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와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의 관계: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현지,박영배 한국정보사회학회 2023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and also whether this indirect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online social support. Through this process, a model in which online social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 and problematic use is established, and simultaneous verification is perform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university students' problematic use according to social anxiety and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nxiety,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s, online social support, and problem use of social media, and consider various adverse functions related to social media use, which has become widespread recently.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5, 2021 to May 30, 2021, for university students who use social media, and the data from 415 people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the social anxiety was found to affect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through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directly affects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was also confirm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social media as a means of compensating for social anxiety, which is a cyberspace with a high risk of causing addiction or negative emotions due to the immersion.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was mediated by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a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was regulated by online social support. In addi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nd when online social support was high,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mediated social anxiety and social media problematic use, but when online social support was low, the mediating process did not occur. Lastl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n South Korea, which emphasizes collectivist culture, online social support does not appear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but can appear as an aggravating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verse as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Hence, it can be noted that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has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by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more detail. Therefore, further research need to highlight more diverse aspects of the role of online social support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affects its social media users. In the end, more attention is requir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 tim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in understanding the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본 연구는 의존적인 존재에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의 전환점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과도한 이용에 따른 문제행동에 주목하여 대학생의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사회적 지지 및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와 문제적 이용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동시 검증을 진행함으로써 사회불안과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에 따른 대학생들의 문제적 이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온라인 사회적 지지,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 사이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역기능을 고려하는 등 개입선을 보다 구체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5일부터 2021년 5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참가자들은 각 대학교 학생회를 통해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정규 과정에 등록한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4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불안과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사회불안은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통하여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도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하여 온라인 상호작용의 선호 역시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은 사회불안을 보상하고자 몰입에 따른 중독 혹은 부정적 감정을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사이버공간인 소셜미디어를 사회불안에 대한 보상 수단으로 인식하여 문제적으로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사회불안이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에 의해 매개되고,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 효과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 상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매우 활발히 선호하는 이용자일수록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와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또한 조절된 매개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는 사회불안과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을 매개하지만,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 간접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아 매개 과정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주의 문화를 중요시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측면에서 본다면,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나지 않고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들은 다양하다. 온라인 상호작용의 선호가 사회불안과 소셜미 ...

      • KCI등재후보

        사회불안과 신체내부지각의 관계 고찰 : 신경생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홍영근(Young Keun Hong)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신체내부지각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내부지각과 마음챙김을 병행하여 사회불안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신체내부지각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내부지각을 통해 불안이 경감되고,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내부지각을 통해 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내부지각을 수행했을 때, 불안이 증가한 이유는 첫째, 사회불안이 있는 사람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인지적 편향으로 인해 신체내부감각을 부정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폴트모드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인해 자기초점주의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같은 자기관련사고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앙집행네트워크와 디폴트모드네트워크 사이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오른쪽 전측 뇌섬엽의 기능상의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과 달리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내부지각으로 인해 불안이 높아지는 이유는 신체내부감각에 대한 부적응적 해석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지각을 이용하여 불안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한 결과 첫째, 일반인의 경우 내부지각의 정확성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불안이 감소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마음챙김 훈련 후 내부지각의 정확성을 증가시켰을 때,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체내부지각의 생리학적 기체를 통해 사회불안의 원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신체내부지각을 기반으로 사회불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disorder and interoception, and examined the ways to improve social anxiety disorder by combining interoception and mindfulnes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oception and social anxiety, it was found that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were reduced by interoception, and those with high social anxiety were increased by interoception.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anxiety when the people with high anxiety performed interoception wa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bias such a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people with social anxiety negatively interpreted the internal sense of the body. Second, the fear of self-focused attention or negative evaluation due to activation of the default mode network was confirm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self-referential though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 of the right front insula, which acts as a switch between the central execution network and the default mode network, is a problem.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unlike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have increased social anxiety due to interoception because of maladaptive interpretation of body internal sens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thod to reduce anxiety by using interoception, first, anxiety was reduced 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interoception in people with low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case of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anxiety decreased when the accuracy of interoception increased after mindfulness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explain the cause of social anxiety more specifically with interoception,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social anxiety based on interoception. Finally,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의 불안과 사후반추사고에 자기심상 조작이 미치는 영향

