, on the premise of the problem that disaster, above all else, is focused on the question of ‘human life’, and humanistic approach to find the meaning of values and there human decency is requested. The areas of interest in disaster humanities were presented as the history of disasters based on human memory and records of them,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m, response to them and patterns of narration, changes in shock and psychology induced by disasters, and the resulting trauma and healing, etc. On why East Asia, it seem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thinking of setting East Asia as a unit for one reason is essential, especially when it comes to disaster research or social or national level responses to disasters, on the premise that Korea, China, and Japan are one community where none of them can be excepted when it comes to disasters. This is because the time and space axis of East Asia can be expected to prepare a common ground for the memory and healing of disasters and to provide a clue to share their solidarity against transnational disasters. 인류의 역사는 곧 재난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류는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을 문헌 자료에 기록하는 한편, 그에 대한 기억과 인식을 토대로 한 이야기들을 끊임없이 반복하거나 재구성해 내는 작업과 함께 재난이 남긴 흔적과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해 내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동아시아 재난의 기억, 서사, 치유-재난인문학의 정립>이라는 연구 아젠다의 수행과 관련하여 전제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담론들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근본적인 문제 두 가지, 곧 ‘재난인문학이란 무엇인가’와 ‘왜 동아시아인가’에 초점을 맞춰 논의가 이루어졌다. 논의의 결과 ‘재난인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재난은 다른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거기에서 가치와 인간다움의 의미를 찾으려는 인문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문제라는 전제하에 재난인문학 역시 ‘인간’을 재난에 대한 접근 또는 연구의 중심에 두는 학문이라고 보았다. 재난인문학의 관심 영역으로는 재난에 대한 인간의 기억과 기록에 바탕을 둔 재난의 역사, 재난에 대한 인식의 변화, 재난에 대한 대응 및 서사화 양상, 재난에 의한 충격과 심성의 변화, 이로 인한 트라우마와 치유 등을 제시하였다. 그다음 ‘왜 동아시인가’에 대해서는 ‘동아시아’에 속하는 국가들 가운데서도 특히 한, 중, 일 세 나라는 재난에 관한 한 어느 한 나라도 예외일 수가 없는 하나의 공동체라는 전제하에 재난 연구 또는 재난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대응에 관한 한 우리에게는 ‘동아시아’를 하나의 사유 단위로 설정하는 사고의 변혁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동아시아라는 시공간적 축은 재난의 기억과 치유의 공동성을 마련해 초국경적인 재난에 맞서는 연대를 함께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재난인문학’의 실천 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론 - 치유론을 중심으로 -

