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과 감정 그리고 미적경험에 관하여: 불안(Anxiety)을 중심으로

        류호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불안은 무엇으로도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는 비가시성과 부정성(불쾌)으로 인해 보편적인 쾌(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학적 전통에서 단지 주관적 경험으로만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으로 미적경험은 외부 대상 특히 예술이나 자연의 형식에 따른 시각적 경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외적 대상에 대한 시각적 인식에 앞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 즉 불안을 미적경험의 중요한 요소 상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근원적 감정에 관한 자크 라캉(Lacan, J.)과 키에르케고어(Kierkegaard)의 불안이론을 기초로 미적경험의 전통적 논의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탐구방식은 미적경험을 외적 대상에서 인간의 내적감정을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어는 '불안의 개념'에서 인간의 근원적이고 원초적조건으로 불안을 언급한다. 또한 키에르케고어에게 불안은 ‘가능성’에 의미와 다름없다.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라캉(Lacan, J.)은 불안을 주체를 압도하는 ‘실재적 경험’이지만 그것의 원인과 대상은 어떠한것으로도 환원 불가능한 ‘근원적 정서’라고 언급한바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이러한 인간의 근원적 불안에 대한 논의를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주의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통해 살펴보고, ‘모호함’, ‘식별 불가능한 것’으로서의 불안을 칸트(Kant)와 버크(Burke, E)의 숭고의 논의와 비판적으로 연결할 것이다. 또한 내적감정을 미적경험으로 나타낸 표현주의 작가 뭉크(Munch)의 작품을 사례를 들어 불안의 문제를 조명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시각적 경험에 선행하는 기억, 환상, 무의식, 욕망과 같은 주관적정신현상들의 근거로서 불안을 상정하고 불안이 미적경험에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다. 이로서 대상에대한 시각적 경험의 전유물 한정된 미적경험의 한계를 불안이라는 ‘가능성’에서부터 새롭게 접근해야한다는 결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적경험에 대한 전통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nxiety has been regarded only as a subjective experience in the aesthetic tradition of pursuing ‘universal pleasure’(beauty) due to invisibility and ‘negativity’ (displeasure) that cannot be clearly defined by anything. Traditionally, In this context, aesthetic experience are centere on external objects, especially visu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forms of art or nature. This study postulates the underlying human emotion, anxiety, as an important ele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ior to the visual perception of these external obj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discu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Lacan and Kierkegaard's theories of ‘anxiety’. This method of exploration means shifting aesthetic experiences from external objects to human inner emotions. Existentialist philosopher Kierkegaard refers to anxiety as an Essential and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beings in the ‘concept of anxiety’. Also, For Kierkegaard, anxiety is also synonymous with ‘possibility’. Lacan referred to anxiety as a “real experience” that overwhelms the subject, but says the cause and object are “essential emotions” that cannot be Reduction to anything. This study will first look at this discussion of human fundamental anxiety through Kierkegaard and Lacan, and critically link ‘ambiguous’ and ‘the Invisible’ as the Emotion of Anxiety with the discussion of the sublime of Kant and Burke. It also sheds light on the issue of anxiety by taking an example of the work of Expressionism artist Munch, who expresses inner emotions as aesthetic experiences. This analysis method assumes anxiety as the cause of subjective perception that precedes visual experience, and reveals that anxiety is an important factor in aesthetic experience. This concludes that the limits of the limited aesthetic experience of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 should be approached anew from the 'possibility of anxiet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pand the traditional discu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and present new narratives.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재무불안에 대한 연구

        이해랑(Haerang Lee),나종연(Jong-Youn Rha) 한국FP학회 202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6 No.2

