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객무례경험이 원무행정직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슬기,한우석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8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 incivility and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both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And we have selected three factors as the customer incivility,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variable.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hospital administration employee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testing 195 valid questionnaires using PASW 18.0 and AMOS 18.0.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 that customer incivility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customer incivility and customer orientation.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the working conditions of hospital administration.
CO2 상승처리가 복숭아 ‘미홍’의 수체생육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슬기,조정건,정재훈,류수현,한점화,도경란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시설원예‧식물공장 Vol.3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vated carbon dioxide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each ‘Mihong’ (Prunus persica). We simulated three different carbon dioxide condition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8.5 in the sunlight phytotron rooms from April 22 to July 6, 2020; 400 μmol·mol -1 (present condition), 700 μmol·mol -1 treatment(expect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mid-21st century), 940 μmol·mol -1 treatment (expect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late 21st century). The average of maximum photosynthesis rate at 700 μmol·mol -1 (16.06 μmol·CO2·m -2 ·s -1 ) was higher than those at 400 μmol·mol -1 (14.45 μmol·CO2·m -2 ·s -1 ) and 940 μmol·mol -1 (15.96 μmol·CO2·m -2 ·s -1 ) from May 22 to July 2. However, stomatal conductances at 700 μmol·mol -1 and 940 μmol·mol -1 were lower than those at the control. Also, the carbon dioxide saturation point in all treatments was reduced from 1,200 μmol·mol -1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to 600-800 μmol·mol -1 in the late stage of growth. The stomatal densities were decreased as carbon dioxide increased. The shoot lengths were decreased while the carbon dioxide was increased, but the increase of trunk diameter and leaf areas, shoot number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 fruit weight at 700 μmol·mol -1 (152.5 g) was higher than those at the control(141.8 g) and 940 μmol·mol -1 (147.4 g). The soluble solids were higher at 700 μmol·mol -1 , 940 μmol·mol -1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arbon dioxide elevated to 700 μmol·mol -1 in the future may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yield and fruit quality of peach ‘Mihong’ while a carbon dioxide elevated above 940 μmol·mol -1 may affect negatively such as early senescence and loss of fruit set. 본 연구는 CO2 상승 처리에 따른 복숭아 ‘미홍’ 품종의 수체생육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CO2 농도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를 기반하여 400 μmol·mol -1 (현재), CO2 상승구 700μmol·mol -1 (21C 중반기), 940μmol·mol -1 (21C 후반기)으로 4월 22일부터 7월 6일까지 처리하였다. 5월 22일부터 7월 2일까지의 최대광합성률평균값은 700μmol·mol -1 처리구에서 16.06μmol∙CO2∙m -2 ∙ s -1으로 대조구 14.45μmol∙CO2∙m -2 ∙s -1와 940μmol·mol -1 처리구의 15.96μmol∙CO2∙m -2 ∙s -1보다 높았다. 그러나 기공전도도는 대조구보다 700μmol·mol -1 및 940μmol·mol -1 처리구에서 낮았다. 또한 모든 처리구에서 CO2 포화점은 생육 초기1,200μmol·mol -1에서 생육 후기 600-800μmol·mol -1으로낮아졌다. 기공 밀도는 CO2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수체생육 중 직경증가량, 엽면적, 신초 수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지만, 신초 길이는 CO2가 상승할수록 짧아졌다. 과중은700μmol·mol -1 (152.5g), 940μmol·mol -1 (147.4g), 400μmol· mol -1 (141.8g) 처리구 순으로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대조구인 400μmol·mol -1 처리구보다 CO2 상승 처리구에서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700μmol· mol -1 까지의 CO2 상승은 복숭아 ‘미홍’의 수량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 등 과실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940μmol·mol -1 이상의 CO2 상승은 조기 노화 및 착과 부위 감소 등 복숭아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배양온도 및 생육온도가 느타리류 품종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슬기,오연이,오민지,임지훈,장갑열,공원식 한국버섯학회 2018 버섯 Vol.22 No.1
느타리는 2017년 국내생산량이 전체 버섯 생산량의 35.7%인 53,532톤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소비 되는 버섯이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여름철 느타리 가격의 하락으 로 많은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느 타리 품종들이 배양온도와 생육온도에 따라 수량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았다. 공시 균주는 일반느타리 ‘수한’, ‘솔타리’, ‘흑솔’과 노랑느타리 ‘장다리’, 산느타리 ‘강산’, 여름느타리 총 6균주를 사용하였고, 21, 24, 27°C의 배양온도와 15, 25°C의 생육온도를 처리하였다. 배양온도에 따른 수량 변화에는 특별한 경향을 보이 지 않았으나, 생육온도에 따른 수량은 품종별 차이를 보였다. 특히 21°C에서 배양 후, 15°C에서 버섯 생육을 한 처리구에서는 ‘솔타리’ 품종이 102.82g으로 수확량이 가장 많았다. 배양온도에 상관없이 생육온도 25°C에 서는 대부분 품종들의 갓 색이 연해지고, 일부 발이가 되지 않는 품종도 있었다. 그러나 ‘장다리’ 품종은 오 히려 15°C에서 생육했을 때 수확량이 7-19%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품종마다 적합한 생육온도가 다르고, 계절별 생육온도 설정과 재배 품종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앞으로 더욱 심해지고 있는 기후 양극화에 적응 가능한 품종 육성의 모본을 선택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