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북원(金北原)의 문학사적 복원과 해방기 활동 연구

        김진희 ( Kim Jin-h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8

        남북한 문학사에서 김북원에 대한 소개 및 평가는 해방 전 문학성과를 봉인한 채, 한국 전쟁기 이후의 성과에 집중되어 왔다. 이는 해당 작가의 자료를 남한과 북한이 비교 논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북원의 해방 전 문단 활동이 비교적 일찍부터 시작되었음을 필명을 찾아 밝히고 창작의 영역이나 경향 역시 다양했음을 자료 발굴 및 제시를 통해 논의함으로써 김북원에 관한 전체적 연구의 토대 마련을 시도했다. 그간 남한의 아동문학사에서 『별나라』에 실린 아동소설 및 동시의 작가로 알려진 필명 ‘북원초인’이 김북원임을 북한의 아동문학사와 비교하고, 1930년대 김북원의 농업학교 재직 경험 등을 통해 밝혔다. 그리고 소설로 알려진 「완구」가 꽁트임을 밝혔고, 『삼천리』에 추천된 「유랑민」이라는 소설을 통해 김북원이 당대 노동자로 전락하는 농민의 삶을 핍진하게 그림으로써 이후 북한문단에서 농촌작가라는 평가의 단초를 읽을 수 있었다. 『신인문학』이나 『시인춘추』 등에 발표한 김북원의 시를 최초로 소개했고 1930년대 후반 『맥』과 1940년대 『시현실동인』으로서 초현실주의와 포르말리즘의 작품 창작 및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1930년대 초반 초현실주의 및 모더니즘을 이론적, 지역적으로 확장하여 만주모더니즘을 선도한 작가임을 밝혔다. 1943년까지 초현실주의 시의 창작방법론을 시도했던 김북원은 해방기에는 북한 문단의 정책과 변화하는 현실의 요구에 맞는 작품들을 창작했다. 김일성에 대한 찬양을 기본 골자로 하면서, 농촌의 토지개혁, 빨치산 전투에 참여한 영웅적 주인공, 노동 현장의 변화, 소련과의 친선 등 북한의 중요한 이슈들을 시화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 이후 김북원의 문학 활동의 연속성을 확보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사에서 김북원에 관한 전체적인 평가의 토대가 구축될 수 있었다. In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the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Kim Buk-won has focused on the achievements after the Korean War, seal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before liberation. This is because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id not discuss comparative resources of the author. In this study, research on Kim Buk-won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by unveiling that Kim Buk-won’s preliberation literary activities had started relatively early by finding his pen name, and by discussing that his creative territory or tendency were also diverse through data supplement. This study uncovers that the author of children’s stories and poetry published in The Land of Stars (별나라 Byeolnara) 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South Korea, under the pen name “Buk-won-cho-in” was in fact Kim Buk-won by comparing Kim’s identity with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 and through Kim’s experience working in agricultural school in the 1930s. Moreover, I uncover that the work, Toy (Wan-gu) that was known as a novel, was in fact a conte (short story), and was able to read the start of the assessment of Kim Buk-won as an agricultural writer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fter depicting the lives of farmers turning into laborers in the novel Nomads (Yurangmin), which was nominated in The Land of Korea (삼천리 Samcheolli).Kim Buk-won’s poetry, which was published in New Face of Literature (신인문학 Sininmunhak) or Spring and Fall of Poets (시인춘추 Siin chunchu), was first introduced and discussed in this study. By reviewing the creation and theories of Maek in the late 1930s and ‘Poetry Reality Coterie’ in the 1940s, it became possible to evaluate that Kim was a writer led Manchurian Modernism, by theoretically and geographically expanding surrealism and modernism in the 1930s. Kim Buk-won, who tried to create surrealistic poetry creative methodology by 1943, created works that fit the policies of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nd the demands of changing reality. With the praise of Kim Il Sung as the basic framework, he has poeticized North Korea’s major issues such as land reform in rural areas, the heroic protagonist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partizan, changes in the workplace, and goodwill with the Soviet Un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I believe that securing of the continuity of Kim’s literary activities after the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complet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North and South Korea became possible.

      • 원대 말기~북원(北元)의 중신(重臣) 카라장(哈剌章) 소고(小考)

        권용철 ( Kwon¸ Yong-cheol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사총 Vol.104 No.-