        기존 재무불안의 개념은 병리학적 특성과 재무 상황에 대한 개인 능력 및 의지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불안은 개인의 특성과 환경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기존 연구는 금융소비자가 경험하는 재무불안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재무불안을 개인의 능력과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임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금융소비자들의 재무불안 수준을 진단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재무불안의 개념을 확장한 척도를 개발한 후 소비자 조사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여 재무불안의 하위차원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재무불안은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재무상태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느끼는 개인적 차원 불안이며, 재무자산 불안, 부채 불안, 개인상황변화 불안, 거시환경변화 불안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다. 소비자들은 거시 환경변화 불안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으며, 부채에 대한 불안을 가장 적게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재무불안의 범위를 보편적인 금융소비자의 경험으로 확장시키고, 개인이 통제 불가능한 환경적 변화에 따른 불안 역시 재무불안의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금융소비자들의 재무불안과 관련한 문제 발생 시 개인의 능력은 물론 금융소비자가 처한 맥락이나 상황을 함께 살펴보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Financial anxiety has focused on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personal ability, and willingness for financial situations. Anxiety is a general phenomenon caused by a combin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and existing studies cannot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inancial anxiety experienced by financial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financial anxiety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considers individual abilities and environmental contexts and diagnoses the level of financial anxiety of consumers. After developing a scale that expanded the concept of financial anxie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a consumer survey to form a sub-dimension of financial anxiety. Hence, financial anxiety is a personal level of anxiety that financial consumers generally feel about their financial status, and it is composed of sub-dimensions of financial asset anxiety, debt anxiety, personal situation change anxiety, and macro-environmental change anxiety. Consumers felt the greatest anxiety about macro-environmental change and the least anxiety about debt.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financial anxiety to the experience of general financial consumers. The data show that anxiety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that individuals cannot control is also an essential part of finan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look at the context or situation of financial consumers and individual abilities when problems related to the financial anxiety of consumers occur.

      • KCI등재

        불안의 정동, 진리, 시대성: 박인환 시의 새로운 이해

        강계숙 ( Gye Sook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본고는 불안의 분석을 통해 박인환의 시 세계를 새롭게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인환의 시에 대한 평가가 지성을 우위에 두는 담론체계 내에서 행해졌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경박한 센티멘탈리즘으로 명명된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그만의 고유한 감정형식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시의 가치를 확인하려는 것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우선 불안이 추상적 수사가 아니라 시의 지배적 정서라는 점, 특히 1955년 아메리카 여행을 기점으로 강한 정동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런 현상의 연원을 밝히기 위해 불안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뒤, 아메리카 시편에서 불안이 심화되는 이유를 추적하였다. 해방기에 발표된 시들과 한국전쟁 직전에 쓰인 「1950년의 만가」가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 이를 통해 확인되었다. 박인환 시의 불안은 코스모폴리탄적 자의식에 기반한 ‘시민’의 정립이 실패한 기획으로 의식되면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새로운 큰타자의 위상을 지닌 아메리카를 직접 방문하면서 막연한 느낌에 그쳤던 불안은 강렬한 정동으로 자리 잡게 된다. 중요한 것은 불안의 가시화가 지닌 역사적 의미이다. 박인환의 시에서 불안은 자기정체화가 재차 요구되는 상황에서 무규정성을 본질로 한 자유의 정체와 마주하여 자유의 이행에 내재된 무(無)의 심연을 감지함으로써 발생한 정서적 반응에 해당한다. 1950년대 한국사회의 현실과 집단 무의식을 고려할 때, 이는 당대 한국인들이 착각의 동일시에 따른 자기위안에서 벗어나 욕망과 자유의 주체가 될 것인지 환상의 무대에서 자기오인에 사로잡힌 주인공이 될 것인지를 선택할 기로에 놓였음을 의미심장하게 보여준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박인환 시의 감상성은 시대적ㆍ문화적 징후로, 해석을 요구하는 글쓰기(ecriture)의 한 형식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해방과 함께 자신들의 실존적 토대가 금기의 대상이 되었던 박인환 세대의 심리적 구조가 그의 시를 통해 불안의 형식으로 표출된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같은 시기에 김수영과 김춘수가 ‘설움’과 ‘비애’를 토로했던 것과 비교하면, 박인환의 ‘불안’은 자유의 신호로서 주체가 욕망 및 자유과 관련하여 원초적 상황에 놓였음을 보여주는 드문 예이다. 자유의 밀어닥침이 불안을 양산하는 시대적 정황을 예민하게 포착한 박인환의 시는 심리적 선취이자 현대성의 감정적 자기반영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렇듯 박인환 시의 정서적 특질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품고 있다. 박인환 시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 멜랑콜리의 분석이 뒤따라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Park In-Hwan`s poetry through the analysis of anxiety. By this time, his poetry is regarded as a light sentimentalism. My study raises a question of its fixed idea. To do away with this stereotype, I pay much attention to overflowing emotion in Park In-Hwan`s poetry. Especially, I examine carefully the affect of anxiety shown remarkably in his poetry. His anxiety grew powerful during his tour of America. To find out the causes of this psychological phenomenon, this paper analyz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nxiety and probes into the reasons that his anxiety deepened gradually during a trip to America.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his poems in 1945~1950`s and <the dirge on the 1950(1950년의 만가(輓歌)> are more important. Park begun to feels vague anxiety when he was conscious of failing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as ‘new citizen’ in the early 1950`s. Since travelling to America, he expressed his strong anxiety. To be important is the meaning of representing such obvious affect directly. Park` anxiety is an affective reaction when he was faced with the huge abyss of nothingness of the very essence of freedom in a difficult situation where he had to develop self-identity once again. In contradistinction to Korean`s collective unconscious in 1950s, to feel strong anxiety is to get an opportunity of making a choice whether he would become the subject of desire and freedom or a deluded hero on the stage of fantasy. So, Park` sentimentalism must be considered as a cultural symptom of the times and a symbolic form of the ecriture to require the various readings. Above all, Park` anxiety represents a special affect of the generation of Park called ‘Postwar Generation’ in Korean literature. In comparison with of the sorrow of Kim Su-Yong and Kim Chun-Soo at the same period of time, Park` anxiety is an signal of freedom and a rare example to show that he was placed in the basic situation in connection with desire of the subject. He sensed that too much freedoms had caused Korean`s anxiety and his poetry captured this psychological state of his contemporaries. Park` poetry is reasonably valuable in that his poetry reflects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affect of his contemporaries. In this respect, a variety of emotions in his poetry is in need of careful examinations.

