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忍齋 洪暹의 학적 연원과 문학 지향

        정용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2

        정용건, 2022, 인재 홍섬의 학적 연원과 문학 지향, 어문연구, 194 : 325~357 본고는 16세기 중반의 문인 洪暹(1504~1585)을 대상으로, 그의 학적 연원과 문학 지향에 대해 논한 글이다. 홍섬은 16세기 초‧중반 道學의 방법론이 부상하고 한편으로 詞章의 역할과 위상 역시 여전히 강조되는 가운데, 조정 문단의 중심에서 활동한 인물이었다. 그는 이른 나이부터 文才를 인정받아 문한 요직을 두루 역임하고 대제학에 임명되었으며, 외조부 宋軼, 부친 洪彦弼의 뒤를 이어 영의정에까지 오름으로써 문학-정치 양면에서 정점의 성취를 이루었다. 한편으로 그는 외당숙 趙光祖에게 수학하여 학문의 기초를 닦았으며, 예학에 밝아 『讀禮類篇』을 편찬하고 李滉과 같은 인물과 두터이 교유하는 등 학인으로서의 면모 역시 분명히 갖추고 있었다. 홍섬의 문학에 대해서는 ‘浮華함을 배척하고 典實함을 지향하였다’는 평이 우세한 가운데, 道의 실현에 기여하는 文의 기능과 효용을 긍정하는 시각을 일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제적인 문학 활동과 작품 세계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前代 文運에 대한 계승 의지와 詞章에의 우호적 시선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문학 의식의 특징으로 언급할 수 있다. 遠接使‧館伴으로 참여하여 명 사신과의 시문 수창을 수행한 일, 『皇華集』 편찬 및 서문 제작, 契會 관련 시문 및 관공서 기문 등의 창작 활동이 바로 그러한 면모를 단적으로 드러내 주는 사례이다. 이상 살핀 바와 같은 문인으로서의 홍섬의 생애 궤적과 작품 활동의 양상은, 일정한 틀에 구속되지 않고 복잡‧다기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던 16세기 문학 세계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인 사회의 ‘鮮于氏’에 대한 인식 양상과 그 의미

