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컨설팅

        조영숙(Cho, Young Sook)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미래교육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여교사들의 장학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높이고자 학교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업장학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학교장 중심의 수업장학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여교사의 자발성과 전문성을 보장해주는 새로운 장학기법으로 아직은 개념적 수준에 머물고 있는 수업컨설팅을 채택하여 직접 실행해 봄으로써 수업컨설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한편, 그 결과를 토대로 수업컨설팅이 가진 의의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수업컨설팅의 개념 및 의의를 살펴보고, 둘째, 수업컨설팅의 모형을 직접 학교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의의를 도출함과 아울러 한계도 짚어 보았다. 구체적으로 기존 장학과 컨설팅 이론을 결합하여 수업컨설팅에 접목해 보면서 기존 장학의 문제점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교사들의 문제해결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를 학교 현장에서의 실행을 통해 알아보고자 수업컨설팅의 5단계 절차모형을 구안하여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 적용하는 절차모형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준비, 진단,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실행, 종료의 단계에 따라 수업컨설팅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가 진행될수록 의뢰인은 근무시간 이외에도 언제든지 컨설팅을 받으려 했고, 컨설턴트 역시 전문적 소견을 쌓기 위해서 휴일에도 연수를 받는 등 자신을 위안 투자에 시간을 할애하며 심도있게 자문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켰다.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노력이 더해지면서 의뢰인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성을 띠게 되어 컨설턴트의 자문을 선택ㆍ실행함으로써 결국 수업컨설팅의 종결 단계에서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즉, 수업컨설팅은 수업개선을 하고자 하는 교사의 태도를 매우 적극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컨설턴트 또한 실질적 자문을 위한 자기 계발 연찬과 연구를 지속하였고, 컨설팅 종료 후에는 의뢰 교사가 또 다른 컨설턴트가 되어 동료 간의 컨설팅이 확산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에 교사의 자발성과 전문성에 바탕을 두는 수업컨설팅 특성상 교사의 요청이 없는 수업컨설팅은 실행될 수가 없으며, 요청이 왔다 하더라도 그것을 이끌어줄 전문성 있는 컨설턴트가 없다면 그것 또만 실행해서는 안될 일이므로, 수업컨설팅의 소개와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실천하는 연수를 실시하며, 수업컨설턴트의 전문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한편 컨설턴트로 선정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찬의 기회를 마련하여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의뢰 교사의 수업 능력이 현저히 개선되고 향상되었다면 그것을 격려해주고 인정해주는 교육풍토 조성과 함께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아낌없이 돌려준 컨설턴트에게도 포상이나 인사 제도에 있어 보상을 해주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수업컨설팅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학교 현장에 일반화하여 정착시킨다면 교직 전체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큰 일조를 할 것임을 의심치 않는다. This research began from a critical mind about instructional supervision that has been done to stimulate female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about promotion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help people understand about instructional consulting through choosing and fulfilling it, not completely practical, which guarantees spontaneousness and professionality of a female teacher while complementing weaknes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by principal but also to find a significance of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a result of this research. I have found a significance and a limi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by researching a concept and a meaning of instructional consulting first and then appling a model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o a real school spot to achieve a goal of this research. By combining established study style and a consulting theory to graft together with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through applying them to an actual spot, I try to see how much instructional consulting contributes to reduce problems of existing study style and how that helps teachers deal with issues. A result of process model action research (following five steps: preparation, diagnosis, consideration and choice of a right solution, practice, and finish) is this.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a client-teacher in this case--always tried to have consulting with a consultant even after work time, and a consultant spent his time for studying deeply in his field for better answers and extended his ability and expanded his knowledge. With effort of both a teacher and a consultant, a teacher became more active on dealing with problems and improved his weakness. As the result of picking an operating a consultant's guide, a level of satisfaction of instruction consulting was very high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In short, instructional consulting changed an attitude of a teacher trying to improve his teaching style positively and actively, helped a consultant study and research steadily for self-development, and resulted in a new consultant who would be able to help others to do instructional consulting. Although since instructional consulting is based on a teacher's voluntary and professionality, it will not be worked well without a specific request. Even if somebody requests yet there is a non professional person, it will not be worked either. There must be a study which creates a program that is understandable and introduces to teachers and a management which keeps offering an opportunity to develop one's professionality even after appointing a consultant to improve those two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ward those who works hard and improves his teaching skill and who sets up a good condition for and shares his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a client in many different ways. I do not doubt that instructional consulting will advance professionality of whole teacher body if its weaknesses are complemented and its system settles down well at schools.

