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국민협약과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하상섭,오종문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2

        본 연구는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가 통일국민협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남갈등과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는 통일국민협약에 대한 국민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는 남남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적환경은 시민단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통일국민협약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남남갈등 관리,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에 따른 국민 이견 조율, 통일국민협약을 이끌어 가는 시민단체의 책임 있는 리더십 함양이 요구됨을 보여 준다. 또한 한국 사회의 갈등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통합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 준다. 본 연구 결과는통일국민협약뿐 아니라 기타 사회적 합의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such factors as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affect South Kore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which has been carrying out under the Moon Jain administration. The study also tries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outh-south conflict in Korea, socialㆍ 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south-south conflict in Korea,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civic groups and South Kore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Second,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civic groups and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Third,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mediate different opinions of people who have diverse backgrounds, and develop the leadership of civic groups who play major roles to conclude the contract. Moreover, it needs governmental and civil efforts to integrate South Korean people who have diverse backgrounds. Th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but also to the achievement of another social consensus in South Korea.

      • KCI등재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Jae Lee(이인재),Ju Hee Hwang(황주희)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사회서비스 제공의 새로운 주체로 사회적기업의 활동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활성화 방안으로 생태계가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란 사회적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유기적 환경체계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네트워크 체계를 의미한다. 즉 모든 사업가능 공간에서 혁신적 가치 복합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생과 공존의 선순환 관계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체계로 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란 사회적기업의 성공을 돕는 (1) 자본 인프라와 (2)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으로 구성된다. 자본 인프라는 (ⅰ) 인전자본, (ⅱ) 사회정치자본, (ⅲ) 금융장본, (ⅳ) 지식자본 등을 의미하며, 환경요인은 (ⅰ) 사회적기업 정책, (ⅱ) 언론홍보와 문화적 인지도, (ⅲ) 경제사회적 조건 그리고 (ⅳ) 유관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현행 제도 내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인적자본육성을 위하여 교육훈련 분야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겠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은 교육유형 및 프로그램 다양화, 성장기 사회적기업 등 현장 중심의 실전형 교육과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고취하는 성공한 사회적기업가들의 멘토형 교육훈련 강화, 교육주체별/대상별로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금융자본 육석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금융자본과 자본시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사회적기업 전문재단설립과 민간 기금 조성, 모태펀드를 활용한 사회적 자본시장 활성화, 기업 사회공헌 기금의 활용, 사회적기업의 모금 역량 강화 등 많은 세부 과제들이 존재한다. 사회정치자본과 지식자본의 확대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온 오프라인 옹호조직, 사회적기업을 위한 지원 공간(무상임대 공간 포함),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민들의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지역사회에서 사회적기업가, 자금 제공자, 연구자, 윤리적 소비자 등이 참여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중요한 정책과제가 된다. 사회적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환경분야 정책과제로서는 먼저, 공공정책 분야의 사회적기업 거버넌스 사회적기업 정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거버넌스와 관련해서는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사회적경제 육성차원의 재편이 필요하다. 중앙 단위부터 광역, 기초단위까지 일관된 지원체계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정책 관련해서는 사회적기업 협동화단지 및 클러스터 육성과 공공구매 시장 및 사회서비스 시장 확산이 필요하다.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기업의 경우 사회적기업의 발전 및 확산을 위해서는 대기업 자회사 형태로 직접 설립보다는 생태계 지원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Social enterprise, a new type of social service agency in Korea, has rapidly emerged in recent years.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s defined as including both support structures that can develop social enterprises, and a cluster value network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On this basis,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can be seen to have two main divisions; capital infrastructure, and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apital infrastructure provides the resources, including social, political, human, finan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that are essential to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oduces the conditions in which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capital providers operate. This environmen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ocial enterprise policy, media relations, and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br/>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promote the capital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ssues of education and training, while building financial capital for social enterprise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both financial support and capital market systems. Policy support is required in order to creat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social enterprise among citizens, and to establish spaces in which to nurture social enterprise (including free rental space). In addition, a further policy challenge involves the creation of a platform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ocial entrepreneurs, funders, researchers, and ethical consumers. Generally, the challenge for policies relating to social enterprise is to build governance structures and to activate government assistance polices.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 need to build a consistent support system involving the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s, and primary local authorities. At the same time, social enterprise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by promoting the social enterprise cooperation town and cluster, and by finding a public purchasing and social service market. Ultimately, finding a way to activate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has significant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 KCI등재