        정용건 한국한문고전학회 2023 漢文古典硏究 Vol.46 No.1

        This thesis examines the changing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Seonwoossi(鮮于氏)’ in Joseon society and its meaning. Currently, Seonwoossi is widely known as a family of Gija(箕子)'s descendants, but even before the 16th century, they did not show much presence in Joseon society. There is no case of advancement to a central government post through gwageo(科擧), and in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there are almost no records of people from the Seonwoossi family. As such,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Seonwoossi by linking with Gija. Then,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perception of Seonwoossi changed drastically. The reason for this transition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points. The first is official recognition as the descendants of Gija. In 1611, due to the appeal filed by Confucian scholars in Pyongyang(平壤), Joseon upgraded Gija's shrine to 'Sunginjeon(崇仁殿)' and confirmed Seonwoossi as the descendants of Gija, and made them take charge of the shrin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ddition, Seonwoossi was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and allowed to focus on holding ancestral rites while living together in Pyongyang. In the background of this official recognition, there was a consciousness of honoring Gija that had been steadily accumulated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efforts of scholars in Gwanseo(關西) region who had been striving to overcome the gaze of discrimination and alienation. The second factor in the change of perception is the appearance of Seonwoossi's famous scholar, 鮮于浹(Seonwoo Hyeop). Seonwoo Hyeop was the son of Seonwoo Sik(鮮 于寔). He established a solid academic world based on the Confucianism. His academic and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were developed based in Pyongyang, were widely known to the center beyond one region, and his achievements were celebrated in the form of the establishment of a seowon(書院) and the public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As such, Seonwoossi experienced a dramatic phase change in the late Joseon due to two occasions that occurred in the 17th century. Not only did the central government pay special attention to this family, but also the matters related to ‘Gija and Seonwoossi’ became established as a literary classic in the literary society. Even before the 16th century, the Seonwoossi, which was only a ‘Byeokseong(僻姓)’, has now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symbolizing Joseon civilization. The aspect of Seonwoo's historical status change allows us to get a glimpse of the aspect of respect for Gija in the late Joseon and the efforts of the scholars of the Gwanseo region who were fiercely concerned about overcoming discriminatory perceptions. 본고는 조선 사회에서 이루어진 ‘鮮于氏’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현재 선우씨는 기자 후손 가문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지만, 16세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이들은 조선 사회에서 별다른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였다. 과거 시험을 통해 중앙 관직에 진출한 사례가 전혀 없음은 물론, 각종 문헌 자료에는 선우씨 출신 인물들에 대한 기록 자체가 거의 드러나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선우씨 가문과 기자를 연결하여 인식하는 사유는 더더욱 존재하기 어려웠다. 그러던 것이 17세기 초에 들어와 선우씨에 대한 인식이 급격하게 전환되었 다. 그 전환의 계기는 크게 두 지점으로 나누어 이야기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선우씨에 대한 기자 후손으로서의 공인이다. 1611년(광해3) 조정에서는 평양 유생들이 올린 상소로 인하여 기자의 사당을 ‘崇仁殿’으로 격상시키고 선우씨를 기자의 후손으로 확정하여 대대로 그곳의 殿監을 맡도록 하였다. 또한 선우씨를 군역에서 면제해 주고 평양에 모여 살면서 제사 지내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공인의 배경에는 조선 전기 이래 꾸준히 축적되어 오던 기자 존숭 의식, 그리고 차별‧소외의 시선 극복을 위해 힘써 오던 關西 지역 문인들의 노력이 존재하고 있었다. 인식 전환의 두 번째 계기는 선우씨 출신의 저명 학자 鮮于浹의 등장이다. 선우협은 초대 숭인전 감 鮮于寔의 차남으로서 젊은 시절부터 성리학에 뜻을 두어 易學을 바탕으로 한 학문 세계를 공고히 구축하였다. 평양을 근거지로 하여 전개된 그의 학문과 교육 활동은 한 지역을 넘어 중앙에까지 널리 알려져 문인 사회에 두루 회자되었으며, 그의 업적은 평양 지역 서원 건립, 문집 간행 등의 형태로 기려졌다. 이처럼 선우씨는 17세기 다소 급작스레 발생한 두 가지 계기로 인하여 조선 후기 극적인 위상 변화를 겪게 되었다. 중앙 조정 차원에서 이들 가문에게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두터운 대우를 하였을 뿐 아니라, 문인 사회에서 ‘기자와 선우씨’에 관한 사항이 하나의 문학적 전고로 자리 잡기도 하였다. 16세기 이전 까지만 하더라도 동방의 ‘僻姓’에 불과하던 선우씨가, 이제는 조선 문명을 상징 하는 대표 가문 중 하나로 자리 잡은 것이다. 이와 같은 선우씨의 史的 위상 변화의 양상은, 기자 후손의 확립을 통해 문명 정통성을 강조하고자 했던 조선 후기 기자 존숭 의식의 한 국면과 차별적 인식의 극복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 였던 관서 지역민들의 노력을 아울러 엿볼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中宗代 官僚 文人의 ‘文治’에 대한 기억과 정책적 계승 - 世宗‧成宗代 학문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정용건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7 No.1

