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재무불안에 대한 연구

        이해랑(Haerang Lee),나종연(Jong-Youn Rha) 한국FP학회 202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6 No.2

        기존 재무불안의 개념은 병리학적 특성과 재무 상황에 대한 개인 능력 및 의지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불안은 개인의 특성과 환경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기존 연구는 금융소비자가 경험하는 재무불안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재무불안을 개인의 능력과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임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금융소비자들의 재무불안 수준을 진단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재무불안의 개념을 확장한 척도를 개발한 후 소비자 조사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여 재무불안의 하위차원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재무불안은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재무상태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느끼는 개인적 차원 불안이며, 재무자산 불안, 부채 불안, 개인상황변화 불안, 거시환경변화 불안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다. 소비자들은 거시 환경변화 불안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으며, 부채에 대한 불안을 가장 적게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재무불안의 범위를 보편적인 금융소비자의 경험으로 확장시키고, 개인이 통제 불가능한 환경적 변화에 따른 불안 역시 재무불안의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금융소비자들의 재무불안과 관련한 문제 발생 시 개인의 능력은 물론 금융소비자가 처한 맥락이나 상황을 함께 살펴보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Financial anxiety has focused on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personal ability, and willingness for financial situations. Anxiety is a general phenomenon caused by a combin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and existing studies cannot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inancial anxiety experienced by financial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financial anxiety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considers individual abilities and environmental contexts and diagnoses the level of financial anxiety of consumers. After developing a scale that expanded the concept of financial anxie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a consumer survey to form a sub-dimension of financial anxiety. Hence, financial anxiety is a personal level of anxiety that financial consumers generally feel about their financial status, and it is composed of sub-dimensions of financial asset anxiety, debt anxiety, personal situation change anxiety, and macro-environmental change anxiety. Consumers felt the greatest anxiety about macro-environmental change and the least anxiety about debt.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financial anxiety to the experience of general financial consumers. The data show that anxiety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that individuals cannot control is also an essential part of finan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look at the context or situation of financial consumers and individual abilities when problems related to the financial anxiety of consumers occur.

      • KCI등재후보

        금융분야의 게이미피케이션 연구와 적용사례 고찰 연구

        이해랑 ( Lee Haerang ),나종연 ( Rha Jongyeon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9 금융소비자연구 Vol.9 No.2

