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의 ‘역사화해’의 가능성 :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After agreeing to compile a joint history textbook to resolve the issue of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Germany and France succeeded in simultaneously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6. Germany and Poland also agreed on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8. In the case of Germany and Poland, it was the result of steady and tireless efforts spanning about 80 years after the two countries started “historical dialogue” and 36 years after they reached an agreement on a range of recommendations in 1972. Given the reality of Northeast Asia, it would seem much less likely for an “historical dialogue” to be implemented, sustained, and expanded among three countri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an in Europe. This is because Japan’s civic groups have strong local networks, while weak on the national level; Korean civic groups are financially weak in maintain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ose of China a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ivic groups seeking a shared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reconciliation have become much more activ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hare various opinions, discuss specific issues, and jointly publish history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a joint history textbook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or between Korea and Japan, though on the private level, carries significance, as the controversy over the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in Northeast Asia grew intense. Given the cases of Europe, a joint history book between Korea and Japan and one among Korea, Japan, and China can be published, if the “historical dialogues” are conducted patiently and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hoped that this forms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Northeast Asia. 독일과 프랑스는 ‘역사 갈등’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공동역사교과서를 편찬하기로 합의한 뒤 마침내 2006년에 양국에서 동시에 출간했다. 독일과 폴란드도 2008년에 공동 역사교과서를 발간하기로 합의했다. 독일과 폴란드의 경우 ‘역사대화’를 시도한 지 80여 년, 1972년에 권고안에 합의한 지 36년이라는 오랜 시기에 걸쳐 꾸준하게 노력한 결과였다. 한중일 3국간 ‘역사대화’의 진전은 현실을 고려할 때 실행 가능성, 지속 가능성, 확장과 심화 가능성이 유럽에 비해 매우 낮다. 일본의 시민사회단체는 지역네트워크가 강한 반면 전국네트워크는 큰 취약점이 있고 한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재정이 탄탄하지 못해 국제교류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중국공산당의 통제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와 비교해보면 ‘역사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의 역사인식과 화해를 모색하는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교류가 훨씬 활발해졌다. 대화를 통해 역사와 관련된 여러 의견을 교환하고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역사교재를 공유하거나 공동 편찬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동북아의 ‘역사 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록 민간차원이긴 하지만 한중일 간, 한일 간 공동역사교재 개발의 의미는 적지 않다. 유럽사례를 볼 때 ‘역사대화’를 통해 인내를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역사대화’를 진행한다면 결국 동북아에서도 한일 간, 더 나가 한중일 간 공동역사교과서를 발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의 ‘역사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백은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중화민족다원일 체론의 등장과 동북공정의 논리적 모순