        본고에서는 원대 후기부터 북원 시기까지의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카라장이라는 인물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원사』 등을 포함한 기록을 보면, 원대 후기에는 카라장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러 명의 인물들이 보이는데 정치적 행적의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는 2명의 카라장을 조금 더 상세하게 검토할 수 있었다. 한 사람은 원대 후기의 중서우승상 톡토의 아들로, 어렸을 때부터 궁정의 핵심부에서 생활하다가 톡토의 폄출로 인해 좌천되었고, 이후 톡토에게 죄가 없음을 혜종이 인정하면서 조정으로 소환되었다. 그 후 중서성의 평장정사로 임명되어 大同에서 分省의 업무를 담당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나 이후의 행적은 확인하기 어렵다. 또 다른 카라장은 지추밀원사에 임명된 케식장 카라장으로, 이 인물이 북원 시기에 명과의 대립에서 주체적으로 활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톡토의 아들이 아닌 또 다른 카라장이 존재했으며 이 인물이 북원의 중추 세력이 되었다는 것을 재검토해야 한다. 지추밀원사 카라장은 혜종을 호위하여 대도를 탈출하였고, 북원의 중추 신료가 되면서 그 지위가 상승하였다. 1370년대 초부터는 요동 및 몽골 일대를 근거지로 세력을 형성하여 명과의 전투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홍무제 주원장도 카라장이 북원의 핵심 신료이자 장수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1378년까지의 북원 정국은 아유시리다라 카안을 중심으로 명과 팽팽한 대립을 이어가는 상황이었고, 카라장은 북원의 힘이 유지되는 데에 있어서 한 축을 담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378년에 아유시리다라가 사망한 이후부터 북원 내부의 단합이 점점 와해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1380년대에 접어들면 명이 더욱 공격적으로 북원을 몰아붙이기 시작했다. 결국 북원의 핵심 군벌 중 한 사람이었던 나가추가 1387년에 명에 투항하는 등 북원은 점점 수세에 처하게 되었고, 카라장도 명의 군대에게 쫓겨 카라코룸까지 도망치는 신세가 되었다. 1388년에 명의 장군 남옥에게 본거지를 습격당하면서 카라장의 세력은 거의 상실되었고, 카라장의 아들 및 조카 등이 명에 투항하게 된다. 1388년의 전투 이후 카라장의 행적은 확인할 수가 없다. 카라장은 1388년 북원의 멸망과 함께 역사 속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has examined the career of Qarajang(哈剌章), who appears in historical records from the Late Yuan to the Northern Yuan period. In the historical records such as Yuan History, several figures named Qarajang in the late Yuan Dynasty appeared. Two Qarajangs, which are notable in terms of political activities, could be examined in more detail. One was the son of Toγto(脫脫). He lived in the core of the court since he was a child but was exiled due to Toγto’s denunciation. Later, Huizong(惠宗) admitted that Toγto was innocent and summoned to the imperial court. Another Qarajang is captain of Kesik Qarajang, who was appointed to zhishumiyuanshi(知樞密院事).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Qarajang was active in confrontation with Ming during the Northern Yuan period. Qarajang escaped from Daidu(大都) by escorting Huizong, and his status rose as he became the powerful bureaucrat of the Northern Yuan. From the early 1370s, he formed power base in Liaodong(遼東) and Mongolia and emerged from the battle against Ming. Hongwu(洪武) Emperor also recognized that Qarajang was a key member of the Northern Yuan. Until 1378, political situation of Northern Yuan continued a tense confrontation with Ming dynasty, and Qarajang was one of the pillars of maintaining the power of the Northern Yuan. However, since Ayushiridara’s death in 1378, unity within the Northern Yuan appears to have been increasingly disrupted. By the 1380s, Ming began to push the Northern Yuan more aggressively. Eventually, Naγaču who was one of the key warlords of Northern Yuan surrendered to Ming in 1387, and Qarajang run away to Qaraqorum. In 1388 after being attacked by Ming army, Qarajang’s power was almost lost. Qarajang’s sons and nephew surrendered to the Ming Dynasty. Qarajang’s whereabouts after the battle of 1388 are unknown. Qarajang disappeared from history with the collapse of the Northern Yuan in 1388.

