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상기반세대간소통방안에관한연구:직관과연역적 추론을 중심으로

        황태성(무진)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3 명상심리상담 Vol.30 No.-

        현대 다양한 사유와 사상과 철학이 융합된 한국 사회문화에서 직관 제일주의 수행체계는 고민해야 한다. 이미 한국 사회는 농업 문화의 집 단주의 사회에서 상업 문화의 개인주의 사회로 변화하였다. 한국 사회의 60대 이상은 개인의 독립성을 억제하고 집단의 의존성을 장려한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50대 이하는 개인의 독립성과 자기통제의 기회를 주면서 의존적이지 않은 개인 스스로 삶의 선택권을 주려 한다. 특히나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30대 이하는 연역적 추리의 개념이 익숙하다. 직관적인 함축적이고 정확하지 않은 암시적 내용들에 설득되지 않는다. 스스로 판단하여 이해할 수 없다면 받아들이지 않는 세대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본질과 실제에 관한 설명이 분명하지 못하다면 받아들이지 않는다. 직관의 깨달음인 불성을 바라보는 견성성불을 수행체계의 중심에 놓는 한국불교는 시대정신을 고민해야 한다. 연역적 추리의 철학 에 익숙한 세대에게 설득력을 잃고 있는 것이 아닌가의 문제의식은 이러한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인도불교의 연역적 추리의 인식론이 중국 불교에서는 사라졌고 직관적 깨달음 제일주의가 현대 한국불교 수행 체계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연역적 추리와 직관의 차이는 본 논문 연구의 중심이며 분별의 제외는 현대 젊은 세대에게 신비주의 종교라는 한국불교의 모습으로 다가 온 것으로 결론 지어진다. 앞으로도 직관적 깨달음의 강조는 40대 이하 세대에게 믿음의 강조인 상명하복식 교리체계라는 무시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것이 현대 한국불교가 직면한 종교 철학의 방향에서 풀어야 할 문제로 본 논자는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불교명상에게 한국 불교인으로 말하고 싶은 것이 있다. 한국 불교명상 안에서 한국 불교명상 제일주의에 빠져 한국 불교 명상만 바라보는 시야로는 세대 소통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할 것이란 점이다. 비판적 문제의식이 사라진 긍정적 시야는 무너지는 한국 불교 명상의 수행체계에 어떠한 대안도 제시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hich contains diverse thoughts, ideologies, and philosophies, the intuition-first principle needs to be reconsidered. Korean society has already shifted from a collective agricultural society to an individualistic commercial society. People over their 60s tend to suppress personal independence while encouraging dependency inside the group. However, those under their 50s emphasize one’s independence and self-control, and encourage individuals to make their own choices. Particularly, younger generation under 30s, who shows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ar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deductive reasoning. They tend to understand and judge based on realistic proof, and are not persuaded by intuitive, implicit logics, especially if the explanation for essence and reality is not guaranteed enough. Korean Buddhism, which places enlightenment through intuition at the center of its practice system, needs to contemplate the spirit of the times. The concern about losing its persuasiveness to deduction-familiar generations is based on this point. The Indian epistemology of deductive reasoning has disappeared in Chinese Buddhism, while idealizing intuitive enlightenment is crucial in modern Korean Buddh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deductive and intuitive reasoning and concludes that the exclusion of discrimination has resulted in Korean Buddhism being perceived mystical religion among young generations. The emphasis on intuitive enlightenment will fortify the compressive image of force-feeding the faith for those aged under 40s. This is a problem that modern Korean Buddhism must address in terms of its religious philosophy. This study presents some limitations. Future research will be devoted to discovering Gyohak of Tang Dynasty in China and the sprit of Seon, which encompasses diverse practice systems. The early first and second Seon masters of Korean Seon schools, who brought Seon practice to Korea, emphasized that two concepts are not seperated but integrated and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 Also, this study was originally intended to but failed to conduct a deep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ditation practices of Indian Buddhism and the Seon practices of China and Korea. This is because “Sati,” the core of the logical system of meditation, is translated superficially only as "mind" in Chinese. This seems to be a limitation of China's intuitive reasoning logic system and needs further research. Finally, I would like to firmly insist upon Korean Buddhism as a Korean Buddhist. With narrow and closed perspective only inside Korean buddhism while not trying to look beyond boundaries, Korean Buddhism will fail to solve any problem. An optimistic perspective that lacks critical awareness will not be able to provide any significant solution to crumbling Korean Buddhism.