        박승현 ( Park Seung-hy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재난인문학’이란 개념은 우리 학계에서 아직 생소한 용어이지만, 재난에 대한 과학 기술적, 경제적 접근을 넘어서 인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고, 그 대응의 방안을 찾아가려는 목적에서 문학, 역사, 철학 등 학제간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학술적 활동이라고 일차적인 정의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재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러한 재난이 한번 일어나게 되면 필연적으로 우리 삶의 일상성을 무너뜨리고, 사회와 자연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심각한 사고이고, 사건이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인간이 삶의 터전인 이 땅 위에 존재하는 한, 새로운 하루를 맞이하지 않을 수 없듯이, 재난이란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하여 새로운 희망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분 인간은 자신의 불행을 방치하지 않는다. 언제나 직면한 사태에 대한 의미 분석을 위한 새로운 물음과 관점의 전환을 통하여 삶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고, 현실의 고통을 극복해 가려고 한다. 재난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개인적·사회적인 극복 의지를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휘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보다 나은 목적의식을 가지고 세상을 바꾸는 힘은 오직 인간에게서만 나올 수 있다. 인류를 포함한 전 지구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인간밖에 없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일 것이다. 그래서 현재 전 지구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재난극복과 미래의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손에 달려 있는 것이고, 그것은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재난인문학은 실천인문학이다. 치유는 재난을 경험하고 마주한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따라서 치유를 말하는 ‘인문학’은 단지 이론을 탐구하는 학문적 영역을 넘어서, 인간이 직면하는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학’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에서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과 같은 객관적인 지식 탐구로서 분류된 학문적 영역에 머무는 인문학이 아니라, 구체적 삶의 현장에서 ‘자기완성’과 ‘공감 능력’을 발휘하는 ‘실천 인문학’은 바로 이러한 재난극복의 의지 발현을 위한 방향성 결정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재난 극복을 위한 실천 방법의 원리로 ‘반물화反物化’의 원칙과 ‘관점의 전환’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에 대하여 인문학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재난이란 불행을 낳은 현실의 부조리함에 대하여 비판적 사유를 진행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의 방향성과 이상의 제시를 통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확보하려는 작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disaster humanities' is unfamiliar to our academic community, but it can be defined as an academic activity that attempts to interpret, understand and respond to disasters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beyond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economic approaches. There are various kinds of disaster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nce such a disaster occurs, it is a serious event that inevitably breaks down the daily life of our lives and drastically changes socie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long as humans exist on this land, where we live, we cannot help but face a new day, so ev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of disaster, we cannot but say new hope to lead their lives. Most humans do not neglect their misfortunes. People always try to redefine the direction of life and overcome the pain of reality by changing their perspectives and question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situation they face. There are various ways to overcome disasters, but the results will vary depending on in what direction and how we exercise our personal and social will to overcome them. The power to change the world with a better sense of purpose can only come from humans. It would be a fact that only humans can determine the fate of the entire planet, including humanity. So it is in human hands to overcome the disasters that are causing the current global crisis and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life, and it is bound to appeal to human will. Disaster humanities are practical humanities. Healing is what happens at the scene of a specific life experienced by a disaster. Therefore, "humanities," which refers to healing, play a role as "practical learning" to solve the pain faced by humans, beyond just the academic realm of exploring theories. Rather than humanities that remain in academic areas classified as objective knowledge exploration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universities, "practical humanities" that display "self-completion" and "sympathy" in the field of concrete lif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direction. As the principles of practical methods for overcoming disasters, the "principle of anti-materialization" and "transition of perspective" may be presented. Therefore, attempting a humanistic approach to disaster is to proceed with critical thinking about the absurdity of the reality that caused the unhappiness of disaster, on the other hand, to overcome the pain of reality,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and ideal of human life. It can be understood as a work to secure dignity.

      • KCI등재후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의 방식 -연동 작용과 반영 관계에 대해

