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정은주(Jung, Eun-Joo)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0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비판적 관점에서 다문화주의의 담론들을 분석하고 다문화 담론에 매몰된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통해 교육의 방향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필요성과 연계시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교육적 대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비판적 관점에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은 첫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지식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삶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다양성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관점에서 유아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교사는 첫째, 정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 및 자료의 선택을 폭넓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적 감각을 지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 스스로가 능동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nd to discuss some issues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are buried in the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by investigating the preceding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designed to provide a new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connect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with the need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rough such discussions.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re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that a variety of knowledge can be experienced, seco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taught in the context of life and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that encourages the way of critical thinking about diversity. For this, teachers who approach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first, need to be honest, second, need to consider a wide sel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and third, should have a cultural sense. Lastly, teachers need to be activists by themselves.

      • KCI등재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비판적 다문화교육론

        박휴용 ( Hyu Yong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2

        본고는 제국과 다중이라는 두 가지 핵심어를 통한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다문화주의를 바라보고, 그 실천적 방안으로써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로써 첫째, 다문화사회와 제국주의의 역사적 관련성을 논의하고, 둘째, Negri(2004)가 제시한 다중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의 사회구성과 민주주의의 실현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셋째, 다문화사회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에 대한 비판적 재고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에서는 다중 사회에 기반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교육이 다루어야 하는 핵심적인 논점들인 차이와 편견, 자유와 평등, 그리고 정체성과 소속감 문제에 대한 비판적 재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둘째, 다문화교육의 내용범주, 다문화교육에서 다루는 문화 개념 및 노동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의 방법론에 관해 다문화교실의 다양성, 교육적 형평성, 그리고 교사의 역할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지금까지의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계와 교육계의 이해가 비판적으로 재검토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wo-fold: A critical discussion on multiculturalism and the sugges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is paper discusses multicul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based largely on two key words, i.e., Empire and Multitude. In doing so, this paper juxtapose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history of imperialism and introduces Negri`s (2004) argument on Multitude. In addition, this paper critically comments on the various viewpoints of our society on multiculturalism. Second,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by discussing 1) the core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g., difference & prejudice, freedom & equality, and identity & belongings, 2) some critical viewpoints regarding the content,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the roles of teachers for employ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will provide a new paradigmatic viewpoint on the hitherto understanding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고홍규(Koh Hong 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고찰하여 보고 다문화 미술교육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서 근래에 제기되고 있는 비판적 시각들을 종합하여 보고 그 의미와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한국의 다문화 담론은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에서 서구 중심의 담론이 주를 이루며 한국 사회의 독특한 특성과 폭넓은 다문화 스펙트럼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다문화 정책이 주로 결혼이주자와 그 가족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지며 실질적으로 동화주의적 접근을 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차이를 인정하는 차원에서 다문화 논의가 이루어져 인권과 평등, 사회적 정의의 실현이라는 다문화 담론의 궁극적인 목표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점이 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 미술교육 논의에 있어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한국 사회의 특성과 체질에 맞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내재된 동화주의적 관점의 탈피를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목적과 교육대상, 내용을 명확히 하여야 하고, 다문화 미술교육의 궁극적 가치 실현을 위해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 이후로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연구와 교육적 실천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종합하여 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그동안 다문화 미술교육자들의 노력이 현재 어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지, 그리고 또 어떠한 방향으로 더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조언이 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gure out its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at, I examined numerous research o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their critical features. Consequently I found that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can fall into three categories; its detachment of discourses from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its immanent approach to assimilation, and its disconnection from fundamental purpos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social justices. In the perspective of these critical view point, I provided three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irst, discourses of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ies. Second,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redirect from immanent assimilation to multiculturalism. Last,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pursue fundamental purpos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social justices beyond educat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foreign cultures.