      • KCI등재후보

        염지관에 의한 호흡 명상프로그램이 기혼여성의 알아차림 주의자각,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혜타 한국명상상담학회 2010 명상심리상담 Vol.5 No.-

        본 연구는 기혼여성 24 명을 대상으로, 염지관명상이 알아차림주의자각,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는 염지관 명상에 의한 호흡명상, 느낌명상, DBT의 알아차림의 세 가지하위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주 1 회 2 시간 씩 2 개월간 진행하였으며, 검사도구로는 Brown 과 Ryan(2003) 이 고안하고 인경 (2007) 이 번안한 알아차림 주의자각 척도 (MAAS) 를 사용하였고, Lazarus와 Delongis 등(1988)이 고안하고 김정희 (1991)가 번안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Folkman과 Lazarus(1985) 가 고안하고 박애선과 이영희 (1992)가 번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염지관에 의한 호흡명상 프로그램은 기혼여성의 알아차림 주의자각이 상승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둘째, 염지관에 의한 호흡명상 프로그램은 기혼여성의 일상적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셋째, 염지관에 의한 호흡명상 프로그램은 기혼여성의 대처방식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결론적으로, 염지관에 의한 호흡명상이 기혼여성의 알아차림주의자각과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집단 연구는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염지관명상이 스트레스 치료에 대한 구제적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Yum-Zi-Guan on a married women 24 persons's Mindful attention awareness, daily stress and coping style for stress. For this purpose ,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Yum- Zi- Guan by the three sub-regions; breathing meditation, feeling meditation, DBT awareness. In this study, I carried out two months, two hours in a day and once per week. The measuring scales were Mindful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MAAS) which made Brown and Ryan (2003) and that translated by In Kyoung(2007) , ’daily stress scale" which designed Lazarus and Delongs, etc. (1988) and translated by Jung Hee Kim(1991), ’coping style for stress scale" which designed by Folkm and Lazrus (1985) and translated by Yae Sun park and Young Hee Lee (1992).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g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Yum-Zi-Guan meditation-based breath meditation showed positive results in increasing Mindful attention awareness of a married women. Second, Yum-Zi-Guan meditation-based breath meditation showed positive results in reducing daily stress of a married women. Third, Yum-Zi-Guan meditation-based breath meditation showed positive results in coping style for stress of a married wome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Yum-Zi-Guan meditation focused on breath has a positive effect on Mindful attention awareness, daily stress and coping style for stress of married women. There is limits in making a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up on two groups. But This single case research is very meaningful that it showed a concrete possibility for the treatment of stress

