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반적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과 ‘발표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의 비디오 피드백 효과 차이 검증

        신혜린,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 subtype of social anxiety affected outcome of video feedback for social anxiety. The social anxiety subtypes were ‘pervasive social anxiety’ and ‘dominant public speaking anxiety’ which were identified in empirical approach. Repeated measures ANOVAs and t- test were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of two social anxiety subtypes in the cognitive, physi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ter video feedback. In the treatment responses, both subtypes showed the same degree of improvement after video feedback. It was, however, revealed that the individuals with ‘dominant public speaking anxiety’ improved moderately more than ‘Pervasive social anxiety’ right after the treatm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social anxiety individual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연발생적으로 구분된 사회불안의 하위 유형에 따라 비디오 피드백 치료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연발생적으로 구분된 사회불안인 ‘전반적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과 ‘발표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에 따라 비디오 피드백의 반응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비디오 피드백 전에 발표를 한 후, 그리고 비디오 피드백 개입 후 발표를 다시 한 후의 인지, 생리, 행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특성들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s)과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유형 모두 유의한 치료적 효과를 보였으며 유형 간 치료적 반응성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비디오 피드백 직후에는 ‘발표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이 ‘전반적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에 비해 높은 치료적 경향성을 보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몰입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신혜린,신현균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bsorption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SDSAS, CES-D and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were implemented to 519 1 middle school and 2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elf-absorption, a negative sub-factor of self-focused atten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perceived parent, teacher and friend suppor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bsorption and depression was moderated by perceived social support. In addition, only parent and teacher support, except for friend suppor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t means that the effects of self-absorption on depress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ived parent and teacher support.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self-absorp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when perceived parent and teacher support is high, depression decreases, so it can be a protective factor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elf-absorption is a major factor that can predict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the differential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arent, teacher, and friend support can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An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re is a need to expand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regions and age groups, and to verify a clear causal relationship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 중 자기몰입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1개교, 인문계 고등학교 2개교의 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성향 척도(SDSAS), 우울척도(CES-D), 학생 사회적 지지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초점주의의 부적응적인 측면인 자기몰입은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지각된 부모, 교사, 친구지지는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자기몰입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 중 친구지지를 제외한 부모, 교사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자기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지각된 부모, 교사지지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기몰입 성향과 우울이 정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부모와 교사의 지지가 높은 경우에는 우울이 감소하므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몰입이 청소년들에게도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부모, 교사, 친구지지로 나누어 확인하여 차별적 효과를 보여준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추후연구에서는 지역과 연령대를 확대하여 연구결과를 확장하고, 실험연구를 통해 명확한 인과관계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Decolonizing the Mimetic Mechanism of Speculative Authenticity in Narco-Saints' Cultural Representation

        신혜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69 No.-

        This essay critiques the workings of cultural representation in the 2022 Netflix original Korean drama series Narco-Saints, characterizing the manner in which the locale, culture, and people of Suriname have been depicted as being emblematic of internalized coloniality and its vicious circle of reproduction. Opening up with an exploration of the show's positioning as a true-story-based narrative that amplifies its gesture to a sense of authenticity by way of the spectacular setting and cinematography, I contend, Narco-Saints embodies what I call an aspiration to speculative authenticity, which in turn camouflages the biased nature of its representational politics. Drawing on thinkers and theorists, such as Walter Mignolo, Sigmund Freud, Gayathri Spivak, and Jean Baudrillard, and through close readings of specific scenes from the show and comparisons with other media content, I demonstrate how the series serves as an uncanny double to be repressed in the form of mis- and under-representation, creating a disconcerting dynamic whereby South Korean cultural production comes to perpetrate the very kind of alienation that it has long suffered, in the form of Orientalism and its varied iterations, upon a culture it now deems to be an undesirable other. What renders this mirror dynamic all the more troubling, I suggest, is the absence of authorial intent on the part of directorial and productional agency, which alludes to the fact that the practice of mimetic marginalization with regard to the Global South (and cultural communities that are considered likewise peripheral) had become a deeply ingrained and as such default baseline of perspectivization.

      • KCI등재

        서로 다른 측쇄 종류를 가진 주 단량체에 따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리적 특성

        신혜린,김유리,김경실,박종권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In this study, water-based acrylic adhesives as copolymers with acrylic acid, 2-hydroxyethyl acrylate were synthesized using eth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lauryl methacrylate as the main monomers. Prepared water-based acrylic adhesive was compared to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lid content,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itial adhesive force, maximum adhesive force, pee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본 연구에서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성에 대한 주 단량체의 측쇄 사슬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주 단량체로 각각 eth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lauryl methacrylate를 사용하여 acrylic acid, 2-hydroxyethyl acrylate와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고형분, 평균입도분포, 초기점착력, 최대점착력, 박리강도, 내열점착력 등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하였다.