        김종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7 No.-

        中國, 於1949年成立中華人民共和國. 同時根據社會主義民族觀宣布其是多民族國家. 倂開始苦慮證樣去統一多民族的中國倂建設成一個統一的多民族國家. 於是,他們通過憲法宣布實施重視民族問題的"民族平等權", "民族區域自治制度". 各民族之間是平等的,消除民族間的對立關系, 相互融合, 融洽努力構成一個統一的民族. 所謂的統一民族"中華民族"就此誕生. 因爲是統一的, 所以卽使實施民族自治制度也不會影響統治體系. 就是所謂的一國內以一個民族形成"民族大家庭". 但是, 通過他們的少數民族政策可以得知, 在統一的多民族國家內也無法取得獨立的自治運營權. 換言之就是不許和國家統治權分離, 必須接受國家的統治與命令. 可以看出是與社會主義民族觀是一脈相承的. 無可避免的"民族大家庭"這一槪念非常據邏輯性. 徹徹底底的輸進了中國的國家觀裏. 但是, 問題出現在"民族大家庭"是自古以來就存在的, 還是, 中華人民共和國成立之後才出現的. 也不斷地成爲了論點. 這也不得不說是一個與歷史無關的政治問題. 結果, 中國宣布以現在的中國國土領域爲標准, 在此範圍內發生過的所有曆史現象都屬於中國曆史. 從此, 中國果敢的開始了整治編造與曆史歪曲. 可以看出中國在根據社會主義民族觀建立民族大家庭倂要建設一個完美的統一的多民族國家,這就是多磨的苦心積慮的. 處處可以趙出"統一的民族國家論"在邏輯上的矛盾。不僅, 給他們自己的歷史, 而且, 給其他國家歷史也帶來需要編造, 歪曲的慘劇. 擧一個例子. 蒙古族侵略中國, 打敗宋朝, 在中國領土上建立起元朝. 因此, 蒙古族建立的元朝也可以是蒙古的歷史. 但是, 按照中國現在的邏輯來看此事發生在中國領土上, 所以就是中國歷史。提到成吉思汗, 他從來沒有踏過中國領土. 但是, 就因爲他是蒙古族的祖先, 就可以把他視爲中華民族的祖先瑪?就會有人提出成吉思汗的曆史也是中國歷史的笑話. 如此看來, 中華人民共和國成立當初爲了圓滿的統治而推出的"統一多民族國家論"這存在著諸多矛盾. 矛盾的中心就是爲社會主義民族觀的"民族平等"和"民族自治制度"。而且, 據此爲理論依據, 存在著凡是現國土範疇內發生過的歷史都是中國歷史的詭辯和所謂"民族大家庭"的詭辯. 而且, 現實就是他們以"中華民族多元一體論"爲依據支持"統一的多民族國家論"。東北工程歸根結底也就是"統一的多民族國家論"指使下的一個歷史詭辯. 純粹的歷史硏究與政治性歷史硏究有著天壤之別. 歷史與政治需要區分開來. 曆史淪落成政治的奴禮是不可取的。還有, 東北工程中所提到的"地方政權"這一用語, 在歷史當中是聞所未聞過的. 不正好是在强調, 現在所實施的中國少數民族"民族自治制度"實際上是民族統一名義下的中央集權統治當中的一環磨?難道, 過去皇權統治時期地方政權有著更大的立足之地?朝貢、冊封制度原來自國家與國家之間的外交政策. 所以, 根據朝貢設立"地方政權"只能說明是邏輯上有錯誤.

      • KCI등재

        지중해 지역문명 간 교류 연구의 정책적 활용

        김정하 ( Kim Jungha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지중해를 닫힌 바다로 인식할 것인지 아니면 `열린 바다` 또는 `열린통로`로 정의할 것인가의 문제는 유럽지역의 역사연구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자는 연구의 지리적 경계를 지중해와 그 주변지역으로 제한한다(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에 위치한 지중해). 반면 후자는 지역문명간 교류의 관점에 따른 해석의 결과이다. 역사연구에 있어 지리적인 경계와 문화적 경계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관점의 역사해석은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현대 유럽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일련의 문제들(아프리카 난민의 유럽 유입, 그렉시트(Grexit)와 브렉시트(Brexit) 등 유럽연합의 내적 위기)이 지중해의 고·중세사에 대한 역사해석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문제들의 많은 부분이 유럽 중심의 세계사 해석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열린 통로`의 관점은 문명 간 교류의 관점이며 또한 경쟁적 협력의 관점이다. 이에 근거할 때, 지중해의 고·중세사는 문명과 야만의 경계나 고대 그리스 도시 문명의 바다가 아니라, 아프리카-유라시아의 수많은 지역문명들이 상보적(相補的) 교류와 접변의 과정을 통해 성립된 관계균형의 역사였다. 이것은 지중해-유럽지역의 역사연구에 대한 제고를 의미한다. 첫째, 역사연구에서 드러나는 차이의 의미는 `차별`이 아니라 `다양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지중해의 역사를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구도로 해석하는 것은 역사왜곡에 해당한다. 셋째, 지중해 역사에 대한 해석은 경쟁적 협력의 구도에 근거해야 한다. 넷째, 지중해의 고·중세에서 알렉산드로스 제국, 로마제국 그리고 프리드리히 2세 시칠리아 왕국은 공존의 다문화 실현을 위한 실험이었다. 역사의 발전에는 전쟁과 같은 폭력적인 수단도 동원되었지만 그 이면에서는 활발한 교류도 병행되었다. 역사왜곡은 역사의 양면을 함께 고려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충돌의 역사적 의미를 진화(또는 발전으)로 오판하게 된다. 북아프리카 난민의 문제는 역사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기인한다. 인종 간 차별은 타자에 대한 일방적인 거부이며, 문화 간 우열의 논리는 지배-피지배의 논리를 정당화시키는 근거로 활용될 뿐이다. 해석을 달리하면 새로운 정신세계가 드러난다. 역사연구의 경우에도 관계요인들의 상보적 구도(경쟁적 협력의 구도)는 유럽지역의 문명적 위기에 대한 대안이 될 것이다. Whether to recognize the Mediterranean Sea as a `Closed Sea` or to define it as an `Open Sea`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tradition in Europe. The former limits the geographical boundaries of the study to the Mediterranean Se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the Mediterranean Sea between Europe and Africa).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is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nterchange between local civilizations. In historical studies, geographical boundaries and cultural boundaries do not coincide. Therefore,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two perspectives shows completely different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blems of the ancient and medieval Mediterranean in the context of the series of problems faced by modern Europe (The influx of african refugees in Europe, `Grexit` and `Brexit`). In other words, most of the problems are due to Euro-centrism. The view of open sea is a viewpoint of interchange between civilizations and also a viewpoint of competitive cooperation. Based on this, i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he Mediterranean was not the bounda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nor the sea of ancient Greek city civilization. Many local civilizations in Africa-Eurasia were the history of the balance of relationship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mentary exchange and contact. This implies an improvement in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European region. First, the meaning of difference in historical studies should be interpreted as diversity, not discrimination. Second,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as a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is a distortion of history. Third, interpretation of the Mediterranean history should b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competitive cooperation. Fourth, in the ancient and medieval periods of the Mediterranean, the Alexander Empire, the Roman Empire and the Sicilian kingdom of Friedrich II were experiments for the realization of coexistence of the Mediterranean multi-culturalism.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violent means such as war were mobilized, but there was active exchange in the background. History distortion occurs when both sides of history are not considered together. At this poin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flict is misinterpreted as evolution (or development). The problem of North African refugees comes from misinterpretation of history. Inter-racial discrimination is a one-sided rejection of the other, and the logic of cross-cultural superiority is only used as a justification for the logic of domination-domination. Different interpretations reveal new history. Even in the case of historical studies, the complementary composition of the relevant factors (the framework of competitive cooperation) will be an alternative to the European civilization crisis.