      • KCI등재

        불안-우울 환자에서 역기능 호흡

        손인기,남범우,홍정완,이재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Objectives:Although dysfunctional breathing is a common symptom in general population and affects qualities of life, it is still underdiagnosed. There are some studies of prevalence of it in astma, but few studies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it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anxiety and depressed mood influence it. Methods:135 patients diagnosed with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and 124 controls were recruited. Nijmegen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dysfunctional breathing, and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was used. Results:The prevalence of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wa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nxiety accounted for 59.6% of dysfunctional breathing, but depressed mood did not. With covariate adjusted for anxiety, scores of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were higher than in controls. Conclusions: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i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Adjusting anxiety, its difference is still. Anxiety affects dysfunctional breathing, but depressed mood does not. 연구목적: 역기능호흡은 일반 외래 진료에서 흔히 마주치는 증상이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지만, 간과되는 경우가 흔하다. 천식과 같은 호흡기 장애에서 유병률은 조사가 되었지만, 불안-우울장애에서는 연구가 적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에 방문한 불안-우울장애에서 역기능호흡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불안과 우울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135명의 불안-우울장애 환자(불안장애 54명, 우울장애 81명)와 124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기능호흡 평가는 Nijmegen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안-우울의 정도는 병원 우울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환자군에서 불안, 우울과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역기능호흡의점수에 대하여 불안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우울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을 공변량으로 하여 비교하였을때에도, 환자군의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결 론: 불안-우울장애환자들은 정상대조군보다 역기능호흡의 정도가 높다. 역기능호흡에 불안은 영향을 주지만, 우울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불안을 조정하였을 때도 역기능호흡의 정도는 불안-우울장애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높다.