      • KCI등재

        統一新羅時代 北原小京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이재환(Lee, Jaewha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통일신라시대에 설치된 5소경 중 원주지역에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북원소경은 관련 사료나 고고학적 자료가 부족하여 연구 성과가 미진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근거 없이 원주지역에 북원소경이 설치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북원소경이 원주지역에 설치된 배경과 과정, 중심지 등을 고찰해 보았다. 신라 통일기 이전인 삼국시대까지 원주지역의 중심지는 법천리유적으로 대표되는 백제계 세력권인 남한강유역의 부론지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법천리유적 등에서 출토된 유물의 성격으로 보아 백제계의 강력한 토착세력의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지방통치체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토착세력의 존재를 약화시키거나 견제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중원소경에 인접하지만 또 하나의 소경을 설치가 필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통상의 입지라는 측면에서 북원소경이 자리 잡은 지역을 강원감영지 등이 위치하고 있는 치악산의 서쪽, 원주천유역인 현재의 원주시내지역으로 비정하게 한다. 이러한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고고학 자료들인 통일신라시대의 유물과 유적이 원주천유역인 현재 원주시내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현재의 원주시내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을 종합해 보면 이 지역은 신라 통일기를 즈음하여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 문화가 확실히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결국, 신라는 통일기에 이르러 남한강유역에 있던 기존 토착세력을 견제하고 새로운 교통상의 요지에 북원소경을 설치함으로써 지방통치체제의 정비를 추진했을 것이다. 따라서 북원소경의 설치를 계기로 원주권 문화의 중심지가 원주천유역인 현재 원주시내지역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 북원소경의 설치와 더불어 원주시내지역은 원주권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원주지역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강원감영지 등이 위치하고 있는 현재의 원주시내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Bukwonsogyeong was among five small capital citi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is known to be established in the region of Wonju, Gangwon.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well due to lack of historical records or archaeological finds. An existing theory that Bukwonsogyeong was established in Wonju area is based on without sufficient evidences.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background, the process, and the site showing how and where bukwonsogyeong was established in the area of Wonju by consideration of recently revealed archaeological evidences. Before the unification of Silla, an area of Buron in Namhan River basin is considered as a cultural and political center of the area where had been governed by people of Bakje origin by examination of the Bubcheonli site excavated in this area. Characteristics of the Bubcheonli site indicate existence of powerful people of Bakje origin. After unification Silla was necessary to weaken or restrain the indigenous forces to settle down local government systems. Thus another small local capital might have to be established in this area although it is located closely to Jungwonsogyeong. From consideration of a transportation aspect, in addition, location of Bukwonsogyeong can be inferred current urban area of Wonju in Wonjuchen basin, where is current site of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Gamyoung) located on west side of Chiac Mountain. This inference was reached on the basis of archaeological materials, site of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excavated in current urban Wonju area. After considering all the archaeological aspects obtained from current urban Wonju area, it is apparent that the area have begun to grow since the period of unification of Silla and the culture of Unified Silla Period exists unambiguously in the remains. Silla consequently restrained the indigenous forces during the period of unification and tried to organize local government systems by installing Bukwonsogyeong at the emerging major transportation point. The establishment of Bukwonsogyeong, therefore, resulted in transfer of cultural hub of Wonju region to current urban Wonju in Wonjuchen basin. Urban Wonju area became a centre of culture of Wonju reg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ukwonsogyeo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region of Wonju, thereafter, has continuously developed and expanded around current Wonju area through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 KCI등재

        하나의 壽會, 두 개의 기록 - 1913년 발행 「北園壽會帖」 僞作 변증 -

        정용건 한국서지학회 2024 서지학연구 Vol.0 No.97

        「北園壽會帖」은 1569년 朴台壽의 회갑을 맞아 서울 壯洞 北園에서 열린 壽會를 기념해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 시첩으로, 1913년 辛亥唫社에 의해 石印本으로 간행됨으로써 대중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16세기 후반 성대하게 거행되었던 수회의 한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는 자료인 동시에, 李滉․曺植․鄭惟吉․奇大升․李珥 등 당대 명사의 이름이 대거 등장하는 시첩이라는 점에서 근래 각별한 주의를 끌었다. 다만 본고의 검토 결과, 이 「북원수회첩」은 18세기에 제작된 「북원수회첩」이라는 동명의 자료, 그리고 조선 후기의 여러 작품을 표절 및 전재하여 만들어진 ‘위작’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기본적으로 자료에 수록된 축수시가 대부분 18세기 「북원수회첩」 소재 작품의 표절작일 뿐 아니라, 수회의 실제 결성 자체에도 의심스러운 지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근대 시기에 생산된 자료를 다룸에 있어 보다 세심하고 신중한 태도를 견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Bukwon-suhoecheop(北園壽會帖) is a poetry album that is said to have been created to commemorate the meeting held at Jang-dong(壯洞) Bukwon(北園) in Seoul in celebration of Park Tae-su(朴台壽)’s 60th birthday in 1569, and it became known to the public in earnest when it was published in stone engraving by Sinhae-eumsa(辛亥唫社) in 1913. This is a material that vividly shows an aspect of a banquet held on a grand scale in the late 16th century. It has recently received special attention as it is a poetry album in which the names of many famous figures of the time, such as Lee Hwang(李滉), Jo sik(曺植), Jung Yu-gil(鄭惟吉), Ki Dae-seung(奇大升) and Lee Yi(李珥) are appear. However,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is thesis, it was revealed that Bukwon-suhoecheop is a ‘forgery’ created by plagiarizing and reprinting the material of the same name, Bukwon-suhoecheop,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and various wor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Basically, not only are most of the congratulatory poems included in the material plagiarisms from works based on the 18th century’s Bukwon-suhoecheop, but there are also quite a few doubtful points about the actual formation of the banquet itself. This fac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more careful attitude when dealing with materials produced in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특집논문 : 연행의 길, 인문의 길 ; 『북원록(北轅錄)』의 1760년 북경(北京)기록 -자제군관(子弟軍官)과 동아시아 지식인 만남의 재구성

