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사상의 인간 본성론(本性論) 연구

        박병만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4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In addition, it seek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and how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relates to the direction of the Basic Works and the Three Major Societal Works of Daesoon Jinriho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I have classified various theories of human nature that appear i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have analyzed and reviewed them. I used this framework of types as a methodological criterion to study the theory of human nature found in Daesoon Thought. In Daesoon Thought, human nature is defined clearly as the conscience that is honest and truthful. Also, it accepts humans’ basic biological needs, the pursuit of clothing, food, and sexual desires as part of human nature. This view can be evaluated as quite similar, although not perfectly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human nature posited by Wang Fuzhi (王夫之), who defined human nature as a combination of morality and biological desires.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emphasizes human morality, but at the same time, it fully accepts that biological needs are basic elements of human life. In addition, it shows a characteristic that strongly implies a religious tendency as it recognizes that human nature is internalized through divine commands issued by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九天上帝 Gucheon Sangje), the transcendent and absolute ruler. The Basic Works of Daesoon Jinrihoe, which are Propagation, Edification, and Cultivation, aim to restore human nature to its innate state of honesty and truthfulness. Among the Three Major Societal Works, we can see that the works of Social Welfare and Charity Aid ar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ing acknowledgment of basic human needs (the pursuit of clothing, food, and sexual desires), and helping people meet their needs in appropriate ways and to appropriate degrees. 본 논문은 대순사상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와 그 특징을 비롯하여 그 본성론이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 및 3대 중요사업의 방향성과 어떻게 연관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대순사상의 본성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자는 유학전통에서 나타난 여러 본성론을 유형(類型)별로 나누어 이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이 유형적인 틀을 방법론적 기준으로 삼아 대순사상의 본성론을 살펴보았다. 대순사상에서는 인간 본성을 정직하고 진실한 양심(良心)으로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또한, 의(衣)ㆍ식(食)ㆍ색(色)의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욕구도 본성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도덕성과 생물학적 욕구를 아울러 본성으로 규정한 왕부지(王夫之)의 본성론과 일치하지는 않으나 상당히 유사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본성론은 인간의 도덕성을 강조하면서도 생물학적 욕구가 인간 삶의 기본적인 요소라는 점을 충분히 수용하고 있었다. 또한, 초월적 절대자인 구천상제(九天上帝)의 명에 의해 본성이 내재화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임으로써 종교적인 성향을 강하게 내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인 포덕ㆍ교화ㆍ수도에서는 이 정직하고 진실한 본성을 온전하게 회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3대 중요사업 가운데 사회복지사업과 구호자선사업에서는 의ㆍ식ㆍ색의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인정하고 수용하여 적절한 차원에서 이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과학의 본성’ 교육 -그 다원성 고찰-

        조은진 ( Eunjin Cho ),김찬종 ( Chan-jong Kim ),최승언 ( Seung-urn Cho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최근 유수 과학교육연구자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교육 현장은 물론, 과학교육 연구 전통에서 과학의 본성 교육의 중심축을 형성해온 ‘합의 과학의 본성 관점’에 대한 비판과 옹호 및 대안적 견해들을 갑론을박 형세로 제기하고 있다. 합의 과학의 본성 관점은 다각적인 경로를 통해 NOS 교육 표준화를 위해 구축한 ‘보편적 과학 지식의 본성’에 해당한다. 그 교의에는 과학 지식의 잠정성, 주관성, 이론의존성, 법칙과 이론, 관찰과 추론, 상상력과 창의성, 사회문화적 착근성 주제 등이 포함되며, 몇 가지 선언적 문장으로 구성된 리스트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서구 과학교육 연구 내 NOS 개념화 전통은 물론, 현 시점에서 논의되는 NOS 교육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현대적이며 미래 지향적 과학적 소양인 교육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특히 과학에 대한 전체론적 인식론을 주창해 온 저명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제시한 합의 NOS관점에 대한 논쟁과 비판의 요지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이어 과학의 본성이 갖는 본유적 가치는 다양한 학문적 렌즈를 통해 과학이 기능하는 실제 방식을 표현하는데 있으므로, 그러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이끌 수 있는 과학의 본성 개념에 다가가기 위해, 여러 대안적 과학의 본성의 내용 요소에 대한 제안 및 과학의 본성 교육에 대한 의견들을 살펴 보았다. 즉 ‘과학의 본성 개념이 갖는 논쟁적 요소에 대한교수’, ‘비판적 과학의 본성’, ‘비판적 사고력 과학의 본성’, ‘전체 과학’, ‘과학의 특성’, ‘재개념화 된 가족유사성 접근 과학의 본성’ 등을 고찰하여, 현대적 과학철학과 과학지식사회학에 기반을 두어 과학의 본성 내용 지식의 보편성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그 함의를 제시하였다. Nature of Science(NOS) has been a well-organized focus of science education and one of the key elements in defining and cultivating scientific literacy for more than a century. In recent years, a specific description of NOS, which is often known as ‘the consensus view of NOS’, has become very influential and has gained ready acceptance as an arrangement for both curriculum building and research into understanding of NOS by students and teacher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to review some debates and criticism on the consensus view of NOS which consists of a list of sentences to describe nature of refined and general science, which have been heated up for the last few years by many prominent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and the other is to consider alternative perspectives on NOS for the purpose of a new direction of NOS education.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into such views as ‘Teaching about NOS’, ‘Critical NOS’, ‘Critical Thinking-NOS’, ‘Whole Science’, ‘Features of Science’ and ‘Reconceptualize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NOS’, some implications which focus on the generality and plurality of content knowledge of NOS based on current philosophy of science and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NOS.

