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본회퍼의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이재열(Lee, Jae-Youl)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By dealing with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fundamental interests of Bonhoeffer's ecclesiology, this study confirms that Bonhoeffer's ecclesiology inherits and develops the tradition of traditional ecclesiology while focusing only on Christology. Although Luther's theology of the cros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Bonhoeffer, it was confirmed that he had different views from Luther's due to the fact that he sublimated the issue of individual salvation into a matter of the community and rejected Karl Hall's religious concept of conscience. And although Bonhoeffer's theology learned from Harnack's liberal theology an interest in the world and a positive world view,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stinguished from liberal theology in that it was thoroughly Christ-centered. In addition, Bonhoeffer's theology accepted the criticism of religion by the revelation of Christ from Barth, but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stinguished from Barth in that it had a specific interest in the worl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he attempted a concrete approach to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by breaking away from superficial and theoretical theological thoughts and accepting Niebuhr's Christian realism. In conclusion, Bonhoeffer's theology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theology of the cross and encompassed liberalism, neo-orthodoxy, and Christian realism, revealing that it was a theology that focused on revealing the presence of Christ in the world without being bound by formaliti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Bonhoeffer's ecclesiology were examined, and the theologian's personal relationship and background, and his ecclesiology was accumulated only in Christ-likeness without being bound by the theological genealogy. Bonhoeffer's theolog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oday. The Korean church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material culture and the liberal trend even though the church tradition is not long. And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confusion that the Korean church is experiencing due to the influence of distorted fundamentalism stems from a wrong understanding of the Bible and Christian life. On this matter, Bonhoeffer's theology suggests a lot to us. The focus of Bonhoeffer's ecclesiology is always trying to follow Christ. 본 연구는 본회퍼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 근본 관심들을 다룸으로써 본회퍼의 교회론이 전통 교회론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하면서도 오직 그리스도론적 집중을 하고 있음을 확인한 연구이다. 루터의 십자가 신학이 본회퍼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으나 개인의 구원의 문제를 공동체의 문제로 승화시킨 점과 칼 홀의 양심의 종교개념을 거부한 점으로 인해 루터와는 다른 견해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본회퍼의 신학이 하르낙의 자유주의 신학으로부터 세상에 대한 관심과 긍정의 세계관을 배웠으나 철저히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이라는 점에서 자유주의 신학과 구별되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본회퍼의 신학은 바르트부터 그리스도의 계시에 의한 종교비판을 수용했으나 세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바르트와도 구별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피상적이고 이론적인 신학적 사유를 벗어나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받아들임으로써 현실세계의 문제에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본회퍼의 신학은 십자가 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모두 포괄함으로써 형식에 매이지 않고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한 신학임을 밝혔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서 본회퍼의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과 정의를 알아보았으며 신학자의 개인적인 관계와 배경 그리고 신학적 계보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를 닮는 것에 그의 교회론이 적립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본회퍼의 신학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상황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교회는 교회적 전통이 길지 않으면서도 물질문화와 자유주의 풍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왜곡된 근본주의의 영향 또한 받음으로 인해 현재 한국교회가 사회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겪는 혼란은 성경과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본회퍼의 신학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회퍼의 교회론의 초점은 항상 그리스도를 닮은 교회이다.

      • 한국 초기교회 재담집『강도긔담』에 관한 신학적 고찰

        오주철(Oh, Ju-cheol)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19 동서신학 Vol.2 No.1

        ‘Gangdogidam,’the first published among the Christian witticism books introduce in the early Korean church history, means‘ bizarre story needed to preach the doctrine’, which, as the title of the book suggests, was edited by the preacher(죻敎者), a way instructor(講道者), to provide useful help in preaching at church pulpits. This book has a consistent way of organizing. 초기 한국교회사에 소개되었던 기독교 계통의 재담집 가운데 최초로 출판되었던『강도긔담』(講道奇談)은‘교리를 강론하는 데 필요한 기이한 이야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책의 제목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강도자(講道者)인 설교자(죻敎者)가 교회의 강단에서 설교를 할 때 유익한 도움을 주기 위해 편집한 책이다. 이 책은 나름대로 일관된 구성 방식을 갖추고 있다.