        김영죽 ( Young Jook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그간 연행록의 발굴 및 집성, 연구가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연구범위를 ‘동아시아’ 전체로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이 부분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활용된 자료는 물론 국내의 수많은 연행 자료들이다. 1760년 연행 기록을 담은 『북원록』은 여러 면에서 가치가 있다. 연행하고 기록한 이의 신분이 자제군관 이의봉이었으며, 三使가 모두 아들과 동행한 특이점이 있는 것이다. 六使之行이라는 주변의 비아냥도 감내했을 만큼, 三使와 더불어 자제군관 세 명의 연행에 대한 열망은 그만큼 컸다. 이들 세 명과 정사의 반당이었던 이봉환 등은 크고 작은 에피소드를 만들어가며 북경으로 향했고, 이 정황은 『북원록』에 고스란히 담긴다.이들의 활약상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이 바로 동아시아 지식인들과의 만남이다. 특히, 베트남 사신들, 유구 관생 및 이들의 선생이었던 청조 학인과의 밀도 있는 대화는 주목할 만하다. 본고에서 필자가 주력한 것은 이들 만남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는 일이었다. 이에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 양방향에서의 자료 분석이라 파악하고 『북원록』을 중심으로 有關자료를 확충하여 이들의 만남에 객관성을 더하고자했다. 연행 자료에 드러난 모든 교유관계가 유의미할 수는 없다. ‘만났다’는 그 자체에 과도한 가치를 부여하는 경우도 상당하지만, 중요한 만남임에도 불구하고 간과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교유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은 다양하다. 오갔던 필담 내용이 학술적가치, 기민한 정치적 사안을 내포하거나, 필담의 주체가 자국에서 높은 위상을 지닌 인물들이었다면 아마도 교유의 가치가 상승될 것이다. 만남의 정황 속에서 이 같은 맥을 짚어내려면 국내 연행록 텍스트의 단순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연구범위의 확장 이전에, 과연 자료를 면밀히 살피는 기본적 과정이 있었는가 하는 고민도 해본다. 본고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한 것이다. The Records of Joseon Envoy to China, 『北轅錄』 is a very valuable document in many ways. Perform the diplomatic missions and noted scholar who was famous in the late Joseon Yiuibong(李義鳳). Moreover, all this accompanied by a son, three diplomats went to China. Because of these circumstances, the people said six diplomats pointed to them. But this was never positive sense. As such, their journey has created a lot of episodes. 『北轅錄』 is embedded intact have their acts. Also, later in the renowned interpreter Hongmyeongbok(洪命福), this young man was killed for political reasons in Hongchanhae(洪纘海), identity limitations were Yibonghwan(李鳳煥) can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reproduces. The three sons of diplomats together while attending the Beijing seized the opportunity to meeting and intellectuals in East Asia. In particular, meetings with the Vietnamese intellectuals left a deep impression. A young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Beijing at Ryukyu was also met by chance. The first meeting took place, but expressed a deep curiosity about each other`s cultures and academic institutions. This is all circumstantial, as well as 『北轅錄』, 『琉球入學聞見錄』 that is mentioned in the materials. The Records of Joseon Envoy to China should not be any more progress is only one single analysis. Because the value of the document is being extended to more and East Asia. If you guess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only one of the text of the study in the meantime, it will now be studied in a more three-dimensional way. Therefore this paper, we used a way to closely analyze the relevant data, noting these points. This analysis method is a part that is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논문(論文) : 당송시대(唐宋時代) 공차(貢茶)와 관영다원(官營茶園)(북원차) (北苑茶)