      •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임상장학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정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현 시점에서 국어 수업 컨설팅 장학이 어떤 참여자에 의해 어떤 방법과 절차로 어떤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임상 장학의 형태를 띤 초임교사의 국어 수업 컨설팅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국어 수업 컨설팅 과정을 참여 관찰하고 참여자에 대한 서면 및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국어 수업의 요건과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어수업 컨설팅 참여자와 내용, 방법에 대한 분석 기준을 수립하고 분석 목록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국어 수업 컨설팅 참여자 측면, 국어 수업 컨설팅 내용 측면, 국어 수업 컨설팅 방법 측면의 세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초임교사의 국어(말하기·듣기·쓰기)수업 컨설팅 사례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여자 측면에서는 기존의 국어 수업 장학이 장학담당자에 의한 지도적·교육적인 측면이 강했던 반면, 국어 수업 컨설팅 장학에서는 참여자간의 상호 존중적 관계로 변화하고 있었다. 특히 컨설티 측면에서는 국어수업 컨설팅에 대한 자발성은 결여되어 있으나 컨설턴트의 조언이나 피드백에 대해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긍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컨설턴트 측면에서는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어 컨설팅의 단계 및 과업 수행이 능숙하고 컨설티와의 우호적인 관계 형성과 협력·조언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그러나 참여자 간의 Rapport형성이 수업 컨설팅의 성패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생각해 볼 때 수평적이고 친밀한 관계 형성이 가능한 컨설턴트 양성에 대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어 수업 컨설팅 내용 측면에서는 컨설티의 의뢰 과제를 중심으로 한 수업 전 협의회와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수업 후 협의회에서 수업 계획 및 운영과 관련된 치밀한 수업 협의와 조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어 학습 목표 및 국어 지식 등 국어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내용보다는 범교과적인 내용에 대한 컨설팅이 대부분이어서 국어 교과 전문 컨설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국어 수업 컨설팅 방법 측면에서는 임상 장학의 형태를 띠었으나 그 과정이 수업 컨설팅의 일반 과정과 흡사하였으며 과정별 과업도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컨설턴트와 컨설티 간의 만남과 협의 시간이 부족하였으며 충분한 컨설팅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구별 수업 컨설팅 지원팀의 구성이나 교내 동료 장학의 활성화 등 지속적인 수업 컨설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국어 수업 컨설팅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국어 수업 컨설팅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컨설팅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이를 토대로 국어 수업 컨설팅의 바른 정착과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국어 수업 전문성을 가진 컨설턴트 교사의 양성 체제를 구축하고, 교과 영역별 컨설팅 기준 및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여 효과적인 국어 수업 컨설팅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둘째, 기존 장학의 형식적 운영과 지시·교육적 측면으로 인해 장학을 기피하는 교사들에게 수평적이고 협력적인 수업 컨설팅의 과정과 방법을 안내·홍보하여 잠재적 컨설팅 의뢰교사들이 쉽게 컨설팅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업 컨설팅의 사례들을 수집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교과별, 영역별, 개인별, 상황별 맞춤형 수업 컨설팅의 과정과 내용, 방법에 대한 연구와 현장 적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성공한 수업 장학의 운영과 관련한 외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긴 안목으로 수업 컨설팅을 다루려는 제도적 노력이 뒤따라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컨설팅 사례연구를 통한 수업컨설팅 방향 탐색

        오영범 ( Young Beom O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업컨설팅 사례분석을 통해 수업컨설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지향적인 수업컨설팅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업컨설팅을 위한 공개 수업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가? 둘째, 수업컨설팅 운영 및 방법적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수업컨설팅의 올바른 방향은 무엇인가? 사례분석을 통해 드러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의 양상은 주로 Gagne의 9가지 수업사태와 유사한 패턴으로 전개되었고 수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개 수업은 주로 연구대회를 지향하는 모습을 띠고 있었고 수업장학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컨설턴트와 컨설티간의 협력관계 형성의 중요성, 컨설티 중심의 수업컨설팅 전개, 외부 권위의 개입을 최소화한 수업컨설팅 운영, 그리고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수업컨설팅 절차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제안을 통해 학교 현장의 수업컨설팅 개선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schools after observing problems of current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his,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three topics. First, what are the specific aspects of open classes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ird, what are the direction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following. Aspects of open classes were deployed in the pattern of Gagne`s instructional 9 events and most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didn`t control instructional variables effectively. Open classes focused on the instruction contest and was affected by the shad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 researcher suggested the importance of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a consultant and a consulte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cused on the consultee, the opera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an outside authority, and the procedure of executable instructional consultation on the schools to solve problems arising through this research. These suggestion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operated on the schools.