        전운,박기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에게서 자기심상이 사후반추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과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에 속하는 64명의 대학생을 선발하여 부정적 심상조작과 긍정적 심상조작 중 한 가지 조건에 무선 할당하였으며, 심상을 떠올리고 유지하도록 유발한 후 발표 수행을 시켰다. 실험 과정에서 상태불안(STAI-S), 사후반추사고(PERS)를 측정했고, 발표 일주일 후에도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더 높은 불안 및 더 부정적인 사후반추사고를 보였으며, 이는 발표 일주일 후에도 유지되었다.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과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 모두 발표 직후에는 긍정적 심상조건보다 부정적 심상조건에서 더 높은 상태불안이 나타났으나, 발표 일주일 후에는 그러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 상태불안 및 사후반추에 미치는 부정적 심상조작의 효과는 발표 일주일 후까지 유지되진 않았다.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에서 부정적 심상조작을 받은 경우에서도 유사하게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발표 일주일 후 부정반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결과의 의의 및 사회불안의 인지행동치료에 주는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 image that affects post-event rumination in social anxious college students. High and low socially anxious college students(N=64) were randomly assigned to hold either a negative or positive self-image prior to giving a speech. Participants completed State-Anxiety Inventory(STAI-S) and Post-Event Rumination Scale(PERS) immediately after speech followed by imagery manipulation. And this whole questionnaire were repeated after a week.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participants had higher level of social anxiety, they had higher level of anxiety, and negative post- rumination. And this result lasted a week. Both groups of high and low level of social anxiety with negative image before spee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AI-S than those who had positive image, but this result didn't last a week. The effect of negative self image that affects STAI-S and PERS in the group of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when tested right after speech and a week later. And the effect of negative images in the group of low level of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too, but negative post rumination increased after a week of the speech.

      • KCI등재

        사회불안증상과 얼굴 탐지의 지각적 민감도 및 반응편향

        양재원,백종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2

        사회불안의 인지모형에서는 외부의 잠재적 평가자를 지각하면서 사회불안은 시작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잠재적 평가자를 상징하는 얼굴 인식의 관련성을 신호탐지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때 사회불안 증상과 공존율이 높으며 인지적 편향에 영향을 주는 우울을 통제하여, 순수한 의미의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 인식의 편향 간의 관계를 보았다. 얼굴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수준(0∼50%)의 사진 자극을 짧은 시간동안 제시하고 그것이 얼굴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정반응과 오경보값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얼굴 정보의 수준에 따른 민감도(d')와 반응기준(β) 값을 계산하였다. 동시에 자기보고식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불안과 우울을 측정하였다. 사회불안과 민감도 및 반응기준 간의 상관분석 결과, 얼굴정보가 50%인 경우, 사회불안 증상이 높을수록 얼굴탐지의 민감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우울을 공변인으로 통제하고도 사회불안 증상과 민감도 간의 상관은 유의 수준에 근접하였다. 이런 결과는 사회불안 증상이 높을수록 어떤 상황을 사회적이라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며, 이는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에 대한 인지적 설명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hypothesized that social anxiety begins as people are aware of potential evalu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symptom and perceptual sensitivity and response bias of face detection that symbolize potential evaluator. Participants were quickly presented with a pictural stimulus with varying amount of facial information(0∼50%) and requested to report whether a human face was embedded in the stimulus or not. By using signal detection theory, perceptual sensitivity(d') and response criterion(β) were calculated from participants’ responses. A set of conventional self-reported scales assessed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also completed. We found that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ptual sensitivity to face. When the levels of depression were controll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and sensitivity to face was margin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social situations more easily. Overall, the present study adds a supporting evidence for the 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행동억제 기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란,장현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school-age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499 4th-6th graders across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jeon. The study revealed that behavioral inhibition, social anxiety, and social support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group. Concerning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it was revealed that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social anxiety. It was also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with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social anxiety. Concerning subordinating factors, friend suppor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ies. Finally, both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anxiety. Additionally,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social anxiety showing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fluenced performance anxiety. Confirmation was made, among other subordinating social support factors, that the friend support had the greatest influence, and groups with high social support displayed lower social anxie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최초 발병률이 높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행동억제 기질이 사 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대전에 소재한 세 곳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 6학년 남녀 초등학생 4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라 행동억제 기질, 사회불안, 사회지지 모두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세 변인의 상관관계에서는 행 동억제 기질과 사회불안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지지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지지는 행동억제 기질,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 이며 사회지지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지지의 하위변인 을 살펴보면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 중 친구지지가 사회불안의 대인불안과 수행 불안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행동억제 기질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행동억제 기질과 사회지지 모두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지가 사회불안에 유의 한 조절효과를 보이며 사회지지의 조절효과는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사회지지의 하위변인 중 친구지지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이며 사회지지가 높은 그룹이 사회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 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불안의 이해와 치료

