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부 하나님 신앙고백을 통한 교회의 보편성―세계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를 중심으로―

        김동준(Kim, Dong-Jun)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성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은 기독교 신앙의 기초로써 모든 신앙고백의 근간이 된다.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그것이 성자와 성령에 대한 신앙고백과의 차별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기독교 신앙고백의 기초는 성부 하나님에 대한 고백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이다. 신앙고백은 나아가 모든 교회의 근거가 된다. 교회는 이 고백의 기초 위에 선다. 교회의 보편성은 이 고백을 근간으로 한다. 교회의 보편성은 성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이라는 자기 보편성을 전제한다. 성부의 영원성, 전능성, 편재성 등은 교회의 보편성을 이끌어 가시는 성부 하나님의 자기 보편적 속성들이다. 성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은 인지적 차원뿐만 아니라 생동감 있는 고백의 차원에서도 보편성을 내포한다. 나아가 이는 교회의 존립 근거인 동시에 교회의 보편성을 확보하는 수단이 된다. 모든 개혁교회의 근저에는 교회의 보편성에 대한 자기 확신이 있다. 양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질적인 자기 보편성의 확보는 교회의 보편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된다. 진리의 명증성에 대한 확신을 통해 교회의 보편성은 질적 근거를 마련한다. 양적인 보편성이 명증성에 대한 기준이 될 수는 없다. 허구의 보편성 또한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양적 보편성을 무시할 수는 없다. 이는 양질 전환의 법칙으로써도 증명된 바 있다. 본 논문은 세계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중에서도 세계 교회들에 나타난 성부에 대한 신앙고백을 재조명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은 보편성의 문제로 나아갔다. 교회의 보편성이다. 성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은 교회의 보편성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통하여 연구되었다. 먼저는 보편성 개념이 대별 되었다. 보편성 개념은 교회의 보편성에 적용되었다. 물론 성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의 기초를 그 바탕으로 삼는다. 질적 보편성에 대한 성부 하나님 신앙고백이 연구되었다. 양적 보편성 또한 간과되지 않았다. 교회는 바로 이 질적 보편성을 전제로 하는 성부에 대한 신앙고백을 자신의 보편성으로 삼는다. 양적 보편성 또한 중요한 요소로 도외시 되지 않았다. 교회는 화석화된 교리를 그 기초로 하지 않는다. 교리는 당연히 인지되어야 하지만, 신앙고백으로써 마땅히 살아 움직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앙고백을 교회의 보편성을 확보하는 자기 내적 근거로 삼았다. 그러나 이 신앙고백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 가운데 성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으로 제한되었음을 밝힌다. 앞으로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을 통한 교회의 보편성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하리라 기대해 본다. The confession of faith in God the Father i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faith and is the basis of all confessions of faith. In the aspect of the trinity, It doesn’t mea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fession about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ut the foundation of all Christian confession is the basis mainly on the confession about God the Father. Furthermore, the confession is the root and the trunk of every church. The church is standing on this confession. Confession of faith is the bedrock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has the presupposition about the confession of God the Father. It presupposes self-catholicity as the confession of God the Father. The eternity, omnipotence, and omnipresence of God the Father lead to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They construct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Confession about God the Father contains not only a cognitive dimension but also the dimension of vivid confession. Furthermore, they are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he means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The root of Reformed Churches has a conviction in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The establishment of self-catholicity becomes the clear basis of the church. It is not only the aspect of quantity but also the aspect of quality. The self-conviction as the clarity of truth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is the basis of qualitative catholicity. The catholicity of the quantity will not be the criterion of cla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because it is possible to have a catholicity of fabrication. However, the catholicity of a quantity cannot be disregarded. This fact is based on the law that accumulation of quantity can be changed into quality. This thesis focused on the study of The confession of faith of the Reformed Church of the World with the concentration on reviewing the confessions of God the Father that appeared in many churches worldwide. This study took the concept catholicity from the confession of God the Father. Namely, that is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The confessions of God the Father were studied in relation to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First, the concept of catholicity was classified. The concept of catholicity was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Of course, it was based on the confessions of God the Father. Secondly, it studied the confessions of God the Father with the catholicity of quality. Also, the problem of the catholicity of quantity was not overlook. But confession of faith has the presupposition as the catholicity of quality. Surely, the catholicity of quantity has not been ignored. The church itself is not based on fossilized doctrines. Doctrines must be acknowledged, but it will be as the confession of faith with a sense of liveliness. It will have to be alive and move. This study uses these confessions of faith as an internal basis for securing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But these confessions were restricted to the confessions of God the Father. In the days ahead, confessions about the Son, and the Holy Spirit will have to be studied as an aspect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 KCI등재