      • KCI등재

        불안의 실존론적 구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

        권순홍(Kwon, Soon-H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의 제40절에서 불안이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함께 제시한다고 말한다. 불안이 주변 세계의 적소 전체성을 무너뜨림으로서 현존재를 개별화한다는 점에서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퇴락에서 벗어난 현존재에게 다시 불안이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은 불안의 개별화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불안의 실존론적 구성과 그 기능을 풀이하되, 불안이 본래성의 가능성에 더해서 비본래성의 가능성마저 현존재에게 제시하는 까닭을 아울러 밝히고자 한다. 그 까닭을 밝게 드러내기 위해서는 불안의 구조계기와 그 실존론적 기능을 살펴야 한다. 우선 불안은 그것 앞에서 그것 때문에 불안해한다. 요컨대 불안은 불안거리, 불안의 까닭 및 불안해함 등 세 가지 구조계기로 구성된다. 불안거리는 불안의 기분을 현존재에게 가능하게 하는 선천적 조건을 뜻한다. 바로 피투된 세계-내-존재의 현사실적 존재가 불안거리이다. 불안의 까닭은 홀로 개별화된 현존재의 본래적 존재가능의 가능성이다. 현존재에게 본래적 자기기투의 도약대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불안의 까닭이다. 불안해함은 현존재가 불안의 실존론적 유정성을 어떻게 실존적으로 경험하는가를 말한다. 현존재는 무시무시함이나 안절부절못함의 기분에서 불안의 유정성을 실존적으로 경험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불안이 무시무시한 기분으로써 현존재를 어서 본래적 자기기투의 도약대에 올라서도록 위협한다는 점이다. 불안의 위협에 순응할 때, 현존재는 본래성의 가능성으로 그 자신을 기투한다. 그러나 불안의 위협 앞에서 도피할 때, 현존재는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후퇴한다. 다름 아니라 현존재가 비본래성의 가능성에 봉착하는 것은 바로 무시무시함 앞에서, 곧 불안의 위협 앞에서 세인의 일상적 공공성으로 도피할 때이다. 불안이 본래성의 가능성에 더해서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마저 현존재에게 제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한편 불안은 현존재의 근본 유정성답게 가장 폭넓고 가장 근원적인 개시성으로 활약한다. 요컨대 불안의 근본 유정성에서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두 가능성이 함께 개시된다는 말이다. 실로 불안의 개시성이 가장 폭넓은 것은 현존재의 실존을 그 두 가능성에서 개시하기 때문이다. 불안의 개시성이 가장 근원적인 것은 현존재를 고유한 자기로 개별화함으로써 그의 실존을 본래성의 가능성에서 개시하되, 피투된 본래적 세계-내-존재-가능으로 개시하기 때문이다. 피투성, 기투 및 퇴락성 사이의 구조 통일성에서 현존재의 존재를 염려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불안의 가장 폭넓은 근원전 개시성에서이다. The anxiety present the two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o There-being. It is natural that it h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him by individualizing himself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context of Being-destined(Bewandtnis) within the familiar public world of the one(das Man). But it seems to be contrary to the individualization of anxiety that it presents even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o him. This treatise aims at analyzing the existen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 of the anxiety, and elucidating the reason why even the inauthentic possibility can be disclosed in the disposedness(Befindlichkeit) of anxiety as well. It is necessary that the three structural moments of anxiety and their respective existential functions must be analyzed in detail. The anxiety is anxious for something as well as about something. The phenomenon of anxiety is composed of the three moments of the anxiety-about, the anxiety-for and being-anxious. The anxiety-about means a priori condition making the anxiety possible in There-being. It is nothing but the thrownness into There(Da) or an open world. The anxiety-for means the possibility of the authentic ability-to-be(Seinkonnen) of individualized There-being. It functions as a springboard of the authentic project(Entwurf) of individualized There-being. Being-anxious indicates how There-being undergoes the existential disposedness of anxiety in the existentiell moods of uncanniness and homelessnes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uncanny mood of anxiety threatens There-being so that he can throw himself onto the authentic ability-to-be. When he adapts himself to the threat of anxiety, he can throw himself on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But when he flees from its threat, he must retreat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At last, when he flees from the threat of anxiety to the everday publicness of the one, he has to be faced with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he anxiety can present even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There-being because it plays an active part as the broadest disclosedness(Erschlossenheit) in his existence. The broadest disclosedness of anxiety means the existential power to disclose There-being’s existence in both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he most original disclosedness of anxiety indicates that it discloses There-being’s existence only in his authentic thrownness and project. It is in the broadest, most original disclesedness of anxiety that There-being’s existence can be determined as the concern(Sorge) in the structural unity of its three moments called thrownness, project and falling respectively.