        정명교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Since the diversification of the disciplin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has been the very important agenda of the intellectuals. But despite of vehement aspirations, the separation of two sectors has only deepened. In regard of this situation, firstly, I reviewed critically the former attempts which have intended to bridge these heterogeneous spheres. Secondly, I confirmed the necessity of the correspondence of two. And finally, I groped what is the effective form of the communication. The result of my review is as follows. On the first subject, I’ve reasoned the impossibility of using “complementarity” as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disciplines, which had been taken for granted and therefore not question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 have deduced that using the form of complementarity could lead to commercializing of the human creativity and knowledge that we see preval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al Technology. On the second subject, I confirmed that the truth is identical to all the disciplines and this fact affords a basis for the impossibility of the complementarity. But I also gave considerations to the autonomy of the each disciplines- the real information and tools which each discipline handles are so different that, we must say, any immediate path between disciplines doesn’t exist. Taking a reflection upon these two contradictory problems simultaneously, I concluded that the truth which every disciplines pursue equally is not transcendental, but it comes gradually into view as synthetic result of incorporating the discoveries that each discipline will make respectively. The truth changes successively as the activities of discipline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m evolve. On the final subject, first of all, I examined possible methods of cooperation and form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ines, specifically, between the human studies and the natural sciences except the complementarity. I concluded that the form of relationship is linkage (gearing) and the method of cooperation is mutual-reflection between the standpoints of each discipline which try to find out the truth. Lastly, I confessed that the my two concepts, linkage and reflection as the form and method of the encounter between two disciplines, are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n the evolution in the natural sciences, in particular, in the evolutionary theory, and its linkage to the humanities. 학문의 분화 이후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은 오래 전부터 중요한 학문 세계의 의제로 추구되어 왔다. 그러나 소망과는 달리,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분리는 더욱 심화되어왔다. 이 글은 첫째,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에 교량을 놓으려는 현재까지의 시도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만남의 필연성을 확인하는 한편, 셋째, 그 둘의 만남의 바람직한 방식이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이 검토와 모색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제에 대해, 한편으론 오랫동안 두 학문의 만남의 자연스런 방식처럼 여겨져 질문되지 않았던 ‘상호보완’의 방식이 불가능함을 논증하고, 다른 한편으로 오늘날 세속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인문학과 응용 기술(IT) 사이의 만남의 방식이 기본적으로 상호 보완의 방식에 근거해 있으며, 그 결합의 실제적인 결과는 인문학적 지식의 상품화라는 것을 살펴 보았다. 두 번째 주제에 대해,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추구하는 진리는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바로 이 사실이 상호 보완적 방식이 불가능한 근원임을 살폈다. 그리고 동시에 이 공통된 진리는 결코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각 정신영역의 활동의 합동의 결과로서 점차로 드러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그리하여 진리는 어느 하나의 정신영역(학문)의 담론체계로 환원되지 않으며, 진리는 정신영역들의 활동과 그 관계가 진화함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을 명제로서 제시하였다. 세 번째 주제에 대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협력의 실제적인 방식은, 반영 관계에 근거한 연동작용임을 논증하였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각자 자율적인 기제를 갖추고 진화하고 있어서, 그것들을 만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회전수차들을 통해 물이 전기로 바뀌듯이, 혹은 단백질의 촉매작용이 물질을 생체 에너지로 바꾸듯이, 특정한 매개 작용에 근거한 이질적 영역들의 병발적이거나 추동적이거나 종합적인 운동임을 논증하였고, 그것을 연동이라 명명하였다. 다른 한편, 이 특정한 매개작용의 불가피성을 확인하고, 이 매개작용은 상호반사관계, 즉 반영관계를 통해서 성립한다는 점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지를 구성하게 된 계기가 자연과학, 특히 진화론의 거듭된 자기 갱신의 양상들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었음을 밝히고, 지금까지의 논지 자체가 이 논지의 논리적 체계가 제시하는 바와 같은 방식의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만남의 결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재난인문학 정립’을 위한인문학의 함의와 역할에 대한 분석