        동남아시아 언어의 모음체계 보편성 연구 -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를 대상으로 -

        허용 ( Heo 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동남아시아 언어들은 모음체계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자연언어 모음체계의 보편성을 논의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7개의 동남아시아 국어 또는 공식어 중 우선적으로 그 체계가 비교적 단순한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의 3개 언어를 대상으로 모음체계의 보편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모음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209개 언어의 분절음을 구축한 SPAP(Stanford Phonology Archive Project)나 451개 언어의 분절음을 구축한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와 같은 대규모 말뭉치를 이용하여 모음체계의 보편성을 논의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연구들에 제시된 6가지의 보편성 분석 기준을 위 세 언어의 모음체계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6가지 기준은 유형적 보편성에 속하는 ① 모음 수(또는 모음 목록 크기)와 ② 단계성에 따른 모음 구성의 두 가지, 그리고 음성적 보편성이라 할 수 있는 ③ 저설성 ④ 균형성과 대칭성 ⑤ 전설성 ⑥ 원순성의 네 가지이다. 그리고 위의 세 언어에 이 6가지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보편성을 판별하는 또 다른 기준인 기술적 보편성과 분석적 보편성의 두 가지 관점 모두에서 분석하였다. 논의의 결과 분석적 보편성의 관점에서는 세 언어 모두 6가지 기준에서 `높음`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지만 기술적 보편성에서는 타갈로그 어는 모음 수와 단계성에 따른 모음 구성, 그리고 저설성에서 상대적으로 보편성이 낮으며, 타이어는 균형성은 다른 두 언어와 마찬가지로 높은 보편성을 보이지만 대칭성에 있어서는 `보통`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말레이어는 모든 기준에서 `높음`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는 매우 안정적인 모음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Southeast Asian languages are famous for having a large number of vowel sound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20 vowel sounds in this certain language family. In addition, there are approximately 1,500 languages in this area,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20% of total language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vowel systems of Southeast Asian languages should be explored to determine the nature of vowel structures of human natural languages. In this study, we analyze vowel systems of three languages, Tagalog, Malay and Thai, that have only primary or normal vowels and thus are relatively simple structures based on descriptive and analytic universals. We would also like to confirm if the six criteria of the tentative evaluation model taken from several previous literature is appropriate in applying analysis of vowel system universals under the method of the Greenbergian Universals or statistic universals. What we have found from this research are (i) the three languages have high level of universals with some exceptional cases such as three-vowel system of Tagalog, and (ii) some of the six criteria, together with some cases of analytic universals, are not quite suitable for understanding language-specific universal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languag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Alain Badiou의 존재론을 통하여 본 보편성논제