      • KCI등재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본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해설 -홍성지역을 중심으로-

        안주홍 ( Juhong Ahn ),박현숙 ( Hyunsook Park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8 No.-

        그 동안 역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초 중등교육의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따라서 학교 현장 이외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교육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의 문화재를 해설하는 문화관광해설사 역시 넓은 의미의 지역사교육의 실천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이들의 역할 인식과 ‘역사해설내용’의 형성과 해설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역사교육의 지평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해설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이들의 ‘역사해설내용’을 ‘역사내용지식’과 ‘역사현장지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은 ‘역사내용지식’을 바탕으로 ‘역사현장지식’을 활용하고 있었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현장지식’은 해설 과정에서 이들만이 활용하고 있는 특징적인 지식이다. 이들은 ‘역사현장지식’을 통해 스스로를 역사교사와 차별화된 존재로 인식하였고, 방문객들이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도록 해설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전문성의 부족과 해설기준안의 미비, 그리고 적합한 교육 시스템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고 문화관광해설사 교육을 체계화하려는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들에게 부족한 ‘역사내용지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이들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현장지식’의 기록 보존, 그리고 해설기준안과 보수교육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역사교육적 측면에서 문화관광해설사의 전문성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때, 이들의 역량이 극대화되고 제대로 된 역사현장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문화재나 유적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킴으로써 학교 밖에서도 제대로 된 역사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ll the while, most researches on history education have emphasized the aspec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concern for the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besides school field. In the midst of extending the scope of history education besides school field,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who are placed at local cultural properties to explain history,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ubject of history education in a broad sense. Accordingly, it might be meaningful to look into their role perception, acquisition of ‘Knowledge of Interpretation History’ and method of interpretation from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have conducted interpretation targeting visitors from various backgrounds while making use of ‘Knowledge of History Contents’and ‘Knowledge of on-site History’ through ‘Knowledge of History Interpretation’ in their interpretation activity.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hardships due to the background, such as the lack of knowledge of individual historical accounts, inappropriate education, and insufficiency in systematized interpretation guidelines, etc. Here, the ‘Knowledge of on-site History’ possessed by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is the characteristic knowledge, which is utilized by the interpreters only, in interpretation activity. They have perceived themselves as differentiated from history teachers, and helped visitors to concentrate on their interpretation with interest. However,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have experienced many realistic hardships. Accordingly, the effort and support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and to systematize their advantages are needed. Solutions to this may include continuous and proper education of ‘Knowledge of Interpretation Contents’ that they need, record preservation of ‘Knowledge of on-site history’ possessed by the interpreters only and interpretation guidelines, and arrangement of refresher training. When an approach to a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professionalism is made from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not only their capabilities could be maximized as well but it will be also possible to arrange a foundation for extending the concern for history of a wide variety of visitors to cultural properties or relics, and for conducting proper history education even at the outside of school field.