      • 그리피스 존의 교리문답서 비교 분석

        김대진(KIm, Dae-Jin) 동서신학연구소 2022 동서신학 Vol.5 No.1

        본고는 19세기에 중국선교를 처음 시작하였던 영국의 런던선교회(이하, LMS)가 중국에 파송했던 그리피스 존(Griffith John, 중국명:楊格非, 1831-1912)이 저술한 수많은 기독교 문서들 가운데, 그가 쓴 것으로 알려진 교리문답서인『진도입문문답』(眞道入門問答)과『훈자문답』(訓子問答), 그리고 『진도입문문답』(眞道問答易學)을 수집해서 그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그가 저술한 교리문답서를 연구하는 목적은 그가 끼친 초기 한국 교회의 기초를 세우는데 그의 문서가 큰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신학과 신앙이 한국 교회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피스 존이 저술한 3권의 교리문답서 가운데 그의 중국 선교 초기에 작성한 훈자문답 (1864년 발행)은 아동용으로 저술되었고, 그의 선교 중기에 저술한『진도입문문답』(1882년 발행)은 대중용으로 저술되었으며, 선교 말기에 저술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의 유고작인 『진도입문문답』(1913년 발행)은 여성용으로 저술되었다. 『훈자문답』의 특징은 비교적 평이한 문장과 단문으로 구성된 문답 형식이 많고, 성경의 본문을 인용하지 않았고,『진도입문문답』은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교리영역에 따라 장을 구분하여 제목을 붙였고, 성경의 본문을 인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진도입문문답』은 신구약의 내용을 문답식으로 구성하였으며, 부록으로 신구약을 합한 모두 66권의 전체를 소개하였다. 그리피스 존이 저술한 교리문답서는 용도에 따른 일부 내용의 차이점은 있다하더라도 교리적으로는 완전히 일치하였다. 그가 저술한 교리문답서은 철저하게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과 같은 개혁파 청교도주의의 교리문답의 전통을 따랐지만, 오랜 이교도의 종교적 전통을 가진 중국 땅에서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하여 선교 변증을 담은 교리문답이 그의 교리문답서에 상당한 지면을 차지하였다. 그가 저술한 교리문답서 중에 『훈자문답』과 『진도입문문답』이 그의 다른 저술들과 함께 초기 한국 교회의 내한 선교사들에 의해 원문으로 입수되었기 때문에 한국 교회의 신학과 신앙형성에 그의 영향력은 결코 적지 않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nd examine three doctrinal texts(Catechism), namely Entrance to Truth Doctrine(眞道入門問答), A Catechism for Children(訓子問答), and An easy Catechism for Women(眞道問答易學) written by Griffith John, a British missionary who served as a missionary in China in the 19th century. The purpose of studying his catechism was not only that his documents played a major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early Korean church he caused, but that his theology and faith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Among the three catechism books written by Griffith John, Entrance to Truth Doctrine (issued in 1864) in the early days of the Chinese mission was written for children, A Catechism for Children (issued in 1882) was written for popular use, and his posthumous work, An easy Catechism for Women (issued in 1913), was written for women. The characteristics of A Catechism for Children answer are that there are many simple sentences and short sentences, and the text of the Bible is not cited, and Entrance to Truth Doctrine is divided into chapters according to the doctrines for readers to understand, and the text of the Bible is quoted. An easy Catechism for Women 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New and Old Testament in the form of a question and answer, and introduced a total of 66 books, including the New and Old Testament. The three Catechism written by Griffith John was completely identical in doctrine, even if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ontent depending on the purpose. His catechism completely followed the tradition of reformist Puritan catechism, such as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But his Catechism features that he devoted a lot of space to dialectizing Christian beliefs against the deep-rooted religious traditions of the Chinese people. His influence on the theology and faith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is not small, as among his doctrinal texts, Entrance to Truth Doctrine(眞道入門問答) and A Catechism for Children(訓子問答) were obtained in the original texts by early Korean church missionaries along with his other writings.

      • 이 시대에 드려야 할 합당한 예배

        김서준(Kim, Seo-Jun)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4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상황을 생각하면서 성도 및 교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코로나19로 인한 다양한 도전에 대해서 신학적인 성찰이 있었지만 대부분 전염병에 대한 신학적인 사변, 혹은, 예배와 교육의 의미, 지속에 대한 고민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로마서 12:1-12에서 바울이 말하는 합당한 예배의 모습을 오늘날 시대에도 주는 메타윤리로 성찰하면서 위기에 처한 오늘날 교회에 줄 수 있는 메시지를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바울이 고난과 핍박, 경제적 어려움, 등, 위기에 처한 초대교회에 준 권면들의 기본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러한 내용들이 담고 있는 메시지가 상황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결국 오늘날 교회가 기억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임을 말하고자 한다. 크게 소통과 화합의 모델로서의 교회, 믿음과 소망의 중요성, 그리스도인의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권면들, 세상 가운데서의 교회의 태도, 네 부분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성도 개인과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suggests the a direction for Christians in the Korean churches to move forward in the midst of the COVID-19 crisis. So far, there have been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various challenges posed by COVID-19, but most of them have been theological speculations about the epidemic, or explorations of the meaning and continuation of worship and church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plains the message that can be given to churches in crisis based on the contents of proper worship and meta-ethics that Paul writes about in Romans 12:1-12. Summarizing the basic contents of the counsel that Paul gave to the Roman church in crisis, such as suffering, persecution, economic hardship, etc., it is argued that his message is one that the church in today’s times must remember and apply to move forward to the end, even if the our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re very different. Paul’s message for Korea churches today is summarized into in four parts: The church as a model of communication and harmony, the importance of faith and hope, various counsels in daily life of Christians, and the church's attitude in to the worl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individual members and the church to move forward.