      • KCI등재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

        김도기,김효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에 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을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그것의 이론적 완결성과 실천적 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업컨설팅에서 지향하는 교사 및 수업의 상(像), 좋은 수업의 조건 등을 바탕으로 수업컨설팅의 개념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수업과 관련된 주요 활동(수업분석, 수업비평, 수업장학)과 수업컨설팅을 비교하여 수업컨설팅의 속성을 보다 분명히 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는 해당 활동의 목적, 주요 관련자, 주요 산출물, 원리, 방법 및 기법, 활동 결과의 공유 여부, 참여의 강제성, 절차 등이 활용되었다.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에 관한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컨설팅은 “수업 관련 의뢰 과제를 해결하고 의뢰인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교내외 전문가들이 교원을 중심으로 한 학교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활동”이되, “학생의 참여와 배움을 핵심으로 하여, 수업의 기획, 의사소통, 상호작용 등을 기술적․예술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이해하고, 의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업을 학교컨설팅의 원리와 방법에 따라 수행”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수업컨설팅과 여타 활동은 활동 목적, 주요 관련자의 특성 및 영향력, 활동 결과의 공유, 참여의 강제성, 모(母)개념의 성격 등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는 교사의 수업 개선 및 전문성 개발 기제로서 수업컨설팅이 가지는 가능성을 재확인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oncept and statu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o this end,first of all,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is redefined based on the figure ofteacher, instructional practice and good teaching. Second, this paper compares instructionalconsulting with other instructional practices such as instructional analysis, class criticism,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The criterions used for this purpose are purpose of activity,main actors, output, principles, method, share of the output and the like.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s: 1)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is defined independentadvisory service provided to school members by specially trained and qualified personsassisting in an objective and independent manner to improve the client's instructionalpractice. The instructional consultants' job task is to analyzing the client's lesson plan,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ccording to school consultingprinciples, and the core of the analysis is students' participation and learning. 2) There are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instructional practices. And thisstudy finds instructional consulting's unique strength.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structionalconsulting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instructional practice and develope the expertise.

      • KCI등재

        수업컨설팅 활성화 저해 요인 분석

        추광재(Chu, KwangJae),최화숙(Choi, Hwa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탐색된 하위요인과 설문에서 추출된 응답 결과를 토대로 「초ㆍ중등학교 수업컨설팅 저해 요인 검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를 초등학교 교사 200명에게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수업컨설팅 저해 요인으로 컨설턴트의 대인 관계 기술 능력 부족, 수업컨설팅에 관한 업무 부담, 컨설턴트의 수업컨설팅 관련 전문성 부족, 수업컨설팅 방식의 구조적 문제, 수업컨설팅 효과 미비, 수업컨설팅을 위한 준비 미흡, 수업 컨설팅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태도, 수업컨설팅에 관한 이해 및 홍보 부족, 수업컨설팅에 관련된 행정시스템의 비효율성 등 10개 요인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수업컨설팅 모형 개발이나 수업컨설팅 실제, 교사연수 그리고 행정적ㆍ제도적 영역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 to investigate the major hindrance factors of effective teaching consulting.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survey on the teaching consulting hindrance factors of the elementary-middle school」based on sub-elements inquir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request results extracted in the survey. It was carried out by 200 elementary teachers and based on the results factor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for hindrance factors of teaching consulting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 There were 10 factors such as the lack of human relationship skills, job burden on related teaching consulting, consultant s lack of professionalism, structural problems of teaching consulting ways, the lack of teaching consulting effect,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teaching consulting, the consultant s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ability,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eaching consult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omoting of teaching consulting, in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related to the teaching consul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have a negative impact on effective teaching consult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on the teaching consulting model development or actual teaching consulting, teacher training, and administrativeㆍinstitutional areas.