        김연미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research mainly depends on Alain Badiou’s ontology. Universality Thesis relying on Badiou’s Ontology is different from the ancient Greek, Plato’s or Kant’s. This paper is the first introduction of Badiou’s ontology into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At that point, this paper is a first test to apply Badiou’s ontology to legal universality in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Korea. Being based upon his philosophy, Universality Thesis can be cast new attention on us. In order to understand Alain Badiou’s philosophy, we need to understand his main terms such as ‘suture’, ‘event’, and ‘void’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these terms can be analysed into ‘rights-based principle’ or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institutional rights’ etc. in Dworkin’s legal philosophy, or not. First, H. L. A. Hart’s legal positivism as philosophy of language is a typical example of suture. Dworkin coped into a principle as a legal standard what Hart accepted legal discretion in part of legal void, or gap. Second, Dworkin argues that Nazi’s unjust law can not be justificated at the second interpretational stage. Dworkin’s institutional rights have the room to bring up the critic about the Meditations that Badiou regards ontology as the void. Of course, this paper does not make progress about these points enough. The part that this research is regarded as most importantly, is to set up and understand a new Universality these. And it is primacy to follow up Badiou’s book, Saint Paul: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To found a new Universality these, the last part in this paper is also followed up Heidegger’s “Elucidation of Hölderin’s Poetry” and Badiou’s thought as fusing poetry among four conditions. Heidegger made a detour, elaborating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 of art.” But the Universality in Badiou’s ontology is expressed as the subjectivity in fidelity. The Universality is only found upon the individual subject in the void. 보편성문제는 법철학의 핵심적 주제이다. 보편성논제는 오늘날까지 적극적으로 해명되지 않은 채 여전히 법규범의 속성이나 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이 글은 드워킨의 법철학이 존재론적으로 어떤 지형에서 논의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試論적 선행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보편성논제가 법학 이외에 종교와 문학, 그리고 정치와 수학과의 융합적인 차원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현대 프랑스철학에서 신플라톤주의자로 알려진 알랭 바디우(Alain Badiou)의 철학에 의거하여 새로운 보편성 정립을 시도한다. 바디우는 현대의 해체철학에서 보인 철학의 종언이 아니라 철학을 위한 새로운 플라토니즘, 데카르트적 근대이성의 혈통을 복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바디우의 존재론을 통해 발견되는 보편성논제의 핵심적인 주제는 ‘봉합’(suture)과 ‘사건’(event)이다. 논자는 첫 번째 드워킨의 법철학을 이해하는 試論적 작업을 바디우 철학의 핵심논제인 ‘봉합’을 통해 설명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전통적인 플라톤철학에 의거한 보편성논제와 달리 바디우의 ‘사건’개념에 의거하여 보편성의 새로운 의미들을 찾고자 하였다. 법적 관점에서 바디우의 존재론의 중요한 개념은 ‘사건’이다. 보편성논제로서 ‘사건’은 공백, 빠져나옴, 선과 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준다. 이 글은 바디우의 철학을 국내 법철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한다는 점에서 개괄적인 선행적 이해를 돕는 수준에서 논의를 개진하였다. 그런 점에서 바디우가 저술한 『사도 바울』의 저서를 쫓아가면서 보편성의 의미를 주체적 개별성의 차원에서 독해하였다. 또한 수학적 공리나 정언명령과 같은 보편성을 여러 문학적 詩論 작업에서 밝히는 것과는 달리 詩의 특징으로 규명하는 바디우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바디우는 하이데거가 훨덜린의 시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철학적 봉합이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그 봉합을 시적 보편성이라는 존재론으로 다시 정립하려고 하였다. 이 글에서 논자는 법적 보편성의 의미를 드워킨이 제공한 제도적 권리의 공백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구성적 해석의 2단계인 해석적 단계에서 바디우의 ‘사건’과 탈봉합이 발생할 수 있다는 試論적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성에 기반한 비극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6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 개념은 추상 개념으로 객관적 실재는 아니다. 보편적인 존재는 이념이나 명칭으로만 존재할 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개별적 존재다. 본질은 개별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보편성은 개별성 안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개별자 속에 보편자가 내재되어 있다는 이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관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예술이란 개별자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하는 보편자를 그려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비극 또한 개별적인 행동이 아닌 보편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예술이다. 청중은 보편성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쾌를 느낄 수 있다. 보편적인 행동을 미메시스하는 비극에서 개별자로부터 보편자를 발굴하고 보편적 인간 행동을 미메시스할 때 쾌는 극대화 될 것이다. 그렇다면 비극은 어떻게 보편자를 찾아낼 것인가? 첫째, 플롯을 통해서다. 둘째, 인물의 보편성을 통해서다. 셋째, 사건의 보편성을 통해서다. 이렇듯 『시학』에서 언급된 보편성 추구는 비극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두려움과 연민으로 촉발되는 카타르시스는 다름 아닌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Universality is the main theme of Aristotle s Poetics. According to him, the universal exists only as an idea or a name. In contrast, essence is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he individual and this universality is already immanent in individuality. Thus tragedy should be an imitation of universal behavior, not individual behavior. At this momen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catharsis and ultimately feel pleasure. To maximize pleasure, how can we find the universal in tragedy? First, it is through the plot. Second, it i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the character. Third, it i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events. The audience experiences empathy and catharsis when individual events connote archetype and universality as the play progresses.

