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단용방사선표준화사업 : 진단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사선측정기 교정을 위한 기준 X선(Ⅱ)

        오헌진,박기정,이현구,김귀야,함창곡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X선 측정기에 대한 교정은 Cs-137 선원의 661.6 keV 에너지에서 수행하고 에너지 틀성곡선에 따라 보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방사선진단분야를 비롯한 X선 사용분야에서 정도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정확한 X선 선량측정을 위한 정확한 교정정수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실제 사용하는 X선의 에너지 범위에서의 교정이 요구되고 았다. 각국의 국가표준기관에서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준 X선을 사용하고 있는론, 국제표준차기구tISO)에서 정한 기준 X선므로 통합되어가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ISO narrow specEfurn 계열끈 기준 X선을 확립하기 위하여 고순도의 알루미늄, 납, 구리 및 주석 필터를 정확한 두께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확립된 기준 X선의 균일도(field uniformity)는 눈3 %"1고, 산란선의 영향은 검출되지 않았다. 선질을 평가하기 위한 1차 및 2차 반가층 측정결과, 1차 반가층은 ISO 4037-1 규격과 1.8~4.9 % 범위 내에서 일치하였으며 2차 반가층은 0.O~4.9 % 범위 내에서 일치함들 확인하였다. 본 면구에서 ISO 규격을 만족하는 narrow spectHrn계열의 20 tV, 린 kV, 30 Kv기준 X선을 확립하였으며, X선 측정기의 교정검사 및 X선 표준조사에 사용될 것이다. Calibration of X ray dosimeters have been performed at 661.6keV gamma ray of Cs-137 and corrected with energy dependence curve. As the importance of dose assurance was recognized in diagnostic radiology etc., accurate calibration factors determined at the practical X ray energy range are required for more accurate dosimetry. Each national standards laboratory developed their own X reference radiation for calibration. X reference beams specified in ISO standard are on unifying trend as a internationl reference beam. 3 low energy X reference beams of narrow-spectrum series specified in ISO 4037-1 we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r inherent filtration adjusting and additional filtration, high purity Al metal plates were processed to 10×10 cm plate with accurate thickness. Field uniformity of established X reference beams is ±3% and the contribution due to scattered radiation is negligible(not detectable). HVL measurements for evaluating the beam quality of established X reference radiation revealed that the first HVLs in given filtrations agree within 1.8∼4.9% and second HVLs satisfied requirements in ISO 4037-1 is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and can be used for calibrating X ray dosimeters and standard irradiation.

      • KCI등재후보

        예술 창작과 선(禪)