        신규 장애인의 장애발생이 경제·사회·문화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임금옥(Keum-Ok 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

        본 연구는 장애 발생이 경제·사회·문화적 배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환경이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경험적으로 검증해 봄으로써 신규 장애인을 위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을 표본추출하여 신규 장애인의 경제·사회·문화적 배제와 사회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장애자의 장애 발생은 경제적 영역에서 배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문화적 영역에서도 배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발생에 따른 경제·사회문화적 배제효과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는 장애 발생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제고시켜주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린 시기부터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민간부문을 통한 사회적 캠페인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들을 위한 공공정책이 물질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으로까지 더욱 확대·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impacts of disability occurrence on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and testing empirically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in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112 disabled persons were sampled and surveyed on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by disability. Analytical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new disability caused economic exclusion. Second, it also caused social, cultural exclusion. Third, social support has a strong moderation effects between disability and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Social support played the important role for reducing the negative impacts of disability occurrence on social exclusion. This study provided some policy implications about raising so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basing on this analytical results. First, programs for improving cognition for the disabled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the early childhood. Second, social campaign for the disabled are promoted positively by non-governmental sector. Third, public policy for the disabled should be strengthened from material support to even emotional support.

      • KCI등재

        지역관람객의 지역축제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인식과 환경적 영향인식이 축제 만족과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3회 수성못 페스티벌을 사례로

        김동진,이슬기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cal visitors’ awareness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local prid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80 local residents who visited the third Suseong Lake Festival from September 23 to 25, 2016.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ocial functions and benefits of local festivals were confirmed an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local festival development were provid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Impac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angible Factor, a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Impac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tangible Factor. Seco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Impac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ocal pride. This study confirms that local festiv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local pride. 본 연구는 지역주민 관람객을 대상으로 지역축제 영향 중 사회문화적 영향인식과 환경적 영향인식이 축제 만족과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지역축제 발전방향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제3회 수성못 축제에 방문한 지역주민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지역축제 영향에 대한 지역 관람객의 인식은 사회문화적 영향인식과 환경적 영향인식으로 확인되었고, 축제에 대한 만족은 유형적 요인과 무형적 요인에 대한 만족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설의 검정 결과 환경적 영향인식과 사회문화적 영향인식은 유형적 요인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환경적 영향인식은 무형적 요인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경적 영향인식과 사회문화적 영향인식은 지역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축제가 축제 만족과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직접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축제의 순기능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지역축제의 발전을 위한 실무적 차원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현대사회 위험의 대응으로서 문화의 사회적 기능 - 사례로 살펴본 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

        장세길,신지원,김지혜,장세길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ublic necessity and the policy direction to promote culture in modern society by analyzing the risk of fragmented modern society after neoliberalism and examining the function of culture as a response to it. When the era of emphasizing the aesthetic value of culture was over, the economic value of culture was stressed in the time of creative industrial society that emerged with neoliberalism. Since neoliberalism efficiency revealed its limitations, however, the social function of culture has begun to attract attention in relation to social exclusion and the restoration of humanity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function of culture, this study proposes cultural therapy, cultural care, and a solution to a crisis of cultural environment as a social function of culture to deal with the risk of modern society.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 이후 파편화된 현대사회의 위험을 분석하고, 위험에 대한 대응으로서 문화의 기능을 검토하여 현대사회에서 문화를 진흥해야 하는 공적 당위성과 정책 방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의 심미적 가치가 강조되던 시대가 지나고 신자유주의와 더불어 등장한 창조산업 시대에는 경제적 가치가 강조되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효율화의 한계에 따른 사회적 배제와 4차 산업혁명으로 상실될 수 있는 인간성의 회복과 관련하여 문화의 사회적 기능이 주목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문화의 사회적 기능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해당 사례로서 문화적 치유, 문화적 돌봄, 문화적 환경위기 대응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지역 벤처생태계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혁신성

