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보 율시의 어법적 생소화

        엄귀덕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50 No.4

        형식주의 문학비평가들은 시어는 일상어를 생소화한 언어라고 주장한다. 당시는 당 이전의 시가와 시어에서 차이를 보인다. 시어가 시적으로 변한 것이다. 시적이란 언어의 생소화를 말한다. 생소화한 언어는 특히 율시에서 자주 보인다. 율시에서 시인이 문학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이 구법이다. 두보는 어는 누구보다 “煉句”에 집착한 시인이다. “煉句”의 결과물이 바로 구법의 생소화이다. 두보의 율시에 나타나는 생소화 기법은 어순의 도치이다. 어순의 도치는 평범한 것을 특이한 것으로 진부한 것을 새로운 것으로 바꾸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생소화는 독자의 감각을 회복시켜 새로운 감성의 세계로 이동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두보가 시인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시어의 생소화와 관련이 있다. 두보는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가진 사람이었으나 불우한 인생을 살았고, 설상가상 안록산의 난으로 인해서 재기할 기회마저 가질 수가 없었다. 시어의 생소화에의 집착은 두보가 얼마나 천하의 찬사에 목말라 했지 보여 주는 것이다. 찬사에 대한 목마름이 시어의 생소화로 승회되고, 시어의 생소화는 중국 고전시가의 발전을 크게 추동했다. 形式主義文學評論家主張,詩語是把日常語陌生化的語言。唐詩和前期的詩比較,在詩歌和詩語中可以看到他們的不同。詩語更勻有詩味。詩味和詩語陌生化有直接的關系。律詩中經常出現陌生化的詩語。律詩中,詩人可以在句法上發揮其詩人的文學素養。對”煉字煉字“杜甫比任何人都흔執著。”煉字煉字“的結果就是句法的陌生化。杜甫的律詩中出現的語順倒置,就是詩語陌生化的特點。語順的倒置帶來的效果是把平凡的語句變成富有特色的語句。也就是說陌生化使讀者恢復感覺,引領讀者體會壹個新的感情世界。杜甫作爲壹位詩人受到好評,和他詩中出現的詩語陌生化有關。杜甫雖然具有與生俱來的文學創作才能,但生活不遇,加上雪上加霜因安史之亂連復出的機會也失去了。杜甫對詩語的陌生化흔執著,在這裏我們可以感受到杜甫對天下的贊詞有多마渴望。杜甫把這些渴望寫到了詩裏,變成了詩語的陌生化。詩語的陌生化又大大促進了中國古代詩歌的發展。

      • KCI등재

        당시의 어법적 특색

        엄귀덕 대한중국학회 2015 중국학 Vol.53 No.-

        당대시인들은 언어의 “생소화”에 상당히 집착했다. 어법적 생소화가 바로 시어의 생소화 신드롬이 당대를 풍미한 이유는 시가 권력과 결합했기 때문이다. 당대의 궁정창화와 과거는 시와 권력이 결합한 “현장”이었다. 당대 초엽은 궁정창화가 시의 발전을 견인했고, “以詩取 士”가 확정된 중엽부터는 과거가 시의 번영을 강력하게 추동했다. 응시자의 신분제한이 철폐 되면서 시인층도 엄청나게 불어났기 때문에 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시의 경쟁은 번영 을 낳았다. 시어의 생소화는 번영의 단면이다. 당시의 어법적 생소화는 주로 근체시에서 목도 된다. 특히 근체시에서 가장 미학적 연이라고 일컬어지는 2연과 3연에 나타난다. 어순의 도치 와 문장성분의 생략은 생소화의 전략이다. 어법적 도치는 앞으로 환위된 요소들이 전경화 효 과를 가진다. 문장성분의 생략은 독자의 상상력이 다양하게 작동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 정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Tang dynasty witnessed the prosperity of poetry. It is the collective writing of poetry in the court with the emperor in the center and the imperial examination to select high officials that led to the full blooming of poetry. What they shared in common is that poetic writing was a competition. Conventionally there arranged a competition of poetic writing in the court after the banquet hosted by the emperor. The poets, mostly high officials, were concerned with the poetic language whenever they wrote a poem in the court, the language which became a criteria for poetic mastery. Since the Tang government enforced a national policy to include poetic writing in the imperial examination, Tang literati devoted themselves to learning poetics and developing poetic skills. In order to become a winner, they focused on the de-familarization of daily language especially in composing Modern-style poems by disrupting the linguistic grammar. The inversion of word order, the list fragment of nounal images, and the abbreviation of sentence as the mode of de-familarization of language are frequently found in the Tang poetry. It is obvious that de-familarized language in the poetry “makes strange the world of every perception and renew the reader’s lost capacity for the freshness of sensation”, as V. Shklovsky says. The de-familiarization of language reflects an aspect of the great literariness of the Tang poetry which is hardly found in Song poetry oriented towards the philosophical trend.

