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문지를 통한 소음성난청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이동욱,유재형,한우재,Lee, Donguk,Yu, Jyaehyung,Han, Woojae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4

        소음성난청은 고려 시 되어야 하는 공중보건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큰 소음의 노출로 인해 난청이 발생됨을 많은 사람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심각하게 소음성난청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지 22개의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0대부터 60대의 성인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청력손실과 이명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건강 문제들에 대한 사회 및 개인적 중요도, 소음노출과 청력손실에 대한 인지 정도, 청력 보존 방법에 대한 인식을 문답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건강 문제들과 비교하여 응답자 중 약 17.33 %만이 청력손실을 '매우 큰 문제'로 인식하였다. 놀랍게도 다수의 응답자인 82 %는 청력손실에 관한 정보를 듣거나 보지 못하였다고 답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약 85 %의 응답자들은 큰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청력 문제 및 이명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하였지만, 그 중 11.33 %만이 이어플러그를 착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많은 응답자들은 추후 의료진이 권장하거나(80 %),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접한다면(78.67 %) 청력보호를 위해 소음 노출 시 이어플러그를 착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 손실의 잠재성과 효율적인 청력 보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일반인들의 소음성난청을 예방하여야 하겠다. Although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many people might not be aware that exposure to loud noise could occur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how importantly and seriously people are aware of NIHL using a 22-question survey. It was administered to random 150 people including between 20 s to 60 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about i) views toward general health issues including hearing loss and tinnitus, ii) noise exposure, and iii) views toward hearing protection. Results showed that hearing loss was defined on a likert scale as 'a very big problem' by 17.33 % of respondents compared with other health issues. Surprisingly, most respondents (82 %) had not heard, read, or seen anything lately related to the issue of hearing loss. Many respondents had experience hearing problem or tinnitus under loud noise situations (85 %), however, only 11.33 % of respondents had used earplugs. Fortunately, many could be motivated to try ear protection if they were advised by a medical professional (80 %) or were aware of the potential for permeant hearing loss (78.67 %). We concluded that awareness of the potential for permanent hearing loss with noise and effective methods of hearing protection should be announced to public for preventing NIHL.

      • KCI등재
      • KCI등재

        소음성 난청에서 이명의 주파수와 작업장 소음 주파수의 관계

        전준,전경명,고의경,이일우,조규섭,안정혁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5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relation betwen frequencies of noise and tinnitus in noise-induced hearing los and to elucidate mechanism of tinnitus in noise-induced hearing los. Materials and Methods:Four factories were selected, of which noise frequencies were diferent except one factory. Preliminary screning hearing test with a pure tone audiometer on 1000 and 4000 Hz was done. And if the hearing threshold was over 40 dB, history taking, otolo-gical examination, tympanometry, pure tone audiometry on 500, 1000, 2000, 4000, 6000 Hz were done. Noise was measured in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Hz. Tinitus was measured using 1000, 2000, 4000 Hz pure tone. Results:1) Hear-ing los was most severe in the 4000, 6000 Hz range. 2) In A factory, noise was most intense on 4000 Hz, in B factory on 2000 Hz, and in C and D factory on 1000 Hz. 3) Forty-three workers (42.2%) of total 102 subjects complained tinnitus. And frequency of tinnitus was 4000 Hz in 71 ears (89.9%) among 79 ears with tinnius. Conclusion:Regardles of the frequency -induced hearing los. 소음성 난청에 동반된 이명과 작업장 소음 주파수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소음성 난청에 동반된 이명의 병리기전을 알고자 소음작업장 4군데에서 1년 이상 근무한 102명을 대상으로 청력 및 이명 검사를 실시하였다.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10 Hz와 40 Hz의 순음청력검사로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병력청취, 임피던스 검사, 500, 1000, 2000, 4000, 6000 Hz의 순음청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명은 pitch-match 법으로 주파수를 조사하였다. 네 군데의 작업장에서 소음의 강도 및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 10 Hz의 소음이 가장 심한 곳이 2군데, 20 Hz가 1군데, 40 Hz가 1군데이었다. 소음성 난청환자의 42.2%에서 이명이 동반되었으며, 이명의 주파수는 소음의 주파수와 관계없이 소음성 난청에서 청력손실이 가장 심한 4000 Hz이었다. 이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소음성 난청에 동반한 이명이 소음에 의해서 손상된 외유모세포에서 유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잡음환경에서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소음성 난청예방 기술에 관한 연구

        박형우,이성태,배명진,Park, Hyung-Woo,Lee, Sung-Tae,Bae, Myung-Jin 한국음향학회 2011 韓國音響學會誌 Vol.30 No.4