      • KCI등재

        Can the Chinese Room Speak? Language and Racialized Posthuman Agency in Ex Machina

        신혜린 문학과영상학회 2023 문학과영상 Vol.24 No.1

        In Alex Garland’s 2015 film Ex Machina, the creation of a tech-magnate with a god-complex outperforms its design and eventually revolts, usurping the position of the defeated master’s kind. Integral to this feat yet left abandoned in the wake of Ava the white female android heroine’s triumphant escape, there lies the body of her Asian predecessor: Kyoko. Born as a submissive mute sex-slave, and destined to be scrapped upon exhausting her exotic appeal, Kyoko exceeds Ava in her radical alterity despite her seemingly marginal role. While the film’s feminist posthuman trajectory appears to critique the heteronormative and anthropocentric gaze trained upon the subaltern position Kyoko occupies in Ava’s shadow, Ex Machina not only appropriates, but in fact actively and problematically capitalizes on stereotypical characterizations of the Asian female body, contextualized within the representational history of her human counterparts. From China Dolls to dragon ladies and geisha gynoids, Kyoko’s image reproduces a spectrum of Asian female stereotypes that have operated in the peripheries of the Western cultural imaginary, enacting the history of microaggression perpetrated upon her ethnic, cultural, and racial identifiers. Drawing on deep neural network theory and the Chinese Room scenario, this essay interrogates how the use of language and embodiment in technologized depictions of Asian female bodies cumulatively form a media ecology of microaggression; (purportedly) unintentional, but persistent, pervasive, repetitive, and therefore all the more insidious enactments of alienation that haunt the illusive vision of postraciality.

      • KCI등재

        사회불안 군집 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정감의 차이

        신혜린,이기학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2

        This study used cluster analysis procedures to identify natural subgroups of 244 Korean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their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and ̔presentation anxiety'.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groups were explore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cores on psychological stability (negative affect, self-esteem, and stable attach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subgroups were identified. These groups were labelled: (1) low level social anxiety (2) pervasive social anxiety (3) middle level social anxiety with high presentation anxiety. Additionally, results from a MANOVA analysis revealed that each clus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negative affect(η2 =.18),self-esteem(η2 =.20), and stable attachment(η2=.10).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subgroup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n exploring social anxiety,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presentation anxiety'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e current study offers usefu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sychologists who work with the clients with social anxiety in terms of research and practice. 본 연구는 244명의 서울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의 하위 군집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실제 현상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상황의 특성에 따라 사회불안을 구분해야 한다는 Leary와 Kowalsky(1995)의 주장과 발표불안을 독립적인 하위유형으로 구분해야 한다는Kessler, Stein, & Berglund(1998)의 의견을 보완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불안’, ‘발표불안’의 수준에 따라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각 군집별로 심리적 안정감인 부정적 정서, 자아 존중감, 안정애착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군집(‘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 군집 순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 존중감은 ‘전반적으로낮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군집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안정 애착은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과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에 비해 앞의 두 군집의 안정 애착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일반인들의 사회불안 하위 그룹의 구분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사회불안의 군집의특성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독특한 차이를 고려할 수 있기에 사회불안을 겪는 이들을 치료하고 연구하는 데 좀 더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The Dividuality and Modularity of Digital Immortality: The Concept of Persons in the Age of New Media in Literary Imaginaries

        신혜린 미국소설학회 2022 미국소설 Vol.29 No.2

        With the advent of the electronically networked digital media age, humanity’s long-held dream of shedding the mortal coil to achieve immortality has never felt as feasible as it does now. While the drive to achieve a vicarious sublimation of the liberal subject model as that which aspires to such state fuels myriad endeavors in the tech-sector, the outcomes so far demonstrate that there remains much to be desired—not on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 viability but also ethical integrity. The wondrous prospect of persevering beyond the demise of one’s material fetters abounds in our current mediascape, with narratives about digitized humans or humanized artificial intelligence proliferating more than ever. Such portrayals of digital immortality, however, must contend with the risk of rendering the human-machine analogy literal, alienating the very value that it sets out to advocate by instrumentalizing personhood in service of its preservation. Focusing on comparative readings of fictional human and nonhuman entities that problematize the prospect of reducing the sovereignty of personhood to bodies of reproducible information, with specific focus on Ancillary Justice as an exemplar of the second variety in the two dominant strains of representations that respectively center on human and nonhuman provenance of personhood, this essay investigates the discontents of digital immortality to illuminate its an ontological paradox.

      • KCI등재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성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신혜린,정노희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 Vol.30 No.5

        수용성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여 수계 접착제에 적용하였다.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말레산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다른 폴리 옥시 에틸렌 세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합성된 화합물은 밝은 노란색왁스의 형상이었고, 화합물의 운점은 78 ℃ 이상이었다. 측정된 임계 미셀 농도(c.m.c)는 1.0 × 10-4~7.0 × 10-4 mol/L이었고 표면장력은 25.9~32.0 mN/m이었다.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력이 향상되었다. Ross-Miles 법에 의한 화합물의 발포 높이는 1.4~4.5 cm이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수성 접착제의 유화 중합에서유화제로 사용되었으며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준비된 접착제의 고체 함량은 59%이었다. 접착제의 평균입자크기는164~297 nm이었다. 접착제의 초기 점착성의 볼 번호는 20~32이었으며, 박리 강도는 1.8~2.1 kgf/mm이었다. 점도 유지율은 30 days 동안 99%로 확인되었다. 합성된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점착력을 위한 유화제로 사용될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