        박기환(Kee Hwan Par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사회불안은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현상으로, 다른 사람들의 평가를 의식하며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많은 연구들은 사회불안이 높을 때 주의 편향과 해석 편향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편향이 심해진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상황에서 과도하게 자신의 불안상태에 주의를 기울이고, 타인의 부정적 반응 단서를 과민하게 지각하며, 자신의 행동과 타인의 반응을 부정적으로 해석할 뿐만 아니라 그 상황에서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측면을 보지 못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불안 상황이 지나간 후에도 부정적으로 반추하는 사후처리과정 및 어떻게 하든 불안을 감추려고 하는 안전행동과 더불어 사회불안을 영속화시키는 주요 기제로 이해되고 있다. 진화심리학적으로 볼 때 사회불안은 타인과의 경쟁에서 느끼는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으로부터 나타나는 불안이자 복종행동이라고 여겨지며, 지배자가 아닌 종속자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정상적이고 적응적인 과정일 수 있지만, 특정 맥락에서 부적응적으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사회불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사회불안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해석을 교정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그러나 사회불안의 주요 특징으로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낮은 자존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편향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긍정적인 편향을 강화해주면서 좀 더 수용적이고 자비로운 눈으로 자신의 한 부분으로서의 사회불안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Social anxiety is a phenomenon experienced in social situations, and is characteriz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 people. Many studies consistently show that information processing biases, including attention bias and interpretation bias, increased when social anxiety was high. In other words, social anxiety is characterized by one overly attending to their anxiety symptoms, and perceiving the negative cues of others’ behaviors, as well as not only negatively interpreting their response and others’ responses but also ignoring neutral or positive aspects in social situations. These characteristics are known to be major mechanisms for perpetuating social anxiety, along with post-event processing and safety behaviors. In evolutionary psychology, social anxiety may be a form of competitive anxiety and submissive behavior from a lower social rank. Therefore, when one is in a subordinate position, these may be normal and adaptive behaviors that come to function maladaptively in certain contexts. Until now, cognitive behavior therapy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treat social anxie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aims to correct the interpretations associated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owever, for treating negative self-concept and low self-esteem (core features of social anxiety), it is necessary to help socially anxious persons increase positive biases and accept their anxiety with a compassionate mind, in addition to decreasing negative biases.

      • KCI등재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불안 : 또래관계의 중재 효과

        강민지,김광웅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8 청소년상담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social situations and social anx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3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first and second graders in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research findings revealed traumatic experiences in social situa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dolescent social anxiety which include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Moreover, the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situations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anxiety than did that of traumatic experiences of performance situation.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social situations and adolescent social anxiety showed that social prefer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interpersonal anxiety, thereas the quality of friendship had a moderating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This suggests that social preference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 which are two aspects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s, have different functions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상경험에 따 른 사회불안에 대한 또래관계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 초기 청소년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은 청소년의 사회불안의 두 측면인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상경험의 하위요인 중 대인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이 대인불안과 수행불안 모두에 대하여 수행 상황에서의 외상경험보다 더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을 독립변인으로, 청소년의 사회불안을 종속변인으 로, 또래관계의 두 특성인 또래선호도와 친구관계 질을 중재변인으로 설정한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또 래 선호도의 중재 효과는 대인불안에서, 친구관계 질의 중재 효과는 수행불안에서 나타나, 또래관계의 두 측면인 또래 선호도와 친구관계의 질은 외상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중재하는 기능이 서로 다르게 나 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에 의해 유발되거나 유지되는 청소년의 사회불 안의 영향을 중재하는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그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청 소년의 사회불안에 대한 교육, 상담 및 심리치료적 개입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오언 ( Yan Wu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구리시, 대전광역시,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편의군집표집한 중학교 2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일반학급 학생 618명 중 사회불안 위험군의 절단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254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사고, 우울정서 및 성별이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정적 자동사고와 우울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높았다. 긍정적 자동사고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낮았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은 사회불안을 느꼈다. 둘째, 자동사고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위협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높았고, 긍정적 자동사고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낮았다. 셋째, 우울의 하위요인 중 우울의 인지적 측면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점수가 높았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254 at-risk adolescent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implemen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automatic thoughts, depressive emotions and gender had impact on the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e higher the score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high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The higher the scores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low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The boys had higher social anxiety than the girls. (b) Two factors of automatic thoughts - physical threat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s - had impact on the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physical threat, the high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However, the higher the scores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low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c) The cognitive aspects of depressive emotions had impact on the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cognitive aspects of depressive emotions, the high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불안 군집 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정감의 차이