      • KCI등재

        현존재의 실존과 불안의 두 얼굴: 잠복한 불안

        권순홍(Kwon, Soon-H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불안은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불안은 두 얼굴이어야 한다.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불안이 비본래성의 가능성마저 제공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불안이 근원적 불안이라면, 그를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흐르도록 유인하는 불안은 잠복한 불안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잠복한 불안의 실존론적 실상을 밝히는 한편 그 불안이 어떻게 현존재를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빠뜨리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잠복한 불안은 부단성, 은밀성 및 일상적 동행성의 특징을 보인다. 이 세 가지 특징에서 볼 때, 잠복한 불안은 현존재를 그가 언제 어디에서 일상적으로 무엇을 하든지 간에 쉬지 않고 부단히 따라다니면서 본래성의 가능성으로 가도록 압박한다. 그것도 그의 귀에 대고 속삭이듯이 은밀히 압박한다. 그 불안의 끊임없는 은근한 압박에 지친 나머지 현존재는 만사형통에 대한 기대 속에서 세인에 대한 환상을 스스로 그리면서 세인의 품으로 퇴락하고 싶은 유혹을 스스로 느낀다. 그 불안의 끈질긴 위협에 시달린 끝에 결국 현존재는 그 환상과 유혹을 빌미로 해서 세인의 공공성으로 귀순한다. 세인은 귀순한 현존재를 존재면책의 선물을 안기면서까지 환대한다. 세인은 현존재를 공공성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구태여 거친 남성적 권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세인은 부드러운 여성적 권력답게 공공적 세계의 문을 활짝 열어놓은 채 존재면책의 선물을 들고 제 발로 귀순하기를 기다릴 뿐이다. 현존재가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흘러가는 것은, 그가 잠복한 불안의 위협에 대한 실존적 반발로 세인에 대한 환상과 유혹을 그리면서 스스로 세인의 공공적 세계로 귀순하는 까닭이다. The anxiety has two faces in that it presents the two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o There-being. The anxiety, whi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o him, can be called the latent anxiety. But, insofar as the anxiety leads him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it can be called the original anxiety. This treatise aims at elucidating the reason why the latent anxiety must drive There-being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hrough the existential analysis of its ontologic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The latent anxiety has three characteristics, namely, the constancy, the implicitness and the everyday concomitance. Taking thes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it must threaten incessantly There-being into grasping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by whispering to him to approach it. But, on the contrary, he reacts against the constant, implicit threat of the latent anxiety. His existentiell reaction results in the illusion of the One and the temptation of the falling. At last, he defects to the public world of the One by not resolutely erasing the illusion and the temptation brought up in his existentiell reaction against the constant threat of the latent anxiety. The One warmly welcomes the defector to the public world, even giving the gift of the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of being to him. The power of the One is not masculine but feminal. The One is softly waiting for There-being, who is constantly anxious about the groundless fact of existence, to defect to the open publicness of the One, instead of forcing him to defect. It is because There-being voluntarily defects to the public world of the One by reacting against the constant threat of the latent anxiety that he must be driven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 KCI등재

        불안장애 집단에 있어서 불안민감성의 차이

        안준범,김지혜,강은호,유범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4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anxiety sensitivity among anxiety disorder group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lower-order factors of anxiety sensitivity and each anxiety disorder. Methods Three hundred and twenty four normal control subjects and 212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completed a psychometric assessment package including the Korean Anxiety Sensitivity Index-Revised (ASI-R) tes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 groups was perform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comparison of anxiety sensitivity among the anxiety-disorder groups (panic disorder-PD, general anxiety disorder-GAD, social phobia- SP,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was investigated using Kruskal-Wallis test. Results All anxiety disorder groups showed higher total scores of the ASI-R than did the normal control group (Z=-13.724, p<.001), and the mean total score of the ASI-R in the panic disorder group was the highest among the anxiety disorder groups. The mean score of each lower-order factor of the ASI-R in each anxiety disord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ar of cardiovascular symptoms (PD,GAD>SP,OCD), fear of respiratory symptoms (PD>GAD, SP,OCD), and fear of publicly observable anxiety reactions (SP>PD,OCD) among the anxiety disorder groups. ConclusionZZThese results suggest that anxiety sensitivity reflects vulnerability to anxiety disorders, and that lower-order factors of the ASI-R may help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nxiety disorders. 본 연구는 정상 집단과 불안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KASIR의 총점을 비교한 첫 번째 연구로, 불안민감성이 정상 집 단에 비해 불안장애 집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 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안민감성이 불안장애 집단 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 인함으로써, 불안민감성이 넓은 의미에서 다양한 불안장애 에 대한 취약성을 반영한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마지 막으로, 불안민감성의 하위 요인들과 각각의 불안장애 사이 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임상에서 KASI-R의 하위 요인 이 불안장애를 변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추후 연구에서는 임 상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장기적,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박인환 시의 불안, 죽음 의식과 이를 통한 시쓰기의 문제