      • KCI등재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2010-2020) 분석연구: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유형에 근거하여

        박영진,장인실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0 다문화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direction by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plans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we gathered multicultural education plan documents of 10 years from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n we analyze the 2010, 2014, 2018, 2020 year plan document to see the change of direc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Jenks, Lee, & Kanpol (2001) suggest concepts of conservative and liberal, critical multiculturalism. We use this concepts to interpret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servative multiculturalism policy was maintained from 2010 to 2020, but it has developed into the systematic support system. The liberal multiculturalism policy has expanded.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multiculturalism policies have been effective. The critical multiculturalism policy was presented as we recognized the terms ‘equality, providing opportunity’ in the 2018 plan. In addition, the multicultural global school is a new model school for all students.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ries to revise the law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clusion, we can find an effort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o pursu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desirable direction.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기본계획을 수집․분석하였으며, 관점 및 방향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2010, 2014, 2018, 2020년도를 중심으로 정책을 내용 분석하였다. 그리고, Jenks, Lee, & Kanpol(2001)이 제시한 보수적, 개방적,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따라 이를 해석하여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2010년부터 지금까지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보수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다문화교육이 꾸준히 운영되고 있었다. 다문화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적응 교육이 이 관점에 해당하는 다문화교육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 더 체계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점점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은 개방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교육이다. 2010년도에는 일반학생 대상으로 다문화 축제 및 문화 체험 교육을 통해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감수성 함양을 강조하였으며, 2019년도에는 ‘상호문화이해’ 연구학교를 지정․운영함으로써 다문화교육으로 상호문화이해 교육을 보급 확산시키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교육은 기본계획에서 나타난 것은 2018년도부터이다. 기본계획에서 ‘평등한 출발선, 교육기회 보장’ 등의 용어를 통해서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이 반영되었으며,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 및 법률 개정 등 구조 변화를 통한 다문화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 정책은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아직은 시작 단계이다. 향후 과제는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에 부합되는 다문화 정책 발굴과 학교 현장에 이에 대한 명확한 프로그램 제시 및 공유, 확산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장혜진 ( Hye Jin J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다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사의 다문화역량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내용 측면에서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원주의적 패러다임에 머물고 있으며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같은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은 기존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점과 달리 사회의 불평등한 관계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사회변화를 위한 의지를 함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면담을 한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1)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평등 강조 (2)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정적인 경험 간과 (3) 유아의 다문화 관련 인식 및 태도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사의 색맹적 태도에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focusing on two teac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tion-observation in two classrooms and semi-constructed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were in common with focusing the children``s equity, overlooking the negative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cking teachers’ interests and attentions of how children recognize different cultures and ethnicity. From the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two teachers had color-blind attitudes. A teacher’s color-blind attitude has a positive affect in trea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qually, but it can negatively create and perpetuate unequal relations among different cultures. We need to critically consider embedded assumptions in a teacher’s color-blind att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to bring more equality and justice in our society.

      • KCI등재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이연선 ( Youns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유아다문화교육정책분석을 통해 "유아다문화교육"의 개념, 목적과 이데올로기를 밝히고, 중간전달체계인 교육청의 자료분석을 통해 정책이 어떻게 해석되고 전달되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담론분석을 통해 재해석, 협상, 저항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실행적 격차를 드러냄으로써 유아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 유아다문화교육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가정"이라는 용어와 동반어의 사용을 통해 이중적 태도와 동화주의-수혜적 입장이라는 지배적 관념을 생산해 내고 있었다. 반면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문화를 관광식 접근을 통해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관용적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둘째, 교육청은 국가정책에 대한 비판적 안목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정책 이데올로기는 교사용 지침서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은 지역적 특성과 현장의 특수성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향식이 아닌 현장중심의 다문화 교육 자료들이 모아지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지침서가 지역교육청을 통해 생산되어질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동화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현장에서 성실히 수행하는 텍스트 소비자(text consumer)도 이론적 지식, 경험 그리고 확고한 철학적 기반을 가지고 다문화수업을 수행하는 적극적 동참자도 아니었다. 국가정책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아이들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적용으로 소비될 수 있다. 교사들은 이데올로기와 오개념, 그리고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Derman-Sparks & Ramsey, 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올바른 모습은 교사 스스로 지속적인 자기반성과 다문화적 경험을 통해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late 1990s, demographic diversity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because of marriage-immigrants and migrant-workers, and this has engendered much discours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late 2000,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ursued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s a major task. However, the ensuing discourse has focused on having children with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adapt to Korean language and customs, ignoring other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might relate to how national institutions narrow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oducing an ideology for it. To determine the national goal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y inherent in them as it is transmitted by local agencies and interpreted by teachers, th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amines the promoted values and hidden ideologies in various written and spoken texts and identifies the potential space between the ideology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Findings demonstrate that, by selecting favorite words from Wester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or theories, policymakers frame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ssimilate ethnic minorities in Kore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functioned as the dominant form of controlling the n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 School inspectors were active disseminators of national ideologies within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structures. Policies underwent transformations and met resistance by teachers interacting with local factors, including the top-down imposition of the new curriculum, their busy schedule, and their experiences with individual children. Teachers were neither assimilationists nor active multicultural educators.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policy makers consider experiences of teachers and voices of parents and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in develop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a comprehensive effort to change the delivery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Cre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share diverse ideas with colleagues, parents, and professionals within, between, and across schools could be key to improving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ies.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