        This thesis researched that the memories of ‘Academic policy(文治)’ of Sejong(世宗) and Seongjong(成宗) Dynasty were firmly establish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bureaucrats in Jungjong(中宗) dynasty, and it became the main power for the promotion of academic and cultural policies of the time. As the group who experienced the former time’s cultural prime represented by Sejong and Seongjong, the bureaucrats in Jungjong dynasty(中宗代 官僚 文人) set the first goal to realize past politics in their own age. Looking at their literature materials, it can be seen that the reign of Sejong and Seongjong has been consistently mentioned as a splendid historical event, and its succession has been used as a political slogan. And it was not only a mere rhetoric, but also actively reflected in actual works, and played a key role in leading academic policies such as maintenance and publishing of book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political legacy of Sejong and Seongjong which had been the prim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still maintaining its status as a name of ‘academic policy’ in Jungjong dynasty. Analyzing the values and actual policy of the bureaucrats in Jungjong dynasty in terms of ‘academic policy’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us to grasp the scholarship in a continuous context with the previous period. In addition, it will help to understand one side of the age spirit that has been running in their own way by giving stereoscopic vision to the activities of those who have been get a fairly flat interpretation under the name of ‘School of literature(詞章派)’. 본고는 中宗代 官僚 文人들의 의식 속에 世宗‧成宗대의 ‘文治’에 대한 기억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음을 확인하고, 그것이 당대의 학문‧문화 정책 추진에 주요한 동력이 되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중종대 관료 문인들은 세종‧성종으로 대표되는 이전 시기의 文運 盛世를 경험한 세대로서, 燕山君 시기에 정치적 좌절을 겪은 뒤 중종대에 이르러 과거의 정치를 자신의 시대에 구현해내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들이 남긴 기록을 살펴보면 세종‧성종의 치세가 훌륭한 故事로서 빈번히 언급됨은 물론, 이에 대한 계승이 정치적 구호로까지 사용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억과 열망은 단순한 修辭나 名分 차원에서 활용되고 그친 것이 아니라 실제 정사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서적의 정비 및 간행, 인재 육성 등 각종 학문 정책 국면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조선 전기 전성기를 구가하였던 세종‧성종대의 학문적 유산은, 중종의 시대에도 여전히 ‘文治’라는 이름으로 유효한 지위를 획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文治’라는 키워드를 통해 중종대 관료 문인의 가치 지향과 실제 정책을 분석하는 작업은, 이들의 학문관을 이전 시기와의 연속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본다. 아울러 이는 그간 ‘詞章’라는 이름하에 다분히 평면적인 해석을 면치 못하였던 이들의 당대 활동에 입체성을 부여함으로써, 그들 나름대로 영위해 갔던 시대정신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中宗代 文人의 昭陵 復位에 대한 기록의 양상과 그 의미