        박승현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term “Disaster Humanities” is still new in our academic area.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interpret and find ways of responding to disasters that conflict with the wishes and the intentions of human beings in pursuit of happiness. In order for the concept of Disaster Humanities to have practical meaning, it is imperative to answer the question at which point the humanities could involve into the disasters which mean painful and tragic parts of our realities. Furthermore, it seems that which implications the humanities here have and what its role need to be discussed consistently. In such society, the anxiety and sense of crisis that the entire ecosystem including human beings may face destruction always suppress us. To prevent this risk from being reality and turning into disaster, we must find the ways to revise existing paradigms and perspectives of the world. If nothing has changed in the view of our world, the future of mankind would be dark. At this point where disastrous situations have potential dangers, there is possibility of involvement of ethical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In fact, there is nothing but humanity who determine the fate of mankind. In order to eliminate the current “risk society”, we cannot help but call for a shift in our established way of life and the values. Such changes of the values depend on the will of human. The manifestation of human will be for realization of human ideals, which must be based on ‘internal morality’. Standing ‘internal morality’ on the basis means a sense of coexistence in which humans not only affirm their own existences but acknowledge otherness. To overcome selfish desire to only pursue one’s own survival and then realize life together suggests that human beings achieve humanity. This is where the role of the humanities is revealed. ‘재난인문학(Disaster Humanities)’이란 용어는 우리 학계에서 아직 생소하다.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삶의 의도와 바람과 상치되는 재난에 대하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 그 대응의 방법을 찾아나가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재난인문학’이란 개념이 실질적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재난이란 고통스럽고 비극적인 현실의 문제에 대하여 ‘인문학’은 어느 지점에서 개입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이 우선되어 보인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여기서 말하는 인문학이란 어떤 함의(含意)를 담고 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사회는 위험사회라고 정의된다. 그러한 위험사회 속에서는 인류를 포함한 전 지구의 생태계가 파멸의 위기에 직면할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위기감이 늘 우리를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이 현실화하여 ‘재난’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기존의 삶의 패러다임과 세계관을 변화시킬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만약 세계관의 대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인류의 장래는 어둡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인류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이러한 ‘위험’을 내재한 재난의 상황에 윤리 철학, 그리고 인문학이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이다. 지금의 이른바 ‘위험사회’의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존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의 전환을 요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가치관의 전환은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의지 발현은 인간의 이상 실현을 위한 것이고, 그 이상은 바로 ‘내재적 도덕성’에 기반해야만 한다. ‘내재적 도덕성’에 기반한다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함과 동시에 타자성을 인정하는 공존의식을 발현하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실현한다는 것은 자신만의 생존을 추구하는 이기적 욕망을 극복하고, 타자와 더불어 삶을 실현하는 것이다. 바로 이 부분에서 인문학의 역할이 드러나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전쟁소설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억과 침묵

