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위기 이후 경제학의 새로운 분석도구로서의 복잡계 이론

        이대엽,박하일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1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8 No.-

        복잡계 이론은 시스템 동학의 갑작스런 변화를 설명하고 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 발전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복잡계 이론의 연구들은 최근의 금융위기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복잡계 이론은 복잡계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요소들보다는 개별 구성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야기하는 출현적 현상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금융 시스템에서의 출현적 현상인 시스템 리스크를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복잡계 이론은 향후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복잡 네트워크 이론은 시스템 리스크의 측정 등 거시건전성의 부문 간 차원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며, 복잡계의 임계 전환(critical transition)은 거시건전성의 동태적 차원을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행위자 기반 모형(ABM)은 현실의 복잡한 측면들을 모형에 도입하고 경제주체의 제한된 합리성과 학습 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경제주체의 높은 합리성을 가정하고 있는 동태적․확률적 일반균형(DSGE) 모형과 상호 보완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lex systems theory has been developed to explain sudden changes in system dynamics and to make ex-ante predictions on such changes. Relevant studies on this theory provide new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recent financial crisis. Complex systems theory help understand systemic risk which is an emergent phenomenon in a financial system, in that it focuses on the emergent property resulting from complex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 components rather than on each component comprising the complexity. The use of complex systems theory is expected to increase in areas as follows. First, complex networks theory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ross-sectional aspect of macro-prudentiality like the evaluation of systemic risk. Second, the studies on the critical transition of complex systems can shed some light on the dynamic aspect of macro-prudentiality. Also, an Agent-Based Model (ABM) is expected to play complementary roles to a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which assumes high rationality of economic agents, in that agent-based modeling includes complex aspects of the real world into the model and places importance on the bounded rationality and learning of economic agents.

      • KCI등재

        복잡계의 관점으로 풀어내는 생명현상, 정신현상, 문학창작의 발현 - 헤어프스트의 ‘가능성의 시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복잡계 물리와 문학 사이의 학제간 융합연구

        최은녕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2

        Die Transkulturalität des 21. Jahrhunderts z.B. hebt die Grenzen der verschiedenen Kulturen auf, durch die sich jahrhundertelang Regionen, Völker und Länder unterschieden haben, und lässt diese ohne eindeutige Unterscheidung und Bewertung nebeneinander existieren. Heutzutage erscheint die kulturelle Vielfalt als Chaoszustand, in dem eine Ordnung oder Hierarchie zwischen den Kulturen verneint wird und die Sicht herrscht, dass vielerlei Kulturen wie Pilze emporschießen und anscheinend ohne erkennbare Ordnung nebeneinander existieren. Die Theorie komplexer Systeme interpretiert die Tendenzen der heutigen Kultur als eine Art komplexes System, nämlich als ein System, dessen Komplexität durch die wechselseitigen Interaktionen zwischen der entropischen Unordnung und der negentropischen Ordnung verursacht wird.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erstens die Grundthesen der Theorie komplexer Systeme zu verstehen, indem sie die Manifestationen von Lebensphänomenen als Emergenzphänomene deutet, die typisch sind für komplexe Systeme. Sie legt zweitens einen Schwerpunkt auf die Emergenz im Bereich des Geistes, die durch die komplexe Wechselwirkung zwischen Bewusstsein und Unbewusstem entsteht, ein typisches Phänomen komplexer Systeme. Als eine Herausforderung, die auf dem Gebiet der Geisteswissenschaften kaum angenommen wurde, ermöglicht diese Sicht eine neue Vorgehensweise, die Literatur als ein Phänomen komplexer Systeme zu interpretieren. Die Möglichkeitenpoetik von Alban Nikolai Herbst, der als ein dafür repräsentativer Autor der deutschen Literatur des 21. Jahrhunderts gilt, gibt Beispiele für solche Phänomene komplexer Systeme in der Literatur. 근대의 고전물리학은 눈에 보이는 확정성의 거시세계를 해명함으로써 합리성, 규칙성, 보편성 등에 기초한 세계관을 옹호했다면, 현대의 양자물리학은 불확정성의 미시세계에 연구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비합리성, 불규칙성, 개별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세계관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21세기의 복잡계 이론은 양 세계관의 대립적 가치들을 더 이상 구분하지 않고, 오히려 동일한 문화권에서 서로 긴밀하게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양 가치관들이 융합적으로 탄생시키는 제3의 하이브리드 세계관을 창조한다. 복잡계 이론은 오늘날의 문화의 경향을 엔트로피적 무질서와 네겐트로피적 질서가 서로 상호 작용을 하여 발생시키는 복잡성을 가진 시스템, 즉 일종의 복잡계로 해석한다. 본 논문은 첫 번째로 복잡계 현상의 가장 전형적인 예가 되는 생명현상의 발현에서 발견되는 복잡계의 창발현상을 고찰함으로써 복잡계 이론의 기본적인 테제들의 이해를 시도한다. 두 번째로는 의식과 무의식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발생하는 정신의 발현을 복잡계의 관점으로 해석한 후, 마지막으로 기존의 인문학 분야에서 거의 시도한 적이 없는 도전으로서 문학을 일종의 복잡계 현상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때 독일의 대표적인 21세기 작가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헤어프스트의 ‘가능성의 시학’은 문학에서 발견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복잡계 문학으로서 복잡계 현상의 풍성한 예들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복잡계로서 생태계와 법계