      • KCI등재

        중세 지중해 문명교류 유형 연구

        김정하 ( Kim Jung-ha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지중해는 ‘자급자족이 불가능한 경제권’의 바다였다. 연안지역에 건설된 수많은 마을과 도시들은 전쟁과 동맹을 반복했지만 이는 서로를 필요로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지중해는 열린 바다의 대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바다는 결코 고립된 문명이 아니었다. 외부로부터 지속적인 영향이 유입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명적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역사적으로 지중해의 지리·문화적 경계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지중해 역사에 대한 연구에서는 부분들의 전체라는 관점보다는 전체속의 부분들에 대한 고찰, 즉 부분들 간에 전개되는 ‘경쟁적 협력’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점을 바꾸면 새롭게 보인다. 어떤 시선으로 해석하는가에 따라 역사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문명 간 교류의 관점 또는 long term prospective의 관점에서 지중해의 문명교류를 살펴보았다. 중세 지중해 문명교류의 사례로는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안달루시아의 접변형 교류유형, 시칠리아의 중첩형 교류유형, 예루살렘의 등배형 교류유형. 세 교류유형의 공통점은 종교적으로는 유일신 종교이며 Abrahamic religions라는 사실이다. 또한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하였으며 이들 모두에게 정치와 종교는 사실상 삶을 지배하는 단일요인이었다. 안달루시아는 8세기 초반부터 15세기 말까지 이슬람이 지배를 받았지만 동시에 역사적으로는 이슬람의 지배와 기독교세계의 재정복 활동이 공존하였다. 사회적 다양성의 요인이 매우 풍부했지만 사회적 유동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종교, 정치, 이념, 인종의 관점에서는 갈등의 사례들이 빈번했지만, 문화와 경제의 분야에서는 교류와 접변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시칠리아의 교류유형에서는 외세에 의한 지속적인 지배가 역사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이미 고대부터 시칠리아의 독립적인 정치권력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역사적 현실을 고려할 때 시칠리아의 교류유형은 여러 요인들이 함께 섞이는 못한 상태로 단순히 공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예루살렘은 세속적으로는 동서문명 간 교역의 중요한 관문이었으며 종교적으로는 기독교세계와 이슬람 문명 모두에게 성지순례의 도시였다. 문화 간 유사성과 차이가 분명하게 존재했다. 하지만 역사의 흐름에 있어 차이는 다양성이 아니라 차별과 갈등의 의미로 해석되었으며, 특히 19세기 이후 이러한 대결구도의 관점은 더욱 강화되었다. The Mediterranean was a sea of economic areas where selfsufficiency was impossible. Many villages and cities on the Mediterranean coast repeated their war and alliance each other. However this was due to the need for each other. In addition, the Mediterranean Sea had an identity of the open sea. This sea was never an isolated civilization. There was constant influx from outside, which kept the Mediterranean civilizational freshness. Historically,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boundaries of the Mediterranean have not always coincided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ompetitive cooper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that make up the whole rather than to divide the Mediterranean into so many parts and study each part. If you change your perspective, it looks new.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differs depending on what perspective you are interpreting.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interchange of civilizations in the Mediterranean in terms of long term prospective viewpoint. There are three types of medieval Mediterranean civilization exchanges: Andalusian Interaction Type of Intercultural Exchange, Sicilian Superposition Type of Intercultural Exchange and Equidistance Type of Intercultural Exchange. The commonality of the three types of interchange is that they are religiously monotheistic religions and Abrahamic religions.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coexisted, and to all of them, politics and religion were in fact the only factor that dominated history. Andalusia was ruled by Islam from the beginning of the Eigh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5th century. However at the same time historically the domination of Islam and the ‘Reconquista’ of the Christian world coexisted. Although social diversity factors were very abundant, social liquidity did not meet expectations. In terms of religion, politics, ideology, and race, conflicts frequently occurred, but exchanges were taking place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economy. In the Sicilian cultural interchange type, the continued domination by foreign powers was a decisive factor in determining the historical identities. From ancient times, Sicilian independent political power did not exist. Considering this historical reality, the Sicilian interchange patter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various factors merely coexist in a state where they can not be mixed together. Jerusalem was an important gateway to trade between East and West, and religiously, it was a city of pilgrimage to both the Christianity and Islamic civilization.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vident. However, differences in the history have been interpreted not as the factors of diversity, but as meanings of discriminations and conflicts, especially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 유럽회의주의와 영국 역사 교육 -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제3단계 역사 교과서 분석 -