        사람의 청력은 노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저하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젊은 나이에 난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크게 늘고 있다. 이처럼 난청인구가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대중화에 기인한다. 현재 이어폰/헤드폰으로 유발되는 소음성 난청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직접적인 휴대전화 통화에 따른 소음성 난청유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조사를 토대로, 골전도 스피커에 Active Noise Reduction기술을 접목하여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 기술은 주변소음을 골전도 스피커를 통해서 능동적으로 역위상 진동을 부과하여 노이즈를 줄이는 방법이다. 제안한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실제 청각에 유입되는 소음레벨이 12 dB 이상 감소되며, 이러한 음량 감소폭은 휴대폰 통화에 따른 소음성난청 요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것이다. 감성실험 결과 통화음량이 감소된 상황에서도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였다. Human auditory acuity decreases naturally due to aging. But recently cases of impaired hearing at a young age are increasing greatly. The biggest reason for such an increase of population with impaired hearing is popularization of various kinds of portable multimedia appliances. Many studies on impaired hearing due to noises caused by the earphone and headphone are being made,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noise-impaired hearing caused directly by mobile phone communication. Based on a precedent inquiry, 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for preventing noise-impaired hearing applying to an active noise reduction technique onto bone conduction speaker. This technique is a method for reducing noises by antiphase oscillation through bone conduction speaker with ambient noises. If the proposed system is applied, the noise level that is actually introduced to audition decreases by more than 12 dB, and such a decreased amount of sound volume fundamentally prevents the factors of noise-caused hearing difficulty due to mobile phone communication. Sensibility test results showed that adequate communication was possible even in such a situation where communication volume was decreased like this.

      • KCI등재

        소음성 난청 진전도 측정을 위한 청력측정법에 관한 연구

        권형준,이성태,배명진,Kwon, Hyung-Jun,Lee, Sung-Tae,Bae, Myung-Jin 한국음향학회 2010 韓國音響學會誌 Vol.29 No.3

        최근 노화현상 외에도 소음으로 인한 청력저하를 호소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의 보급과 휴대용 정보기기의 발달로 지속적인 소음에 장시간 노출되어 청각 세포의 손상이 발생하여 청력 손실이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순음청력검사는 8000 Hz까지의 주파수대역을 수동으로 조절하며 검사하므로 8,000 Hz 이상의 확장 고주파수에서도 손실을 가져오는 소음성 난청의 경우 회화 영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조기에 청력저하를 파악하여 예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2,000 Hz∼20,000 Hz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여 소음성 난청을 조기에 파악하여 예방하기 위한 청력측정법을 제안하였다. 휴대용 정보기기를 통해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는2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제안한 측정법으로 청력을 측정한 결과 36 %가 소음으로 인한 청력 저하를 보였다. 그 중 2 %는 청력의 손실정도가 심각함을 보였다. Lowering of auditory caused by noise is increased, these days. Especially, people who have noise induced hearing loss by permanent exposure to noise are increased according to spread out of multimedia and improvement of information equipment. The pure tone audiometry used in the hospital presently inspect auditory manually up to 8,000 Hz bandwidth. So the case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which suffered from extended high frequency over 8,000 Hz, there is a problem to prevent hearing loss by precogn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prevent noise induced hearing loss by using extended high frequency bandwidth from 12,000 Hz to 20,000 Hz. We have got a experimental result to fifty of twenties who are often used to earphones through portable equipment. As a result, 36% of twenties show lowering of auditory caused by noise and 2% of them shows severe loss of hearing.

      • 소음성 난청자의 순음청력역치와 어음청취역치 및 청성뇌간반응 역치와의 비교

        김규상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9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5 No.1

        Pure-tone thresholds (PTTs), 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 an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threshold were compared in 100 ears with noise-induced hearing loss to examine the accuracy of prediction for hearing thresholds. The 100 subject ears, which were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no history of ear disease, were selected from 62 male workers who were exposed to noise in automobile manufacturing factory and suspected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PTTs were determined using modified ascending method in 5-dB steps by pure tone audiometry (PTA);threshold for speech were measured as SRT;and ABR threshols was defined as the lowest stimulus intensity at which V wave could be clearly observed. SRT was lower than the average PTTs, and ABR threshold was higher than PTTs and SRT.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RT and the average PTTs and thresholds by frequency by PTA. PTTs in low frequency region (0.5-1 kHz) showed higher association, with explanatory power of more than 70%, and particularly the average PTTs by three division method showed the highest association with SRT.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BR threshold and the average PTTs and thresholds by frequency by PTA revealed that PTTs in 2-6 kHz region wa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ABR threshold.

      • KCI등재

        청소년 개인음향기기 이용습관, 청력손실 원인과 청력보호 이해에 관한 실태조사 및 설문지 개발

        이장수,방정화,Lee, Jang soo,Bahng, Junghwa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1