        박종화(Park, Jong Hw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경제의 자생적 경쟁력 강화와 지역 벤처생태계의 역동성 측면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혁신은 산업의 역동성과 성과에 핵심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경제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혁신간의 긴밀한 관계성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우선 지역 벤처생태계의 관련 개념 및 이론적 배경 논의를 검토하고, 설문조사결과를 이용하여 대구경북 지역 벤처생태계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혁신성을 분석하고, 그리고 더 나아가서 관련 정책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이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네트워크 확장성과 경쟁적 공존성을 고려할 때, 대구경북 지역 벤처생태계의 사회문화적 환경은 보통정도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ii) 네트워크 확충의 부족 사유 중 협력 프로그램의 결여가 두드러진다; 그리고 (iii)혁신성의 결과인 신 시장 창출성 측면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The unstability of global economy is on the rise. In this context, to develop the autonomous competitiveness of regional econom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dynamics of regional venture ecosystem in recent years. In general, innov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the dynamics and performances of the industry. A wide variety of studies have pointed out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ons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s of an economy.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regional venture ecosystem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ions, to analyze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innovativeness of Daegu-Gyeongbuk regional venture ecosystem by an questionary survey, and then to explore the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 when we take network expansibility and competitive coexistence into consideration, it seems to show the ordinary level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Daegu-Gyeongbuk venture ecosystem; (ii) the lack of cooperative programs is an important element among the elements of network insufficiency; and (iii) there is relatively positive recognition in the side of new market creation as an outcome of innovativeness.

      • KCI등재

        환경문제에 대한 현실적 접근과 그 한계, 그리고 그 대안

        김일방(Kim Il-bang)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우리 사회에 환경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일단 우리는 현실적 접근을 통해 대응한다. 먼저 기술공학적 접근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러고 나면 기술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접근 등이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환경문제가 시급을 다투는 긴박한 문제인 경우는 현실적 접근을 통해 대응하는 것이매우 당연한 처사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 접근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약점은 겉으로 드러나는 문제는 치유할 수 있을지 모르나 본질적 해결에는 이르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까닭은 현실적 접근이란 지금 제기되고 있는 사태와 상황을 인정한 위에서 그 사태나 상황의 문제를 해소하려고 노력하는 것, 즉 항상 현실을 뒤쫓아 가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사후 처리보다 사전 예방이 가능하도록 사회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며, 이를 위해선 자연을 대하는 우리의 가치관과 태도를 획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가치관과 태도의 전환을 이루는 데는 환경윤리학의 도움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문제에 대한 현실적 접근들과 그 한계를 지적하고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환경윤리학에서 찾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If environmental problems arise in our society, once we respond to them through realistic approaches. First we try to find out the cause of them, and then we propose technologic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solutions to them. If an environmental problem is a very urgent matter, we take it for granted that we deal with the problem through realistic approaches. But, realistic approaches have a weakness in common. That is, it is that realistic approaches can solve ostensible problems, but they can't resolve essential problems. The reason is because they always approach to problems in an after treatment mode. What we need is to set up a social system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s. To achieve this, we need to make some major changes in our values and attitude to nature. And, it needs help of environmental ethics to make some major changes in our values and attitude to nature. S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s of realistic approaches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search for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s in environmental ethics.