        박선미 ( Sun 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논문은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지리교육에 줄 수 있는 실제적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을 문화간교육의 관점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문화간교육이 소수집단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강조한 반면, 다문화교육은 차별을 야기하는 사회구조의 변화를 강조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는 여러 지리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주는데 얼마나 유용한지를 고찰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과 지리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데 교사가 갖추어야 할 다문화 역량의 의미와 구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다문화 역량은 자아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을 이해하고 이를 규정하는 사회적·역사적 조건들을 성찰하며 이를 변화시키려는 의지와 능력으로 정의된다. 다문화역량은 의식, 지식, 기능으로 구성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that the critical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s can have on geography education. For this, the paper first compared the critical id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s to intercultural education. Whereas the latter focuses on the understandings on and coexistence of different minority groups, the former emphasis on the social structural changes by which discrimination can be eliminated. Second, the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how critical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closely connected to geography education, and how fa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useful for students obtaining the critical insights in observing and analyzing key geographical problems in contemporary society. Finally, this paper explained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its components that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is defined as a willingness and capacity to understand the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to internalize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constraining these identities, and to change the identities. It is composed of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 KCI등재

        민속수학과 비판적 수학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 Joohyun Kim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민속수학과 비판적 수학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으로 실험집단 학생 29명, 비교집단 학생 30명으로 총 59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수학과 비판적 수학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속수학과 비판적 수학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성찰 일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이 편견에서 벗어나서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 비판적 시각으로 지구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방법을 스스로 찾는 태도, 다문화 친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는 등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내면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교육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별도로 교육되는 것도 필요하지만, 수학을 비롯하여 각 교과와 연계하여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programs based on ethnomathematics and critical mathematics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The sample consists of 59 students from six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29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 that multicultural programs that were based on ethnomathematics and critical mathematics had positive effects on develop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e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concerning students` study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ll subjects, including math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다문화 그림책 탐색 - 상호문화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이혜진 ( Lee Hye-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외국어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교육 이전에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언어 교수자는 상호 문화주의적인 태도에서 출발해야 하며 언어 학습자 역시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리터러시까지 나아가야 한다. 본고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외국문화로서의 한국 문화교육이 다른 문화 간의 조우를 전제로 하기에 상호문화주의교육으로 나아가는 비판적 리터러시로 나아갈 한국어 교육에서의 다문화 그림책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상호문화주의, 비판적 리터러시를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을 다각도로 고찰할 만한 다섯 권의 다문화 그림책을 선정한 뒤 본고는 ‘다문화주의의 실천적 활동’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프랑스 상호문화교육 이론과 미국의 사회 교육학자인 뱅크스(Banks)의 다문화교육과정 네 가지 접근법을 분석 준거로 삼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소재의 그림책은 문자로 이해하는 바를 넘어 그림을 통해서도 언어적인 이해를 보강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 소재의 그림책은 해당 텍스트가 가진 바람직한 다문화적 요소와 더불어 부정적이고 극복해야 할 다문화적 요소까지도 비판적 리터러시를 적용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셋째, 본고에서 선정한 다섯 권의 그림책은 점진적으로 상호문화적인 교육의 방향을 발전시키면서 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네 가지 접근법 가운데 세 번째, 네 번째의 사회적 실천에 부합하는 방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고에서 선정한 다문화 그림책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인식론을 정비하고 비판적 리터러시를 적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은 타 문화가 만나는 외국어 교육의 하나로서 구별짓기, 차별, 배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구성되어 나가는 상호교차적이고 건설적인 비판적 리터러시로 나아가야 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다문화 