        최근 청소년들의 개인음향기기(Personal Listening Device, PLD)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PLD의 오남용은 소음성 난청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소년의 PLD 이용습관, 청력손실 원인에 대한 지식과 청력 보호에 대한 자세 등을 조사하고, 둘째, 청소년들의 PLD 이용습관, 청력손실의 원인, 청력보호에 대한 자세 등을 평가하기위한 설문지 개발에 있다. 총 4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14-15세의 404명 중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건전하게 PLD를 사용하고 있었다. 전체의 30 % 학생이 매일 하루에 3시간 이상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청력손실의 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었으나 청력보호에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청소년들의 청력보호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opularity of personal listening devices(PLDs) has increased over past years, especially, in adolescents. Overuses and missuses of PLDs could be the cause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survey middle school students' habits using PLDs, knowledge of hearing loss and attitude of hearing protection and (2) to develope a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habits using PLDs, knowledge of hearing loss and attitude of hearing protection in adolescents. The 41-item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used to survey middle school students' habits using PLDs, knowledge of hearing loss and attitude of hearing protection. A total of 404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4-15 yea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ost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use PLDs soundly. However, 30 % of students used PLDs for more than 3 hours a day. Also, almost all of th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knowledge of the causes of hearing loss, but showed interests in hearing protection. However, some students ha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hearing loss and the needs of hearing prote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adolescents' hearing health is needed.

      • KCI등재

        소음성 난청의 효율적인 예방을 위한 첨도 측정법의 이해

        유성화(Sunghwa You),곽찬범(Chanbeom Kwak),김세아(Saea Kim),이장원(Jangwon Lee),정승엽(Seungyeop Jeong),이은성(Eunsung Lee),송현욱(Hyunwook Song),Nour Alsabbagh,한우재(Woojae Han)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8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4 No.3

        Purpose: In general, energy metrics, i.e., LAeq 8 hours, have been applied as a risk indicator of noise exposur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LAeq measurement since it considers only the amount of average energy of noise and is not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complex noise. In light of this, the kurtosis metrics have been introduced by many contemporary researchers to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measure. Methods: In the main body, we introduced the weakness of current noise exposure criteria, compared between Gaussian and non-Gaussian noise, briefly explained the concepts of kurtosis metrics, and scrutinized more applications of the kurtosis metrics by summarizing previous 7 research papers. Results: Compare to the Gaussian noise, the non-Gaussian noise has been found to have stronger cochlear damage effects on the outer and inner hair cells and led to permanent hearing loss in the higher frequencies. Noise exposure trauma level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the kurtosis levels increased. Although kurtosis metrics are a good indicator or measure, it still need to be adjusted in terms of frequency-specificity. Conclusion: Since the kurtosis metrics are not implemented in Korea, especially in the industrial field, we need to develop a new measurement approach using the kurtosis metrics on workers and then provide scientific based criteria for effectively preventing their potential risk of developing noise-induced hearing los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이어폰 종류와 소음 환경이 실험실 환경에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청취음량에 미치는 영향

        김건우(Kun Woo Kim),정재윤(Jae Yun Jung),서명환(Myung-Whan Su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최근 휴대용 음향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청소년들에 대한 소음성 난청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소음 환경에서 휴대용 음향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평소보다 더 큰 소리를 듣게 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어폰 타입과 소음 환경이 선호청취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나아가 청력 손상의 가능성이 적은 이어폰 종류가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2가지의 독립적인 변수를 사용하였다. 하나는 이어폰 타입으로 총 3가지(ear-bud, ear-canal and on-the-ear)를 사용하였고, 다른 하나는 소음 환경이며 총 3가지(조용한 환경, 찻길 소음, 대화 소음)를 사용하였다. 25명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들은 각각 다른 이어폰 타입과 소음 환경에서 같은 노래를 들었다. 피험자들은 본인이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볼륨으로 음악을 듣게 하였으며, 이 때 고막에 도달하는 음압을 실이측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조용한 환경에서 Ear-bud 이어폰과 Ear-canal 이어폰은 비슷한 선호청취크기를 보였으나, 찻길 소음과 대화 소음에서는 Ear-canal 이어폰이 가장 작은 선호청취크기를 보였다. On-the-ear 이어폰은 모든 소음 환경에서 가장 큰 선호청취크기를 보였다. 조용한 환경에서의 선호청취크기가 가장 작았으며, 대화 소음에서 가장 큰 선호청취크기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Ear-canal 이어폰이 가장 편안하면서, 작은 선호청취크기를 나타낸다. Background & Objectives: Recently, the widespread use of portable listening devices (PLD) has increased concern about juvenile noise-induced hearing loss. When a PLD is used in noisy environments, the user will listen to louder music than usual.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arphone style on preferred listening levels (PPLs). Furthermore, we assessed which type of earphone is least damaging to the inner ear. Methods: There were two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earphone style (ear-bud, ear-canal, and on-the-ear) and noise environment (quiet, street noise, and talking noise). Twenty-five participants listened to the same song with different earphone styles in different noise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controlled the PLD volume switch as they wished, and the PPL was recorded with the Real Ear Measurement system. Results: In the quiet environment, the ear-bud earphone and ear-canal earphone had similar PLL values. However, in the street noise and talking noise environments, the ear-canal earphone had the lowest PLL and the on-the-ear earphone had the highest PLL. The PLL was lowest in the quiet environment and highest in the talking noise environment. Discussion & Conclusions: The ear-canal earphone style seems to be the best earphone style for providing comfortable music listening with the lowest sound pressur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