        김현숙 ( Hyeon Suk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1

        우리는 선(禪)이란 단어를 흔히 사용하고 그 개념을 어렴풋이 느낌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선에 관해 공부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선 사상의 역사와 정신에 대한 질문에 대답은 할 수 있지만, 선을 한마디 말로 정의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선은 스스로의 체험에 의한 깨우침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불교에서는 ``문자를 앞세우지 않는다`` 라는 뜻의 불입문자(不立文字)를 논하고 있으며, 선이 ``말로 표현이 될 때,그것은 이미 선이 아니다`` 라고 한다. 우리가 명상을 통해 알수 있는 선(禪)은 무엇이며, 명상이란 무엇인가? 명상이란 생각이 멈추거나, 생각하지 않고 있을 때시작된다고 하는데, 언제나 끊임없이 모든 것에 생각을 하며 살고 있는 우리에게, 생각을 멈추라는 말에 의문을 갖게 된다. 서양에서는 선(禪)의 뜻을 명상(meditation)으로 번역하고, 일본식 발음을 따라 젠(zen)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선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철학적인 의미로 해석되며, 프랑스의 일상 생활 속에서, ``soyez zen(쑤와이에 젠)``은 ``침착해라``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철학적인 의미에서, 명상과 선이 예술 작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의 의미와 그 선의 근원인 디아나(dhyana)를 구성하고 있는 삼매, 사마타(samatha)와 비파샤나(vipasyana)의 의미를 살펴본다. 우리를 편안하고 고요하게 해주며, 생각을 잠시 멈추게도 해주는 제임스 튀렐(James Turrell)의 작품, <몰입(Mol-Ip)>과 김현숙의 작품, <고요(Calm)>에서 우리는 사마타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행하는 사람들이나 내면의 세계를 연상시키는 Giusseppe Penone의 작품, <베르사이유의 삼나무(Versailles di Cedre)>에서 비파샤나의 의미를 해석해 본다. 또한 명상하는 사람들을 연상케하는 필립 라메트(Philippe Ramette)의 작품, <비이성적인 관조(Comtemplation irrationnelle)>에서는 선(禪)과 예술 작품, 그리고 명상과 예술 행위와의 연관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선(禪) 사상처럼 말로 표현되지 않는 여러 쟝르의 예술 작품들은 우리에게 다양한 의미를 전한다. 때로는 작품의 의미들은 선 사상이 전수되었던 방식처럼 마음과 마음을 통해 (이심전심 以心傳心) 그 의미가 전달 되기도 하고, 이해할 수 없는 선사들의 선문답이나, 혹은 달을 가리키는 부처님의 검지를 바라보는 것 처럼,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앞서 가는 작가의 의도를 우리가 알아채지 못할 때도 있다. 선은 명상을 통한 스스로에 대한 공부이며, 매 순간마다 새로움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예술가들이 개인적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들의 작품이 현실 자체, 있는 그대로의 실체를 바라 볼 줄 아는 현명함을 담고 있다면, 그 예술 작품들은 선 사상과 비교될 수 있다. 더욱이 디아나(dhyana)의 의미처럼, 묵상과 몰입 속에서 이뤄지는 작품 제작과 순간적인 직감에 의한 예술창작 행위는 어딘가 선 사상과 닮아있다. We usually use the word Zen (禪) and we know vaguely about the sens, bu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describe in short words to express the sense of Zen. Even we study of the Zen, be able to answerthe history and spirit of Zen, but it will not be easy to define the thought of Zen in simple words. Because the Zen is enlighten by our own experience. Moreover Buddhist saying 불입문자 burip munja (不 立文字) which means ``the word can``t precede the Zen`` and also they say ``when Zen represents by words, it``s not already Zen``. What is Zen through we know by meditation, and what is meditation? Thismeditation is thinking stops, starts when you are stops or not thinking. We will have a question about stops thinking, because we live in a constant thinking status about all of the things. In the West, the meaning of Zen is translated meditation, and used as Zen accor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Also Zen interprets a philosophical sense rather than a religious significance. In daily life in French, ``soyez Zen (be Zen)`` is used to mean ``calm down``. In a philosophical sense, to learn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with a work of art and Zen, meditation, we search the meaning of Zen and the origin (source) of Dhyana, and we are explored a signification of configure the Dhyana that Samatha and Vipasyana. We look at the meaning of the Samatha in the works, Calm of Hyeon-Suk Kim and Light leading of James Turrell that makes us comfortable, quiet and also stopping to think. And we interpret the meaning of Vipasyana in the works Versailles di Cedre of Giusseppe Penone that evoke inner word, and Also we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en and artworks, the meditation practices and the acts of the artists, in the works Comtemplation irrationnelle of Philippe Ramette that reminds those who meditate and perform. Like Zen, diverse genres of artworks which does not express in words, propose a variety of signification to us. Sometimes, the meaning of artworks allows to deliver us the way of transmission of Zen, through 이심전심 isim junsim (以心傳心heart to heart, mind and mind). And sometimes, such as the baffling dialogue of Zen Master, or such as looking at the index finger of Buddha pointing to the moon, we are also unable to perceive the intentions of the artists, because their thoughts go too far ahead than our thought. The Zen is studied for themselves through meditation, to recognize the now, at the moment and newness of each moment. So even if artists were not affected personally by the Buddhism, if their works contains a wise mind that know to look at the reality and reality as they are, artworks can be compared to Zen. Moreover, as significance of Dhyana, artistic creations that are produced through contemplation, and concentration, and, act of creation artistic by momentary intuition are similar somewhere to a Zen.

