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후원인식과 셀프리더십의 연속다중매개효과

        이원희 ( Won-hee Lee ),정기주 ( Ki-ju Cheong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2

        본 연구는 자본주의 시장의 무한 경쟁 속에서 경영자의 부정과 부패로 인해 거대한 기업이 하루 아침에 무너지는 과정에서 리더의 도덕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며 새로운 리더십으로 부각된 진성리더십을 조직후원인식으로 인식한 구성원이 자신의 셀프리더십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10월 7일부터 10월 22일까지 지인과 설문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전국의 일반 기업 근무자 대상으로 총 424부를 확보하여 결측치와 이상치를 제외하고 398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진성리더십이 셀프리더십, 조직후원인식, 조직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둘째,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몰입과 셀프리더십에 각각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넷째, 진성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 조직후원인식과 셀프리더십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을 높여서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 리더의 진성리더십이 중요한 리더십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리더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에 직접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조직후원으로 인식하여 셀프리더십을 증가시켜 조직몰입으로 연결되는 것을 감안하여 리더의 진정성이 구성원에게 조직후원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리더의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간의 영향관계를 구명하였고,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Authentic-Leadership on Self- Leadership as a antecedent of Self-Leadership that enhances the importance of the members with entry in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Authentic-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and ultimately, the influence of Authentic-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total of 424 samples were collected from national workers from October 7 to October 22, 2018 through direct survey and the survey agency. Missing values and anomalies were removed and 398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22.0 and Amos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uthentic-Leadership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Self-Leadership,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Leadership, respectivel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inuous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Leadership between Authentic-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the leader’s Authentic-Leadership is an important leader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nhancing the Self-Leadership of the members. In consideration of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ncerity of the leader should be revealed to for member recognize a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members’ Self-Leadership was investigated.

      • 신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서영,김상순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리더십은 조직성과의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오랫동안 받아들여져 왔고 최근에는 리더십 발휘의 주체가 리더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전체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조직구성원 각자가 발휘하는 셀프리더십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각자의 리더십을 조직이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셀프리더십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측면도 나타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을 기반으로 셀프리더십 전략의 대표 유형을 정의하고 이들 전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환경변수인 조직몰입이 셀프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상의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대기업 3곳의 신입사원을 10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데이타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신입사원이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높은 이직의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입사원이 조직몰입도가 높다고 인지할수록 셀프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낮추게 함을 알 수 있었고, 셀프리더십의 하위전략인 행동전략과 인지전략으로 나누어 조직몰입과의 상호작용을 분석을 했을 때에도 신입사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셀프리더십 관련 연구에 대해 신입사원의 셀프리더십 전략과 이직 의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는데 이론적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이직의 도가 낮다는 주장이 채택된 연구도 있지만 기각된 연구도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틀을 다른 관점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신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진다는 결론을 통해 기존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추가하였다. 둘째, 기업에 대해 신입사원의 셀프리더십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고, 셀프리더십의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구체적인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셀프리더십이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목,정원호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이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셀프리더십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셀프리더십의 영향력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육군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 매개변수인 정서적 몰입, 직무스트레스는 부하가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변수인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은 상사가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수준이 높을수록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발언행동 및 협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매개효과는 종속변수인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몰입을 통해서만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셀프리더십의 결과 변수 중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발언행동 및 협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셀프리더십의 영향력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셀프리더십이 먼저 직무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반응인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조직에 대한 태도인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줌으로써 결국 행동으로 표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으로 조직구성원의 긍정적 행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조직구성원의 셀프리더십 발휘를 촉진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