        박지은(Park, Ji-Eu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이 연구는 박인환 시에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박인환 시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이 단순하게 비극적 시대 상황에 처한 지식인의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라, 그가 역사를 인식하는 데 보다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분’(Stimmung)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과정을 통해 박인환 시에서 주로 등장하는 모티프들(검은 신, 바람/폭풍, 종말 등)을 해석하고, 박인환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한 지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불안과 죽음 의식은 단순히 한국전쟁이라는 특정한 원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불안은 오히려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있음’(Geworfenheit)에 의한 존재론적 불안에 가깝다. 그는 이러한 존재론적 불안을 ‘바람’(폭풍)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에게 인식되는 무의미의 세계는 ‘검은 신’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존재론적인 불안의 문제는 죽음 의식과도 연관된다. 그는 언제나 자신을 삶과 죽음 사이에 위치한 존재로 위치시키는데, 이 때 그에게 죽음은 곧 닥쳐올 어떤 것이면서 동시에 그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계속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그에게 죽음을 인식하는 시간은 자신이 처한 현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순간’이 된다는 것이 그의 죽음 의식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결국 그가 불안과 죽음 의식을 통해 얻게 된 것은 양심으로서의 시쓰기이다. 화자는 불안 속에서 들려진 양심의 부름을 듣고, 그는 본래적인 자기(시인이 되기)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한다. 이렇게 봤을 때 불안과 죽음에 대한인식은 시인이 시쓰기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즉 박인환의 문학에서 ‘불안’은 단순하게 전쟁으로 인한 수동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의 시작(詩作) 전체를 추동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인환은 자신의 문학을 통해 특정한 시대를 뛰어 넘는 진정한 실존의 의미에 대해 질문했다. 또한 불안이라는 감정에 잠식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죽음 의식과 양심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discusses Park, In-hwan’s attitude toward death and anxiety as they appear in his poetry. I argue that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appears in Park’s poetry is not simply the passive emotional response of an intellectual facing a tragic era, but is instead an important mood(stimmung) that serves a more fundamental role in Park’s perception of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I interpret some of the main motifs of Park’s work (the black god, wind/storms, finality, and so on), hoping to provide a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Park’s poetry with greater depth. The source of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ermeates Park’s work is not limited simply to the Korean War. The anxiety of his poetry is instead closer to the ontological anxiety of “having-been-thrown” (geworfenheit) into the world. He expresses this ontological anxiety through the image of ‘wind’ (or storms), and he represents a perceived world of meaninglessness in the image of ‘the black god.’ The issue of ontological anxiety is also linked to his consciousness of death. Park consistently locates himself in the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so that to him death is both something fast approach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hing that repeatedly makes him aware of life. The discerning feature of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that the moment the poet perceives death is the moment that forces him to see his present objectively. Ultimately what Park achieves through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a poetry of conscience. From within his anxiety, the speaker hears the call of conscience, and then makes a continued effort to recover his essential self (to become a poet). In this way, anxiety and perception of death become the motivation for the poet to continue writing poe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 Park’s work, anxiety is not only the expression of a passive emotional response to war, but in fact functions a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sets his entire poetic process in motion. Park thereby approaches the question of the real meaning of existence, which extends beyond a specific era, in his literary work. In addition, he moves beyond the encroachments of anxiety as an emotion to reveal a unique attitude towards death and the problem of conscience.