        최근 금융업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과 IT기술을 소비자들의 금융 상품 소비 촉진, 고객관리, 위험률관리 등에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소비자학 분야의 연구에서 금융업에 적용된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분야의 게이미피케이션과 관련한 해외 연구와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금융 분야의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연구와 적용 사례를 살펴 본 결과 게이미피케이션은 소비자들의 금융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지나 사용 의도, 금융상품 및 서비스 이해도, 브랜드 충성도, 실질적인 영업성과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이미피케이션을 금융소비자 교육에 적용한다면, 금융 지식과 금융 정보에 대한 금융 소비자들의 흥미도와 관심 증대, 금융 이해력 증가, 긍정적인 재무적 행동 변화 등을 예측해볼 수 있다. 이에 향후 금융소비자들의 금융 역량 증가와 실질적인 재무생활의 변화를 위하여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금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In the financial industry, we are actively applying the gamification and IT to stimulate consumer consumption of financial products, customer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study on the gamification that is applied to the financial industry in the field of domestic consumer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overseas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related to the gamification in the financial field. As a result of studying and studying the application gamification in the financial field, it is found that the gamif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understanding of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brand loyalty, Respectively. Applying gamification to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can predict financial consumers' interest and interest in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information, financial comprehension, and positive financial behavior chang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financial capacity of financial consumers and to change the financial life of financial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gram evaluat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gay communic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 적응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진(Sujin Lee),이해랑(Haerang Lee),최현자(Hyuncha Choe),김난도(Rando Kim),나종연(Jong-youn Rha)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2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은퇴연령은 낮아지면서, 은퇴 후 생활이 길어졌다. 이에 은퇴 후 달라진 생활에 적응하는 것에 대해 관심도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가진 자원에 따라 은퇴 적응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자원중심동적관점에서 우리나라 은퇴자들의 은퇴적응수준에 따른 유형과 유형별 영향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노동패널 4차(2001년) 조사’의 은퇴자 576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은퇴자들의 은퇴적응 유형은 은퇴적응형, 관계적응형, 은퇴부적응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은퇴적 응형은 건강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보통 이상의 적응 수준을, 관계적응형은 가족관계와 친구관계에서만 보통 이상의 적응 수준을, 은퇴부적응형은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하의 적응 수준을 보이고 있다. 각 유형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은퇴 후 경과기간, 자원의 수준에서도 명확한 차이가 있다. 은퇴적응형의 경우 70대 비중이, 자가 주택 소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은퇴 경과기간은 약 5년 6개월로 다른 유형에 비해 은퇴 후 기간이 짧다. 또한 모든 영역(신체적, 경제적, 동기부여적, 정서적, 사회적)에서 소유한 자원이 가장 높다. 관계적응형의 경우, 은퇴 후 경과기간이 약 6년이며, 정년퇴직이나 조기퇴직을 한 비율이 높았고, 저축금으로 생활비를 조달하는 비율이 높았다. 은퇴부적응형 경우, 40, 50, 80대의 비율이 높았으며, 본인의 근로소득이나 이전소득으로 생활비를 조달하고 있었으며, 은퇴 후 경과 기간이 약 7년 10개월로 가장 길다. 이 유형은 개인이 지닌 자원이 모든 영역에서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둘째, 은퇴적응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각 유형별로 상이했다. 은퇴적응형과 관계적응형을 구분하는 요인은 정서적 자원과 혼인상태 변화 유무, 근로, 비활동이다. 정서적 자원이 낮을수록, 은퇴 후 혼인 상태가 변화가 없었을 경우, 근로활동을 하며 다양한 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은퇴적응형보다 관계적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관계적응형과 은퇴부적응형을 구분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경제적, 동기부여적 자원, 연령, 성별, 비활동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자원, 연령이 적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일수록, 평소 다양한 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관계적응형보다 은퇴부적응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은퇴부적응형과 은퇴적응형을 차별화하는 변수는 동기부여 자원을 제외한 모든 자원들, 연령, 성별, 건강 상 이유로 퇴직, 비활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은퇴적응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의 은퇴자들의 은퇴적응수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은퇴적응 수준 유형별 특성 및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은퇴 후 생활에 대해 보다 정교한 설계를 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As life expectancy increased and retirement age decreased, life after retirement became longer. After retirement, interest in adapting to a different life has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we examined retirement adaptation and types of Korean retirees through the resourcebased dynamic perspective that the level of retirement adapt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resour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576 retirees of the "Korea Labor Panel 4th (2001)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retirement adaptation level (economic, health, occupational role, relationship aspect) of Korean retirees was 2.76 points (average of 5 points). Second, retirement adaptation patterns of retiree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well-adapted type”, “relational-adapted type”, and “mal-adapted type”. The “well-adapted type” showed a higher level of adaptation than usual in all areas except for health and community roles. “relational-adapted type” showed moderate or higher level of adaptation only in family relations and friendship. “mal-adapted type” showed lower level of adaptation respectively. Each type has a clear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uration of retirement, and level of resources. Third,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adaptation type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This study comprehends the concept of retirement adaptation and confirms retirement adaptation level of Korean retirees based on the theo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tirement adaptation typ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were identified, and it was helpful to make a more sophisticated design for life after retirement.

      • KCI등재

        병원 간호사의 팀 공유정신,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지은 ( Lee Jieun ),공정현 ( Kong Jeonghyeon ),이해랑 ( Lee Haerang ) 대한통합의학회 2020 대한통합의학회지 Vol.8 No.3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eam sharing spirit, team effectiveness, team cohesion, team reli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0 nurses from four general hospitals of less than 500 beds located in J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Factors influencing nurse turnover intentions included satisfaction with nursing position (β=.274), team reliability (β =-.250),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β=-.178), and career (β=.149) in order, and these influence factors accounted for 32.1 % of nurses' turnover intention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by devis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positions, team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by making good use of the resources of the medical institution. It is suggested to conduct repeated studies of nurses working in various clinical sites and further studies applying various outcome variables in the future.

      • 지적장애인과 아동을 상대로 한 성범죄 대응 디자인

        장기도(Kido Chang),박윤이(Yoonyee Pahk),김준태(Kim Jun-Tae),이해랑(Haerang Lee),도승헌(Seunghun Doh),백준상(Joonsang Baek)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Crime against the intellectually disabled(ID) and children is becoming more prominent social issue, however, it is hard to find product or service that mee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 of these vulnerable victims. This study contains design direction derived from empi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D and children. Over 70 actual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a sequential model of victim’s experience. A series of interview of experts in corresponding area was conducted based on the sequential model to find out physical and emotional experience of the victim in specific stages of crime which was followed by stereotyping of crime through generating person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design direction that satisfy the peculiarity of ID and children. Utilizing the design direction form this study will aid in design practical solution for the benefici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