        목회사역의 활성화를 위한 셀프리더십 개발에 관한 연구

        문병하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다원화된 이 시대의 전환기에 있어서 크리스천 공동체인 교회에서도 리더십은 성도들의 개인적인 신앙 성숙뿐만 아니라 교회의 성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좀 더 열린 마음을 갖고 계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동안 리더십에 대한 많은 논의가 타인이나 공동체를 위한 성공적인 리더십 수행과 자질 및 기술 등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리더가 자신들의 전문분야에서 영향력을 나타내는 수준 높은 리더십을 자기 관리능력을 키우는 셀프 리더십에서 나타내지 못한다면 대다수의 사람들과 공동체로부터 리더십을 상실하고 신뢰를 얻지 못할 것이다. 셀프리더십은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영향력을 미치기 위한 과정 즉 자기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사고와 책임 있는 행동을 말하는 데 그 구성요소는 자아개념의 인식과 자기관리이다. 성경에는 셀프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하여 많은 곳에서 언급하고 있는 데 크리스천의 셀프 리더십을 위서서는 하나님의 현존과 영원성에 대한 인식이 기초이며, 자아 정체성 발견 및 확립을 위한 소명의식이 고취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자기절제 및 훈련을 통한 지속적인 영향력이 요구된다. 또한 목회사역이 활성화를 위하여 셀프 리더십개발이 필요하다. 그것은 자아개념을 인식하여 삶의 가치를 정립하도록 하며, 사명의식을 깨달아 삶의 목표를 세우도록 하고, 동기부여를 통해 자신보다는 타인을 위해 살도록 하여 청지기적 삶으로 셀프 리더십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목회자는 물론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건강한 리더가 되어 한국교회사역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In our contemporary society: in the home, work, and church, the theme of leadership is becoming more crucial. The influence of leadership is most important to the followers of the leaders in the church. God has provided us with leaders to attempt to guide His people for the right direction with hi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elf leadership to revitalize the ministry in the Korean church.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presents the definition and a constituent elements of self leadership. Self leadership can be described as "the process of influencing oneself". and a constituent of elements are self concept and self control. The next part of this paper examines self leadership in scripture and spiritual self leadership. It starts with the presents of God and develops self leader's identity for clear purpose of the ministry. It requires self control and training for continual influence to the community and church The later part of this paper portrays the development of self leadership through a few ideas to revitalize the ministry in the Korean church. First, the self leader helps the creating core values of Christian life. Second, the self leader helps the importance of having purpose and meaning in life. Third, the self leader must be able to give motivation to live for the others and churches. Fourth, the self leader practices in his life by stewardship. The church leaders must not become class conscious and work to serve the followers using his position. He must become a minister that serves his church and the world. Therefore, the ministry becomes revitalized by developing self leaders.