        원태준 ( Won Taejo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본고는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만 11-14세 학생들이 사용하는 옥스퍼드대학교출판사와 호더교육사의 제3단계 역사 교과서들을 분석함으로써 영국에서의 역사 교육과 영국의 유럽회의주의 간의 연결고리를 설명하고, 영국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유럽의 역사를 누락한 영국의 현역사 교육 과정은 학생들이 영국 역사를 정확하고 제대로 배우는 데에 중대한 걸림돌이 될 정도로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1066년부터 1509년까지의 경우, 역사 교과서들은 영국 해안가를 프랑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프랑스 북부를 통치하에 두고자 한 잉글랜드 정부가 반프랑스 동맹을 지속하고자 치룬 전쟁에서 패배한 결과로 1215년 대헌장이 탄생한 사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있으며, 백년전쟁의 원인이 프랑스왕 필립 6세의 영토에 대한 욕심에서 기인한다고만 서술할 뿐 당시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 왕의 봉신으로서의 서약을 어긴 것에 대한 내용 또한 기술하지 않고 있다. 1509년부터 1745년까지의 경우, 역사교과서들은 헨리 8세의 신성로마제국 황제 선출 실패가 잉글랜드 종교개혁의 원인 중 하나였음을 기술하지 않고 있고, 윌리엄 3세가 주도한 “금융혁명”이 유럽 대륙의 정세에 관한 윌리엄의 유별난 관심에서 유발되었다는 사실도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1707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통합이 스코틀랜드에서의 스튜어트 왕조 복귀라는 프랑스의 위협으로 인해 이루어졌다는 설명 또한 하지 않고 있다. 1745년부터 1901년까지의 경우, 역사 교과서들은 이 시기의 런던 정부가 유럽 대륙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 했다는 이유로 자주 교체되었던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고, 프랑스 혁명 정부와의 전쟁을 치루기 위한 자금 도달을 위해 처음으로 소득세를 부과했다는 내용 역시 서술하지 않고 있으며, 1846년 곡물법 폐지 및 1867년 선거법 개정 등이 영국에서의 자유주의 정신을 강화하여 유럽의 평화에 기여하고 유럽 대륙에서 불어오는 군국주의의 도전에 맞서기 위해 도입되었다는 사실 또한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20세기와 관련하여 역사 교과서들은 파시즘의 발현과 나치 독일의 만행에 대한 내용을 아주 자세히 서술하고 있으나, 전후 70년 넘게 유럽 대륙에서의 평화와 부흥에 기여한 유럽 통합 과정에 대한 언급은 거의 하지 않고 있다. This article, by analysing the European content in the most recent Key Stage 3 history textbooks for England and Wales - the KS3 History by Aaron Wilkes series from Oxford University Press and the Making Sense of History series from Hodder Education - seeks to demonstrate a link between euroscepticism and history education in Britain and argues that the omission of Europ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 of British history is a gross misrepresentation of essential facts which fundamentally does not allow the student to understand the full picture as to why British history has evolved the way that it has. Despite the 1215 signing of Magna Carta as a result of medieval England`s defeats in its attempt to establish an anti-French alliance on the continent in order to maintain military pressure on the French and thus strengthen its control of the key ports in Northern France for the security of English shores, the two textbooks make no mention of the security reasons behind the English desire to maintain control of northern France. Furthermore, the textbooks fail to mention that the outbreak of the Hundred Years` War was not so much a result of Philip VI trying to grab whatever English possessions he could get his hands on simply to satisfy his own rapacious desires, but more a result of Philip reacting to the problem of Edward III`s opportunistic volte-face in abandoning his intial oath as a loyal vassal of France. For the period from 1509 to 1745, the textbooks fail to mention that Henry Ⅷ`s failure to become Holy Roman Emperor was a contributing factor the English Reformation, that England`s “Financial Revolution” under William Ⅲ occurred due to the king`s preoccupation with continental European affairs, and that the 1707 Act of Union with Scotland was undertaken as a response to the French threat of a possible Stuart succession in Edinburgh. For the period from 1745 to 1901, the textbooks do not talk about the changes in British administrations due to their failures to deal with European matters, the introduction of Britain`s first income tax because of Britain`s need for funds in fighting Revolutionary France, the 1801 Act of Union with Ireland that came about as a result of the 1798 Irish Rebellion that was assisted by Revolutionary France, the repeal of the Corn Laws and the passage of the 1867 Reform Act which were implemented with the intention of strengthening liberalism in Britain and ensuring peace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the face of challenges in Europe. Finally, in regards to the 20th century, the textbooks greatly emphasize fascism and the actions of Nazi Germany while providing almost no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 KCI등재