        서은미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6 No.-

        貢茶最早起源于西周建國時期, 但這只是貢茶的萌芽. 貢茶制度的確立經歷了痕多時期. 原因是在痕脹一段時期內, 茶葉的需求和茶文化主要局限于茶葉原産地. 而茶葉産地主要集中在淮河以南地區, 而實現統一的王朝多建都在中原地區. 因而茶文化在中原地區的普及其及期間了經歷了痕脹時間. 進而直到建都在中原地區的皇室對于茶需求出現僞止, 茶葉幷不是備受關注的貢品. 西周初期的貢茶一直延續到之后在茶樹可生張地建都的南朝東晋和宋代, 但是在西周初期仍然沒有形成一種慣例,皇室貢茶制度變成一個常例是隨着設立御茶園而最先確立起來. 直到公元8世紀, 茶才成中僞中國人的日常飮品, 茶文化也紮根在中原地區的皇室. 唐朝時期, 開始實行貢茶制度, 16州每年要向皇室上貢規定數量的茶, 同時在固渚山設立御茶圓專僞皇室貢茶,以彰顯皇室茶的品質. 貢茶制度正式確立是在茶葉社會經濟價价開始已經不斷增加的時期. 茶在全國範圍內流通、銷讐, 茶葉生産面積不斷不斷擴大, 茶葉生産更加專業化. 茶葉制度發展成僞一種土貢, 然而之后皇室實行的茶葉制度和茶葉專賣制度, 成僞唐朝財政收入的新來源. 隨着茶的社會經濟價値, 軍事价値不斷增加, 作僞土貢制度之一的茶葉制度, 予財政軍事作用較强的茶專賣制度兩者間出現了難以共存的局面. 宋朝時期, 茶生産已經達到可以充分滿足國內外需求以上的程度, 茶專賣制度也保證了當時政府的財政收入和中央集權利. 强悍的北方民族興起迫使宋朝加大在軍費上的支出, 因此, 宋朝在財政收入來源和財政運用方面的需求也不斷增加. 茶專賣制度實現其財政和軍事作用, 但阻碍了茶在生産、流通、銷鬚. 因此, 宋朝廢除了歷來實行的貢茶制度, 緊由北苑茶院供奉皇室茶, 通過提升茶的質量, 維護了皇室茶的尊貴地位. 咸平二年(999年) 宋朝在30多個州的茶産地廢除貢茶制度, 在建安北苑設立御茶圓, 僅由御茶圓供奉皇室茶. 之后福建建安北苑茶院不斷地提高茶的質量, 保證皇室茶的精良及尊貴. 建劍是福建茶的主要産地, 建劍茶分僞龍、鳳、石乳、的乳、白乳、頭金、駟面、頭骨、次骨、末骨、粗骨、山挺等12個等級, 石乳以下等級的茶, 由民間生産、銷繡. 龍茶和鳳茶是皇室茶, 皇室茶的發展是在太平天國(976年-983年)初期, 唐太宗設立龍風模, 生産龍風團茶, 以區別于民間茶. 之后, 生産出小龍團茶, 瑞云翔龍等40多種皇室茶, 龍團膝雪茶達到了團茶制作工藝的頂峰. 咸平二年(999年)宋朝在50多個州廢除了土貢制度, 隨后在30多個州廢除了貢茶制度,但之后雖再次恢復了土貢制度, 但沒有恢復茶制度. 宋朝實行單一的北苑茶制度, 在提高皇室茶權威方面最具成效. 紹興25年(1155年)廢除了諸州土貢制度, 唯獨實行行北苑茶上貢制, 由此可見北苑茶代表了皇室的茶需求和茶文化的發達. 宋朝貢茶制度實行北苑茶院貢茶, 廢除其他地區的茶貢制度. 單一的北苑茶院貢茶制度在節省費用, 提高質量, 確保皇室茶權威和地位的方面發揮着重要作用. 然而廢除其他地區茶制度幷不是僞了節省開銷, 只是應對當時經濟和國際環境要求, 有效改變貢茶方式而已

      • KCI등재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이익주(Lee, Ikjoo)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이 논문은 고려가 반원운동에 성공한 1356년(공민왕 5)부터 북원이 멸망한 1388년(우왕 14)까지 고려와 원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 시기의 고려-원 관계는 1219년부터 시작된 고려-몽골 관계의 대미에 해당하나 지금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근래 들어 고려의 반원운동 이후 고려-원 관계와 원-명 교체 이후 고려-북원 관계가 연구되고 있지만, 두 시기의 고려-원 관계를 종합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는 고려의 반원운동으로 ‘세조구제’가 폐기된 이후 그것을 대신할 원칙을 수립하지 못했고, 새로이 명이 등장함으로써 다원적인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단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으므로 다음과 같은 몇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단계는 1356년 고려의 반원운동이 성공한 뒤로부터 홍건적의 침입을 받는 1359년(공민왕 8)까지의 시기이다. 이때는 고려가 원과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주도하면서 형식적인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홍건적의 침략으로 고려가 대원관계의 개선을 위해 원에 접근하고, 그에 따라 원의 입장이 다시 강화된 시기이다. 이에 대응하여 원은 고려와의 관계를 반원운동 이전으로 되돌리고자 했는데, 그러한 정책은 공민왕을 폐위하는 것으로 절정에 이르렀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후로는 고려의 주도권이 다시 회복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1369년(공민왕 18) 이후의 시기이다. 중국에서 원-명 교체의 조짐이 보이자 고려는 원과 관계를 단절하고 명과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정세 변화에 대응하였다. 그 뒤로도 북원이 건재하면서 명과 대립하였지만, 고려는 시종 친명·반원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네 번째 시기는 1374년(공민왕 23) 우왕이 즉위한 뒤로부터 북원이 멸망하는 1388년(우왕 14)까지의 시기이다. 공민왕 시해와 명 사신 살해사건을 계기로 고려와 명의 관계가 일시 중단되고, 그 사이에 고려는 북원과의 책봉 -조공 관계를 일시 회복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친명반원 정책을 포기하지 않았다. 고려가 원-명 교체를 일찍부터 인정하고 친명 정책을 채택함에 따라서 북원과의 관계는 급속히 소원해지고, 북원의 존재가 고려-명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하지 못했다. 당시 고려가 친명 정책을 견지한 것은 공민왕의 반원운동 이후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원의 공민왕 폐위 등 무리한 정책에 대한 고려의 반원 감정과 더불어 당시 원-명 간의 대립에서 명이 우세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명과 북원이 대립하고 있었으므로 고려의 외교정책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Goryeo’s relationship of with the Mongol Empire from its successful anti-Yuan movement in 1356 until the fall of the Yuan Dynasty in 1388.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period,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levant studies. Some current research on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after the anti-Yuan movement and the Goryeo-Northern Yuan relationship after the Yuan-Ming transition a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entir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had no replacement for Sejoguje (世祖舊制) after its abolishment by the anti-Yuan movement. As a consequence, relations became unstable with the emergence of Ming China. The resulting significant short-term changes in the relationship a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First, soon after the anti-Yuan movement succeeded, Goryeo was in the leading position over Yuan while establishing a perfunctory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However, during the Red Turban Invasion in 1359, Goryeo approached Yuan seeking a stronger relationship. Acquiring a reinforced position accordingly, Yuan demand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to the pre-anti-Yuan movement level, but this did not continue beyond the dethronement of King Gongmin, and finally failed.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stage is the Yuan-Ming transition in 1369. Recovering its superiority again, Goryeo severed diplomatic ties with Yuan and created a new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Ming China, which it kept coherent despite Northern Yuan’s presence and antagonism against Ming China. The last stage is from the enthronement of King Wu in 1374 to the fall of Northern Yuan in 1388. During this period, the Goryeo-Ming relationship was severed for a time due to the assassination of King Gongmin and the murder of a Ming envoy. There once was a two-sided diplomacy as Goryeo temporarily restored the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but Goryeo maintained pro-Ming and anti-Yuan principle. Goryeo experienced a sinking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since its quick acceptance of the Yuan-Ming transition and the inclination toward Ming China. Although Goryeo could have profited through a two-sided diplomacy between Northern Yuan and Ming China, its unbalanced foreign policy of pro-Ming and anti-Yuan prevented this from working. In that sense, Goryeo’s foreign policies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an be evaluated as not having ful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situation.