      • KCI등재

        양명의 인간 본성과 본성의 사회적 실현에 관한 교육적 이해

        이승철(Lee, Seung-chul)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7

        이 글은 인간 본성과 그 사회적 실현이라는 논제에 관한 루소와 양명의 교의를 비교 · 검토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교육적 시사를 다루고 있다. 루소와 양명의 본성은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양명의 본성 이해가 일원적임에 비하여 루소는 다원적이며 입체적인 본성관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 양명과 루소는 본성은 각각 純善과 兼善惡이라는 점에서 차별을 보인다. 셋째, 양명과 루소의 본성은 본성이 지닌 운동성에서 차별을 보인다. 넷째, 루소와 양명의 본성은 본성의 소여 양태에서 차별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인간 본성에 대한 루소와 양명의 차별성은 교육에 있어 규제와 계발이라는 관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examines Rousseau and Yang-Ming’s thought on the subject of human nature and its social realization, and deals with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arise from it. The nature of Rousseau and Yang-Ming reveals differentiation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Yang-Ming’s understanding of nature is unified, and Rousseau maintains a pluralistic nature. Second, Yang-Ming and Rousseau discriminate in terms of their nature as pure goodness and good and bad. Third, the nature of Yang-Ming and Rousseau discriminates against the mobility of nature. Fourth, Rousseau and Yang-Ming reveal discrimination in the form of sonship of nature. The differentiation between Rousseau and Yang-Ming on human nature is revealed in terms of regulation and enlightenment in education.

      • KCI등재

        생물 교수 맥락 내에서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의 구축

        김선영 ( Sun You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1

        본 논문은 예비 생물교사들을 대상으로 약 9개월에 걸친 연구기간동안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태도의 변화, 과학의 본성 교수 계획 및 실행 과정,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신념 및 과학의 본성 교수 전략 등의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지식의 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3학년 1학기 < 교과교육론 >과목을 통해 과학이란 어떤 학문인지, 과학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과학의 본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토론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과학사의 에피소드를 통해 과학의 본성 요소를 찾아보는 과정을 거쳤으며,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학습목표를 도입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가변성, 과학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창의적측면, 사회적 협의의 역할, 과학의 이론의존적 탐구, 과학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영향 등을 과학의 본성 교수학습 목표로 도입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고 수업에 이를 반영하였다. 또한 3학년 2학기 < 교재연구 및 지도법 >과목을 통해 과학의 본성 요소를 도입한 모의수업의 경험을 가졌다. 연구결과, < 교과교육론 > 과목에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관점에 향상을 나타냈으며, < 교재연구 및 지도법 >과목 후에는 두 요소에 대한 이해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모의수업 후 적은 반성적 일지에서 과학의 본성 요소를 중등학교 생물수업에 도입할 때 어려웠던 점, 과학의 본성 교수의 필요성, 그리고 어떤 교수법이 효과적인지 제안하는 모습을 보여 예비교사 스스로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을 구축해나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O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wo consecutive science methods courses: NOS understandings;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difficulties of NOS teaching; NOS teaching strategies; and views of orientation of NOS teaching. During the science methods course I, the preservice teachers engaged in discussions and reflections on what science is and how scientific knowledge has produced, drawing NOS aspects from episodes of history of science, and planning the lessons cooperating NOS instructional objectives. Then the next semester, through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chance of the simulated teaching by adopting NO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the secondary biology context. The preservice teachers, further, reflected on their NOS teach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the NO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y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views of NOS and its teaching(p<.05) after the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retained their understanding after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p>.05). The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NOS in the secondary biology context, and further suggested effective NOS teaching methods in their reflective journals.