        정용건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78

        This thesis researched the political and academic intentions that the prime movers of the argument about restoration of Sorung(昭陵) are projecting on this issue and its mean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tents about Sorung were recorded considerably by the writers in Jungjong(中宗)'s reign. Sorung is the word that refered to Hyeondeok(顯德王后, 1418~1441), who was the queen of MoonJong(文宗) and the mother of Danjong(端宗). In 1456, Queen Hyeondeok was expeled from Jongmyo(宗廟) by Sejo(世祖) because of the movement for restoration of Danjong(端宗復位運動), but some people insisted that it was not proper considering the nation's prestige and Confucian justification. It is the core of the argument about restoration of Sorung. The restoration of Sorung was a pursuit that has beed raised continually by the rising scholars armed with the Confucian values. However, as it acted as one of the triggers for the massacre of scholars(士禍) in Yeonsangoon(燕山君)'s reign, it was considered a political taboo for a while. And in the time of Jungjong's reign, by the political growth of the scholars, it was able to accomplished in 1513. The prime movers for the restoration of Sorung were clos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to the former movers such as Nam Hyo-on(南孝溫) and Kim Il-son(金馹孫). In that sense, the restoration of Sorung in Jungjong's reign meant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 Confucian values, but also the 'succession', 'official approval', and 'mainstreaming' of 15th century's academic intention. For this reason, the prime movers reestablished its justification and historical meaning by imprinting their achievements in the public and private records. such records encompass not only objective narratives and personal thoughts but also ghost stories about the restoration. It shows their consciousness and hope to external commemoration and publicity for restoration of Sorung. This thesis has a primary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to recognize the movers' conscious orientation and their passionate activity to establish Confucian value. In addition, it provide to have a extended vision about scholarly terrain in Jungjong's reign by understanding their academic tendency with continuity of 15th century and homogeneity between the old and new scholars. 본고는 ‘昭陵 復位’와 관련한 내용이 中宗代 文人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기억‧기록된 사실에 근거하여, 이를 통해 논의의 주체들이 이 사안에 투사하고 있던 정치적‧학문적 지향과 의미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昭陵’은 文宗의 비이자 端宗의 모친인 顯德王后(1418~1441)의 陵號를 가리키는 말이다. 현덕왕후는 자신의 사후에 발생한 端宗 復位 事件(1456)에 연좌되어 世祖 때 종묘에서 廢黜되었는데, 이것은 국가의 체모와 유가적 명분에 비추어 볼 때 합당하지 못한 처사이므로 그의 位號를 다시 追復해야 한다는 것이 昭陵 復位論의 요지이다. 소릉 복위는 成宗 때부터 성리학적 가치관으로 무장한 新進 士類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숙원 사업이었다. 그러나 이는 燕山君代의 士禍 촉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면서 이에 대해 거론하는 것 자체가 한동안 정치적 금기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그러던 것이 中宗 때에 이르러, 이전보다 상승된 士類들의 정치적 지위에 힘입어 폐출 57년 만인 1513년 소릉의 追復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 여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관료 문인들은 유가적 이념의 실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은 물론, 대부분 南孝溫‧金馹孫 등 前代의 소릉 복위론 주창자와도 정치적‧학문적으로 긴밀한 관계에 놓인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점에서 보면, 중종대에 이루어진 소릉 복위는 유가적 가치관의 확립 뿐 아니라 이전 시대부터 내려온 신진 사류 학문관의 ‘繼承’과 ‘公認’, ‘主流化’를 의미하는 상징적인 사건이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소릉 복위의 주체들은 자신이 이룩한 성과를 公的‧私的 기록 속에 새겨둠으로써 사안의 명분과 정당성, 사적 의의 등을 다시 한 번 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기록에는 복위의 경개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이나 개인적 소회 뿐 아니라 사대부와 민간에서 떠도는 神異談까지 망라되어 있어, 소릉 追復의 대외적 기념과 공표를 바랐던 그들의 의식을 더욱 선명하게 읽어낼 수 있다. 이는 곧 중중대 관료들의 학적 지향과 특질을 나타내주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가 된다. 본고에서 검토한 이와 같은 내용은 소릉 복위를 실현시킨 ‘주체’의 문제와 유가적 가치관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였던 이들의 면모에 대해 인식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의를 가진다. 아울러, 중종대 문인들의 학적 지향을 15세기 학풍과의 연속성 및 당대 신구 사류 간의 동질성 위에서 이해함으로써, ‘훈구-사림’의 구도 하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던 이 시기의 학문 지형을 보다 입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艮齋 崔演의 산문 연구-「雜著」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정용건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6