      • KCI등재

        선(線)의 심미적 기원 고찰 -숭배의 대상에서 예술의 도구로

        지승학 ( Seung Hak Chi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선``(線)이 가진 의미의 기원을 추적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선의 조형적 가치를 선사이미지에서부터 자연의 원리를 함축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선에 대한 질문을 위해 선사이미지를 언급해야하는 이유는 타당성을 지닐수 있게 된다. 동굴벽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선은 자연을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 자연 속에 동물은 그래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이 자연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다는 가설은 동물에 대한 묘사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그들이 동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은 동물을 관찰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동물과 자연에 대한 관찰은 하나의 패턴을 읽어낼 수 있게 하였다. 그들은 변화무쌍한 자연 속에서 일정한 규칙을 발견하게 된것이다. 이를 가브리엘 타르드의 논의를 통해 규명하자면 ``유사와 반복``의 발견이라 할 수 있다. 유사와 반복이 자연이 가진 질서로 인식되면서 이를 가장 명료하게 인식 할 수 있게 도와준 것이 바로 선이다. 선의 담론이 포괄적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특히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유사와 반복이 선으로 표현되었을 때 자연이 지식의 대상이 되어 갔다는 사실이다. 지식의 대상이 된 자연은 곧 기술적 표현으로 승화되기에 이른다. 이것은 하나의 규칙과 질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심미적 가치를 갖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과정이며 이를 증명하는 것이 바로 선인 것이다. 선에 대한 담론의 한 부분은 기원에 대한 다양한 물음으로 구성된다. This paper, as part of efforts to track the meaning of origin with "line", is to be analyzed on the figurative value with the principles of the nature. Questions about the line are also a question of origin. A line which can be found in cave paintings targeted the nature. Therefore, animal in its nature has an important meaning. Hypothesis that lines connect the nature can be found in the description for animals. In particular, the ability that they can draw the animals is the meaning that they have observed animals. The observation of Animal and nature was set to be able to read one pattern. But they are supposed to discover certain rules in nature. As the discussion of this Gabriel Tarde, it is a discovery of "similarity and repetition" in the nature. The thing which helped most clearly to be able to recognize the nature is just lines. The reason that the line discourse can be comprehensive is the very point. Through these understanding, what we will be known is that the nature becomes the subject of knowledge as long as ``similarity and repetition`` is represented by the line. Nature to be the subject of knowledge immediately is to be artistic expression. This is an indication of whether it has one of the rules and how the aesthetic value recognition for the order. The discourse of the line is composed of various questions of origin. ``The line``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 about origin.

      • KCI등재

        한국 「仙」과 甑山사상의 특징 및 그 도교성에 대해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道敎文化硏究 Vol.26 No.-