        김영미 ( Kim Young-m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재난 서사를 대표하는 조선시대 전쟁소설 「강도몽유록」, 「최척전」, 「김영철전」, 「박씨전」을 ‘여성’과 ‘기억’의 관점에서 읽어보았다. 전쟁은 남녀 모두에게 참혹한 상처를 남기는 사회재난이지만 그 영향력은 여성에게 더 폭력적으로 다가온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선시대 전쟁소설 속에 형상화된 여성의 목소리를 탐색해 보았다. 공식기억에서 배제된 여성들이 17세기 전쟁소설 속에서는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어떤 여성을 기억하고 있는지, 그 기억의 작동 원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17세기 조선시대 전쟁소설 속에서 여성들의 고통은 전장(戰場)의 주체가 아니라는 이유로 주변적인 것으로 처리되든지 아니면 ‘열(烈)’이라는 프리즘을 투과시켜 논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꿈이라는 틀을 통해 죽어서야 말할 수 있었던, 그것도 자살로 정절을 지킨 여성들만이 말할 수 있었던 「강도몽유록」의 귀녀(鬼女)들이나 살아서 정절을 잘 지켜내고 말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최척전」의 옥영 같은 여성이 있었다. 이 여성들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자신의 정절을 증명해야 했다. 정절이 증명된 여성들만 기억하고 기려서 15명의 귀녀들처럼 본인들의 슬픔을 맘껏 통곡할 수 있었고, 옥영처럼 온 가족이 행복해질 수 있는 자격을 가지게 된다. 또한 남성 중심의 서사 이면에서 전쟁의 폭력성을 소리죽인 울음으로 견뎌야 했던 「김영철전」의 아내들이 있었다. 이들의 고통은 문면(文面)에 드러나지 않고 김영철 뒤에서 침묵해야 했다. 후대 「김영철전」 한글 이본들에서 ‘여성 인물에 대한 서술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숨어서 고통당하는 아내들의 존재를 찾아내고 그녀들의 아픔에 공감하면서 새롭게 그녀들을 기억하고자 한 결과이다. 한편 「박씨전」은 실제적인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한다기보다 ‘피화당(避禍堂)’이라는 환상적 공간을 통해 전쟁으로 인한 여성들의 통곡과 울음을 우회적으로 위무하고 있다. 이는 역설적으로 병자호란 당시 여성을 보호할 ‘피화당’ 같은 유토피아적 공간은 절대 존재하지 않았으며 포로로 잡혀간 수많은 부인네들의 통곡을 상기시킨다. 울음과 통곡만으로 전란의 참혹함 속에서 죽어간 원한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런 원한을 조금이나마 삭일 수 있는 것이 자유로운 감정 표출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쟁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들의 숨죽인 울음과 대성통곡은 기억해야 할 중요한 한 부분이다. I’ve read Gangdomongyurok, Choicheokjeon, Kimyoungcheuljeon, Parkssijeon, the war novels of the Joseon period, which are representing disaster narr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and memories. War is a social disaster leaving horrible scar on both men and women, but its influence is much more violent toward women. Having a critical mind on this, it searched the women's voice embodied in the war nove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It examined how women excluded from official memory are embodied in 17th-century war novels, what kind of women they remember, and how the memories work.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women's pain in the war novels in the 17th century Joseon was treated as peripheral because it was not the subject of the battlefield, or it was discussed by passing through a prism called ‘virtue(烈)’. There were women who could say only after death through the framework of dreams, at that, the women who kept their chastity by suicide could say, like the ghosts in Gangdomongyurok or Ok-young in Choicheokjeon, who obtained the right to speak as she kept her chastity during her life. These women had to prove their chastity on whether alive or dead. Since only women with proven chastity can be remembered and cherished, they could wail their sorrows as much as they could like the 15 ghosts, and they could be qualified to be happy for the whole family like Ok-young. Also, there were wives in Kimyoungcheuljeon, who had to endure the violence of war with muted tears behind the male-dominated narrative. Their pain shouldn't be revealed and be kept silent behind Kim Young-chul. It made the 'extension of narrative on woman character' in the later different editions of Kimyoungcheuljeon, and it is the result of finding the existence of wives who are suffering behind, and trying to remember them newly by sympathizing with their pain. Meanwhile, in Parkssijeon, it indirectly pacifies the wailing and crying of women caused by war through a fantastic space called ‘Pihwadang(避禍堂)’,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actual voice of women. This, paradoxically, reminds that there was never a utopian space such as the "Pihwadang" where women could be protected dur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but the wailing of many wives who were taken a prisoner. Only with crying and wailing, it can't erase the resentment that died in the horrors of war. However, the free emotion expression could repress the resentment even a little bit. In this respect, the women's soundless cries and loud wailing in the war novels are the significant part to remember.