        역사서술의 변천으로 본 中國의 티베트와 西藏-3종 『西藏通史』들의 출판을 중심으로-

        김한웅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3 사총 Vol.109 No.-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in the late 1970s ushered in a new era for the academic activities of Tibetan people, and its development has experienced the vicissitude of times. Such changes in academic activities can be observed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This paper attempts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ree discrete publications (1991, 2003, and 2016) of General History of Tibet in order to appreciate the development. The first General History of Tibet(Bod kyi lo rgyus rags rim), written in Tibetan by Tibetans and representing the atmosphere of the 1980s, signified revival of the tradition of Tibetan historiography. The second General History (Xizang tongshi), written in Chinese for the first time of such a kind, made Tibetan history a part of Chinese border history. The third General History (Xizang tongshi), published in 13 volumes, was a result of a large-scale project for which a hundred of experts had worked for fourteen years. It solidified the status of Tibetan history as a part of Chinese history. Altogether, the development of these three publications indicates that historical studies of Tibet have reached its unprecedented level, but Tibetan history now exists only as a component of larger Chinese history for China. 1970년대 말 중국의 개혁개방 이래 티베트 민족의 학술활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으며, 이후 시기별 상황에 따라 그 각각의 발전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학술활동의 변천은 역사학 분야에도 확인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1991년과 2003년, 그리고 2016년에 각각 출간된 세 가지 『西藏通史』들의 분석적 검토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1980년대의 분위기를 대표하는 첫 『西藏通史(티베트 역사 대강)』는 티베트인에 의해 티베트어로 집필되었으며, 티베트의 역사서술 전통의 부활을 알리는 표지였다. 2003년에 출간된 『西藏通史』는 중국어로 저술된 첫 티베트 통사로 티베트 역사를 변경화와 중국화의 방향으로 이끌었다. 2016년의 『西藏通史』는 14년에 걸쳐 100명에 가까운 인원이 동원된 대규모의 공정을 통해 13권 분량으로 완성된 통사 저술이었으며, 이는 티베트 역사를 중국역사의 일부로 더욱 공고히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은 중국내 티베트 역사학이 공전의 발전 이루고 있으나, 또한 중국의 역사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북한의 역사 교육체계 확립과 민족해방운동사 인식