      • KCI등재

        특집 1: 한국문학의 언어횡단적 실천과 동아시아 : 1760년 이휘중(李徽中),이의봉(李義鳳)부자가 만난 서구 -『북원록(北轅錄)』을 중심으로 -

        전수경 ( Su Kyung J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5 No.-

        본고에서는 『북원록(北轅錄)』을 주 텍스트로 하여 이휘중(李徽中)·의봉(義鳳)부자의 북경 천주당 방문과 서양 선교사와의 만남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형성된 서학, 특히 천문·세계 지리에 대한 그들의 지식·정보의 수준을 밝히고자 한다. 18세기 연행록을 살펴보면 천주당은 반드시 방문해야할 명소 중 한 곳이자, 서구 문명을 접촉할 수 있는 주된창구였다. 조선의 연행사들은 북경을 방문하여 북경의 웅장함과 신문물이 공존하고 있는 세계를 목도하게 되는데, 조선과 서양을 이어주는 유일한 통로는 북경의 천주당이었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천주당을 방문한 이의봉이 받았을 엄청난 문화적 충격은 『북원록』의 천주당 방문 기사를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휘중·의봉 부자의 천주당 방문은 단순한 지적 호기심의 차원이 아닌 서학에 대한 관심과 국내에서 얻은 서학 지식을 확인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측해 볼 수 있다. 6차례 천주당을 방문한 정황과 서양 선교사 유송령(劉松齡, August von Hallerstein)과의 수준 높은 필담을 통해 이들이 당시 가지고 있었던 서양에 대한 관심과 천문·세계지리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휘중·의봉 부자는 천주당을 방문하기 전 이미 천문학과 세계지리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있었는데, 인척 관계인 달성 서씨(達成徐氏) 집안의 역학(易學)과 수리(數理)에 조예가 깊었던 학풍과 무관하지 않으며, 중국에서 구입해 온 서적을 통해 획득한 지식들도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판단된다. 서양 선교사 유송령과의 필담에서 이휘중·의봉 부자가 『천학초함(天學初函)』에 수록된 『기하원본(幾何原本)』 등의 서적들을 이미 읽었던 사실이 확인되는데, 이마두(利瑪竇)본 『기하원본』은 상당히 이른 시기에 서호수(徐浩修)가 입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정황을 통해 이휘중·의봉 부자가 서학에 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게 된 영향관계를 인척관계를 맺고 있는 달성 서씨 집안의 학풍과도 연결시켜 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Yi Hwichung(李徽中) and Yi Uibong(李義鳳)`s visit to western sanctuary and their meeting with local missionaries. It also reveals level of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western learning, especially astronomy and world geography based on the main text Bukwonrok(『北轅錄』). In the 18th century, the sanctuary Yi Hwichung(李徽中) and Yi Uibong(李義鳳) visited was a place where envoy had to go to contact with the West and missionaries. When the Choson envoy first saw the sanctuary, they were shocked by the new culture. When Yi Uibong(李義鳳), who was 28-year-old at that time, visited the sanctuary and met missionaries, he must have experienced a great deal of culture shock. As this fact was recorded in the Bukwonrok(『北轅錄』), it`s not difficult to imagine how they were surprised at the scene and the new Western culture. I believed that Yi Hwichung(李徽中) and Yi Uibong(李義鳳)`s intention to visit this sanctuary was not just curiosity, but a keen interest in western learning. In addition, they also wanted to double-check their acknowledgment from the sanctuary, which they received in their home country. This paper looks at their interest in the West and their outstanding insight on astronomy and world geography through their six visits to the sanctuary and their written communications with August von Hallerstein(劉松齡).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Dalsong So family, descending from So Myongeung(徐命膺) to So Hosu(徐浩修), So Hyongsu(徐瀅 修), So Yubon(徐有本) and So Yugu(徐有九), and books which were purchased from So Myongeung(徐命膺) and So Hosu(徐浩修). This paper will also reexamine Yi Hwichung(李徽中)`s, Yi Uibong(李義鳳)`s, So Myong-eung(徐命膺)`s and So Hosu(徐浩修)`s level of knowledge of astronomy and world geography. In addition, it will research how much these scholars contributed to the knowledge of astronomy and world geography in Choson society.