      • KCI등재

        사회적 불안이 해석수준과 중심부(vs. 주변부) 속성 강조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진용 ( Ko¸ Jin Yong ),여준상 ( Yeo¸ Jun Sa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일반적으로 불안은 주관적 감정으로 다가오는 어떤 사건에 대한 부정적 결과가 예측될 때 느끼는 구체적인 정서반응을 의미한다. 그동안 불안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 이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정신병리학적 접근이 주를 이뤘고 ‘불안’이 사회 속에서 소비자의 행동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는 드물었다. 이 연구는 사회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불안에 대한 개념을 우선 탐색하여, 일상적인 불안이 해석수준과 제품 속성 강조에 따라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목표다. 실험1에서는 개인의 사회적 불안과 해석수준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실험2에서는 지각된 사회적 불안이 제품 속성(중심부 vs. 주변부) 강조에 따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해석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1 결과, 측정된 개인의 사회적 불안이 높을수록 해석수준이 낮아지는 부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실험2에서는 중심부 속성을 강조한 제품 만족도에는 지각된 사회적 불안이 해석수준을 매개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주변부 속성을 강조한 경우에는 불안이 제품만족도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현대사회가 만들어 낸 불안이 해석수준과 특정 소비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최근의 일부 소비 트렌드가 불안, 또는 불안이 만들어 낸 낮은 해석수준의 영향이라는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In general, anxiety refers to the specific emotional response by which a person feels when a negative outcome is predicted for an event to take place. However, researches on anxiety have mainly focused on psychopathological approaches to treat individual’s emotional disorders and there has been less interest in ‘anxiety’ as an indicator to predict consumers’ behavioral changes in the society.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individual’s social anxiety on construal level and consumer preferences with the concept of anxiety that an individual feels in the society. In study 1,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social anxiety and construal level was examined. In study 2,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anxiety on the satisfaction for product attributes(emphasis on central attribute vs. peripheral attribut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nstrual level were examined. The result of study 1 show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social anxiety and constual level since construal level becomes lower when individual’s social anxiety is higher. Study 2 unveil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peceived social anxiety on product satisfaction mediated by construal lev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roduct emphasizing on central attribute. In the case of emphasizing the peripheral attribute, anxiety shows only a direct effect on product satisfactio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nxiety in the modern society drives the low level construal which triggers the specific consumer behavior(e.g., preference for product emphasizing on peripheral attributes). So this research could provide the argument that some recent consumption trends might be caused by anxiety or lower construal level driven by precedented anxiety.