      • KCI등재

        과학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정윤숙 ( Yoonsook Chung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과학 교육의 목표로 둘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서 빠뜨릴 수 없는 요소중 하나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학습전략이 논의되는 가운데, 다수의 연구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접근이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결과가 제시된다. 과학관련 사회쟁점(SSI)은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여 발생하며, 발달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단 하나의 확실한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논의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완전하지 않은 과학지식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쟁점에 대한 주장과 근거를 마련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훌륭한 학습 전략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SSI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과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존재한다. 이것은 과학의 본성을 일반화된 맥락에서 명시적으로 접근하고 과학관련 사회쟁점과 관련된 맥락에서 반성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SSI를 통한 학습 환경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기 위해서는 맥락화된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충분히 제공한 후, 맥락화된 상황에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일반화된 상황으로 전이될 수있는지 탐색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SI 학습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충분히 반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71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SI 프로그램 적용 전과후에 VNOS-C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맥락화된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화된 상황에서도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나타냈다. SSI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으로 반성할 수 있는 기회와 학습 자료를 제공한 것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전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Citizens should be sensitive to the complex and controversial SSIs (Socioscientific Issues), be able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with evidence and empathy, and furthermore take political action for the larger welfare. 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a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takes an important role when students and adults participate in the discourse on SSIs because SSI reasoning requires individuals to examine information and counter-information with skepticism. We therefore designed SSI programs that were incorporated with NOS by adapting a contextualized-reflective approach. The leading research question was to what extent SSI contexts contributed to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NOS. A total of 71 11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school was located in an urban city near the capital city of Seoul, South Korea. We designed SSI programs to cover the issue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climate change, and nuclear energy. Each issue required four to six class periods to complete. We conducted pre- and post-program tests using the revised VNOS-C, recorded group discussions or debates and collected student worksheets to observe the increase of student NOS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this program, students showed moderate improvem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NOS.

      • KCI등재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이영희 ( Young Hee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이해는 오랜 시간동안 과학교육학계의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중의 하나가 되어 왔다. 지난 20여 년간 과학교육에서 과학의 본성이 가지는 중요성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현장에서 과학 활동을 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 2008; Bayir et al., 2014). 최근에 들어서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과학교육에서 과학자들의 긍정적 영향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할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이와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학교육계에서 널리 인식된 과학의 본성 주요 측면이 실제 현장에서 과학 활동을 하는 과학자들에 의해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미한국 과학기술자협회(KSEA: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소속의 과학자들 35명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였다.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과학적 소양에 근거한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 틀(Lee, 2013)을 기반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설문지 작성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전체 참여 과학자들의 설문후 지원한 4명의 과학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자들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과학 교육에서 제시된 과학의 본성과 일치되는 견해를 갖고 있었으나 몇 가지 영역에서는 상반되는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과학교육에서 제시된 다양한 과학의 본성 측면 중에서 과학지식의 잠정성 및 가변성, 과학의 다양한 사회적 영향, 과학의 한계성, 그리고 과학 활동의 협력성 등의 과학의 본성은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반면 다양한 과학지식의 차이, 과학 탐구의 다양성, 그리고 상상력 및 창의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측면으로는 1. 과학 지식에 대한 본성에서는 약 60% 이상의 설문 참여 과학자들이 과학적 이론이 더많은 증거로 뒷받침되면 과학적 법칙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으며 2. 과학의 탐구적 본성에서는 약 60%이상의 과학자들이 과학의 탐구 방법을 몇 가지 단계를 거치는 실험과정에 국한하는 매우 제한된 과학의 본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3. 과학적 사고의 본성에서는 약 50% 과학자들이 과학 활동에 있어서 상상력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견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4. STS적인 과학의 본성(ThemeIV) 측면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의 본성 견해와 높은 일치률(약 90%)로 같은 견해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현장에서 과학 활동만으로 철학적 반성을 통한 모든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Bayir et al., 2014) 사회 속에서 직업 활동으로써 체험한 STS적인 과학의 본성 측면은 내면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consistent topic as one of the most importantgoal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Even though there is a variety of research related with the NOS conducted in science education, few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for the conception of scientists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Bayir et al., 2014; 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2008). Recently,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turned their attention to identifying views of scientist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inc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scientists in science education (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orean scientis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use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the views of 35 scientists who belong to the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KSEA)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were explored.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scientists have more informed views with respect to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embedded in science, the limitation of science, and the collaboration of science with others, the scientists have more naive views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laws and theori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scientific method, and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such, it can be assumed that the scientists cannot conceptualize their notion in a philosophical sense even though they are engaged in scientific work in reality (Bayir et al., 2014).