      • KCI등재

        레오스 카락스 감독의 영화미학, 변증법적 생소화에 의한 탈장르성 - <홀리 모터스>(2013)와 <아네트>(2021)를 중심으로

        김소영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현대 대중문화의 탈장르성과 능동적 수용자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독일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으로부터 찾고, 그것이 영화에 어떻게 변용되는지 살펴본다. 분석대상은 프랑스의 영화감독 레오스 카락스의 <홀리 모터스(Holy motors>(2013)와 <아네트(Annette)>(2021)이다. 선정 이유는 전자에 나타난 탈장르적 작법이 브레히트식 생소화(Verfremdung) 효과에 의해 후자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우와 관객의 두 층위에서 ‘메소드 연기/연극적 게스투스’, ‘개입하기/관조하기’의 관점으로 분석한다. 그의 영화는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화려한 시청각 이미지로 펼쳐지는 교향곡의 향연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스펙터클의 이미지가 아닌, 배우와 관객의 전통적 지위와 상호 관계를 재정립하게 만드는 예술적 시도이다. 카락스 감독 영화의 변증법적 생소화 미학을 찾아가는 여정은 탈장르적 현대 대중문화에 침윤된 브레히트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This study seek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ctive audience of modern popular culture found in Bertolt Brecht’s Episches Theater, and examines how this is transformed into film. This paper discusses Brecht’s Verfremdung effect through an analysis of Holy motors (2013) and Annette (2021) by French film director Leos Carax. Specifically, it illuminates from the viewpoints of ‘method acting/theatrical gestus’ and ‘intervention/contemplation’ for both actors and audiences. Holy Motors and Annette are not simple spectacle images, but artistic attempts to redefine the traditional status a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Therefore, the journey to find the dialectical aesthetics of verfremdung effect in director Carax’s films is also the work of expanding Brecht’s influence that has already permeated modern popular culture.