      • KCI등재

        비판적 인문학과 ‘촛불'

        유희석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0 No.65

        This essay is a theoretical engagement with the reality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now facing. Its pivotal argument as a rigorous analysis as critical humanities on current affairs in South Korea is composed of one major thesis and its two attendant minor ones. The major contention is that the hair-splitting result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s the evidence of ‘the candlelight’ being alive; the candlelight that represents the public yearning for a wholesome country that has grown to be deeply rooted in the soil of fairness, justice, and common sense in the process of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un-hye. This premise that distinguishes between mere partisan supports and public sentiment that is revealed in the form of candlelight is logically followed by two minor premises. One is that the intellectuals’ perspective that the change of power made by the opposition party is a grave damage or threat to ‘the candlelight’ is just a partial truth. It is eventually a misleading observation that is subservient to the vested interests parasitic on the binary party system. The other one is that while the onset of Yoon Suk-yeol government has the potentialities of a relapse into the era of bygone ‘Leemyungparkgunhye’ or of the rise of neoliberal conservatism, it provides a felicitous chance of radical reflections on the meaning of ‘the candlelight.’ 본고는 ‘현실정치’의 기저 논리를 비판적 인문학의 자세로 읽어내려는 학술 시론(時論)이다. 불편부당의 비판정신을 인문학의 기본으로 간주하는 이 글의 핵심 주장은 한 개의 대전제와 두 개의 소전제로 구성된다. 대전제는 20대 대선(2022. 3. 9)의 결과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과정에서 공정과 정의, 상식의 토양에 더 깊게 뿌리내린 촛불의―‘촛불 민심’의―건재를 말해주는 증좌라는 것이다. 촛불 민심을 정당 중심의 정파적 지지나 여론과 구분하는 이 전제에는 소전제 두 개가 논리적으로 따라붙는다. 하나는 ‘국민의 힘’으로의 정권교체를 ‘촛불’에 대한 중대 타격으로 간주하는 시민사회 및 지식계 일각의 주장은 일면의 진실일 뿐, 기득권 거대 양당의 대결 구도에 매몰되어 기득권체제를 지속시키기 십상인 파당적 관점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윤석열정부의 등장은 ‘이명박근혜’로 통칭된 왕년의 퇴행적 보수정권으로의 회귀와 신보수주의의 발호로 이어져 분단체제를 파국으로 몰아갈 위험성이 다분한 사건인 한편, ‘적폐청산’을 오용한 문재인정부의 성취와 한계를 근본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도 된다는 것이다. 한국이 현재 직면한 대내외 현실을 염두에 두는 본고는 이같은 대전제에서 출발하여 소전제들의 정치적 함의를 규명하려는 시론(試論)이다. 그로써 뭇사람들의 본마음이 밝힌 ‘촛불’이 불편부당에 더 깊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는 공부야말로 인문학의 본질적 과제임을 역설한다.