      • KCI등재

        루안판의 『북원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주요 서술의 특이성과 쟁점을 중심으로

        윤은숙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Since this book was published as part of the major commissioned project “Research on the History of Ancient Northeast Fang Empire and its Dependent Countries” in 2010 by China’s National Social Science Fund of Chin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book in that it is a writing that can analyze the latest tren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Northern Yuan in Chinese academia. History of Northern Yuan written by Luan Fan who dealt with the history after the Mongol Empire (China Science Publishing & Media Ltd., 2019) is China’s first description that covered politics, economy, culture, ethnicity, and people to earnestly deal with the history of Northern Yuan.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as Chinese history, following the logic of traditional Chinese academia and presupposing that the Mongols established a multi-ethnic nation, unifying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the author would present the Great Yuan Empire, a multi-ethnic nation, founded by the Mongols as a ground for explaining the logic of ‘Zhonghua minzu (Chinese nation)’ historically. Especially, he brings out Northern Yuan and Ming Dynasties as successor states of the Yuan Dynasty to emphasize the history of Northern Yuan, too, is part of Chinese history and argues that the two countries were two governments that coexisted on the Chinese territory after the extinction of the Yuan Dynasty. Like he argues that since the Yuan Dynasty was founded in the Chinese territory, its history was part of Chinese history, this seems to be the groundwork to set out a coercive logic that Northern Yuan would also be part of Chinese history since Northern Yuan existed in the territory of the Yuan Dynasty and succeeded the Yuan Dynasty. 몽골제국 이후의 역사를 다룬 루안판(欒凡)이 쓴 『북원사』(중국사회과학출판사, 2019)는 2010년 중국의 국가사회과학기금 중대위탁항목인 <동북고대 방국·속국사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편찬되었으므로, 그에 따른 목적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 책은 정치, 경제, 문화, 민족과 인물 등을 총망라하여 본격적으로 북원의 역사를 다룬 중국의 첫 번째 저술로서 중국학계의 북원사 인식에 대한 변화의 추이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기존 중국학계의 논리를 답습해서 몽골제국사를 중국사로 간주하면서, 몽골족이 중국의 동북지역을 통일하여 다민족국가를 형성하였다고 전제하며, ‘중화민족’이란 논리를 역사적으로 설명할 근거로 몽골족이 세운 다민족국가 대원제국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북원사도 중국사의 일부라고 역설하기 위해, 북원과 명조를 원의 계승국으로 등장시키고, 양국은 원 소멸 이후 중국 영토상에 병존했던 두 개의 정권이라 주장하고 있다. 원(元)이 중국 영토 내에 건설되었기에 중국사의 범주라고 주장하는 것처럼, 원의 판도 내에 북원이 존재하고 원을 계승하고 있으므로 북원 역시 중국사의 일부라는 억지 논리를 펴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 1760년 李徽中(이휘중),李義鳳(이의봉) 부자가 만난 동남아시아 -『北轅錄(북원록)』을 중심으로-