      • KCI등재후보

        불안에 관한 이해와 치유 및 성경적 극복 방안

        조형운(HyoungWoon Cho)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2 동서정신과학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으로 인해 여러 가지 장애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불안을 탐색하고, 불안 치유와 극복을위한 방법과 성경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불안의 치유과정과 성경적인 이해로 신앙적 성숙을 이루고자 한다. 특히 성경의 언약과 구원 역사에 관한 고찰을 통해 불안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신앙적 성숙을 적용시키기 위한 성경적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하여 불안에 대한 일반적, 철학적, 심리학적인 개념과 신학적 배경과 관점을 논술하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불안의 문제를 어떻게 치유하고 극복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 더해 불안의 치유와 극복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성경적 근거를 통해 신앙적인 성숙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불안에 관한 생물학적 접근 방법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활동에 내재해 있는 신경작용의 과정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철학적으로는 불안을 인간이 실존적 존재라는 사실을 통하여 이해하려고 한다.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불안은 인간이 자신을 유한한 존재로 인식하는 자기앎이고, 유한성처럼 존재론적인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하이데거는 인간에 관한 존재의 물음과 관련지어서 불안의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는 인간이 죽음을 향해 서 있는 자신의 존재를 불안을 통해서 인지하게 되기 때문에, 불안을 통하여 가장 자기다운 가능성을 찾아내게 된다고 하였다. 불안에 관한 심리학적 이해를 살펴보면, 프로이트는 불안은 자아에 의한 위험 신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았다. 호나이는 불안에 관한 문화적 이해와 함께 기본적 불안과 현실적 불안을 구분하였다. 프랭클은불안을 존재론적으로 보았다. 그는 사람들이 인간 본연의 유한성에 기인한 불안을 극복하고 새로운 존재가 되기 위한 시도를도모한다고 하였다. 메이는 불안은 인간 존재 자체에 뿌리를 두는 존재론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말로 불안의 존재론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얄롬은 실존적인 불안의 내용을 죽음과 자유 그리고 소외와 무의미로 설명하였다. 불안에 관한 신학적인 관점으로, 틸리히는 불안을 인간이 자기 자신에게 있을 수 있는 비존재를 인식하는 상태라고 하였다. 그는 불안은 살아있는 존재라면 누구나 느끼는 비존재의 위협일 뿐만 아니라, 유한성을 가진 인간으로서 존재의 유한함에 대한 자기 자각이라고 하였다. 니버는 불안을 자유의지에 영원히 수반하게 되는 창조성의 근원이자 죄로의 유혹이라고 하였다. 성경은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와 인간이 경험하는 것들에 대하여 실존적으로나 존재론적 혹은 구조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과의 관계로 설명한다. 대표적인 성경으로 하박국서는 인간이 최대로 겪게 되는 절망과 불안의 상황에서도 기쁨으로 노래할 수 있음을기록하고 있다. 또한,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부정적 정서, 특히 불안에 관해 궁극적으로 극복할 수 있음을 보이는다수의 기록이 있다. 사례에서 내담자는 어머니의 불안을 내재화 하였고, 아버지의 반복적인 사업 실패는 그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신앙적으로도 하나님이 실제로 도움을 줄 것 같지 않은 느낌을 갖게 되었다. 내담자의 치료를 위해 먼저 충분히 공감하고, 그 다음에 내담자의 강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치료의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성경의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시켰고,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성경은 인간 존재와 인간이 경험하는 것들에 대하여 실존적으로나 존재론적 혹은 구조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과 관계로 설명한다. 본 연구를 통해 성경에 근거하여 내담자들이단지 심리적으로 치료된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신앙적‧성경적으로 성숙을 이루는데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nxiety of people who suffer from various difficulties and mental disorders and to present biblical methods to heal and cope with anxiety. In so doing, it intends to help people’s spiritual growth and maturity. This study aims at renewing the understanding of anxiety from a biblical perspective by investigating the concepts of covenant and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presenting a biblical understanding of anxiety for treating people with anxiet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anxiety and investigates how to overcome anxiety illustrated through case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not to remain in a state of healing and overcoming anxiety, but to suggest ways for religious maturity through biblical grounds. From a b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ural processes inherent in human behavior and mental activities.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examines human beings as existential beings. The philosopher Kierkegaard regarded anxiety as a self-knowledge in which humans perceive themselves as finite beings which is ontological. Heidegger also analyzed the phenomenon of anxie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existence about human beings. He claimed that as human beings perceive their existence standing toward death through anxiety, they discover their potential through anxiety.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Freud viewed anxiety as a signal for danger by the ego, and Horney distinguished basic anxiety from realistic anxiety based on a cultural understanding of anxiety. Frankl viewed anxiety as ontological and argued that people try to overcome the anxiety caused by human finiteness and become new beings. May explained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xiety by explaining that anxiety has an ontological character that is rooted in human existence. Yalom has explained the contents of anxiety in terms of death, freedom, alienation, and meaninglessness.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illich understood anxiety as a state of recognition of human beings as a possibility of nonexistence. He said that anxiety is not only a threat of the possibility of nonexistence but also self-awareness of the finiteness as a human being. Niebuhr said that anxiety was the source of creativity and temptation to sin. In contrast, the Holy Scripture explains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ir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rather than as existential, ontological, or structural phenomena. Especially in Habakkuk, it is written that humans can still sing with joy even in extremen situatons of despair and aneixty. In addition, numerous biblical texts testify that humans can ultimately overcome various negative emotions, especially anxiety. In the vignette of this study, a client internalized his mother's anxiety and his father's repeated business failures added to anxiety of the client. The client felt that even God would not help him. For the treatment of the client, the therapist first fully empathized with him, and then confirmed the client’s strength. The client internalized biblical messages. He was able to live with a new perspective. The Bible explains human existence and experie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not seeing it as an existential, ontological, or structural phenomen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clients will not remain psychologically treated, but will be used as data to help them achieve religious and biblical maturity based on the B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