      • KCI등재후보

        공자의 인문학 강의와 인간의 삶 -공자의 문학교육과 역사교육의 인문치료적 의미에 대하여

        유강하,김호연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최근 우리 학계에 대두한 인문치료(人文治療; Humanities Therapy)는 인문학의 치유적 역할을 복원하여 인문학의 실용성과 그에 기초한 인문학의 위상과정체성을 확립해보려는 시도로서, 인문학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학문들인 문학․역사․철학을 활용하여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문치료는 인문학적 기제와 방법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의학이나 심리학에서가능한 치료와는 차이가 있다. 우선 의학에서 인간의 몸과 정신을 주요한 치료의대상으로 삼는다면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심리를 주요한 치료 대상으로 본다. 그러나 인간의 심리나 육체를 대상으로 한다면, 이는 인간을 대상화하게 됨으로써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Humanities Therapy is an ambitious attempt to obtain healthy and happy life using Humanities(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Humanities Therapy is different from medical treatment or psychotherapy because of the peculiar method and in that the object is the life of human itsel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riental model for naturalization of Humanities Therapy. We can find the clue from Confucius. Confucius especially emphasized Shi-jing(『詩經』) and 'fact' and they can be Literature and History. Confucius reminds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himself, and says that History gives the enlightenment of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溫故知新). Confucius viewed the life of individual person in relationship and by doing so made it clear that the individual person is social being. The instruction of Literature and History which Confucius told about will be the advice and remedy for all the people who were wounded and suffering pain and had to live their lives in various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1880년대 후반~1890년대 전반기 조선의 프랑스 인식

        현광호 ( Kwang Ho Hy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4

        조선인들은 계급별로 프랑스에 대한 태도가 달랐다. 유생, 군부, 관료 집단은 대부분 천주교에 적대적이었으며, 고종도 선교사들에 호의적이지 않았다. 지배층이 천주교에 적대적인 입장을 보인 것은 천주교가 유교를 대체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다음으로 지배층이 천주교에 적대적인 입장을 보인 것은 선교사가 개종자에게 조선 관리들에 대한 조세저항을 고무했기 때문이었다. 또 프랑스의 공격적 전교활동도 지배층의 반감을 야기한 것으로 보여진다. 민중이 프랑스인을 배척한 것은 어린이 유괴 등 인륜을 위배했다는 것이 중대 사유였다. 다음으로 민중은 프랑스인의 천주교 전교를 경계했으며, 조선의 법률을 위반했다는 사유로 프랑스인을 적대했다. 그러나 조선사회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천주교에 대한 적대심도 완화됐으며, 일부 조선인은 프랑스 상품을 선호했다. 고종은 프랑스를 영국·미국·러시아와 대등한 열강으로 인식했다. 고종과 각료들은 1884년 청불전쟁에 큰 관심을 표명했다. 청불전쟁의 결과는 조선의 안전 및 독립과 큰 연관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고종은 열강이 조선을 독립국으로 인정하기를 열망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구미 각국에 공사관을 개설하고자 했다. 고종은 1887년 9월 내무부 협판 조신희를 특명전권공사로 수교 국가들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태리, 러시아에 파견하기로 결정하고 플랑시가 방한하기 전인 11월에 출국하게 했다. 고종은 프랑스를 외교수단으로 활용했다. 고종은 청 일을 경계했으며 청 일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고자 한반도 중립화를 추구했으며, 그를 위하여 열강 중에서 중립화를 보장하는 집단을 창출하려는 희망을 가졌다. 프랑스는 조선의 중립화를 보장하는 주요 열강이었다. 고종은 프랑스를 군사력 증강 수단으로 활용했다. 고종은 프랑스로부터 차관을 도입하고자 시도했다. 고종은 거문도 사건, 청의 파병, 청일전쟁, 러일전쟁 등 국권침탈 위기를 인지할 때 프랑스를 중재수단으로 활용했다. 수교 이후부터 대한제국 수립에 이르는 시기에 나타난 조선의 프랑스인식의 변화는 대한제국기 대프랑스 우호정책으로 이어졌다. The ruling class of Korea mostly opened hostilities toward catholic priest. The ruling class opened hostilities toward catholic priest on the ground that catholicism would be ruined Confucian culture. Also The ruling class opened hostilities on the ground that catholic priest made devotee refuse payment of taxes. The antipathy toward catholic priest was linked attack toward French man. The mass of people opened hostilities toward French man an act contrary to morality and violation. After the mass of people gradually appeased hostillity toward catholic priest, But The ruling class hold fast to hostilities toward catholic priest. King Kojong was cautious of Chinese policy to Korea. He tried for a molt from interference in the domestic affairs by China. King Kojong recognized that France was a Big Power. He approached to France for safeguard of sovereignty. He expected victory of France in French-Chinese war on the ground of conserv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King Kojong accredited Minister plenipotentiary to France in 1887. He was cautious of an augmentation of Chinese influence on Korea Army in 1889. He planned tempt France to check China`` invasion. As a result He waged the military diplomacy with France. At the same time He investigated Korea-France alliance, King Kojong took notice of France as guarantee state for Neutrality, As a result He hoped that France would use one`` influence in conclusion of international treaty for Independence of Korea.