      • KCI등재후보

        호흡명상과 바디 스캔을 적용한 개인사례연구

        장금주 한국명상상담학회 2009 명상심리상담 Vol.3 No.-

        본 연구는 기혼남성 직장인 00씨를 대상으로 염지관 명상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는 염지관 명상에 기초한 호흡명상과 바다 스캔을 중심으로 내담자의 신체적 반응의 변화과정을 관찰,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주 1회 l시간 30분씩 1개월간 진행하였으며, 검사도구로는 Brown과 Ryan(2003)이 고안하고 인경(2007)이 번안한 알아차림 주의자각 척도(MAAS)를 사용하였고, Lazarus와 DeLongis 등(1988)이 고얀하고 김정희(1991)가 번안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Folkman과 Lazarus(1985)이 고안하고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번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염지관 명상에 기초한 호흡명상과 바디 스캔은 기혼남성 00씨의 신체에 대한 알아차림을 높아지게 하였으며, 지금 이 순간에 주위집중하게 하였다. 둘째, 염지관 명상에 기초한 호흡명상과 바디 스캔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데처방식에서 긍정적인 변화 나타났다.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현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에서 정서적 완화의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염지관 명상에 기초한 호흡명상은 내담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었고, 바디 스캔은 신체감각느낌을 명료하게 자각하고 수용함으로써 신체적 통증과 심리적 고통을 일정정도 분리하여, 적극적인 행동변화를 가져왔다. 경론적으로 염지관에 기초한 호흡명상과 바디 스캔이 기혼남성 00씨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만성적 신체적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 기간이 짧았고, 단일대상연구라는 한계가 있어 일반화가 어렵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염지관 명상이 신체적 통증 치료 부문에 대한 구체적 접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Yum-Zi-Guan Meditation on a married man 00's stress. For that purpose, researcher observed and measured the transformation of client's physical reaction as focusing on breath meditation and bodyscan that Yum-Zi-Guan meditation based upon. I instructed for one month, one hour thirthy minuties in a day and once per week. As for measuring scale, I use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which made by Brown and Ryan in 2003 and that translated by In Kyoung in 2007. Also I used Lazarus and DeLongs et al(1988)'s ‘daily stress scale’ which translated by Jung Hee Kim(1995) and Folkm and Lazrus(19S5)'s ‘coping style for stress scale’ which translated by Yae Sun Par k and Young Hee Lee(1992).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reached the conculsion below. First, Yum-Zi-Guan meditation-based breath meditation and bodyscan heighted awareness of the body and payed attention in this moment. Second, Yum-Zi-Guan meditation-based breath meditation and bodyscan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oping style as well as the reaction of stress. The stress of the job reduced remarkably and the coping style of the stress increased sharply in the part of the emotional defusion. third, Yum-Zi-Guan meditation-based breath meditatiom gave a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to the client, and Body scan based on Yum-Zi-Guan meditation detached to so me degrees between physical pains and psychological sufferings by means of accepting and being clearly aware of body. Consequently, it led to a result of his changing into active behaviors. In conculsion, Yum-Zi-Guan meditation foused on breath meditatiom and bodyscan has affirmative effects on a married man 00's stress reduction, particularly decreasing chronic pain in the body. This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outcome according to a few limitations that the period of reserch was short, in addition that an object of study was single. but this single case reseach has implications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oncrete approaches in a part of physical pain theraphy.

      • KCI등재후보

        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김동한 ( Dong Han Kim ) 한국명상상담학회 2012 명상심리상담 Vol.7 No.-