      • KCI등재

        Le Problème de l'Universalité de l'Universalité Européenne dans Paul Valéry, Jacques Derrida et Edmund Husserl : ‘유럽적 보편성의 보편성' 문제 - 발레리, 데리다, 후설을 중심으로

        Huh, Kyoung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08 에피스테메 Vol.- No.2

        Pour répond à la question de l l'universalité, il nous faut d'abord poser une série de questions cruciales: Qu'est-ce que l'universalité? Quelle est la nature de l'universalité? Ce qui est l'universel, c'est ce qui est valable et applicable, par nature et par définition, à tout et à tous. Autrement dit, si elle est devenue possession, soit de l'un, soit de l'autre, elle n'est plus universelle. Tout comme l'univers lui-même ne peut être une possession d'une telle ou telle personne ou civilisation, l'universalité ne peut l'être non plus. Nous devrions aussi être radicaux, comme l'était autrefois Husserl, en suivant le chemin de cet esprit radical philosophique, si bien exprimé dans une expression de Husserl: “Nous devons souscrire au radicalisme qui est la nature de toute vraie science philosophique et qui ne veut rien accepter qui fût déjà donné, qui refuse tout point de départ transmis par la tradition, qui nous interdit d'être éblouis par aucune autorité, si grande fût-elle, et nous enjoint, au contraire, de chercher nos points de départ en nous plongeant librement dans les problèmes eux-mêmes et dans les 262 Le Problème de l'Universalité de l'Universalité Européenne |Kyoung Huh exigences qui en sont coextensives.” Il ne faut pas limiter l'universalité. En un sens, ce qu'il nous faut aujourd'hui, c'est universaliser l'universalité. 오늘날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 문제들 중 하나는 의심의 여지없이 보편성의 문제이다. 보편성은 그 자체로 근대 유럽의 합리성 및 근대성 개념과 결부되어 발전되어온 개념으로서 이들 개념과 분리하여 이해될 수 없다(물론 보편성이란 현대 한국어는 다름 아닌 Universality라는 서구어를 번역한 19세기 일본 지식인들의 조어(新漢語) 普遍性을 현대 한국어의 음가로 읽은 것이며 이에 대한 논의는 방대한 독립적 연구를 요구한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다음이다. 오늘의 보편성 개념은 그 어원학적 연원과 철학적 개념적 실내용에 있어 고대 그리스 이후 서구 혹은 광의의 서양 문화에 뿌리를 둔 근대 서구 유럽의 조어이다. 중세 이후 보편의 개념이 서구 사상사에 깊이 뿌리내린 것은 철학적ㆍ개념사적 사실이나, 이러한 보편의 개념이 보편성의 개념으로 확장되며 오늘의 ‘현대'(contemporary) 세계를 만든 것은 다름 아닌 ‘근대'(modern) 세계의 성립과 동일한 시기이다. 보다 정확히 말해, 바로 보편성, 합리성, 근대성의 제반 개념들이 결합되어 새로운 세계상을 성립시키는 과정이 문명단위로서의 유럽이 세계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과정이다. 근대가 근대성을 창출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본다면, 260 Le Problème de l'Universalité de l'Universalité Européenne |Kyoung Huh 아무리 빨라도 19세기 초중반을 넘을 수 없는 근대성 개념의 정립이 바로 근대라는 시대 구분을 가능케 한 것이다. 근대가 근대성을 발명한 것이 아니라, 근대성이 근대를 규정했다. 논문은 이러한 근대 유럽의 보편성 개념이 오늘날 더 이상 서구 중심주의가 아닌 새로운 전지구적 보편성의 성립에 걸림돌이 된다는 문제의식 아래, 보편성의 기존 개념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문제점들을 검토한다.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의 보편성 연구