      • KCI등재

        대학생들의 과학과 기술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관계에 대한 탐색

        조헌국,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106명의 의학계열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과 기술의 본성의 인식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설문을 통해 4개의 과학의 본성의 범주와 6개의 기술의 본성 범주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의 본성 중 과학지식의 본성과 과학적 사고의 본성이 기술의 본성에 대체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 중 산출물로서의 기술은 과학의 본성과 부적 상관을 보여, 타당한 과학의 본성의 이해를 가질수록 기술을 단지 제품이나 산출물에만 국한해 인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상관 분석과 달리 과학적 탐구에 따라 기술의 본성의 차이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과학의 본성과 기술의 본성을 각각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으로 바꾸어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학의 본성이 기술의 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본성이 과학의 본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기술의 본성에 따른 인식을 토대로 이를 집단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비계층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교육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s of student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nature of technology.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and six categories of the nature of technology (NOT) was given to a total of 106 life science majors taking the introductory science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think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ature of technology, while technology as outp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e MANOVA showed that unlike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revealed higher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echnology. In order to explain the gap betwee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MANOVA, this study adopte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ture of technology had greater influence on the nature of science than the other way around. The result of non-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main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with the two axes (NOS and NOT).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suggested the needs of future research for the related topic.

      • KCI등재

        과학의 본성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나현,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였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의 본성에 관한 연구 순이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연구 대상은 학생, 그 중에서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둘째,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경우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초반부터 현재까지 대체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해 전통적인 관점과 현대적인 관점의 중간적인 입장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학생들은 연구 초반에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현대적인 관점을 갖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비교적 현대적인 관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방법은 명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고, 수업의 소재로 과학사를 활용하고, 반성적 활동을 포함하였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과 관련한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학의 본성을 올바르게 함양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research trends such as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ubject for papers on the nature of science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science's nature is the most popular topic, followed by the study on the class methods and programs to boost awareness of science's nature, and the study on the nature of science presented in textbooks and curriculum.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diverse methods were adopted, including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while quantitative research took the highest portion. In terms of study targets, many of them had studies on students, especial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tudy targets. Second, an analysis of studies tha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science's nature showed that teachers generally have an intermediate view on science's nature between th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views. Students, on the other hand, did not have a contemporary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but came to develop a relatively contemporary view over time. Third, when they adopted explicit approaches to improve perceptions of science's nature, use scientific history as teaching materials and include reflective activities in the class, it helped induce positive change on perceptions of science's nature.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despite the steady and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ot easy to help students have a proper per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tinue researches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to help properly foster the nature of science.

      • KCI등재

        범죄학과 인간본성론 ⅡI: 역동적(力動的) 인간본성론과 3차원적 분석법 : 범죄학 이론통합의 문제점과 대안

        이창훈 아시아교정포럼 2010 교정담론 Vol.4 No.2

        범죄학은 인간 이상행동 (deviance 異常行動)의 원언을 규명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기본적 성찰과 그에 대한 대전제(大前提, assumption) 와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을 정립, 인간의 이상행동을 예측하고 통제(統制, control)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본 연구(범죄학과 인간본성론 1, I 1, Ⅱ I)는 범죄학의 근간이 되는 인간에 대한 대전제들을 살펴보고, 범죄학이론통합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그 첫단계로, 범죄학과 연간본성론 I: 다면적 인간본성의 재발견이라는 논문(교정담론, 3권 2호)에서는 인간본성에 대한 거대 담론들을 바탕으로 다면적 인간 본성론(규범적, 결정론적, 인식론적 개념화)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두번째 단계로, 범죄학과 인간본성론 I I : 다면적 인간본성의 범죄학 적용 - 다면적 인간 본성의 역동적 개념화 라는 논문(교정담론, 4권 1호)에서는 다면적 인간본성론을 범죄학에 적용하여 범죄학이론의 인간본성에 대한 전제들을 분석,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역동적 개념화(즉, 인간본성의 연속성)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마지막 세번째 단계로, 본 논문은 범죄학계의 새로운 경향인 이론통합의 사례, 이론통합의 방법을 살펴보고, 인간본성에 대한 전제의 문제점이 극명하게 들어나는 이론통합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다면적 인간본성의 역동적 개념화를 통하여 지적된 문제점이 극복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두번째 단계에서 제시한 역동적 개념화 방법 (3차원적 연속성 분석을 통하여 인간본성에 대한 전제를 정적으로 보지 않고,연속적인 상태로 보는 것)을 범죄학에 원용하여, 이론통합에 있어서 통합이 가능한 이론들을 선별해 낼 수 있는 실용적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艮齋 田愚의 道德心 啓發과 儒敎文化 傳承