        명상은 마음현상을 내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점으로 인해 명상은 심리 치료에 적용되어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명상은 마음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명상의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무척 어려운 일이다. 아직 감정, 생각, 갈망 상상, 기억 등의 메커니즘을 현대 과학은 완전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마음현상에 대한 뇌의 활동이 점점 밝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명상의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는 영역도 넓어졌다. 마음은 뇌의 작용이라는 환원적인 관점이 아니라 몸-뇌-마음의 상호작용의 관점을 전제로 한다면, 명상의 효과를 발전시키고 알리기 위해 명상을 신경과학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노력은 가치가 있다. 염지관(念止關, sati, samatha, vipassna) 명상은 몸에서 느껴지는 느낌을 먼저 관찰하고 그런 다음 느낌과 마음현상과의 관계를 통찰하는 명상수행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지관 명상에서 마음을 다루기 위해 ``몸느낌`` 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신경과학적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느낌은 접촉을 조건으로 발생된다. 접촉은 몸의 감각기관에서 일어난다. 외부에서 기원하는 사태를 지각하고, 표상하는 기제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다. 이를 외수용감각기관(exteroception)이라 한다. 외수용감각기관의 주된 목표는 몸, 주번 세계, 몸이 세계와 맺는 관계를 ``지도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지도가 있는 뇌의 영역은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와는 완전히 다른 몸감각으로, 몸의 내부의 감각을 다루는 내수용감각기관(interoception)이 있다. 내수용감각기관은 통증과 내부 장기상태를 인식한다. 내수용감각기관의 목표는 생체항상성(homeostatic function) 즉, 내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내수용감각은 생각, 기대, 감정 등의 마음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환상지(limb syndrome)나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등이 그러한 예이다. 외수용감각을 다루는 신체지도는 잘 밝혀져 있는 반면 아직 내수용감각에 대해 신경과학적으로 완전히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뇌의 섬엽(insula)이 내수용감각을 다루는 곳이라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섬엽은 외수용감각기관에서 오는 정보와 내수용감각기관에서 오는 정보를 통합해서 자기인식을 하고 인체의 내부 균형을 도모한다. 더 나아가 섬엽의 오른쪽 앞부분인 우반구 전두섬엽(anterior region of the insula)으로 통합된 신호들이 이동을 하면서 느낌을 발생시킨다고 한다. 이러한 이동과정 중 몸느낌이 즐거움과 불쾌감으로 그리고 더 복잡한 감정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몸느낌을 바탕으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신경과학적으로 밝힌 것이다. 그리고 감정과 생각, 의사결정, 기대 등의 마음현상을 다루는 편도체(amygdale)와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과 같은 뇌의 다른 중요한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염지관 명상에서 몸느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감정, 생각, 갈망과 같은 마음현상이 몸느낌을 조건으로 발생한다는 것과 일치한다. 심리적 고통은 신체의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통합한 몸느낌을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았을 때 증폭된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몸느낌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을 때 마음현상을 다루는 뇌의 영역과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심리적 고통을 유발한다. 여기서 염지관 명상에서 몸느낌을 알아차리고 머물고 지켜보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신경과학은 몸과 마음이 끊임없이 소통을 한다는 것을 알기 시작했다. 그 소통의 중심에는 몸느낌이 있다. Meditation is for the internal observation of mental phenomena. Meditation gives u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insight. Because of these merits, meditation is used in psychotherapy and produces excellent result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e meditation mechanism for the reason that it deals with mental phenomena. Modem science has not revealed the mechanisms of emotion, thought, imagination and memory yet. Nevertheless, the activities of the brain for mental phenomena are becoming clearer thanks to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us, the scientifically explainable part of the meditation mechanism is growing wider. Assuming the view that mind is interaction between body, brain and mind rather than the reductive view that it is the work of the brain, it is worthy to make efforts to explain meditation from the viewpoint of neuroscience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the effects of meditation. The yum-ji-guan (念止觀, sati, samatha, vipassna) meditation is a methodology for observing primary feelings of the body and then discovering the relation between feelings and mental phenomena. This paper attempted to discuss the reason for regarding body feelings as important in the yum-ji-guan meditation from the aspect of neuroscience. Feeling is generated conditionally by contacts. Contacts occur in the sense organs of the body. The senses that perceive and represent events originating from the outside are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These senses are called exteroception. The main purpose of exteroception is mapping the body, the surrounding 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world. The cerebral region where the body map is situated has been discovered. As a totally different sense, however, there is the interoception that deals with inner senses of the body. Interoception recognizes pains and organ states. The goal of interoception is homeostatic function, namely, the maintenance of inner balance. Interoception is closely related with mental phenomena of thought, expectation, emotion, and so on. For example, there are phantom limb syndrome, placebo effect, etc. While the body map related to exteroception has been defined clearly, interoception has not been explained fully from the neuroscience aspect yet. Some of recent studies have announced that it is the insula in the brain that deal with interoception. The insula integrates information from exteroception and interoception, and then attains self-cognition and promotes the inner balance of the body. In addition, it is said that feelings a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signals integrated into the right anterior region of the insula. Researchers assert that body feelings induced by the movement develop into pleasant, unpleasant and more complex emotions. What is important here is to reveal neurologically that a person feels emotion on the basis of body feelings and that these feelings are connected to other important parts of the brain like amygdale and orbitofrontal cortex dealing with mental phenomena such as emotion, thought, decision and expectation. The fact that body feelings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yum-ji-guan meditation agrees with the fact that mental phenomena such as emotion, thought and need are generated conditionally by body feelings. We can infer that psychological pain is amplified when body feeling integrating information arising inside and outside the body is not handled properly. When body feeling information is not provided sufficiently, psychological pain appears because there is no proper interaction with the brain parts that deal with mental phenomena. We can find here the meaning of the yum-ji-guan meditation that is aware of, stays in and watches body feeling. Neuroscience bas begun to learn that body and mi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stantly. At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is body feeling.