        박진기(Jin Gi Park)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이 논문은 19세기 신칼빈주의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했던 개혁파 교의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cnk, 1854-1921)가 제시하는 ‘교회의 보편성’ 개념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 이해에 기초하여 오늘날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교회론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한다. 헤르만 바빙크는 1834년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분리(Afscheiding)운동의 중심이 된 가정에서 태어나 평생 동안 그 전통을 지키려고 노력했던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단지 분리측 사람으로만 머물지 않았고 1887년 일어난 애통(Doleantie)운동 이후에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와 더불어 교회 연합을 위해 힘썼다. 이처럼 바빙크가 교회 연합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그 최전선에서 분투할 수 있었던 까닭은 바로 기독교의 보편성(우주성)에 기초한 교회의 보편성에 대한 그의 믿음 때문이었다. 이 주제에 관한 그의 이해는 『기독교와 교회의 보편성』과 『개혁교의학』에서 깊이 있게 드러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가 제시하는 교회의 보편성 개념을 밀도있게 연구하고 그것이 종교개혁자들이 말하는 비가시적 교회 사상을 잘 계승하고 있으며 또한 신칼빈주의에서 주목하는 유기체적 교회 사상과도 적절하게 연결된다고 평가한다. 그리고 결론으로서 교회의 보편성에 관한 바빙크의 이해가 한국 교회에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데, 오늘날 한국교회가 겪는 교회론적인 문제의 핵심에 교회의 보편성에 대한 무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초대형교회들이 만들어낸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하는 획일화를 넘어서 한국 교회가 다양성 속에 있는 통일성(unity in diversity)안에서 참된 교회의 보편성을 추구할 것은 제안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oncept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presented by Herman Bavicnk(1854-1921), a Reformed dogmatician who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Neo-Calvinism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Moreover, it examines and finds a solution to the ecclesiological problems facing the Korean Church today. Herman Bavinck was born into a family which became the center of the Afscheiding movement in the Netherlands in 1834, and throughout his life tried to preserve that tradition. However, he did not stay only as a separatist but worked for unity of the Church with Abraham Kuyper(1837-1920) after the Doleantie movement in 1887. The reason Bavinck was able to fight at the forefront with such aspiration for the Church’s unity was because of his belief in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based on the Catholicity(universality) of Christianity. His understanding of this subject is revealed in depth in The Catholicity of the Christianity and the Church and Reformed Dogmatics. This article evaluates that Bavicnk’s concept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succeeds the Reformers’ invisible church idea very well, and also evaluates that it is properly connected with the Neo-Calvinist s organic form of visible church. And as a conclusion, it examines what lessons Bavinck s understanding of the Catholicity gives to the Korean Church. It suggests that the Korean Church pursue the true Catholicity of the Church in unity in diversity beyond the uniformity caused by uncritical imitating Mega Churches’ systems and programs.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억양의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가맹맹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7 No.-

        Although it is impossible that the pronunciation of learners can not b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s, not all features of learner language can be explained by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With the study of learner language going on, research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native language and language universal, as the fact that language universal is able to complement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was formed by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effect of the language universal and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intonation of Chinese learn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of native language, target language and language universal can influence the degree of learning difficulty. When the native language form is as same as the target language form, and both of them are coincided with the language universal, the study will be easiest. And in this condition, the beginners tend to realize the target language form more remarkably. But even though the native language form is as same as the target language form, if they are different from language universal, the study will be difficult. Second, compared with the native language forms which do not match with the language universal, these which are coincided with the language universal are more possible to transfer to the target language forms’ realization of learne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universal and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i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learners is related to the learning items. 제2언어의 음운 습득에 있어 학습자의 모국어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으나 모국어 전이만으로 학습자 언어의 모든 특징을 설명할 수 없다. 모국어 전이와 언어 보편성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언어 보편성이 모국어 전이에 의해서 형성된 대조분석 가설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억양 발달 양상을 밝히고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의 관점에서 그러한 양상이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해 검토한 후 억양의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녹음 자료를 작성하고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핵억양과 말토막 억양의 실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우선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 언어 보편성의 관계에 의한 학습 용이성을 제시하였다. 즉 모국어 양상과 목표어 양상이 같으며 둘이 언어 보편성과 일치하는 경우에 학습이 가장 쉽다. 이런 경우에는 초급 학습자가 목표어 양상을 과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모국어 양상과 목표어 양상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둘이 언어 보편성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학습이 아주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어에서 하나의 억양 양상만 존재하나 학습자의 모국어에서 대응되는 양상이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경우, 목표어의 억양 양상이 언어의 보편성과 일치하면 학습자가 목표어의 양상을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전이가능성에 대한 결론인데 언어 보편성과 일치하는 모국어 특성은 그렇지 않은 특성보다 전이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의 언어전이와 언어 보편성의 관계도 살펴봤는데 그것을 한 마디로 설명하기가 어려우며 목표 학습 항목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문장 유형에서 나타난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를 밝혔다. 하지만 관찰된 학습자의 양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의 더 전면적인 관계를 밝히지 못했다.