        This paper is a text that introduces the life history and literary status of Ganjae(艮齋) Choi Yeon(崔演), a writer in the mid-16th century,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rose world he admired. Choi Yeon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talent from a young age, and was served in various important literary positions. In particular, he was selected as a member of the Wonjeobsa(遠接使) Jongsagwan(從事官) to welcome the Ming(明) envoy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creation of poetry and prose. As such, he occupied a solid position as a 'main bureaucratic writer in the mid-16th century'. On the other hand, he was also widely remembered as a 'famous writer from Gangneung(江陵)' who was recognized as a marginal member in Joseon at the time. Choi Yeon's prose were developed based on such academic background and position. Most of his prose is of a public nature. However, among them, the works of 「Japjeo(雜著)」 written in the private realm were established based on various literary references and use of rhetoric, showing his literary-oriented tendency well.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in his prose of 「Japjeo」 is that he wrote anthropomorphic works such as 「Chuksima(逐詩魔)」, 「Bonggwanseongj- ago(封管城子誥)」, and 「Guksujaejeon(麴秀才傳)」. These works, which seem to have been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Chinese and Korean works, including Han Yu(韓愈)'s 「Songgungmun(送窮文)」 and Lee Gyu-bo(李奎報)'「Moyeongjeon(毛穎傳)」, inherited previous achievements, but were established through their own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and literary modification. Through these works, he expressed his identity as a writer as well as his agony and pride. In addition, he also left two pieces of ‘Seol(說)’ works, 「Annoseol(雁奴說)」 and 「Myoposeoseol(貓捕鼠說)」. These are also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writings such as Tang(唐) and Song(宋) prose. However, while Choi Yeon leaned on past achievement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consciousness, in the composition of specific works, he took a somewhat differentiated method and solved the topic of state management. Choi Yeon's prose of 「Japjeo」 has thematic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self-identity as a writer and literary realization of grand discourse, and has formal characteristics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China and Korea's literary achievements.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his tendency as a writer from Gangneung to devote his whole life to literary activities in the central stage. On the one hand, this is also a point that shows a characteristic of 16th-century prose, which sought to diversify its works by clearly revealing its literary prowess through the method of referring to and applying various achievements of its predecessors. 본고는 16세기 중반의 문인 艮齋 崔演을 대상으로, 그 생애 이력과 문학적 위상을 소개하고 그가 구가한 산문 세계의 특징적 면모를 살핀 글이다. 최연은 젊은 시절부터 文才를 인정받아 賜暇讀書 관원으로 선발되고 주요 문한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明 사신을 맞이하는 遠接使 從事官로 선발되어 시문 수창의 국면에서 크게 활약하였으며, 각종 공문서의 제작을 담당하여 차기 文衡의 재목으로 주목받았다. 이처럼 그는 ‘16세기 중반의 주요 관료 문인’으로서 견고한 위상을 점유하였다. 한편으로 그는 당시 조선에서 주변부로 인식되었던 ‘강릉 출신의 저명 문사’로서도 널리 기억되었다. 최연의 산문 창작 활동은 이와 같은 학적 배경과 지위를 기반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그의 산문은 평생동안 유지된 관료로서의 삶을 반영하듯, 공적 성격을 띠는 것이 다수를 차지한다. 다만 그중에서도 사적 영역에서 찬술된 艮齋集 「雜著」 소재 작품들은 다양한 문학적 참고와 수사 활용을 바탕으로 성립되어, 그가 지닌 문예 지향적 성향을 잘 보여준다. 「잡저」에서 먼저 눈에 띄는 점은, 「逐詩魔」, 「封管城子誥」, 「麴秀才傳」과 같은 擬人體 산문이 여럿 실려 있다는 것이다. 韓愈의 「送窮文」, 「毛穎傳」을 비롯한 다양한 중국 작품과 고려 말~조선 초 선배 문인들의 가전 작품에 영향을 받아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이들 작품은, 前代의 성과를 계승하면서도 그 나름의 변용․확장과 문학적 수식을 거쳐 성립되었다. 그는 이러한 작품을 통해 문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과 고뇌, 자부심을 아울러 표출하였다. 또한 그는 「雁奴說」과 「貓捕鼠說」이라는 두 편의 ‘說’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다. 이들 역시 당․송 산문 및 太平廣記 등 유서류 저작의 강력한 자장 위에서 산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최연은 제재와 주제의식의 측면에서는 과거의 성취에 기대었으면서도, 구체적인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이전 작품들과 다소 변별된 방식을 취하며 국가 운영에 관한 논제를 풀어내었다. 이처럼 최연의 「잡저」 작품은 문사로서의 자기 정체성 피력 및 거대 담론의 문학적 구현이라는 주제․내용 상의 특징을 지니며, 중국 및 우리나라의 문학적 성취에 대한 계승과 변용이라는 형식적 특징을 지닌다. 이는 강릉 출신 문사로서 일생토록 중앙 조정에서 문한 활동에 전념한 그의 성향이 고스란히 드러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이는, 비록 그 수는 조선 후기에 비해 많지 않지만, 전대의 여러 성취를 두루 참고하고 응용하는 방식을 통해 文藝趣를 선명히 드러내고 작품의 다변화를 모색했던 16세기 중반 산문의 한 특성을 보여주는 지점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강원 지역 문인 연구 우정(憂亭) 김경직(金敬直)의 춘천(春川) 도포서원(道浦書院) 배향과 그 추숭 양상