        生命이란 인간이 철학하게 되는 여러 가지 난문 중에서도 가장 핵심에 있는 의문이다. 한국학의 사유세계 속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해명이 시도되어졌다. 그 가운데 한국철학의 세계 속에서 우리는 ?仙?이라 부를 그 무엇을 통해, 생명에 대한 하나의 해결점을 찾아볼 수 있다. ?仙?이란 한국문화의 중추적인 세계 속에 담겨진 한국자생의 사상이자 철학의 세계를 의미한다. 이는 神話의 시대로부터 나타나, 한민족에 의해 전승 보존 유지되어 내려와 오늘에 이르고 있는 한국인의 자기의식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의 연원은 모든 것을 하나에로 귀일시키는 ?한사상?적인 특질을 갖고, 인간의 내적 정체성을 仙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그 신앙적 특질로서 巫神敎적인 자기성격을 지니는 것이다. 이는 그래서 古仙道 또는 古神敎라고도 불리는 것이며, 이후의 변천을 통해 한국도교와의 만남ㆍ불교와 무속과의 결합 그리고 조선단학과 민족종교사상으로 이어진 國仙과 화랑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다만 이는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언제나 잊혀지고 핍박받은 한국인의 기층적 사유세계로 존재함으로써 오늘 현재 그 남겨진 맥락을 이어가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존재성과 사상성은 여전히 뚜렷한 자취를 남기고 있으니, 이를 통해 우리는 ?仙? 그리고 한국인의 자체적인 생명사상에로의 탐색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仙?의 맥락 속에서 가장 특기할 것은 甑山의 사상세계이다. 그는 ‘참 동학’의 세계를 주창하는데, 실로 이는 무속의 자체적인 세계를 긍정한 것이며, ?仙?의 빛나는 흐름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속에서 한국적 생명사상의 세계는 보다 명확해지고 있다. 그것은 존재와 생사 그리고 관계성과 영원성의 원리라고 할 그 무엇이다. 동시에 이는 생사의 等價的 이해와 神明의 존재를 통한 精誠과 至誠의 정신세계를 밝혀주고 있다. 그리고 증산은 일심으로 ‘하나됨의 원리’를 보여줌으로써 전통적인 한국적 하나 됨의 철학세계를 담보하고 있다. 곧 인간의 生老病死나 천지의 生長斂藏이나, 일년 4계절의 春夏秋冬은 다 그대로 자연으로 존재하고 있다. 아니 이들은 그대로 자연일 따름이다.생사 또한 그와 같다. 그렇기에 이러한 자연을 그대로 따르고 긍정함을 통해서, 인간은 천지와 합일하고 그로써 영원한 세계의 흐름과 운동에 함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그대로 ?仙? 사유 즉 不死와 長生의 자기세계가 되며, 또한 한국문화 속의 無往不復之理, 그리고 도가의 返者道之動과 같은 궤적을 그리는 생명에의 이해가 되고 있다. The problem of life is an essential question in philosophy. So many answers on the life problem have been given to the human-beings from ancient times. Also, Korean have had a kind of solutions in its own way. One of them can be traced into the theory of the Sun(仙). The Sun(仙) is a supernatural being and immortal being. It seems like to the sun and the light. So, I call it as <the Sun(仙)>. The principle of the Sun (仙) is based on the Korean myths. And Korean myths have become an origin in Korean-ism. So, we can say that the Sun(仙) is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the Korean philosophy. The Sun's nicknames are Ko-Shinkyo(古神敎) or Ko-Sundo(古仙道) or PungRyu-do(風流道) etc. The Sun(仙) means the light, free and immortal man. It is the dualistic oneness, that is the Sun(仙) has the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homogeneously. In principle, the core of Sun's life theory is the eternity, forth and liberty. So, we can say that the mans who have acquired its faculties are the Sun(仙). The life of the Sun(仙) is a powerful movement and everlasting existence. The Sun's inheritance is not broken in the history of Korean-ism. This connections have had the Korean-Shaman and the National-Sun(國仙). And they made the groups, that is the monastic life(?家), Korean Taoism, Tanhak (丹學) and modernistic National Religions of Korean-ism. Finally, we can find the real Sun's world in JeungSan, which is one of Korean based religion. In Jeungsan, we can find the principle of the ‘living, growth, riping, conclude(生長斂藏)’ and the theory of complete. This principles are the nature of natures. In order to understand its principle, we must know the holy ghosts and the theory of mutual life saving. So, the living is the moving and power of the nature. And, in its principle, also the life and death are the phenomena of the nature. Thus, it can be said that JeungSan have succeeded successfully the true nature of the Sun(仙). The principles of JeungSan and the Sun(仙) will be an unique alternative in the new milllenium.

      • KCI등재

        중국 지식인이 생각한 "善(선)" -陶淵明(도연명)과 白樂天(백낙천)을 중심으로-

        시모사다마사히로 ( 下定 雅弘 ) 우리한문학회 2012 漢文學報 Vol.27 No.-

        본 논문은 중국 지식인들이 “善”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六朝와 唐의 시인인 陶淵明과 白居易의 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도연명과 백거이는 善에 대해 진지하게 사고한 지식인의 대표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들의 善의 개념을 살펴보기 전에, 『論語』와 『老子』에 나타난 善과관련된 용어와 문장들을 분석하여 고대에 가지고 있던 선의 관념을 밝혀보았다. 『논어』와 『노자』는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과 일본, 동아시아의 지식인이 필수적으로 보았던 책이었기에 이를 대상으로 삼았다. 도연명의 선에서는 <儒家의 善>을 볼 수 있었는데 이것이 이후 <老莊의 善>, 개인적 선으로 기울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백거이의 선은 <개인적 善>을 더 분명하게 볼 수 있었으며, 만년에 노장, 불교에 심취하였기 때문에 <노장의 선>, <불교의 선>의 특징 또한 보여준다. はじめに「善」「善行」「善人」等の語は中國で古代から用いられている。そしてこれらの語は中國のみならず漢字文化圈である日本や朝鮮でも用いられ、 今日もごく當たり前の言葉になっている。この發表では、「善」の語の發生の地中國において、知識人たちはこの言葉をどのように用いてきたのかを述べたい。それは、同じく「善」の語を使う朝鮮や日本における「善」の意味及び用い方との比較をするための基礎作業の一部となるだろう。今回はこの問題を六朝の陶淵明·唐の白居易の詩を主な素材として考えてみたい。なぜなら、この二人は、唐代までの中國において、おそらく「善」について最も眞劍に考えた知識人だからであり、彼らの「善」の用法を觀察することで、中國の知識人にとっての善の基本的な特衛を把握できると考えるからである。※ 陶淵明は六朝で「善」を最も眞劍に求めた詩人である。唐の詩人、李白·杜甫に比較すれば、白居易が「善」について深く考究していたことは確實である。淵明は、詩124首·文12篇の全てを對象とし、白居易はほぼ3000首の詩全てを對象とした。そのためには、まず古代における「善」の語の用法を確かめておかなくてはならない。古代を代表する書物であり、かつ朝鮮及び日本の知識人が必ず讀んだ『論語』と『老子』を素材にして古代の「善」の觀念を明らかにした上で、陶淵明と白居易の「善」について考察することとする。