      • KCI등재

        근대초기 여성교양의 성립과 파트너십 문화론의 계보

        김복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여성문학연구 Vol.17 No.-

        Partnership is required in 21st century. Leadership is based on 'centered- universality', but partnership pursues constitution of new universality. Geneology of new culture theories is based on feminist epistemology and it is paradigm that creates partnership using Woman's Bildung as central element. In the idea of western Bildung, woman is exempted. Concerning in Bildung/woman's Bildung with feminist view is checking current biased, unfair gender. Woman's Bildung in man's gender is to admit positive particularity in male-centered universality, woman's Bildung in woman's gender is a dynamic movement to constitute new universality from negative particularity. Woman's Bildung in man's gender is restricted on tutor at home or housekeeper, and woman's knowledge and Bildung were gendered. Man's gender reveals patriarchal sense of 'Imperialist Self'. However, woman's Bildung in woman's gender gives 'activity' to others. There are many culture types of feminist partnership such as women's group, debates, speeches, newspaper contribution, Rechtsmittel, Judgement, and they are based on invitational rhetoric. 21세기는 리더십이 아닌 파트너십을 요구한다. 리더십이 ‘중심’적 보편성(지배자 중심, 부르주아 중심, 남성 중심, 이성 중심, 일국적 지식 중심 등)에 입각해 있다면, 파트너십은 중심적 보편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보편성 구성을 추구한다. 21세기의 대안적 패러다임은 젠더 불평등 관계성을 해체하는 방법론이어야 하며, 그것은 파트너십이어야 한다. 파트너십 문화론의 계보 중 하나는 페미니즘 인식론을 이념적 토대로 하고, 여성교양을 핵심 문화자본, 상징자본으로 삼아 새로운 보편성 구성의 파트너십을 창출하는 패러다임이다. 교양(culture, Bildung)은 사회의 동력으로서 사회 구성원이 갖는/요구되는힘이지만, 서구의 근대적 교양개념에 여성젠더가 소거되어 있다는 점에서, 페미니즘 시각으로 교양/여성교양에 대해 논의한다는 것은 젠더 불평등 상황 및구조, 젠더의 배치과정 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젠더장치가 역사적 시대적 국면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세계사적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이 있고, 또 젠더별 시선의 차이가 있다는 전제하에 남성/여성 젠더별 여성교양의 내적․외적 형식으로 나누어 각각의 담론관계성을 검토하였다. 근대초기 남성젠더의 여성교양이 남성 중심적 보편성 하의 긍정적 특수성을인정하는 것이었다면, 여성젠더의 여성교양은 부정적 특수성에서 새로운 보편성을 구성하는 원동력이었다. 남성젠더의 여성교양은 ‘생활’에 필요한 보통 지식과 기능, 부덕순철 등이며, 가정 내적 존재로 한정하여 가정관리자 및 감독자로서의 여성, 어린이교육 담당자로 제한하였다. 이는 남성 중심적 보편성 하에서 여성의 긍정적 특수성을인정해 주는 방향이다. 이 과정에서 여성교양과 지식은 젠더화 되었으며, 남성교양과 지식의 보편성을 획득해 주는 타자였다. 남성젠더는 ‘제국주의적 자기’ 로 ‘남성으로의 재 젠더화’를 도모하였고, 트리클 업(trickle-up)의 방식을 취하였다. 19세기 말 한국 사회에는 능동적 타자로서 인식주체, 자각주체, 실천주체로주체형성을 도모하는 ‘새로운 여성 인간형’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중세적 교양으로 함의되어 왔던 ‘부덕’의 개념을 재배치하며, 동시대 남성젠더의 ‘현모’ ‘현모양처’ 형식과 다른 주체형성을 도모하였다. 여성젠더의 사회적 인식은 젠더, 민족, 인종, 국가 별로 부정적 특수성 하에 놓여 있는 여성의 위치성을 확인시킨 후, 이러한 부정적 특수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성교양을 수단으로 새로운보편성 범주를 설정하고자 추동하였다. 이들은 국민주체보다 여성주체를 우선성으로 하였으며, 남녀동등권이 핵심이었다. 여성젠더의 새로운 보편성 추동은 부인회, 토론, 연설, 독자투고, 상소, 재판 등의 파트너십 문화형식을 낳았는데, 이들은 ‘초대의 수사학이라는 독특한 수사학을 보여 준다. 상호교류의 참여양식으로서 초대의 수사학은 그들이 채택한 파트너십 전략 중 하나였다.