        신혜린,이기학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2

        This study used cluster analysis procedures to identify natural subgroups of 244 Korean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their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and ̔presentation anxiety'.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groups were explore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cores on psychological stability (negative affect, self-esteem, and stable attach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subgroups were identified. These groups were labelled: (1) low level social anxiety (2) pervasive social anxiety (3) middle level social anxiety with high presentation anxiety. Additionally, results from a MANOVA analysis revealed that each clus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negative affect(η2 =.18),self-esteem(η2 =.20), and stable attachment(η2=.10).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subgroup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n exploring social anxiety,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presentation anxiety'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e current study offers usefu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sychologists who work with the clients with social anxiety in terms of research and practice. 본 연구는 244명의 서울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의 하위 군집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실제 현상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상황의 특성에 따라 사회불안을 구분해야 한다는 Leary와 Kowalsky(1995)의 주장과 발표불안을 독립적인 하위유형으로 구분해야 한다는Kessler, Stein, & Berglund(1998)의 의견을 보완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불안’, ‘발표불안’의 수준에 따라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각 군집별로 심리적 안정감인 부정적 정서, 자아 존중감, 안정애착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군집(‘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 군집 순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 존중감은 ‘전반적으로낮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군집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안정 애착은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과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에 비해 앞의 두 군집의 안정 애착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일반인들의 사회불안 하위 그룹의 구분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사회불안의 군집의특성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독특한 차이를 고려할 수 있기에 사회불안을 겪는 이들을 치료하고 연구하는 데 좀 더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수애,송관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2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psychological adaptation. Higher the social anxiety, higher in neurotism & worry but lower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anxiety, negative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personal anxiety. However positive adaption were predicted by personal anxiety, fairness anxiety and future anxiety. Among the sub-dimensions of social anxiety, negative and positive adaptation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only by anticipatory anxiety.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anxiety and aggressive/give-up response. Particularly, personal anxiety was the predictor of aggressive response, but safe anxiety and political anxiety were the predictors of give-up response. The dimension predicted the aggressive/give-up response was anticipatory anxiety dimension. Finally, respondents used problem solving stress coping strategy most. But the respondents whose social anxiety level especially safe anxiety and political anxiety were high used wishful thinking strategy. Moreover higher the reactive anxiety level, more frequently used the avoidance coping strategy.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사람들이 적게 느끼는 사람들에 비하여 걱정증상과 신경증 수준이 높았고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수준은 낮았다. 사회적 불안의 하위 영역과 하위 차원 중 심리적 적응도를 예언하는 영역이나 차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부정적 적응은 주로 개인불안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긍정적인 적응은 개인불안과 함께, 공정성불안과 미래불안에 의해 예측되었다. 또한 사회적 불안 하위 차원 중에서는 상황을 염려하여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인 예견불안이 긍정적, 부정적 적응도를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사회적 불안과 최근 발생한 응답자들의 행동이나 생각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불안이 높은 응답자일수록 최근 공격반응이나 포기반응을 더 자주 하였다. 특히 공격반응의 경우 개인불안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포기반응의 경우에는 정치불안과 사회문제불안이 유의한 예언변수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안차원 중에서 공격과 포기반응을 예측하는 변인은 예견불안이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불안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살펴본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문제해결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사회적 불안이 낮은 사람들에 비하여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고 있었고, 특히, 안전불안과 정치불안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였다. 반면에 반응불안이 높은 사람은 문제회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