        김종욱(Kim, Jong-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복잡계란 ‘구성요소 간 비선형 상호작용의 체계’라고 정의되는데, 이때 복잡함이란 단순한 무질서의 혼란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기존 구조가 붕괴되고 신 구조가 창출되었다가 다시 붕괴되고 또 창출되는 혼돈과 질서의 피드백적인 복합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중복되는 반복이 중층적으로 끝없이 되풀이되는 ‘중중무진’이야말로 순환적 되먹임으로 인한 복잡성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복잡계는 화엄적으로 표현하면 ‘중중무진법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복잡계는 비선형적이고, 창발적이며, 비환원적이고, 항상성을 지니며, 자기 조직적이고, 부분임과 동시에 전체이며, 개방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특히 에너지와 물질과 정보를 교환 소통하는 개방 체계라는 점에서 복잡계는 곧 생태계를 가리킨다. 그리고 생태계는 상호의존성에 기반한 순환성과 항상성을 기본 원리로 하는데, 불교에선 이런 상호의존성을 연생성 혹은 연기법이라 한다. 이런 연기라는 원리에 의해 관류되어 있는 세계, 상호의존하여 이루어진 모든 존재자로서의 일체법이 법계이다. 따라서 비선형 복잡계와 생태계와 법계는 그 본질을 상호의존성과 연기성으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종합 과학으로서 시스템학과 생태학이 발견한 세계인 비선형계와 생태계는 불교적으로 표현하면 한마디로 법계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이다. The complex system is defined as a system of the nonlinear interaction of components. The complexity is not a disordered complication but a feedback composition of the old structure collapse (positive entropy, positive feedback) and the new structure creation (negative entropy, negative feedback). Because this complexity of the circular feedback is similar with that of the continuous cycling of the overlapped repetitions, the complex system implies the endlessly doubled dharma-dh?tu in Huayen Buddhism. The complex system is characterized by nonlinear causality, emergence, nonreduction, homeostasis, self-organization, nonhierarchy, and openness. In this system a whole is more than just the sum of its parts. And the nonlinear interaction of cause and effect means interdependence with multiple conditions, so the nonlinear complex system thought may be called the net-style thought and indra-jala thought. An open system for the exchange of energy, materials and information, the complex system resembles an ecosystem. An ecosystem is characterized by its circularity and homeostasis, which are based on interdependence. In Buddhism, this interdependence is called prat?tyasamutp?da. The world penetrated with this interdependence and all dharmas composed with interdependent beings are dharma-dh?tu. Because the nonlinear complex system, the ecosystem and dharma-dh?tu have in common the principles of interdependence, the nonlinear world and ecosystem to be discovered in the complexity of science and ecology as a contemporary integrated science imply the Buddhist dharma-dh?tu.