      • KCI등재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요인들에 대한 탐색

        이선영(Seon-Young Lee),김정아(Jeongah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발현되고 형성되는 사회적 산물이다. 창의적 수행과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 요인들은 초국가문화, 국가문화, 직업문화, 조직문화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그동안 수행된 창의성 연구의 대다수는 사회 및 문화요인들을 주된 주제로 다루지 않았다. 극히 드물지만 문화와 창의성 간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들은 대부분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 같은 초국가문화의 특성들만을 다루면서 동서양 문화권에서 개인이 보이는 창의성 수준 간 차이를 제시하고 있을 뿐 영역 특수성을 고려한 창의성이나 이것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업이나 조직 문화의 특성 등을 간과하였다. (초)국가 문화처럼 거시적 관점이 아닌 보다 미시적인 관점에서 창의성을 연구하는 것은 독창성과 유용성을 창의성의 주요 능력으로 간주하는 오늘날의 창의성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문화와 창의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요인들을 초국가와 국가문화를 포함하는 가치문화와 직업과 조직 문화로 구성된 관습문화로 구분하여 관련 문헌들을 심도 있게 검토하였다. 초국가 및 국가 문화의 특성으로 각각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예술친화적인 사회분위기와 다문화 경험 등을 논의하였고, 관습문화에 포함된 직업 및 조직 문화의 경우, 창의성의 두 가지 핵심 능력인 독창성과 유용성간의 균형을 중시하는 건축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문헌분석결과,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친 문화적 요인들은 관습 문화와 가치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 결과들이 일관적이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저자들은 논의한 선행연구의 문제점들을 문화에 대한 다차원성 고려 부족, 국가문화와 창의성 간 관계 규명의 어려움, 개인 또는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의 필요성, 관습과 가치문화에 대한 인위적인 구분 등으로 요약하였고 이를 후속 연구들을 위한 제언과 함께 논의하였다. Creativity is a social byproduct formed in a specific sociocultural context. Although creativity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culture ranging from supranational, national, professional to organizational levels, research studies documented in literature have mainly dealt with creativity in the (super)national level. For example, differences in personal creativity in the East and the West led by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respectively have been dominating in the studies about cultural differences in creativity. Consequently, the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 effects of a more micro level of culture, such as domains, occupations, and organizations, on creative outcomes have been dismisse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ains, and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leading to creative products is worth investigating considering that the conception of creativity today highly relies on the nature of domains valued in a certain socio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reviewed a wide range of literature regarding creativity and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explore how culture and/or cultural factors inspired creative thinking and generating ideas for creative performance and products. Cultural factors were identified either as a value or a practice (custom) and examined on the supernational, national,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levels. For supernational and national cultures, issues on individualism, collectivism, artistic social atmospher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were discussed, while the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cultures delved topics on the domain of architecture in which both originality and functionality are greatly valued for creativity.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impact of culture on creative thinking and idea gener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culture although issues on multifactorial aspects of culture, differences between personal and collective creativity, and the identification of culture either as a value or a practice (custom) should be discussed further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긍정적 관광영향에 따른 서울시 관광개발 지지도 평가

        윤설민 ( Seol Min Yoon ),이태희 ( Tae Hee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에 따른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을 통해 서울시 관광개발 사업을 평가해보고, 이후 관광영향(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 전체 영향, 지지도(추가 개발, 개발 계획) 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첫째,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에 따르면, 관광객 유치, 도시미관,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의 긍정적 영향은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깨끗한 하천은 서울시 사회·문화적, 환경적 관광개발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모델링의 결과 사회·문화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은 전체 영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영향은 추가 개발에 대한 지지도뿐만 아니라 개발 계획에 대한 지지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정모형을 통해 개발 계획에 대한 지지도가 추가 개발에 대한 지지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ourism development business of Seoul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based on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impact, and th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ourism impact(socio-cultural impact, environmental impact), total impact, and support(additional development, development planning).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PA, positive impacts about attracting tourists, urban landscape, eco-friendly development would be necessary for continuous maintenance, whereas clean stream would be essential for betterment in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tourism development in Seoul. Secondl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 that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impact had an effect on total impact. Also, total impact had an effect on support toward addi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support toward development planning.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dentified support toward development planning influenced support toward additional development through modifie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 KCI등재