      • 유치원 교사들의 수업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의 과제

        이유나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수업컨설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를 통해 그들이 수업컨설팅의 의미, 필요성,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 등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유치원 수업컨설팅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과 경북 지역의 무작위로 표집 된 유치원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검증, 교차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수업개선 및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수업컨설팅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인식, 수업컨설팅 실천에 대한 인식 및 요구사항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개선 및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에서는 지역에 관계없이 모든 유치원 교사들은 모두 자신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편이고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서 경남지역의 현장 교사들은 동료 또는 선배의 조언을, 경북지역에서는 개인 연수활동을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관계없이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의지는 높지만 체계화된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지원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에 대한 차이점이나 수업컨설팅의 효과성에 대해서 경북과 경남 간의 교사들의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수업 컨설팅 필요성 및 활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지역에 따라 수업컨설팅 필요성에 대해서 인식차이는 있으나, 그 효과성은 긍정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에 따라 수업컨설팅의 활용목적과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수업컨설팅 실천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서 실시기간, 횟수, 시기, 의뢰방식을 제외하고, 수업컨설턴트 유형, 선정 기준, 진행절차, 방해요소 및 중요요인, 지원체제, 요구영역은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마다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수업 컨설팅에서의 요구영역이나 활성화 요인, 방해요인 등은 유사한 인식을 보이고 있다.

      • 사회과 수업 컨설팅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이범기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 컨설팅에 필요한 사회과 컨설팅 내용을 추출하여 컨설팅 단 계에 따라 체크리스트로 유목화한 매뉴얼을 구안하여 사회과 수업 컨설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해 사회과 수업 분석과 관련된 연구 결과물을 재구성하여 매뉴얼 초안을 작성하였고, 이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위촉을 받아 2010학년도 초등사회수업지원단으로 활 동하고 있는 사회과 수업 전문가의 자문 결과를 반영하여 사회과 수업 컨설팅 매뉴얼을 구 안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매뉴얼을 수업 컨설팅 도구로 활용하여 컨설팅 실사례에 적용하 였으며, 컨설팅 과정에서 매뉴얼이 갖는 효과 분석에 관하여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 었다.

      • KCI등재

        액션 러닝을 활용한 메타수업컨설팅 연수 프로그램 평가

        오영범,강정찬,이유나,곽경희,이상수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eacher training programs through a case study of meta-instructional consulting that utilizes action learning. Learners’ satisfaction level, learning effectiveness, and field applicability of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analyzed for the evaluation. For the case analysis,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s, interviews, task analysi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s method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eta-instructional consulting training programs that utilize action learning was high. In particular, satisfaction analysis conducted on consultants showed a very high level (4.87) of satisfaction; consultant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which utilized six elements of action learning: tasks, learning teams, willingness to practice, commitment to learning, reflections & questions, and a learning coach. In addition, the consul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e-training before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Second, this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mpetency of consultants. In particular, there were improvements in the consultants' learning, reflections, confidence i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attitude.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training program had a high field applicability; consultees showed a very high level of satisfaction (4.13). Specifically, concretely linking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methods, data- and evidence-based systematic instructional analysis, and positive role models of senior teachers were shown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instructional consul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 러닝을 적용한 메타수업컨설팅 사례 연구를 통해 연수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램 평가는 Kirtpatrick의 4단계 평가를 토대로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학습 효과성, 수업컨설팅의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컨설턴트와 컨설티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 설문지, 인터뷰, 과제 분석, 참여 관찰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양적 및 질적 분석 방법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을 적용한 메타수업컨설팅 연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분석 결과, 4.87로 높게 나타났고, 컨설턴트들은 액션러닝의 6가지 요소인 과제, 학습 팀, 실행의지, 학습의지, 질문과 성찰, 러닝코치를 적용한 메타수업컨설팅 연수프로그램에 자체에 만족하였다. 또한, 컨설티들도 수업컨설팅을 받기 전에 실시한 사전 연수에 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액션러닝을 적용한 메타수업컨설팅 연수는 수업컨설턴트들의 역량 강화에 효과적이었다. 구체적으로 수업컨설턴트의 학습, 반성적 성찰, 수업컨설팅에 대한 자신감, 긍정적인 태도 변화에 효과성을 보였다. 셋째, 액션러닝을 적용한 메타수업컨설팅은 현장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컨설턴트들로부터 수업컨설팅을 받은 컨설티 만족도 분석 결과 4.13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론과 실천을 연계한 교육방법, 데이터 및 증거 기반에 입각한 신뢰로운 수업컨설팅,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선배교사의 긍정적인 롤 모델이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를 위한 반성적 실과 수업 컨설팅 모형 개발