      • KCI등재

        카이저의 『구원받은 알키비아데스』와 브레히트의 「부상당한 소크라테스」에 나타난 기법 고찰 - 생소화와 게스투스를 중심으로

        함경희 ( Hahm Kyoung H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1

        이 연구는 게오르크 카이저의 희곡 『구원받은 알키비아데스 Der gerettete Alkibiades』 (1919)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단편소설 「부상당한 소크라테스 Der verwundete Sokrates」(1938)에 나타나는 기법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카이저의 『구원받은 알키비아데스』에 드러나는 인물과 사건의 생소화, 언술과 신체표현의 대립은 사건에 대한 거리나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서사극의 기법을 선취했다. 브레히트는 「부상당한 소크라테스」에서 인물과 사건의 생소화를 유지하면서, 게스투스와 비견될 수 있는 기법인 자세와 외부시각을 통해 사건에 대한 거리나 성찰을 추동함으로써 서사극과 동일한 목표를 견지했다. 그러나 카이저의 희곡은 개별 장면들이 결말과 개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를 맺는 목적성을 지양한다. 이것은 관객에게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려는 작가의 궁극적인 의도, 즉 사고유희를 잠재적으로 실현한다. 반면 브레히트의 단편소설은 변증법적으로 목적성을 유지함으로써, 교훈을 전한다. 이것은 문학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실현한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까닭은 작가의 세계관뿐만 아니라 작가가 처한 시대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In dieser vorgelegten Arbeit wird versucht, die im Drama Der gerettete Alkibiades und in der Erzahlung Der verwundete Sokrates angewendete Technik zu untersuchen. Brecht hat das Drama Der gerettete Alkibiades in die Erzahlung Der verwundete Sokrates umgearbeitet und Kaiser gewidmet. In dieser Untersuchung werden die beiden Texte im Bezug auf die Verfremdung und Gestus, die als zentrale Begriffe des epischen Theaters verstanden werden, analysiert. Die beiden Werke haben im Zusammenhang mit den Techniken gewiße Ahnlichkeiten, und zwar Verfremdung und gegensatzliche Seiten in der Situation und Figuren. Im Fall der gegensatzlichen Seiten wird bei Kaiser Gegensatz von Rede und Korpersprache konkretisiert, und bei Brecht Haltung und Außenschau. Der Unterschied zwischen den beiden Werken liegt zwar in der Finalitat - kausalem Zusammenhang mit dem Ende. Ob diese Kausalitat erhalten wird, kommt es auf die Differenz der Zeitumstande an. Bei Kaiser steht die Aufhebung der Finalitat gegenuber der dialektischen Finalitat bei Brecht.

      • KCI등재

        해체적 그래픽디자인 해석의 틈에 대한 수용미학적 접근

        김지원 ( Kim Ji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탄생시키며 실험적이고 탈형식 유형의 그래픽디자인 영역에 큰 영향을 주었다. 명확성이 요구되는 전통적 형식의 그래픽디자인과 달리 포스트모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은 모호하고 실험적인 시각표현과 불확실한 메시지 전달로 미적 경험의 주체로서 독자의 능동성과 창의성을 강조했다. 다시 말하면, 작가가 제시한 작품의도와 독자의 작품 해석태도에 대한 상호관계성이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은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와 독자가 해석한 메시지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고 간주하고, 이것을 ‘해석의 틈(gap of interpretation)’이라 하였다.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틈을 유형별로 정리하기 위해 독자의 능동적 역할과 창조적 행위가 강조되는 ‘수용미학’을 제시하고, 수용미학적 해석을 3가지 관점으로 나눠-1)생소화(de-familiarization) 2)미정성(indeterminacy) 3) 구체화(concretization)-분석하여, 독자의 다양한 해석이 작품 의미를 어떻게 확장시키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해석의 틈’ 발생 구조에 있어서 독자의 능동적 역할을 핵심으로 도출했으며, 궁극적으로 작가의 생소화와 작품의 미정성의 다층구조, 그리고 독자의 구체화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생성되는 것이라는 ‘관계성의 현대 그래픽디자인’을 새롭게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문학연구의 한 방법론인 수용미학을 통하여 진보적인 그래픽디자인 표현 양식으로써 이념적 틀을 형성하고, 독자의 수용 연구를 제시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으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함에 있다. Postmoder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gave birth to a new concept of design and greatly influenced the area of graphic design with its experimental approach and style that rejects traditional forms. Unlike traditional graphic design where clarity is required,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nfluenced by postmodernism puts emphasis on the viewers’ active participation and creativity by using ambiguous and experimental visual expressions and delivering uncertain messages. In other word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 artist,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interpretive attitude of a viewer who tries to read the intension of the work becomes important. This study presupposes that a gap is created between a message that is intended by an artist and a message that is interpreted by a viewer in modern graphic design works and calls this a “gap of interpretation.” Then, in order to categorize the gaps existing in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this paper introduces the theory of the aesthetics of reception where emphasis is placed on active participation and the creative actions of an audience. The study analyses the aesthetics of reception approach from three aspects: 1) the de-familiarization, 2) indeterminacy, and 3) concretization. Then, it examines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viewers and how their interpretations expand the meaning of a work. As a result,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be came a key component in the structure of the “gap of interpretation”in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This prompted me to rethink “relational modern graphic design,” which claims that art works are crea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an artist’s de-familiarization method, the multi-structure of indeterminacy, and viewer’s concretiz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build an ideological frame for a progressive graphic design style of expression using the aesthetic of reception approach-a research method in literature study-to suggest that the frame can be used as a design method to prompt new research on viewer reception.