      • KCI등재

        죽음 조희일(竹陰 趙希逸) 시세계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김기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Jo Hee-il was a writer who worked as a bureaucrat in the middle of the Choseon Dynasty. His father is Jo-Won (趙瑗) and his mother is the daughter of Lee Jun-min. He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competence from an early age, and was active as an employee officer of Yugeun who was a guest hospitality bureaucrat. He had a close relationships with Lee Jeong-gu, Cha Cheon-ro, Heo Gyun, and Kim Sang-heon, who were famous at the time. In 1678 (the 4th year of King Sukjong), Son Chi-mi (孫致彌) came as an envoy and collected Joseon poetry and compiled 'Choseon Chaepungnok (朝鮮採錄)', at that time, he adopted two poems by Cho Hee-il His literary works is Juguemjip (竹陰集), which was published in woodblock print by his son Jo Gyeong-man in 1681 in Taein, and in 1704, his great-grandson Jo Jeong-man supplemented it and published an intermediate version. As he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competence early, he strongly expressed his will to brighten the country through literature, and through this, he also expressed his pride as a bureaucrat. On the other hand, he laments in the face of a situation where his aspirations and the phenomena of the world are at odds, but he does not get caught up in it and is aiming for a state of “Zwamang” to overcome it. This allows him to continue to be interested in the reality as his bureaucrat and to look at it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thereby showing his critique of his absurd state. 조희일은 조선 중기 관료로 활동했던 문인이다. 아버지는 조원(趙瑗), 어머니는 이준민 딸이다. 일찍부터 문학적 역량을 공인받았고 원접사 유근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했다. 그는 당시 명성이 높았던 이정구, 차천로, 허균, 김상헌 등과 교유했다. 1678년(숙종 4)년에 손치미(孫致彌)가 사신으로 와서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조선채풍록(朝鮮採風錄) 을 엮었는데 조희일 시 2편을 넣음으로써 그의 문학적 명성도 높았다. 그의 문집은 죽음집 인데 아들 조경망이 1681년 태인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했고, 1704년 증손인 조정만이 증보하여 중간본을 간행했다. 그는 문학적 역량을 일찌감치 인정받은 만큼 문학을 통해 나라를 빛내고자 하는 의지를 시에서 강하게 표출했고 이를 통해 관료로서의 자부심도 담아내고 있다. 한편으로 자신의 포부와 세상의 현상들이 어긋나는 상황 앞에서 탄식하지만 그것에 매몰되지 않고 극복하고자 ‘좌망(坐忘)’적 태도를 지향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이는 그가 관료로서 현실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데 그럼으로써 부조리한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도 보여준다. 한편으로 유배 기간 동안에는 유배 생활의 고난을 한탄하면서도 목숨을 살려주는 은혜를 베푼 임금에게 감사하는 감군은(感君恩) 마음을 드러냈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한국 유교의 성찰과 전망 - 우리철학 총서 집필내용을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kyeong ),홍정근 ( Hong Jung-geun ),이종란 ( Lee Jong-lan ),김현우 ( Kim Hyon-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 논고는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의 총서사업인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의 유교분야 중간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유교분야 연구는 ‘리(理)의 철학’, ‘심(心)의 철학’, ‘기(氣)의 철학’, ‘실(實)의 철학’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이론적 계승과 변용, 실천적 대응을 고찰하였다. 리(理)의 철학은 전통 성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후기 호락논변(湖洛論辨)의 전개와 변용을 심도있게 검토하였다. 호락논변은 인간과 동물의 성(性)에 대한 이견에서 출발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양자의 종합을 지향하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학설로 이어졌다. 심(心)의 철학은 조선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학파의 후기 사상과 실천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후기 하곡학파의 사상은 개인수양을 넘어 사회비판론을 포함한 일진무가(一眞無假)의 실학(實學)으로 확장되어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운동을 주도하였다. 기(氣)의 철학에서는 양명학과 노장학을 매개로 서학을 수용하여 현실에 접목시킨 홍대용, 이규경, 최한기 등의 기 철학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서양의 신(神)관념을 비판하고 전통적인 음양오행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기 철학을 수립했다. 실(實)의 철학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실학(實學)’ 개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그 보다 상위 개념으로써 실의 철학을 분석하였다. ‘실학’이란 말은 『중용장구(中庸章句)ㆍ서(序)』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현재까지 4가지의 범주로 발전해 왔다. 본 논고에서는 그 중 근대시기 형성된 ‘실학’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이후 형성된 ‘실학’ 개념 속에 있는 맹목적 서구 수용관을 비판하고, 동시에 국가와 민족을 중시하는 새로운 실의 철학의 등장도 함께 고찰하였다.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 전통 유교철학의 논리적 심화와 현실대응을 통섭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당대 유교지식인들의 철학적 고민과 대응은 현재 우리들의 삶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전통의 몰락과 극복, 그리고 재구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우리 철학을 세워나가는데 중요한 선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is a summary of the mid-results of the interim study, "Woori Philosophy, How do we study it?" of the Confucianism field of Woori Philosophy Institute, Chosu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we studied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e change, and the practical question of each, by subdividing into ① the philosophy of Li(理), ② the philosophy of Sin(心), ③ the philosophy of Gi(氣), and ④ the philosophy of Sil(實). The philosophy of Li studied deeply about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late Ho-Rak theory(湖洛論辨)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y was originally born out of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human and animal, but in the late period, it became a new theory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wo,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the two schools. We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modern values co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o-Rak theory. The philosophy of Sim examined the later thought and practice of the Hagok school(霞谷學派) of the Yangming school(陽明學) of Joseon. The late Hogok school expanded the realist school(實學) included social criticism, and led the movement of Chosun Studies(朝鮮學)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Hagok school, we also search for and sort out the modern Yangming scholars who have not been known. The philosophy of Gi studied philosophy such as Hong Dae-yong(洪大容), Lee Gyu-Gyeong(李圭景), and Choi Han-gi(崔漢綺), which received and accepted the West School(西學) which was valued as a heretic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ey denied the idea of worship in the West 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pentagram, and instead established a fundamental and philosophy of Gi. In this study, we will proceed with a deeper examination of the philosophy of Gi and its contemporary application. In the philosophy of Sil, we first cla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ilhak(實學) and the original Silhak(實學). Silhak have come out in Moderation(中庸) and do not simply mean scienc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criticized the current "practice" or “reality” concept known only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Sil, which criticizing blind Western acceptance in modern times and giving priority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ilhak and the view of the nation after the 1920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each field are different, but it is the same as that which emphasized Korea's subjective awakening and fulfillment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inheritance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works to deal with the actual change is very effective in modern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