        전수경 ( Su Kyung Jun ) 우리한문학회 2013 漢文學報 Vol.28 No.-

        본고의 주 텍스트인 『北轅錄』은 李義鳳(1733~1801, 자 伯祥, 호 懶隱)이 서장관이자 부친인 李徽中(1715~1786, 자 汝愼)의 자제군관 자격으로 중국을 다녀온 뒤 남긴 연행기록이다. 三節年貢使行의 연행기간은 1760년 11월 2일부터 1761년 4월 6일까지였고, 삼사는 정사 洪啓禧ㆍ부사 趙榮進ㆍ서장관 이휘중이었다. 『북원록』은 5권 5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날짜별로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의봉이 연행 내내 병환으로 고생한 부친 이휘중을 대신하여 기록하는 일을 담당한 것으로 추측된다. 본고에서는 『북원록』을 통해 중국과 조선, 두 국가 간의 교유양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 이휘중ㆍ의봉 부자가 만난 安南國(베트남) 사신들과의 교유양상을 살펴보고, 그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琉球國 官生과 南掌(라오스) 사신들과의 교유양상도 함께 살펴보아 이휘중ㆍ의봉 부자가 가진 동남아시아에 대한 세계관1)을 살펴보고자 하는 바이다. 먼저, 안남 사신들과의 교유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북원록』의 필담 기록을 바탕으로 그들과의 만남을 재구성해보았고, 안남 부사인 黎貴惇(1726~1784, 자 允厚, 호 桂堂)과 수창한 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휘중의 안남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었으며, 그들은 형식적인 만남의 차원에서 그친것이 아니라 ‘동아시아’라는 테두리 속에서 시문수창을 통해 교유를 이어나갔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琉球 官生이었던 蔡世昌(1737~1798, 자 汝顯)ㆍ鄭孝德(자紹衣)과도 교유를 맺을 수 있었는데, 이들과도 역시 시가 매개가 되어 만남을 이어갈 수 있었다. 주고받은 시를 통해 이휘중의 유구에 대한 시선을 읽을 수 있는데, 그는 유구 官生들의 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南掌(라오스) 사신들과도 통역관을 통해 만남을 이어가는데, 안남 사신ㆍ유구官生들과의 교유와는 달리 지극히 형식적인 차원에서만 대하고 있다. 한문을 할 수 없었던 南掌은 당시 동아시아의 테두리 속에 들어올 수 없었던것이고, 이는 南掌 사신과의 대화에서도 확인된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어떠한 가치관이 개입된 발언이나 부정적인 시각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이휘중ㆍ의봉 부자는 안남ㆍ유구에 대한 어떠한 선입견도 없이 ‘동아시아’라는 큰 테두리 속에 속한 나라들로 두고 시를 수창하며 지속적으로 교유를 이어갔다고 할 수 있겠다. 더 나아가 안남 사신과는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는데, 1760년의 연행은 李수光-안남 사신과의 만남과 그후의 안남 사신과의 만남을 연결시켜주는 가교 역할을 한다. 조선의 경우는 이수광(1597년)에서 시작하여 李徽中ㆍ義鳳(1760년) 부자로 이어져 李致中(1773년)-徐浩修(1790년)로 연결되는 인적 관계망이, 안남의 경우는 馮克寬에서 黎貴惇으로 이어져 阮瑤-潘輝益으로 연결되는 인적 관계망이 만들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고에서는 1760년 연행에서 조선 사신들이 안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맺은 교유의 양상을 일부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조선 지식인들과 동남아시아 지식인들 간의 교유양상을 살펴보는데 있어 시기적으로 폭넓어질 뿐 아니라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uring the 18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of Korea sent envoys to China to give tribute and maintain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Chinese Qing Empire. In addition to Korea, other neighboring nations of China, such as Vietnam, Ryukyu and Laos also sent envoys. These envoys not only communicated with the Chinese government, but they exchanged correspondence amongst themselves as well.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Joseon envoys and their Vietnamese, Ryukyuan and Laotian(Southeast Asian) counterparts, particularly through poems. Most of the interactions of the envoys are documented in the ``Bukwonnok``, a five-volume account of the travels of Joseon envoy Yi Hwijung and his son Yi Uibong. It is assumed that Yi Uibong wrote these documents because his father was sick throughout their travels. Yi Uibong went to China in 1760 as a Jajegungwan(personal entourage as a son) with his father, Yi Hwijung, who was a Seojanggwan(government office). In China they met and formed many relationships with foreign dignitaries. From their interactions the Joseon envoys developed perceptions of different countries that will be discussed throughout the paper. Based on meetings depicted from the ``Bukwonnok``, Yi Hwijung and Vietnamese envoy Le Quidon exchanged poems. This exchange of literary expressions created a favorable impression of the Vietnamese on Yi Hwijung and Yi Uibong. The father and son also met an Ryukyuan student who was studying in Gukjagam, China. They also exchanged poems in order to develop friendly relations. Upon reading the Ryukyuan`s poem, Yi Hwijung became so impressed that he developed a favorable notion toward the Ryukyu. Finally, they met an envoy from Laos who exchanged ideas pertaining toward their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systems. Unfortunately, the Laotian could not exchange poems with the envoys from Joseon because Laotian characters are different from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were not considered apart of ``East Asis``. Despite not being a part of the ``East Asia`` faction, Yi Hwijung showed no ill will toward Laos`s envoy, either. In conclusion, this paper seeks to show that the Korean envoys, Yi Hwijung and his son Yi Uibong, associated with envoys from Vietnam, Ryukyu and Laos without prejudice. From these meetings friendly and prosperous relationships were developed, especially with the Vietnamese envoy. History shows envoys communicating as early as 1597, and these relations continuing for quite sometime. Yi Sugwang(1597), Yi Hwijung and Yi Uibong(1760), Yi Chijung(1773), Seo Hosu(1790) from Joseon developed cordial relationships with the Vietnamese envoys Phung Khackhoan, Le Quydon, Wan Yo, and Phan Huiich. As above, this paper wants to reveal the interaction of Joseon-Southeast Asian relations. Exploring the journeys of Yi Hwijung and Yi Uibong will expand the historical timeline that usually focuses on events before or after 1760. Finally, this paper will create a list of people who were networking with one an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