      • KCI등재후보

        후안 마요르가 작 <하멜린> ‘해설자’ 역할창조연구

        김해정,조준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2

        Juan Mayorga's work <Hamelin> is inspired by the fairy tale ‘The Pied Piper of Hamelin’ and the ac- tual case of child molestation that occurred in Spain. This work presents other problems or social is- sues derived from the case by revealing the hidden side rather than focusing on and solving the case, and it stimulates the audience to do rational reflection and ponder. Thi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Post-epic Theater revealed in <Hamelin>. There is empirical research on <Hamelin> as Post-epic Thea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Hamelin> that focused on a narrator who is a main Post-epic character. Thus, this current study defines <Hamelin> as Post-epic Theater and aims to present the method of role creation of the ‘narrator’ which is a Post-epic character throughout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on Post-epic Theater, three features of Post-epic Theater on <Hamelin> can be deduced: ‘1. A non-linear play structure that moti- vates an audience to actively watch the play’, ‘2. Raising social problems in a personal dimension based on Micro-Narratives’, ‘3. The narrator who promotes the coexistence of immersion and Alienation effect’. However, the narrator of <Hamelin> performs various roles and functions compared to existing other narrators in Epic theater. By utilizing Michael Kirby's theory ‘On Acting and Not Acting’ which enables the researcher to analyze thoroughly beyond existing acting frameworks, the re- searcher was able to analyze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narrator, to confirm the notion of rapid role-change theoretically, and to apply it to the process of role creation. Four factors of Gestus were constructed to strengthen the audience's critical consciousness through Alienation effect which is the narrator's main characteristic: scene transitions, eye contact, finger gestures, and shooting.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Hamelin> as Post-epic Theater and to suggest the method of the role creation of the Post-epic characters throughout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후안 마요르가(Juan Mayorga)의 <하멜린>은 동화 ‘피리 부는 사나이’와 스페인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아동 성추행 사건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이다. 이 희곡은 중심 사건에 집중하여 그것을 풀어나가기 보다는 파생되는 다른 문제들, 혹은 그 이면을 드러내며 사회적 문제를 제시하고, 관객의 이성적 성찰과 사유를 촉구한다. 이것 은 <하멜린>에 드러나는 포스트 서사극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하멜린>을 포스트 서사극으로 바라본 선행연구는 있지만, 이 작품의 대표적 포스트 서사적 인물인 ‘해설자’를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는 전무하다. 그 렇기에 본고는 <하멜린>을 포스트 서사극으로 규정하고, 실제 프로덕션 과정을 통해 포스트 서사극 캐릭터인 ‘해설자’의 역할창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포스트 서사극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멜린>에 나타나는 포스트 서사극의 특징을 세 가지로 도출할 수 있었다. ‘1. 관객의 적극적 관극을 촉구하는 비선형적 극 구조’, ‘2. 미시서사를 기반으로 하는 사적 차원의 사회 문제 제기’, ‘3. 몰입과 생소화의 공존을 도모하는 해설자’가 그것이다. 그런데 <하멜린>의 해설자 는 기존의 서사극 해설자보다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연구자는 기존의 연기적 틀을 벗어나 면밀 한 분석이 가능한 ‘마이클 커비의 연기/비 연기(On Acting And Not-Acting)’ 이론을 활용하여, 해설자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분석 및 급격한 역할 전환의 이론적 토대를 확인하고 역할창조 과정에 적용할 수 있었다. 해설자의 주요한 특징인 생소화 효과를 통해 관객의 비판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게스투스를 네 가지로 구축하 였다. 장면 전환, 아이컨택, 손가락 제스처, 촬영이 그것이다. 궁극적으로 본고는 포스트 서사극으로서의 <하멜린>의 특징을 파악하고 실제 프로덕션 과정을 통해 포스트 서사극의 역할창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타인의 삶>에 나타난 영화의 상호매체성과 자기반영성