      • KCI등재후보

        기업에서 요구되는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정준호,송영수 한국산업교육학회 2011 산업교육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을 통해 셀프리더십을 갖춘 인재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종사자 150명 및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써 첫째, 셀프리더십 역량의 중요도는 동기부여, 목표지향, 과업수행, 자기보상, 자기관리 총 5개의 모든 셀프리더십 역량에서 대기업 종사자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기부여에 대한 인식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 역량의 현재수준은 목표지향, 과업수행, 자기보상, 자기관리 총 4개의 셀프리더십 역량에서 대기업 종사자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업수행과 자기관리에 대한 인식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 역량의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 교육요구도는 동기부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강화를 위한 인식의 전환 및 수행활동의 개선, 동기부여 역량개발의 우선적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self-leadership competency between businessmen and college students. To do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businessmen in Korean large enterprise as well as 210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businessmen'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motivation competency, goal-setting competency, task performance competency, self-reward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in all the self-leadership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Second, businessmen' perceptions on the current level of goal-setting competency, task performance competency, self-reward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motivation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usinessmen'. Third, the level of educational needs desired by both businessmen and college students descended from motivation competency. The perception gap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indicates that current college curriculums should be improved and new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orpo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셀프리더십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황순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4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paradigm has changed from leadership to ‘self-leadership’. In existing organizations and teams, if leaders exert influence on team members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improve performance, those members now have more opportunities to make decisions and to solve complex problems by themselves. Indeed,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self-leadership. Not surprisingly then, there has been a good deal of domestic research on self-leadership, especially in the field of nursing. However, to date there is no research analyzing previous related research into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elf-leadership with a focus on domestic research in the education field,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191 domestic research papers (academic articles published since 2005) were collected using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earch Service. All 191 research papers have been review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analytical criteria, such as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subjects and related variables.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related research on self-leadership has been growing since 2005. Secondly, there was more research conducted using the quantitative method compared to research that made use of other research methods. Thirdly, concerning the subjects of study, university students were studied more than other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ly,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s on self-leadership related factors, 84.9% of the research involved diverse correlat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studying self-leadership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s well as to examine this research from diverse perspectives. Also,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self-leadership education designed within career education with a special focus o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long with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elf-leadership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분야 셀프리더십 관련 국내 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유관 분야연구 설계와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21년 3월까지 발표된유관 분야의 국내 학술지 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self-leadership’, ‘셀프리더쉽’ 등의키워드를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비롯한 유관 검색 서비스에 투입하여 학술지 연구 논문 191편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미리 설정한 연구 동향 분석 기준(발표 시기, 연구 방법, 학습자(연구 대상), 연구 분야(및 학술지), 관련 변인(변인/비변인 연구)에 따라 코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관련 연구는 2005년 처음 발표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둘째, 연구 방법별로는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183편, 95.8%). 셋째, 학습자(연구 대상)별로는 대학생 대상 연구(148편, 77.5%)가 가장 많고, 중⋅고등학생, 일반 성인 순이다. 넷째, 셀프리더십 연구는 다양한 연구 분야와 학술지를 통해 발표되었고, 학제 간 연구(14.1%), 교육학⋅교육학 일반(13.1%), 기타사회과학(9.9%) 분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셀프리더십 관련 변인 연구(84.9%), 비변인 연구(15.1%)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주요 변인으로 첫째, 셀프리더십(종속변인)은개인특성 요인(58%), 진로 요인(16.4%), 환경적(맥락적) 요인(12.6%)이 많이 연구되었고, 둘째, 셀프리더십(독립변인)은 개인특성 요인(32.8%), 진로요인(32.8%)이유사한 수준으로 연구되었다. 아울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해 진로교육, 평생교육 관점에서 설계된 셀프리더십 교육과 학습자 특성(성, 전공, 연령, 학년 등)을 고려한 셀프리더십 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나용주,윤병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었다. 우리나라 전문대학교 부사관과를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362부의 응답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행동 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수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각각 체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Manz와 Sims, 2001)인 셀프리더십이 자율성, 책임감, 통제성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필요한 인지, 심리, 행동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에게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을 높여 셀프리더십 개발로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평가, 정보수집, 목표설정, 진로계획, 문제해결에 각각 유의한 양(+)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일관성 있게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평가, 진로계획, 문제해결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수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각각 체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로 회귀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준비행동의 경로를 통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셀프리더십→자기평가→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정보수집→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목표설정→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진로계획→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문제해결→진로준비행동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본인에 맞는 진로를 성공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확신성을 의미(Hackett와 Betz, 1986; Kossek et al., 1998)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career decision self-efficacy)이 본인에 맞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에게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장벽이 높게 지각될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아지므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 진로준비행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Department of NCOs leadership needs and self-perceived any casualty, the purpose being plac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ehavior and these self-appointed leadership needs parameters. To this end, the men and women college students Military major using the convenience of the student sample extraction to extract the 362 students. Setting the model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and then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studi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study model verifi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at i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Self-supporting department NCOs leadership is perceived by the student directly affects the employment action desire, desire is appointed acting under a direct impact on causality, self-leadership support was confirmed that an indirect effect on the employment action. As a result, NCOs autonomous department that students are not perceived to predict the employment needs and behaviors, self-leadership that can affect appetite as well as direct action, through the intermediary of supporting autonomy.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장은주,이숙정 한국산업교육학회 2016 산업교육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천안소재 B전문대학교 신입생 378명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분석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에 참가한 연구대상자 중 총 6명(남학생 3명,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 경험이나 리더십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의 셀프리더십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셀프리더십이 교육을 통해 학습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졸업 후 희망진로가 취업/창업집단의 취업스트레스가 진학/고시 집단의 취업스트레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대학교의 특성상 졸업 후 취업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학생들은 입학과 동시에 느끼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취업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을 완전매개하여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어 취업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인터뷰를 결과 연구대상자 개인이 인식하는 취업스트레스와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준비행동에 있어 취업스트레스가 있다고 진술했으나 취업준비행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경우와 취업스트레스가 없다고 진술했으나 취업준비행동을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생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목표실현을 위해 실천행동이 뒤따를 수 있도록 자기인식을 돕는 리더십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effects of the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on self-efficiency and job-seeking stress. For doing so, participants were 378 freshmen of B college located in Cheonan City, researcher looked into differences of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d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between job-seeking stress. In order to back insufficient parts of the data, total 6 students (3 male students, 3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n half-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was executed. Main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follows if summarizing it. First, self-leadership of the group that experienced participations in leadership educations or did leader roles wa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opposite students, so a fact could be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could be leant through educations. Second, job-seeking stress of employment/business startup group came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course/examination group regarding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This could be interpreted such like college students felt burdens of having to do employment after graduation right after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olleges. Third, results of carrying ou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seeking stress,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Fourth, self-leadership affected influences to employment stress by totally mediating self-efficacy. That is, job-seeking stress is decreased if developing self-leadership because self-efficacy is improved accordingly. Fifth, as a result of executing interviews, In addition, cases were confirmed such like some students were practicing behaviors for employment preparations even though stating they had job-seeking stress in being aware as research-objecting individual and preparing behaviors for careers after graduation, but other students did not practice preparing behaviors for employment even though they had not job-seeking stress.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leadership educations helping self-awareness are necessary so that practicing behaviors are followed by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goal realization as their own des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