        정용건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0

        본고는 춘천(春川) 도포서원(道浦書院) 배향 인물 가운데 하나인 김경직(金敬直)의 생애와활동, 그리고 그 추숭 양상에 대해 살핀 글이다. 김경직은 춘천 출신의 문과 급제자로서 지역 사회에 널리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신숭겸(申崇謙)·신흠(申欽)과 함께 도포서원에 배향되기까지 한 인물이었음에도, 서원 건물의훼철과 자료의 부재로 인해 그간 충분한 조명을 받지 못해왔다. 그는 1590년 진사시에 합격, 1610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광해군(光海君)의 난정에 실망하여 춘천 우두촌(牛頭村)으로 돌아와 은거하였다. 이후 인조반정(仁祖反正) 뒤에 비로소 다시 출사하여 여러 내외직을 역임한 뒤 은퇴하여 춘천에서 노년을 보냈다. 그는 이정형(李廷馨)·신흠(申欽)·김상헌(金尙憲) 등 당대의 명사들과 두루 교유하고 최명길(崔鳴吉) 같은 중신에게 직능을인정받았으며, 지역의 후학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는 점에서 춘천을 대표할 만한 인사로 주목받았다. 김경직이 춘천 도포서원에 배향될 수 있었던 직접적인 요인은 크게 세 지점으로 나누어 이야기할 수 있다. 먼저, 중앙 관직을 지낸 뒤 고향으로 은퇴하여 후학을 길러낸 ‘향선생(鄕先生)’으로서 공고한 지위를 획득하였던 점을 꼽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당대의 대문인으로서 춘천에 유배되어 있던 신흠과 깊이 교유하였고 그 외가 또한 평산 신씨(平山申氏)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광해군 때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여 절조를지킨 점을 거론할 수 있다. 특히 이 세 번째 지점은, 도포서원 배향의 동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이미지를 ‘절사(節士)’로서 문인 사회에 각인시키는 데에도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실제 형상화 작업은 송시열(宋時烈) 이하 노론계(老論系) 인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이들은 김경직이 지닌 절의의 면모에 관심을 보이고 그러한 요소를 추출·확대하여 각종 전기류 기록에서 이를 반복적으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 김경직은 단순히 ‘지역 사회의 향선생’으로 기억되는 것을 넘어 격랑의 시기 속에서도 자신의 지조를 꿋꿋이 지킨 ‘광해조의 일민(逸民)’으로서 전국적인 명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김경직의 생애와 활동, 후대적 추숭 양상은 춘천 도포서원 배향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조선 시대 지역 사회의 문인이 지속적인 기억작업을 통해 전국적인 위상을 부여받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살필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中宗 연간 문집 편찬‧간행 양상과 그 의미 - 前代 문인의 문집을 중심으로