      • KCI등재후보

        호흡과 염지관 명상에 의한 집단상담 사례 연구

        오윤경 한국명상상담학회 2007 명상심리상담 Vol.1 No.-

        본 집단 상담 사례는 명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집단원들의 핵심 신념에 따른 감정적 동요에 명상을 적용하여 감정 조절이 용이해지며 더 발전된 프로그램으로 나아가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우리의 일상의 삶은 수많은 사건의 연속으로 끊임없이 감정을 일으키며 살고 있다. 감정 조절 능력은 그 사람의 인격적 성숙을 가늠하는 척도일 뿐 아니라 인간관계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본 집단의 구성원들도 모두 가족과의 관계에서 고통을 느끼고 있었고, 갈등 상황에서 감정을 조절하고 싶다는 절실함을 드러냈다. 염지관 명상은 감각느낌의 소멸을 통해 감정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집단원들에게 꼭 필요하고 의미 있는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사례는 명상, 요가, 상담 파트로 나누어 8회기의 구조화된 프로그램으로 진행 하였다. 명상 파트에 60~70%의 비중을 두었는데 회기별로 다양한 명상 방법들을 소개하고 훈련 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불교의 사성제인 ‘고, 집, 멸, 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명상외에 인지심리 이론과 정반합 빈의자 기법을 상담 파트에 일부 병행하였다. 수업은 주 1회 3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각 주마다 그 주에 배운 명상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본 집단 상담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집단 초반에 집단원들이 일부 명상을 힘들어 하고 과제를 안 해오는 등 어려움도 있었다. 수업이 진행되면서 차츰 호흡과의 접촉, 방해물의 관찰, 느낌의 소멸 등 작은 작은 찰라의 체험들을 하면서 동기 부여가 되었고 의식을 모은다는 것의 의미와 느낌의 실체에 대해 조금씩이나마 알아가게 되었다. 집단의 후반에는 자신들의 심리적 과제에 명상을 적용하여 알아차림의 힘이 개발되고 진보된 모습들을 보고 하였다. 따라서 상담자의 관찰과 집단원들의 발표에 의해 명상이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상담 동안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연구와 보완이 필요하고, 집단을 이끄는 좀 더 숙련된 능력과 프로그램을 계속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The purpose of this group counseling lies in developing a program by which a counselor can lead the group, who attended to the counseling, to right understanding of meditation and help them control their emotional agitations through applying meditation to their core beliefs. Our daily life consists of a series of events which involve our emotions.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s is a scale of the maturity of a person's personality, as well as a factor which could influence the social relationship of a person. The members of the group had problems and felt troubled in their family and wanted their emotions to be controled appropriately at the situation of conflict. The Yum-Zi-Guan meditation in which one is aware of, stays with, and contemplates physical sensations, feelings, emotions is helpful in the sense that observation of sensation facilitate emotions to change. This case was proceeded by the constructed program of eight sessions including meditation, yoga, and counseling. The program at large focused on meditation, occupying 60~70% of the whole. Various meditation techniques were introduced and practiced in every session. As a whole,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steps of suffering, the origination of suffering, the origination of suffering,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the path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called the four noble truths in Buddhism. Theory of cognitive psychology and the technique of the vacant chair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were partly employed. Each session was held for three hours once a week. The meditation skills which was taught to the participants was assigned to them as homework. The findings in this grouped counseling are as follow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group had difficulty in meditation, and some attended to the program without their homework undone. However, they were gradually motivated when they had the experiences of the contact with breath, observation of obstacles, the annihilation of feelings, and etc. And they began to gain some insights on the reality of feelings. And at the latter part of the program, they reported that they could apply meditation to their psychological troubles which in turn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of mindfulness. Thu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ditation could control emotions by the observation of counselor and the report of th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confirmed that a complementary study is needed, by which one deals with the problems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counseling, and the counselor should have more advanced ability to lead the program.