      • KCI등재

        요한복음의 선한 목자 모티프

        안세광(Ahn, Se Gwang)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3

        선한 목자 모티프는 요한복음에서 예수의 정체와 사역을 드러내는 중요한 주제 중 하나다. 그것은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예수의 마지막 공적강화이자 자신을 직접 선한 목자로 선포하는 10:1-21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요한복음 여러 곳에서 그 모티프의 요소들이 공유된다. 본 논문은 10:1-21의 주해와 구약 및 다른 관련 본문들의 고찰을 통해 선한 목자가 구약의 예언의 성취라는 점과, 10:1-21에 묘사된 선한 목자의 역할이 다른 부분들에서 어떻게 연관, 성취, 위임되는지를 살펴보며 요한복음의 선한 목자 모티프를 탐구한다. 예수는 선한 목자다(10:11, 14). 선한 목자는 양들의 이름을 각각 불러내고 양들은 그 음성을 알고 따르는 상호 친밀함을 누리고(10:3-4), 양들에게 구원과 풍성한 생명을 준다(10:9-10). 그 친밀함은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 예수의 그것에 비견될 정도다(10:15). 그는 또한 하나님의 뜻에 의거해 양들을 위해 자발적으로 자기 목숨을 버리는 희생의 목자다(10:11-18). 그러한 돌봄과 희생, 구원의 범위는 이스라엘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10:16). 선한 목자인 예수는 구약에 예언된 메시아적 기대의 성취다. 예수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드러난 수많은 실망스러운 지도자들과 신약시대에 양들을 돌보지 않은 거짓 지도자들에 대비되는 선한 목자인 것이다. 요한복음내의 다른 본문들(특히 수난 및 부활 후 이야기)은 선한 목자 모티프의 여러 요소들이 성취, 위임되는 모습을 상징적 실제적으로 보여준다. 예수는 선한 목자 강화를 통해 선포한 내용들을 자신의 사역과 수난, 부활을 통해 성취하시고, 자신의 승귀 후에도 그 사역이 계승되도록 위임하는 것이다. 그러한 선한 목자의 역할은 양들을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리기까지 사랑하신 예수를 사랑하는 제자들에 의해 계승되어 지속될 것이다. Good Shepherd motif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which reveal the identity and ministry of Jesus in the Gospel of John. It appears in 10:1-21 as Jesus’ last public discourse in the Gospel in which Jesus proclaims himself as the Good Shepherd. The elements of the motif are shared in many parts of the Gospel. This essay studies the Good Shepherd motif through exegesis of John 10:1-21 and consideration of the motif in the larger context of Old Testament and other parts of the Gospel of John.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finds that Jesus the Good Shepherd is the fulfillment of the Old Testament expectation and observes how the role of the Good Shepherd proclaimed in 10:1-21 is related to, fulfilled, and commissioned in the other parts of the Gospel. Jesus is the Good Shepherd (10:11, 14). There is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Good Shepherd and the sheep: the Good Shepherd leads them calling by name and the sheep know his voice and follow him (10:3-4). The intimacy is compared to that between God and Jesus (10:15). The Good Shepherd gives the sheep salvation and abundant life (10:9-10). The Good Shepherd also voluntarily lays down his life for the sheep according to God’s will (10:11-18). The scope of care, sacrifice, and salvation of him is all human beings that goes beyond Israel (10:16). Jesus the Good Shepherd is the fulfillment of the messianic expectation of the Old Testament. The Good Shepherd is contrasted to the unfaithful leaders in the history of Israel and the false leaders in the New Testament period who did not care for the sheep. Other passages in the Gospel of John (especially passion and resurrection narrative) show the fulfillment of many elements of the motif proclaimed in the Good Shepherd discourse and commissioning of the role to the disciples who love Jesus. Jesus fulfilled what he proclaimed in the discourse through his arrest, trial, death, and resurrection and commissioned the disciples with the role to be continued after his return to the God. The role of the Good shepherd will be continued through the ministry of the disciples who love the Good Shepherd who loved the sheep to the degree to lay down his life for the sheep.