        해양 공간환경 디자인 개념과 유형에 관한 연구

        이현성(Hyun Sung Lee),정규상(Kyu Sang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해양과 연안의 경제적·환경적 가치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해양의 천연자원을 채취·가공하거나 신에너지를 개발하는 산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관광, 휴양, 체험과 같이 해양 및 연안 공간을 활용하는 산업도 확장되고 있으나 공간환경의 개념이 지닌 특성상 물리적 대상물의 구현 외에 무형적 인간의 활동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디자인적 측면의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 해양공간에 대하여 개발과 기술의 물리적 대상 공간이라는 기존의 인식을 넘어 친수와 문화 가치의 대상 공간으로서 새로운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해양공간이 지닌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의 다가치가 균형과 안정을 이루도록하는 해양 공간의 정온디자인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미래 해양 공간의 가치창출 에 대비해 해양 공간환경 및 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고찰,이를 바탕으로 해양 공간환경 디자인의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고 해양공간의 유형을 구분, 제시함으로써 미래 해양디자인 산업에 대한 개념적 토대를 제공하고 해양공간의 가치적 대상공간에 대한 범주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본 어휘에 대하여 사전적 정의를 고찰하였으며 해양 디자인 관련 선행 논문, 연구에서 학자들이 언급한 개념 정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법제처에 등록된 해양 및 경관관련 현행법의 비교를 통하여 해양 공간환경 디자인 적용에 있어 제도적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국토해양부 등에서 발행한 국가 선행 연구 자료는 해양 공간환경에 대한 국가적 인식 및 연구현황을 분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와 문화의 가치적 대상 공간으로서의 중요성과 해양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해양공간환경의 유형을 사회, 생태, 산업, 문화의 4개 환경범주 하에 해양 휴양공간, 해양 체험교육공간, 해양 관광공간, 해양 커뮤니티공간, 해양 상업공간, 해양 정주공간, 해양 연구관리공간, 해양 SOC공간, 해양 생태보전공간, 해양 역사문화공간, 해양 방재·안전공간, 해양 수산업 공간의 12개 유형으로 구분, 제시하였다. 4대 가치에 따른 해양 공간유형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와 지표에 관한 기본 방향도 연구 범위에 포함되며 이는 기존의 관련 제도에서 물리적 제어요소와 지침 등을 기준으로 해양 공간이 분류되고 구분된 한계를 보완하고, 지속가능한 해양지역의 활성화, 해양 문화 창조를 위한 새로운 관점과 범주의 기초를 위한 연구이다. As marine and coast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 of the oceans began to attract attention, it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new energy and processing natural resources from the ocean. In addition, is expanding Industry taking advantage of using marine and coastal area such as tourism, recreation, adventure. However it is required research from design perspective considering intangible human activities with a characteristic physical object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we need to be aware about new importance of marine space as the valuable space based on culture and ocean-oriented use beyond the physical target space based 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With marine space,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approaches values of balance and stability to fulfill quietness of the ocean space design should be reali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concept of maritime spatial environment design and to provide conceptual basement about future maritime design industry, by presenting the types of ocean and the concept of maritime spatial environment design clearly. For this, Dictionary definition of a basic vocabulary was examined. And definition mentions of scholars in leading marine design-related papers, research were examined, too.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urrent law related to ocean and scenic space, Ocean space environmental design issues in the applic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Previous data, etc. issued by the national ministry of the ocean-space environment for national recognition and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research. In this research, considering ocean-oriented use and cultural importance as the target space and the character of the marine environment, it is presented 12 types of spatial patterns such as maritime leisure space, maritime experiential education space, maritime tour space, maritime community space, maritime commercial space, maritime housing space, maritime research space, maritime SOC space, maritime ecological space, maritime historical culture space, maritime disaster prevention space and maritime fishery space on the type of space, social, ecological, industr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four categories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aritime environment. This research includes basic direction of goals and indicators about the marine space based on four values and also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of control elements in the physical standards and guidelines. This is basic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sustainable marine areas, marine culture and a new perspective for the creation of the categ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