        송현순,김재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실과 수업 능력을 자기주도적인 발달적 관점에서 변화시키기 위해 반성적 실과 수업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첫째, 문헌 고찰을 토대로 초기 모형을 개발한다. 둘째, 초기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그 모형을 실제 적용한 후 사례 분석을 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셋째, 사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반성적 사고 과정을 반영한 실과 수업 컨설팅 모형과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를 준비 단계, 문제 진단 단계, 반성적 실행 단계, 평가 단계로 구분하였다. 둘째, 실행단계를 문제 진단 단계와 반성적 실행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예비교사가 각자 실행한 1차 수업 결과를 토대로 문제를 진단하고 컨설팅 요소를 반성적 자기 평가 기회를 통해 추출하고 컨설팅 내용을 토대로 2차 수업을 실행한다. 수업 실행과 컨설팅의 과정은 예비교사가 실과 수업에 대한 자기 신념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된다. 셋째, 컨설팅의 출발이 문제의 진단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수업을 일차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수업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컨설팅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넷째, 수업 컨설팅 과정이 일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에 대해서 긍정적인 신념을 가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즉, 1+n의 횟수로 진행될 수 있게 설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nsulting model reflective practical arts instruction to change practical arts of preservice-teachers in a self-directed developmental viewpoint.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for realizing this purpose is first to develop an initial model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Second, in order to verify feasibility of the initial model, the second is to deduce its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after applying the model actually. Third, the third is to develop practical arts instruction's consulting models and manuals reflecting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by reflecting case study result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Characteristics of finally developed reflective practical arts instruction models for preservice-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its stage was divided into a preparation stage, diagnosis stage, reflective implementation stage and evaluation stage. Second, its execution stage was divided into a diagnosis stage and reflective implementation stage. In this stage, a preservice-teacher diagnoses a problem based on the first class result executed respectively, extracts consulting elements through a reflective self-evaluation opportunity and executes the second class based on the consulting content. The process of class execution and consulting is(becomes) for making a preservice-teacher repeat until his or her self-belief on practical arts class is formed. Third, the start of consulting is not to start from diagnosis of problems, but after the class capable of diagnosing problems was first executed, it was designed as a process diagnosing problems on one's own class and extracting consulting elements based on the results. Fourth, it was designed that the class consulting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rogress in the frequency of 1+n until a preservice-teacher has positive belief on one's own class instead of making the class consulting process complete at one time.

      • KCI등재

        수업 컨설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요구, 경험

        장미라(Mira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수업 컨설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수업 컨설팅에 대해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급 한국어 수업에 대한 컨설팅을 하나의 경계를 가진 사례로 선정하고 컨설팅 참여 의사를 밝히 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인식과 요구, 인식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먼저 중급 한국어 수업에 참여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요구, 컨설팅 참여 의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수업에 대한 컨설팅을 준비하고 진행하며, 참여한 교사들의 한국어 수업을 분석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진 후, 수업 점검 결과와 성찰일지를 살피고 아울러 교사 효능감의 변화도 알아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한국어 교사들은 수업 설계부터 운영, 자료 개발 및 활용까지 수업의 전반적인 부분이 컨설팅의 대상이라고 생각했으며, 수업 컨설팅이 수업의 질 개선과 교사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컨설턴트는 한국어 교육 경험이 풍부하고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최신 이론을 알고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숙련가이자 전문가여야 한다고 보았다. 수업 컨설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컨설턴트인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고, 수업 컨설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걱정이나 부담스러움 없이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수업 컨설팅에 참여한 교사들은 수업 분석 결과도 전반적으로 좋아지고 교사 효능감도 상승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수업 컨설팅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 논의로, 수업 컨설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수업 컨설팅이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뿐 아니라 교사 발달에도 긍정적인 기회가 됨을 보여 주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this instructional consultation was not consulting on Korean teachers, but consulting on Korean language classes. This instructional consultation was not an evaluation, but exchanging opinions cooperatively. Teachers analyzed the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and had time to reflect on the class. Methods Experienced Korean teacher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nsulting,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ed. In addition, they participated i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measured teacher efficac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teachers said that the overall part of the class, from class design to opera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s the subject of consulting.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woul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and the individual growth of teachers. A consultant should be a skilled expert who knows and stud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conduct instructional consultation systematically, the role of a consultant is important. In order to activate instructional consultation, it is necessary to get consulting easily without worrying about evalu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got teacher efficacy and overall class analysis results improved. Conclusions Teachers participated said that instructional consultation wa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grow further as a teacher as well as to improv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