        김재웅 ( Kim Jae-woo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신생 국가들 대부분이 그렇듯 북한에서도 역사는 자신의 정체성을 기억하고 계승해야 할 과제와 직결된 중대 관심사였다. 북한의 정치인들은 자국의 역사적 정체성과 관련해 그들이 직접 참여한 항일투쟁의 경험에 주목했다. 그것은 그들의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는 영예로운 소재였다. 따라서 어느 시기의 역사보다도 민족해방운동사를 비롯한 최근사가 중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해방 직후 북한에서 역사 교육체계가 재건되는 과정과 민족해방운동을 둘러싼 사관이 변모해가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그 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은 북한 역사학이 발원하고 그 성격이 형성되는 양상을 드러낼 수 있다. 오늘날 독자적 학문 영역에 위치하기보다 정치적 목표에 봉사하는 경향이 있는 북한 역사학의 성격 형성이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 그 시원을 추적하는 일은 현시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After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by Japanese Imperialism, Korean schools focused on Korean language and history education. Like Hangeul education, history education tended to be emphasized in terms of nationality recovery. Like most emerging countries, history in North Korea was a major concern, directly connected to the task of remembering and inheriting its identity. North Korean politicians paid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the anti-Japanese Imperialism struggle in which they directly participated in relation to their own historical identity. It was an honorable subject that could be taken pride in as their new tradition. Therefore, the recent histories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tended to be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the histories of any perio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view surrounding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The work of tracing the process can reveal the aspect in which North Korean history originated and its characters were formed. It is a very meaningful work to trace the origin of the character formation of North Korea’s history, which tends to serve political goals rather than being positioned in its own academic field today. In shor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historical science and the history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were bor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how North Korea’s historical science created a new tradition and its own identity.

      • KCI등재

        1960-70년대 파독 인력송출의 미시사: 동원인가, 선택인가?

        윤용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is a model for the countries of the Third World. But she is not a legend, whose main role some heroes, so political leader and big enterprises  played, but a story of the victims and strains of the people. On the contrary, there is also the claim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 is a national mobi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Nevertheless, almost all perspectives of the topic, from the emphasis on the political leadership to development dictatorship thesis, are history from above. The subject of economic development is the people, politics and business playing olny a supporting role.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ory of economic growth needs to be viewed from below. What is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below? Isn’t it an another legend in which occur this time little heroes to replace the existing great heroes? The mass would be neither willing to modernize the fatherland, it was nor forcibly mobilized by the state.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she was interested in getting committed to maintain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economically. That was their main interests, to which all everything was subordinate. This work is based on this hypothesis and concludes that Korean Guestworkers in Germany in the 1960s and 1970s, ie during the development dictatorship, almost always put their own interests in the priority, not the state. This paper attempts to validate this claim with many facts. 1960-70년대 한국의 경제성장은 세계가 인정하는 성공의 역사이다. 한국의 경제개발은 저발전 국가의 모델이며, 한국에게는 자랑스러운 기억이다. 그동안 한국의 경제개발의 역사는 정치적 리더십과 기업의 역할을 주로 강조하는 위로부터의 역사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냉전의 패러다임에 기초해 동맹국의 원조와 역할이 강조됨으로써 경제개발을 국제정치적 프리즘으로 관찰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이와 대척을 이루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는데, 경제개발이란 냉전시대의 체제경쟁 상황에서 국가에 의해 기획되고 동원된 ‘개발독재’였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이러한 주장들은 모두 사실에 근거하며 나름의 논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초점이나 입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위로부터 내려다본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경제개발의 역사를 절반만 말해준다. 경제개발은 탁월한 리더십이나 기업의 공로를 증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 아니며, 냉전이 후진국의 경제성장에 효율적인 국제정치 질서였다는 인상을 주기 위한 것도 아니며, 개발은 필연적으로 폭력과 희생을 수반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 경제개발은 국민 대중의 물질적 생활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래서 밑으로부터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은 ‘한강의 기적’같은 신화에 어울리는 영웅도, 조국의 근대화라는 고귀한 사명을 위해 어떠한 희생이나 고통도 무릅쓸 각오가 되어 있는 애국자도 아니었다. 그들은 가난한 나라에서 자신과 가족의 생존을 위해,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고뇌하며 하루하루를 살아야했던 실존적 존재들이었다. 밑으로부터의 역사란 이러한 존재들에 대한 기억이다. 그들이 주목했던 것은 조국의 근대화나 승공(勝共)처럼 추상적이고 모호한 구호가 아니라, 당장의 취업과 다가올 미래에 대한 대비였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파독 노동자의 외화가 경제성장에 요긴하게 쓰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파독 인력송출은 단순히 경제개발이란 틀로만 정의하기 어려운 다양한 층위가 존재하는 복합적인 역사적 대상이며, 그 다양한 층위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의해서 드러난다. 국가는 경제개발에 필요한 외화벌이를 위해 노동자를 파독(동원)했지만, 개인은 생존과 미래를 위해 독일 취업을 주체적으로 선택했다. 개발시대의 역사는 인식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