      • 선리(船里) 명문와 고찰

        김규동,성재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고고학지 Vol.17 N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keeps artefacts (many of them are merely fragments, although they are valuable as historical materials) collec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luding 389 roof tiles that were colle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in Seon-ri, Gwangju after the great flood of 1925, 337 of which contain inscriptions. However, their archaeological context has long been unclear due to a lack of detailed investigations or excavations. Some roof tiles are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Place name)受國蟹口船家草 (Sugukhaeguseongacho)," which c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e following: "(Place name) is requested to receive the roof tiles that we are dispatching. They were produced at a (Government-run) kiln near the ferry at the estuary of the river (whose name is associated with crabs)." Thus, it is thought that the place where the roof tiles were produced was Seonri, Gwangju and that they were supplied to the places whose names were stated. A total of twenty place names (for which the roof tiles were produced) inscribed on the roof tiles have been confirmed by the record in the section titled Jiriji (Geographical Book)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y include areas around Bukhansan Mountain in Seoul, as well as in Yangpyeong, Anseong, Suwon, Gwacheon, Gimpo, Yangju, Goyang, Paju, Pocheon and Hanam in Gyeonggi-do and Incheon; Cheolwon; Gaeseong, Jincheon. Seon-ri roof tile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between the mid-8th century (place names were changed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zones in 757) and the early Goryeo Period based on their patterns, changes in the inscriptions, and the place names inscribed upon them. The places to which the roof tiles were supplied generally correspond to the scope of Hanju, one of the nine provinces of Unified Silla. Thus, the roof-tile kiln in Seon-ri, Gwangju is thought to have been a state-run production center that supplied roof tiles from Hanju. The Chinese character 國('Guk') inscribed on the roof tiles corroborates this fact.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oof til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하거나 지표 채집한 유물 중 대부분 편으로 잔존하고 있는 자료적 성격의 유물을 보관·관리해 왔다. 선리 기와 또한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1925년 을축년대홍수 이후 발견·수습한 것으로 모두 389점에 이르며, 이 중 337점에서 명문이 확인된다. 하지만 수습에만 거치고 주변에 대한 정밀조사나 발굴조사 등을 실시하지 않아 유적의 성격이 밝혀지지 않았다. 기와에는 ‘(지명)受(國)蟹口船家草’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이는 ‘게내천 또는 게와 관련된 명칭의 하천 입구에 있는 나루터 부근 국영(가마)에서 제작한 기와를 보내니 (지명)에서 받아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중 ‘해구(蟹口)’는 게와 관련된 명칭의 하천 입구라는 의미로 기와 발견지 일대가 현재도 게가 살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기와 가마가 위치한 곳을 당시에는 ‘해구(蟹口)’라 불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생산지는 ‘해구(蟹口)’, 즉 선리가 되고 공급지는 명문 앞에 있는 각 지명들이 됨을 알 수 있다. 기와에 남아 있는 지명 즉 기와의 공급지는 『삼국사기』 지리지 비정을 통해 모두 19곳이 확인되는데, 이들의 현재지명을 비정한 결과 서울의 북한산 지역과 경기도의 양평·안성·수원·과천·김포·양주·고양·파주·포천·하남과 인천, 강원도 철원, 황해북도 개성지역, 충청북도 진천지역 등으로 확인되었다. 선리 기와는 문양과, 명문의 변화, 기와에 새겨진 지명이 통일신라지명과 고구려지명이 혼재되어 있는 점 등으로 보아 757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지명 개명이 완료된 시점인 8세기 중후반부터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 초까지 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서울·경기·인천·강원도 철원·황해도 개성 등 공급지역의 범위가 통일신라 9주 중 하나인 한주(漢州)의 범위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어 선리의 기와가마는 한주를 공급지역으로 하는 관영공방으로 생각된다. 이는 기와의 명문에 새겨져 있는 ‘국(國)’을 통해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다. 선리 기와가마가 한주의 관영공방이었을 가능성은 통일신라 당시의 기와 생산과 유통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X선 촬영 시 연령별 장기선량 차이 연구