        이천승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6 No.-

        This paper seeks to reevaluate the implications of Neo-Confucianism of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and look into his efforts to inherit Confucius culture focusing on his teaching. Ganjae's thoughts are a tendency to reduce his theses to the general ideas of Zhuxi's or merely give superficial comments. Therefore, this paper begins with an attempt to understand his main thesis of "Simbonsung (心本性)." He argues that the moralistic mind that helps realize one's nature cannot be identical with the original nature. No matter how moralistic one's mind is, it belongs to the area of Chi (氣). Thus one should prioritize the original mind and keep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two as one always pursues to realize the original nature. Ganjae sees that even if our nature does not have any real force to rule our lives, merely by its existence it is important enough, as expressed in Sungsa-simje (性師心弟: Nature is a teacher and the mind is a pupil). As in the companionship between teacher and pupil, he wants to closely connect nature as the teacher with the moralistic mind that tries to mimic the teacher's way. Originated from his basic principle that puts high values on nature, it shows his consistent rigor that insists on the cultivation of the moral sense that can not be differed from the status of nature. The significance of Ganjae's thoughts lie in the fact that he emphasize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at may become nature through "Kyung (敬: Respect)." His efforts to keep the spirit of hope up rather than allowing any despondence enabled the continuance of the Confucius cultural heritage through his teaching. Though his communication with reality was limited, his strict self-restraint and his appeal for the self-awareness of one's true nature make it a typical ethical response that can provide a stable moral standard regardless of changing circumstances. 이 논문의 목적은 艮齋 田愚(1841~1922)가 제시한 성리설의 함의를 재검토하는 한편, 강학활동을 중심으로 유교문화 전승을 위한 그의 노력을 살펴보려는데 있다. 간재는 조선 성리학의 말미에 위치해 있으므로 그의 사상은 기존 논의의 흐름과 쟁점을 일별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가 제시한 몇 가지 명제들을 주자학 혹은 율곡학 일반론으로 환원시키거나 표면적 언급에 치중하여 오독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간재 사상의 주요 명제로 인식된 “心本性”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는 본성 실현의 계기로서 도덕적 마음은 본성과 동일시 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제아무리 도덕적인 마음일지라도 결국 기의 범주에 속하는 마음이기에 그 지향점인 본성과 일정한 거리감을 두고 본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그는 ‘心本性’이란 함축적 표현을 통해 본성에 대한 강조와 더불어, 일탈하기 쉬운 마음의 자의성을 본성이라는 기준에 의거하여 바로 잡으려는 노력을 촉구한다. 아울러 간재는 “性師心弟”을 통해 본성이 비록 현실적 작용력은 없지만 존재한다는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마치 사제동행처럼 스승으로서의 본성과 그것을 본받아 구현하려는 도덕적 마음을 긴밀히 연계시키려는 것이다. 그가 제시한 또 다른 명제인 “性尊心鄙” 역시 이러한 사상에 기초한다. 이는 결국 본성의 가치를 소중히 생각해야 된다는 기본 입장에서 출발한 것으로 그 본연의 상태와 합일되는 도덕심을 계발하려는 그의 일관된 논리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간재의 성리설에는 敬을 통해 본성에 일치될 수 있는 마음의 수양공부가 강조된다. 본성의 가치에 모든 것을 주목한다면 흐트러지기 쉬운 마음도 바로 잡을 수 있고, 왜곡된 현실도 언젠가는 제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현실의 좌절보다는 희망의 싹을 키워나가려는 그의 노력은 지속적인 강학활동을 통해 유교문화전승의 실마리를 이어갔다. 비록 간재의 삶이 현실과의 소통에 한계는 있었지만, 그가 보여준 엄격한 자기절제와 본성에 대한 각성의 촉구는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 흔들리지 않는 윤리적 가치규범의 한 전형으로 자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