      • KCI등재후보

        명상의 면역 효과가 COVID-19에 갖는 함의

        윤병수(Byungsoo Yoon) 한국명상학회 2020 한국명상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mmune effect of meditation an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meditation for COVID-19. First, the immune effect of meditation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non-specific immunity and specific immunity. Next, the immune characteristics of COVID-19 were identified. In conclusion, COVID-19 infected patients had high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low anti-inflammatory cytokines. On the other hand, the immune effect of meditation, on the contrary, reduces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but increases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to increase immunity. This conflicting effect shows the possibility of canceling the effect of COVID-19 through meditation. 본 연구는 명상의 면역효과를 확인하고 COVID-19에 대한 예방과 치유에 명상의 기여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먼저, 명상의 면역효과를 비특이성 면역과 특이성 면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COVID-19의 면역 특징과 명상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OVID-19 감염자들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높고 항염증성 사이코가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명상의 면역효과는 반대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지만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가시켜 면역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상반된 효과는 COVID-19의 면역 저하 효과를 명상을 통해 상쇄시킬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집단과제 활동에서 명상기반 훈련이 집단응집력과 집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비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의 비교

        이해선,김완석 한국명상학회 2017 한국명상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명상기반의 훈련이 팀과 같은 조직장면에서 어떤 효용이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팀훈련 형태의 명상훈련이 집단의 응집력과 집단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팀내 구성원에 대한 신뢰와 연결감, 상호이해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만일 그런 긍정적 효과가 있다면 명상법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른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대학생 32명을 자비명상 훈련집단과 마음챙김명상 훈련집단에 무선할당하고 5회기로 구성된 명상훈 련과 함께 4-6명으로 이루어진 팀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했다. 집단응집력과 집단만족도, 동 료에 대한 신뢰도, 상호이해도, 연결감, 연민적 사랑을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과제관련 집단응집력은 두 가지 명상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집단응집력은 자비 명상집단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집단만족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 다. 팀장이나 동료에 대한 신뢰도와 상호이해도, 팀원에 대한 연결감은 자비명상 집단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마음챙김명상 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연민적 사랑은 두 집단 모 두에서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연구의 결과를 다양한 팀활동이 이루어지는 조직장면과 관련 지어 논의하였고, 명상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명상 중 심박변이도의 변화 양상: 예비연구

        심교린(Sim Kyo-Lin),김완석(Gim Wan-Suk) 한국명상학회 2020 한국명상학회지 Vol.10 No.2

        명상은 최근 심신의학적 어려움에 대한 개입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명상이 스트레스 측정과 관련하여 자율신경계의 대표적 생리지표인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명상 중 시간 경과에 따른 심박변이도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명상경험에 따른 심박변이도 변화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신체적·심리적으로 건강한 대학생 총 39명(남 15명, 여자 24명)이었다. 명상경험자 집단은 9주 동안 명상에 대한 심리교육과 명상 실습을 경험한 대학생 19명, 비교집단은 9주 동안 심리교육에 참여했으며, 이전에 명상을 경험한 적이 없는 대학생 20명을 배치하였다. 실험 절차는 먼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심박변이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을 점검하고 5분 간 휴식을 취한 후, 녹음된 명상 안내문으로 신체 감각에 주의를 두고 머무는 정좌명상을 25분간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심박변이도 자료를 5분 단위로 분절하여 SDNN 지표를 산출하고, 다층모형의 위계적선형모형(HLM)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명상 중 SDNN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선형모형이 수용되었으며, 명상경험자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SDNN이 증가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어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 등을 기술하였다. Meditation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intervention for psychosomatic difficulties.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tation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a representative physiological indicator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relation to the measurement of stress. I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college students who we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15 males and 24 females). The group of experienced meditation was assigned 19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education and meditation practice for 9 week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education for 9 weeks, and 20 college students who had never experienced meditation before. In the experimental procedure, first, through a semi-structured interview, check items that may affect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take a break for 5 minutes, and then perform a sitting meditation for 25 minutes, paying attention to the body sensations with a recorded meditation guide. Heart rate variability was continuously measured. The measured heart rate variability data was segmented in 5 minutes to calculate SDNN index, and analyzed by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echnique of a multi-layered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a linear model in which SDN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meditation was accepted in both groups, and the degree of SDNN incr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tation experience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Next, the significance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과 념지관(念止觀) 명상과의 비교 고찰