      • KCI등재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헤겔과 지젝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일규 ( Choi Ill-guy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과 지젝의 중심개념인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이론적 측면에서 주체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젝은 헤겔의 주체 개념을 독자적으로 해석하며 까다로운 주체라고 규정한다. 그가 이렇게 파악하는 이유는 헤겔에게 주체는 무의식의 주체이며, 부정성과 주체 상실의 계기를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헤겔은 코기토에서 세계의 밤으로 명명되는 광기의 과잉적 계기를 인식했으나, 자신의 3중성 철학 체계로 인해 주체가 가지는 정신분석학의 요소들을 제대로 평가하지도 못하고 학문적으로 밝히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젝은 특수성을 보편성과 필연적으로 결합시키며 파악하는 헤겔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독창적이라고 평가하지만, 헤겔이 특수성의 좌절로 인해 보편성이 등장하게 되는 역동적 구조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지젝에게 구체적 보편성은 특수한 것이 자기 자신과 관계 맺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특수한 자아, 특수한 문화, 특수한 국가가 자신의 특수성을 실현할 수 없는 좌절을 체험하는 순간에 보편성을 경험하게 되는 그러한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과 비판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을 밝혀 개념으로서의 주체와 올바른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 과제를 위해서 본 논문은 첫째,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지젝의 해석을 해명하며, 둘째, 헤겔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젝 해석의 타당성과 의의를 점검하고 있다. 정신분석적 개념들을 매개로 헤겔 철학에 새로운 규범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지젝의 의도와 시도는 높이 평가될 수 있으나, 헤겔의 철학적 목표와 거리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Der vorliegende Aufsatz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 Zizeks und Hegels Philosophie aufzuhellen.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hat sowohl bei Zizek als auch bei Hegel sehr eng mit dem Begriff des Subjekts zu tun. Um zu vergleichen, wie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terpretiert und was Hegel eigentlich unter dem Begriff als Subjekt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versteht, gliedert sich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in zwei Kapitel. Im ersten Kapitel wird behandelt und gezeigt, dass Zizeks Kritik an Hegels System der Philosophie damit zu tun hat, dass Hegels Subjekt nach Zizeks Interpretation zwischen der konkreten Totalitat und der abstrakten Negativitat zwangsweise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Dadurch, dass Zizek unter Hegels Begriff des Subjekts die abstrakte Negativitat oder die Kontingenz hervorhebt, macht er einen Riss zwischen der ersten und zweiten Natur in Bezug auf Hegels System zum Thema. Die Allgemeinheit wird konkret oder fur sich dadurch, dass das Subjekt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Im zweite Kapitel wird uberpruft, ob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richtig versteht. Behauptet und gezeigt wird, dass Zizek den dialektischen Ubergang der Substanz zum Begriff des Begriffs nicht richtig versteht. Es ist wichtig aufzufassen, dass Hegel den Begriff des Begriff als Subjekt versteht. Es ist auch wichtig zu wissen, dass Hegel wegen der logischen Struktur der Begriffsmomente den Begriff des Begriffs fur Subjekt ha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