        박상현,이춘식,김우란,이재기,Park, Sang-Hyun,Lee, Choon-Sik,Kim, Woo-Ran,Lee, Jai-Ki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3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8 No.1

        진단 X선 촬영에 의한 소아 및 성인의 장기 등가선량과 유효선량을 구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연령에 따른 체격의 차이가 방사선량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식도를 포함한 4개 연령군의 MIRD형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제작하였다. 두 가지의 전형적인 진단 X선 절차인 흉부 PA와 복부 AP 진단 X선 촬영을 모사하여, 연령별 선량을 계산하였다. 흉부 PA 진단 X선 촬영절차에 의해서 환자들은 대략 0.03mSv의 유효선량을 피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AP 진단 X선 촬영절차의 경우 연령에 따라서 0.4에서 1.7mSv의 유효선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된 조사장을 갖는 방사선에 대해서 선량을 평가했기 때문에, 장기의 위치와 크기, 모양, 그리고 방사선이 입사하는 표면으로부터의 필이 등이 선량 계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진단 X선의 조사장이나 선질의 조절 등을 통해 방호의 최적화를 위한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선량계측 절차는 의료방사선 방호의 최적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Methodology for calculating the organ equivalent doses and the effective doses of pediatric and adult patients undergoing medical X-ray examinations were established. The MIRD-type mathematical phantoms of 4 age groups were constructed with addition of the esophagus to the same phantoms. Two typical examination procedures, chest PA and abdomen AP, were simulated for the pediatric patients as well as the adult as illustrative exampl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patients pick up approximate 0.03 mSv of effective dose from a single chest PA examination, and 0.4 to 1.7 mSv from an abdomen AP examination depending on the ages. For dose calculations where irradiation is made with a limited field, the details of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organs and the organ depth from the entrance surface considerably affect the resulting do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ptimize radiation protection by control of X-ray properties and beam examination field. The calculation result, provid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lement optimization for medical radiation protection.

      • KCI등재

        선(禪)의 철학과 노동의 가치: ‘일상으로서 선’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박병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Our daily lives are unfolded on the premise of a world of life and death [生滅], but we cannot shake off the world of Jinyeo(眞如) contained in it. This is because the essence of humanity contains a desire to overcome the world of extinction symbolized by appetite and sexual desire. The reality of our lives is that Mahayana Buddhism’s view of the world of Jinyeo(眞如), which is contained by that aspiration, results in a single mind as it forms a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two Buddha’s with the world of extinction. The tradition of Seon(禪) has proposed a philosophical and religious orientation of the uninterrupted crossing between survival and existence based on daily life, expressing this reality of life with the proposition of “normal mind is Dao(道).” Although Seon’s aim of non-contradictory has revealed specific aspects by relying on short and implicit languages such as Korean Seon poetry and Japanese haiku, more fundamental questions still show the aesthetics of the three senses left in the world beyond language. As a result, Seon is the exclusive property of prehistoric people, and it tends to be accepted as a mysterious story tha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access or a heavenly report containing a profound truth. In this small discussion, we tried to overcome this view of the Seon(禪) and seek how to summon the spirit and practice of the Seon in the daily lives of Korean citizens in the early 21st century, mainly in connection with Marx’s view of labor. Marx emphasizes that humans are natural beings that can exist through relationships with nature, and at the same time, historical beings that can only live in social networks. The process of humans living by relying on each other as part of nature is embodied in labor, which means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mind, and in that sense, humans are “working beings.” This labor includes the implementation of a large-scale existence that can recognize one’s existential limit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pens up as a possibility of philosophy that can present one’s daily life as an object of observation. Seon(禪) can have meaning as a method or means of observation at this point. The practical wisdom of knowing and seeing the very daily life as it is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one’s daily life forms the basis of the large-scale existen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Seon. This large-scale existence is the basis for realizing the existence of species being that can only be lived by working in groups again, and the awakening of the existence of species being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reality of pain in individuals’ daily lives.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social solidarity for change 우리 일상은 생멸(生滅)의 세계를 전제로 펼쳐지면서도 그 안에 담긴진여의 세계를 떨쳐내지는 못한다. 인간다움의 본질 속에 식욕과 성욕으로 상징되는 생멸의 세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열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 열망이 담아내고 있는 진여(眞如)의 세계는 생멸의 세계와 하나도아니고 둘도 아닌 불이(不二)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마음[一心]으로 귀결된다는 것이 대승불교가 바라보는 우리 삶의 실상이다. 선의 전통은 이러한 삶의 실상을 ‘평상심이 곧 도’라는 명제로 표현해내면서 그일상에 토대를 둔 생존과 실존 사이의 걸림없는 넘나듦을 철학적·종교적지향으로 제안해 왔다. 선의 걸림없음[無碍] 지향은 우리 선시나 일본의하이쿠 같은 짧고 함축적인 언어들에 의지하여 구체적인 양상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여전히 더 근원적인 물음은 언어 너머의 세계에 남겨두는삼감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은 논의에서는 어떻게 하면 21세기초반 한국시민들의 일상에서 그 선의 정신과 실천성을 불러낼 수 있을지를 주로 마르크스의 노동관과 연관지어 모색해 보고자 했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서 존재할 수 있는 자연적 존재자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만 살아갈 수 있는 유적 존재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이 서로에게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과정은 곧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뜻하는 노동으로 구체화되고, 그런 점에서 인간은 ‘노동하는 존재자’이다. 이 노동에는 자신의 실존적 한계를 인식할 수 있는 대자적 존재성의 구현이 포함되어 있고, 그 구현은 자신의일상을 관찰의 대상으로 내놓을 수 있는 철학함의 가능성으로 열린다. 선(禪)은 이 지점에서 관찰의 방법 또는 방편(方便)으로서 의미를 지닐수 있다. 자신의 일상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바로 그 일상을 있는 그대로알고 보는[如實知見] 실천적 지혜가 바로 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자적 존재성의 근간을 이룬다. 이 대자적 존재성은 다시 무리를 지어 노동을 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유적 존재성을 깨칠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유적 존재성의 깨침은 개인의 일상에 들어와 있는 고통의 실상을 바라볼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줌과 동시에 변화를 위한 사회적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을 마련해줄 수도 있다.