      • KCI등재

        복잡계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 교육연구의 보완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허영주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복잡계이론의 인식론적 입장과 은유적 분석,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 방법들이 기존 교육연구의 인식론적 토대와 연구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패러다임과 연구방법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교육연구의 인식론적 기반인 구조-기능주의적 패러다임과 인본-해석학적 패러다임의 한계를 인식론적 관점의 한계, 은유적 분석의 한계 그리고 실증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에 있어서의 한계의 세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복잡계이론의 인식론적 관점과 이론적 특징, 복잡계의 은유적 분석,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이 이 한계들을 보완할 수 있음을 앞의 세 수준에 맞추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위의 논의들에 기초하여 복잡계이론의 인식론적 관점과 이론, 연구방법의 도입이 교육연구에 가져올 수 있는 변화 가능성을 다음 네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복잡계이론의 활용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각종 교육시스템의 공통된 구조적 유형을 발견하도록 도우며, 둘째 학습과정과 의사결정과정, 그리고 정책확산과정 등의 창발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전략 구성을 가능하게 함을 살펴보았다. 셋째, 복잡계이론의 활용은 복잡하고 가변적인 외부 상황에 높은 적응력을 지닌 교육조직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넷째 복잡계 연구방법들은 복잡하고 불확실하고 역동적인 교육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은유를 제공할 뿐 아니라 비선형적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와 중간 범위의 패턴 분석 자료를 제공해 줄 수도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교육연구자가 복잡계이론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 하며,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을 고려하여 복잡계이론을 비판적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연구방법과 혼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oretically make a analysis that regards complex system theory as alternative paradigm and method of the traditional paradigms and methods for educational study. Therefore, this study bring out limitations of traditional structural-functionalistic and humanistic-hermeneutic research paradigms. These paradigm's epistemological conception and metaphor, study methods have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complex and dynamic educational systems. And it is suggested that complex system theory clear up these problem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intellectual viewpoint of complex system theory and various ideas, such as multi-fractal, self-organizing, emergence, critical amounts, co-evolution, and systems dynamic and its study methods, complex system theory can provide four change for educational study. First, it can help that we discover the common structural network's pattern by unique insights for whole and complex, dynamic educational systems. Second, it can help that we to design methods for restraint or promote on change by seek a major cause of decline or emergence of study process and decision-making process, innovation process. Third, it can help that we to design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adaptable and quick to learn. Fourth, it can help that a macro and micro view of study are connected by new metaphor and various computer simulation, and that we to discover the middle scale pattern and nonlinear dynamic change.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omplex system theory should be embraced by educational researchers. But it is suggested that critical application and mixed usage of other study methods is required by complex system theory has limitations.

      • KCI등재

        소통환경의 변화와 복잡계 이론

        박근서(Park, Keun Seo)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2

        복잡계 이론은 이미 자연과학의 유력한 한 이론적 경향이다. 이 이론은 물리적 세계를 비선형적이며 비대칭적인 계로 파악한다. 따라서 세계는 복잡하고 역동적이어서 그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다. 그렇다고 이러한 예측하기 어려움이 이 계의 무작위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복잡계 이론에서 세계는 결정론적계이다. 복잡계 이론은 21세기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우리사회를 설명하고 그 변화와 진전의 방향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통찰을 준다. 디지털 코드에 의해 단순화된 규칙이 한없이 반복되는 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은 소통의 시공을 무한히 확장함으로써 사회의 복잡계적 현상을 가시화하기 때문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우리가 경험한 많은 사건들, 이를테면 월드컵 거리응원, 촛불집회 그리고 선거는 복잡계적 양상을 여실히 드러낸다. 복잡계는 사회를 진화론적 관점에서 조망한다. 복잡계적 사회는 진화한다. 그러나 복잡계의 진화는 ‘발전’을 의미한다고는 할 수 없다. 다만 계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창발된 사회는 이전보다는 더욱 ‘복잡한’ 계라는 것뿐이다. Complexity theory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ought in natural science especially physics, neuroscience, and ecology. This theory has developed some radical presuppositions that the system like physical world is possible to make clear with some notions such as nonlinearity, nonequlibrium, dissipative structure, autopoiesis, self-organization, coevolution, etc. This theory shows to us that it is difficult to anticipate the future of this world, but this doesn’t mean that it is absolutely random and disordered. World is a deterministic system. This theory gives theoretical insight that is the most suitable for explaining the social change of digital network age. Becoming 21st century, we are going through the tunnel of newly emerged social phenomena like World Cup street cheerleading, candle movement, and election of president Roh. These events are able to be elucidated with the complexity theory. This theory supposes that the society is an organism evolving from simple to complex, but this doesn’t mean that complex is advance. It is for complexity theory to hypothesize that certain rules and norms are emerge from the system made of interactive elements and these are more complex than ever before.