        송민정 ( Min Jung So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독일어문학 Vol.70 No.-

        Die vorliegende Arbeit behandelt das theoretische Konzept der Intermedialitat, das innerhalb der Medienwissenschaften in Konkurrenz zu anderen Begriffen wie dem der Hybriditat tritt. Im weiteren Sinn kann man den Begriff Intermedialitat als ein die Gesamtheit aller Mediengrenzen uberschreitendes Phanomen begreifen. Im engeren Sinne lassen sich drei verschiedene Formen der Intermedialitat unterscheiden, die hier als die drei Subkategorien Medienkombination, Mendienwechsel und intermediale Bezuge betrachtet werden. Anhand der Analyse des Films <Das Leben der Anderen> sollen Merkmale und Wirkungen der Intermedialitat aufgezeigt werden. Vor diesem Hintergrund stellt besonders der Aspekt der intermedialen Bezuge, also die Bezuge, die ein mediales Produkt zu einem Produkt eines anderen Mediums oder zu einem anderen Medium qua System herstellen kann, ein Verfahren der Bedeutungskonstitution dar. Dabei werden Elemente eines anderen Mediums mit den eigenen, medienspezifischen Mitteln thematisiert, evoziert oder stimuliert. Im vorliegenden Film konnen verschiedene Phanomene des intermedialen Bezugs, insbesondere zum Medium Literatur nachgewiesen werden. Im Mittelpunkt des Films steht der Protagonist Gerd Wiesler, Mitarbeiter der Stasi und Abhorspezialist, der damit beauftragt ist, den ostdeutschen Dramatiker Georg Dreymann zu uberwachen. Zum einen verweist die tragische Liebe zwischen Dreyman und der Schauspielerin Christa-Maria Sieland allegorisch auf das "burgerliche Erbe“, auf die burgerlichen Trauerspiele Schillers namlich, in denen die reine, romantische Liebe der Hauptfiguren von einem herrschenden Tyrann hintertrieben wird. Zum anderen spiegelt das Zusammenleben von Georg und Christa allegorisch die gespaltene Identitat des sozialistischen Kunstlers, was wiederum auf den Fall der Schriftstellerin Christa Wolf anspielt, die nach dem Zusammenbruch der DDR in ihrem Roman <Was bleibt> offenbarte, als "IM Margarete“ fur die Stasi tatig gewesen zu sein und so fur einen Skandal sorgte. In beiden Fallen stellt der Film Bezuge zum Medium Literatur her. Daruber hinaus wird das beobachtende Subjekt Wiesler im Laufe des Films zu einem Objekt der Beobachtung durch das Publikum, wenn Wiesler nicht mehr die Kunstler abhort, sondern beginnt, mit ihnen mitzufuhlen und ihnen heimlich zur Hilfe kommt. Der Film fuhrt so eine doppelte Beobachterstruktur ein und erzeugt beim Zuschauer des Film eine ahnliche Wirkung, wie sie der brechtsche Verfremdungseffekt anstrebt. Der Film begibt sich auf eine selbstreflexive Ebene, auf der dem Zuschauer die Medialitat des Films bewusst gemacht wird, was einer rein mimentischen Reprasentation entgegenste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