      • 선(禪) 언어에서의 미적 재현성(Representation)에 관한 소고(小考)

        우지선(Ji-Seon Wo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3 철학과 문화 Vol.49 No.-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선종[禪]에 관하여 논의된 미학에서 선(禪)의 언어가 다루어진 적이 드물다는 것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나온 ‘선종미학’에 관한 연구에서는, 선종과 미학이 주객미분(主客未分)한 상태에서 주객일여(主客一如)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과 일종의 집착 혹은 속박에서 벗어나 정신적 해방을 표현한다는 것에 주목하여 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선종이 일다불이(一多不二)와 유무불이(有無不二)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것에서 깨달음과 해탈을 미학사상과 연관시켜 보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처럼 선종과 미학 사상을 연관시키는 것은 선종의 심오하고도 다소 모호하고 모순되는 개념에 대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접근을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선의 언어는 그것이 담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 표현하고자 하는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여전히 애매성이 존재한다. 이는 물론 선의 언어는 무엇인가가 표상되어 계속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게 어떤 진리를 표상하였다가 결국 타파되어야 하는 특성상 미학적 언어가 담고 있는 중도적 진리와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예술작품으로의 언어, 미학적 언어의 재현성(Representation)에 주목하여 선종에서 나타나는 선문답 혹은 화두참구, 시조에서도 이와 같은 재현성을 찾음으로서 선(禪)적언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하고자 한다. 또한 선적언어에 대한 미학적 재현성(Representation)을 밝힘을 통해 선에서 말하는 ‘깨달음’을 어떻게 언어적 재현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해 밝혀본다. It is noted that the language of Zen(禪) has rarely been dealt with in the aesthetics that have been discussed about Zen Buddhism. In the studies on 'Zen aesthetics' that have been conducted aim to become one and the same as the master and guest in a state where the principal[主客未分, 主客一如] and the guest are the mental liberation freed from a kind of obsession or bondage. The study proceeded with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is is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Zen’s focus on relating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with aesthetic thought, The Zen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ving and not being. In this way, the connection between Zen Buddhism and aesthetic though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approach the profound, somewhat ambiguous and contradictory concept of Zen Buddhism in a more logical and understandable way. However, there is still ambiguity about what the meaning of the language of Seon is and what substance it is intended to express. Therefore,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language as a work of art and aesthetic language, it is to check whether the understanding of Zen language can be increased by finding such representation in Zen dialogue, hwadu exploration, and sijo that appear in Zen Buddhism.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the language of Zen, we will find out how to linguistically represent the 'enlightenment' spoken of in 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