      • KCI등재

        행정학연구에서 복잡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강성남 한국거버넌스학회 201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8 No.2

        최근에 행정학의 연구대상에서 초점이 되는 관료제 현상을 ‘하나의 복잡계(a complex system)’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자원으로서 복잡계 이론 및 방법론의 지원을 받은 연구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행정현상의 동학이 복잡해지면서 이를 분석할 필요성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한국행정연구의 적실성과 과학성에 대한 평가 작업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관점에서 복잡계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복잡계 이론은 인식론, 분석대상, 개념의 포괄범위, 분석방법, 분석결과의 해석에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행정학 연구에서 복잡계 이론에 관한 연구동향을 크게 연구지향성, 연구 분야(대상) 및 연구방법에 따라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동향분석과 정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패러다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주제와 관련한 과제 및 방향은 체제의 비선형성, 자기조직화, 공진화, 창발성의 개념 적용을 통한 연구주제가 좀 더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복잡계 이론의 핵심적인 개념들에 대한 조작화 문제를 비롯하여 복잡계 연구방법의 활용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했다. 결론에서는 복잡계 연구의 전망과 함께 최근에 나타나는 행정체제 변동에 관한 분석 ‘틀’로서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그것의 한계를 언급하고 있다. Recent administrative studies have recognized bureaucracy as a complex system and many of studies have been produced that are supported by the theory of complex system and its methodology. As administrative dynamics has become complex, there are increasing needs of analysis of it. This thesis analyzes a trend of the theory of complex system to prepare a foundation of relevancy and scientific aspects of Korean studies of public administration. Moreover, this thesis is based on a realization of a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paradigm. The theory of complex system has features in the aspects of epistemology, the object of analysis, range of concept, analytic method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of research. This thesis characterizes the trend of Korean administrative studies of the complex theory according to research orientation, and the object of studies. This thesis suggests tasks for future research paradigm based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is thesis also suggests that more research themes be dealt by applying the concept of nonlinearity, self-organization, co-evolution, and emergence phenomenon. This thesis proposes an advanced application of the complex theory and manipulation of core concepts of the complex theory. In conclusion, this thesis comments the prospect of the study on the complex system, the usefulness of the theory of complex system as an analytic framework related to administrative system changes and also mentions its limitations.

      • 복잡계로서의 조직에 대한 연구

        유재언,윤규한 대한산업공학회 2008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5

        본 연구는 지식 사이버네틱스 (knowledge cybernetics)의 관점에서, 조직을 자생 복잡계(viable complex systems)로 이해하여, 지식경영을 위한 연구 분석 모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직을 복잡계 (complex systems)로서 이해하는 연구는 Yolles (2006)에 의해서 본격화되었다. Yolles 는 기업의 환경을 무질서, 불안정성, 비평형성, 비선형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복잡계로 이해하고,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는 조직을 자생 복잡계로 규명하였다. 지식 사이버네틱스란 조직내 지식의 공유와 사용을 통해서 조직내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토론적인 조직문화를 창출하여 조직을 사회적 집합체 (socialcollectives)로 변화시키는 이론이다. 조직을 자생 복잡계로 이해하는 관점은 조직사이버네틱스 (a cybernetic theory of the organization)의 이론에 근거하였다 (Yolles,1999). 지식사이버네틱스의 관점에서 보면 조직이란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 또는 개방시스템으로서 ‘필수 다양성의 법칙 (Law of Requisite Variety)"에 따라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속가능성 (viability)"을 확보하는 자생 체계 모형 (Viable System Model: VSM)이다 (Beer, 1985; Yolles, 1999). 자생 체계 모형 (VSM)의 시각에서 보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환경의 다양성 (variety)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복잡계 환경 속에서 기업의 생존여부는 미래 기술의 변화 추이를 예측하고 다양하고도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경영전략의 수립과 실행,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 구조의 설계와 운영에 달려 있다. 또한 실무자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지식경영의 실천과 이를 새로운 부가가치 사업의 개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개발과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조직내 구성원들의 그들의 다양한 능력과 지식의 공유를 통해서 학습을 체질화하고 조직화하려면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심사와 이해관계를 포용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토론적인 문화를 창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주제들을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통해서 다루고, 조직을 복잡계로 이해하여 지식경영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복잡계에서의 임베딩 구동 동기화 기법