        정용건 한국고전문학회 2019 古典文學硏究 Vol.55 No.-

        This thesis discovered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litarary works of the former writers consistently took place during the reign of Jungjong(中宗), and analyzed its tendency and meaning. The compilation of anthologies during the reign of Jungjong was carried out in a periodical atmosphere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restoration of civilization(文運) ruined by Yeonsangun(燕山君), and it was lead by the bureaucrats(官僚 文人) who strongly trusted the public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文)'. Most of all, they focused on the compilation of anthologies of the bureaucrats in Seongjong dynasty(成宗代 官僚 文人) and victims of the massacre of scholars(士禍), under the purpose of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civilization' by supplementing the literary works. As this consciousness that the collection of the literary works is linked with civilization of the age influenced on the each writer's family, the compilation of 'sego(世稿)' also appeared. Second, as many disciples of Kim Jong-jik(金宗直) became a bureaucrat during the reign of Jungjong, related traces are often found in the collections. This suggests that Kim Jong-jik was recognized as authenticity of the literature and there was a movement to succeed his literature. Finally, it is confirmed that anthologies of the recluses(逸士) such as Kim Si-seup(金時習), Nam Hyo-on(南孝溫) and Cho Ryo(趙旅) were compiled, which seems to reflect the aspect of the time when confucian ideas was strengthened. Thus, the bureaucrats in the reign of Jungjong devoted their efforts to compile and publish anthologies of the former writers with recognition about the value and role of the 'literature' as a means of proving civilization. Through this analysis, we could understand not only the political goals and literary aspects of the writers, but also the status and meaning of 'literature' in the academic field of the time. 본고는 中宗 연간 前代 문인에 대한 시문 수습 및 간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정황을 확인하고, 이 시기 문집 編刊 경향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중종 연간의 문집 편찬은 燕山君 이후 실추된 世道의 회복에 대한 의식이 전방위적으로 고조되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이를 주도한 것은 ‘文’의 공적 기능과 역할을 강하게 신뢰하였던 官僚 文人들이었다. 이들은 무엇보다도 문헌의 보충을 통한 ‘文運의 회복‧계승’이라는 목표 아래 成宗代 유력 관료 문인 및 士禍期 被禍人에 대한 문집 편찬에 집중하였다. 문집의 수습이 곧 시대의 文運과 연계된다는 이러한 의식은 개별 文翰 가문에게도 이어져, 世稿의 편찬이 하나의 흐름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중종대에는 金宗直의 門人들이 적지 않게 관료로 진출해 있었던 만큼 당대 편찬된 문집에서 그와 관련한 내용이 빈번히 발견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문단에서 김종직을 문장의 正脈으로 인식하고 그의 ‘文’을 계승하고자 한 움직임이 존재하였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시기에는 金時習‧南孝溫‧趙旅와 같은 逸士에 대한 문집이 편찬된 사실이 확인되는데, 이는 유가적 의리관이 강화되고 있던 당대의 실정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이처럼 중종대의 관료 문인들은 세상의 治亂를 증험하는 도구로서 지니는 ‘文’의 효용과 가치를 분명하게 인식한 위에서, 문운의 증거가 되는 문집 수습 및 간행에 힘을 기울였다. 이러한 정황은 당대 문인의 학적 지향과 문학관의 실체를 보여줌은 물론, 당시 學問場에서의 ‘文’의 지위와 그 사적 의미를 확인케 한다는 점에서, 16세기 전반기의 학문 지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조선 문인 사회의 耘谷 元天錫 인식 양상 고찰

        정용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3

        This thesis is a diachronic examination of the cognitive aspects of Ungok(耘 谷) Won Cheon-seok(元天錫)(1330~?) in the Joseon literary society. Won Cheon-seok spent most of his life in seclusion in Wonju (原州), and because his collection of works remained in the family for a long time, his name was not properly known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He gradually became known to the literary community because he insisted that King Woo (禑王) and King Chang (昌王) belonged to the Wang (王) family and not the Shin (辛) family. He later gained recognition from his contemporaries as “a historian who recorded history correctly” and “a scholar who maintained loyalty to Goryeo.” Among these, the latter aspect was strengthened in succeeding generations, and he was compared to the representative of Goryeo’s loyalists, while stories that were expanded, refracted, and changed in a way that emphasized loyalty were added to his narrative. This discovery-revaluation-exaltation work about Won Cheon-seok in the late Joseon demonstrates that this historical image was not formed all at once but rather as the result of the gradual and progressive shaping of that perspective by various scholars. Additionally, this enables a glimpse into the literary society’s atmosphere of that time, which continually tried to discover and commend the figures of loyalty according to the deepening of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