그림책의 잠재성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cessity of re-establishing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before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instructors should start with an interculturalist attitude, and language learners should also move from learning languages to critical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will lead to critical literacy toward interculturalist education,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esuppose encounters between different cultures. First, this paper examinined interculturalism and critical literac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ected fiv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at can examin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from various angles. And then this paper tried to study five piture books according to theory of French intercultural education and American social pedagogical scholar Banks’s four approaches that has the common point of ‘practical activities of multiculturalism’ as criteria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icture books made of multicultural materials can reinforce linguistic understanding through paintings, beyond what is understood in text. Secondly, picture books made of multicultural materials have the value of applying critical literacy to negative and multicultural elements that must be overcome as well as desirable multicultural elements of the text. Thirdly, the five picture books in this paper gradually developed the dire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showed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third and fourth social practices among the four approaches of Banks's multicultur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is paper have the value to improve epistemology and apply critic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is thesis aims to prove the potential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hich should move toward a dynamic and constructive, interdisciplinary and constructive critical literacy, rather than differentiate, discriminate, and exclude in the situation of cultural encounters.

      • KCI등재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교육: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다문화 교사교육의 교수방법

        최수진 ( Su Jin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3

        본 논문은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다문화 교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명료화하고 다문화교육의 교수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비판적 다문화교육이 다문화교육의 본질에 가장 가깝다는 시각에 동의하며 비판적 다문화교육에서 강조하는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교사교육 교수방법을 살펴본다. 즉, 다문화교육은 다원주의 사회를 긍정하는 것을 바탕으로 ‘다름’을 존중하고, 같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지향한다. 더 나아가, 다문화교육은 보다 정의로운 사회로 나아가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교육과정·교육철학·정치적 운동으로서, 사회의 구조적인 억압을 드러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특히 교사 의식(참조체계, 세계관)의 변화가 강조된다. 즉, 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자신의 참조체제를 인식하고, 이를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필자는 대안적인 이야기 제공, 비판적인 자기성찰 및 대화, 비인지적인 접근법(명상적 성찰)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1) 대안적인 지식을 접함으로써 자신들의 종전지식 및 관점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 (2) 자신들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재창조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 (3) 명상적 성찰을 경험하는 것은 예비교사들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교사로 성장하는데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meaning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discussing different models of multicultural eduction and specific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With the assumption that critical multiculturalism is the most authentic ki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 focus on the directions and specific approaches that critical multiculturalism emphasizes. That is,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curricular, educational and political movement that aims at enhancing social justice by exposing systematic inequities and resisting to all kinds of social oppression. For the ki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quality, especially transform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deep-rooted values and beliefs, is essenti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help prospective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own points of references in relation to the macro society and to transform them into more socially just ones. As specific approaches for that, three themes of providing alternative stories, critical self-reflection and dialogue, and non-cognitive approaches (meditative reflection)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at is, I argue that (1) providing various perspectives that can create conflicts with prospective teachers’ preconceptions, (2) creating spaces within which prospective teachers can reflect on and recreate their experiences, and (3) utilizing meditative reflection can help prospective teachers to grow as multicultural-minded teachers who contribute to enhancing social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