        김말환 한국명상상담학회 2008 명상심리상담 Vol.2 No.-

        이 논고는 최근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행동의학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명상을 기초로 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몸과 마음을 이완 하여(SR&RP)’ 심신의학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MBSR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감각느낌의 관찰을 통하여 마음의 실체를 알아차리게 하고, 무명의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근원적 초월과 해탈의 경험 그리고 치료’를 제공해 주는 염지관 명상법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이 두 프로그램을 비교 고찰함에 있어서, 우선 두 포로그램의 공통점을 찾아보고 나아가 두 프로그램의 수행핵심의 근거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두 프로그램의 수행 방법과 그 절차의 주요 부분을 살펴본다. 그리고 난 다음 두 프로그램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수행프로그램이 행하고 있는 동기와 그 목적이 보다 선명하게 발췌될 것으로 보았다. 논자는 이러한 논리를 가지고 두 수행 프로그램을 고찰한 바, ‘염sati’ 의 수행인 ‘호흡에 의한 마음의 주의 집중’을 우선으로 하여, ‘몸과 마음의 실체를 통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MBSR의 프로그램은 환자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수행프로그램 중 몸과 마음을 이완 하게 하는 보디스캔 즉 몸의 부위 별 통찰에 우선하여 점차 좌선, 요가, 보행 명상으로 발전시켜 자갔다. 염지관 명상 프로그램은 ‘명상치료프로그램’의 일부 이지만, 호흡과 四聖諦觀法을 바탕으로 하여, ‘감각느낌의 검색을 통찰하여’ 마음의 실체를 찾아간다. 마음의 실체는 바로 알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감각느낌을 통해서 마음은 자신의 실체를 드러내기 때문에 감각느낌을 알아차리고 그 곳에 머물러서, 그 변화를 지켜보는 수행’을 행한다. 그 느낌의 검색을 명상일지로 기록하여 자신의 탐색과정을 조명하게 하며, 지도자로부터 점검을 통해 수행의 발전을 진척시켜 나가고 있다. 위에서 보듯이 두 수행프로그램의 비교 고찰에서, 수행동기가 상호 다르게 출발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발전과정에서는 상호 유사점과 보안 점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염지관 명상 프로그램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보다. MBSR(Jon Kabat-Zinn) is based on rigorous and systematic training in mindfulness, a form of meditation originally developed in the Buddhist traditions. It is a systematic approach to developing new kinds of control and wisdom in our inner capacities for relaxation, paying attention, awareness, and insight. Sati·Samatha & Vipassana(In Kyung) is a systematic approach to insight through feeling of sensualities, to realize in a person's nature mind, and supply about transcending to sorrow's of the mind(duhkha) and to karma. The common of two programs is paying attention to our breathing when we are mindful(sati) of our breathing, it helps us to calm the body and the mind. As studying the breath, Mindfulness of breathing is alive, calming and returning to the here and now. Differently, MBSR helps therapy of patients eight-week course in the stress clinic, sitting meditation, the body-scan, yoga, walking meditation. Sati·Samatha & Vipassana helps ether patients or practitioners for awareness of inner nature mind, reference of body feeling, yoga meditation, anupassan.(隨觀), meditation's di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