        배영철(Youngchul Bae),김이곤(Yigon Kim),김천석(Chensuk Kim),구영덕(Youngduk Ko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6 No.1

        복잡계에서의 동기화는 기본적으로 카오스 신호에서의 동기화 이론에 근거를 두고 발선하고 있으나 복잡계 신호의 복잡도가 카오스 신호보다 복잡도가 커서 동기화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에 본 본문은 복잡계에서 동기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n-double 스크롤 회로에서는 결합 동기 이론을 적용한 동기화 기법과 여러 개의 파라미터 중 하나의 파라미터만을 가지고 동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임베딩 구동 동기화 기법을 복잡계 회로의 하나인 하이퍼카오스 회로에서 제안하였다. 제안한 동기화 기법을 적용한 결과 복잡계에서 우수한 동기화 결과를 얻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complex system synchronization methods improve based on synchronization theory; however, due to deeper level of complexity within complex system compared to that of chaos system, it is difficult to synchronize complex signals from complex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d coupled-synchronization theory in the n-double scroll circuit and new embedding driven-synchronization theory, a method of accomplishing synchronization with only one parameter out of many parameters, in hyper-chaos circuit to apply synchronization in the complex system. By applying proposed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computer simulation, we confirmed the accomplishment of superior synchronization in complex system.

      • KCI등재

        복잡계 이론의 이해와 테러대응 분야에의 적용

        Jeonghoon Kwo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1 No.4

        본 연구는 복잡다단한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오늘날 여러 학문 분야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복잡계 이론(Complex System Theory)의 사고와 방법론을 기반으로 테러대응을 위한 분야별 제 접근에 대하여 논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초기조건의 민감성, 프랙탈과 자기유사성, 자기 조직화, 창발, 공진화, 혼돈의 가장자리의 복잡계 이론을 통하여 테러대응 분야의 적용가능성을 은유적으로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iscussing with respect to the access sector for terrorism response based on the thinking and methodology of complex systems theory, which is mainly used in many disciplines today to effectively respond to complex multi-environment change its purpose there. As a result, Butterfly Effect, fractal & self-similarity, self-organization, emergence, coevolution, edge of chaos the applicability of the corresponding field of terrorism through the complex system theory as metaphorical will be able to navigate.

      • 복잡계로서의 조직에 대한 연구

        유재언,윤규한 한국경영과학회 200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5

        본 연구는 지식 사이버네틱스 (knowledge cybernetics)의 관점에서, 조직을 자생 복잡계(viable complex systems)로 이해하여, 지식경영을 위한 연구 분석 모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직을 복잡계 (complex systems)로서 이해하는 연구는 Yolles (2006)에 의해서 본격화되었다. Yolles 는 기업의 환경을 무질서, 불안정성, 비평형성, 비선형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복잡계로 이해하고,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는 조직을 자생 복잡계로 규명하였다. 지식 사이버네틱스란 조직내 지식의 공유와 사용을 통해서 조직내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토론적인 조직문화를 창출하여 조직을 사회적 집합체 (socialcollectives)로 변화시키는 이론이다. 조직을 자생 복잡계로 이해하는 관점은 조직사이버네틱스 (a cybernetic theory of the organization)의 이론에 근거하였다 (Yolles,1999). 지식사이버네틱스의 관점에서 보면 조직이란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 또는 개방시스템으로서 ‘필수 다양성의 법칙 (Law of Requisite Variety)"에 따라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속가능성 (viability)"을 확보하는 자생 체계 모형 (Viable System Model: VSM)이다 (Beer, 1985; Yolles, 1999). 자생 체계 모형 (VSM)의 시각에서 보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환경의 다양성 (variety)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복잡계 환경 속에서 기업의 생존여부는 미래 기술의 변화 추이를 예측하고 다양하고도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경영전략의 수립과 실행,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 구조의 설계와 운영에 달려 있다. 또한 실무자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지식경영의 실천과 이를 새로운 부가가치 사업의 개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개발과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조직내 구성원들의 그들의 다양한 능력과 지식의 공유를 통해서 학습을 체질화하고 조직화하려면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심사와 이해관계를 포용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토론적인 문화를 창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주제들을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통해서 다루고, 조직을 복잡계로 이해하여 지식경영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