      • 메드허스트(W. H. Medhurst)의 기독교 『三字經』 과 초기 한국 교회에 끼친 내중 선교사들의 영향력 재고(再考)

        김대진(KIm, Dae-Jin)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4 No.1

        본 고는 1817년부터 1856년까지 영국의 런던선교회(LMS)에서 파송을 받아 평생 중국에서 기독교의 복음을 전파했던 메드허스트의 기독교 󰡔三字經󰡕에 관한 연구이다. 삼자경은 13세기에 중국의 王應麟이 중국의 아동들을 깨우치기 위하여 쓴 몽유서이기 때문에 중국인들에게는 매우 익숙한 형식의 글이다. 메드허스트는 이 형식을 모방해서 기독교 핵심교리를 3글자 1구 형식으로 기독교 삼자경에 담았다. 기독교 󰡔三字經󰡕은 아이들이 읽기에 쉬운 글자를 사용했으며 운율을 갖추고 있어서, 읽기와 외우기에 쉬우므로 기독교의 진리를 전파하고 가르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되었다. 이와 같은 기독교 삼자경의 효과 때문에 메드허스트의 뒤를 이은 많은 내중선교사들이 국적에 관계없이 메드허스트의 기독교 󰡔삼자경󰡕을 모방하여 책으로 출판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Medhurst's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who was sent from the London Mission Society in England from 1817 to 1856 and spread the gospel of Christianity in China throughout his life. 『Three Character Classic』 is a very familiar form of writing for Chinese people because it is written by Wang Eung rin(王應麟) in the 13th century to enlighten Chinese children. Medhurst copied this form and wrote the core Christian doctrine in the form of a three-letter phrase.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has become a very useful tool for spreading and teaching the truth of Christianity because it uses letters that are easy for children to read and memorize because it has rhymes and is easy to read. Because of this effect of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many of the internal missionaries who succeeded Medhurst copied Medhurst's Christian Triad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published it as a book.

      • 길선주의 토착화 시도와『만ᄉᆞ성취(萬事成就)』에 수록된 한시(漢詩) 이해

        김대진(KIm, Dae-Jin)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19 동서신학 Vol.2 No.1

        The subject of study of this article is on ‘Han Si(Chinese poems by Korean)’contained in the Mansaseongchwi(the Attainment of all Things), representative writings of Gil Sun-ju, who is called the “indigenization theologian.”Mansaseongchwi(the Attainment of all Things) can be said to be a supplement to Hataron(About Laziness) in form and content. “Hatta”in korean means“ lazines“s . The two pieces are so similar to《 텬로력뎡; The Pilgrim’s Progress by John Bunyan》in form and structure that John Gale translated in Korean. 본고는 토착화 신학자로 불리는 길선주의 대표적 저술에 속하는『만ᄉᆞ성츄ㅣ(萬事成就)』속에 수록된 한시(漢詩)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만사성츄ㅣ(萬事成就)』는 형식과 내용면에서『해타론』의 증보판이라고 할 수 있다. ‘해타’란 ‘게으름’을 뜻하는 말이다. 이 두 작품은 게일(J. Gale)이 순한글로 번역한『텬로력뎡』의 모작(模作)이라고 할 만큼 형식이나 구조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 그리피스 존(Griffith John)의 『훈자문답(訓子問答)』의 번역과 해제(解題)

        김대진(KIm, Dae-Jin)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translate and introduce 『訓子問答;Child’s Catechism』 written by Griffith John, a missionary in China. At that time, many of his works were introduced to the early Korean churches by missionaries in Korea, either in the original Chinese scriptures or translated into Korean. The Chinese Scriptures and tracts he translated from China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faith and theology in the early Korean church, as did 『訓子問答;Child’s Catechism』, which was written as a doctrinal document for children in China. As a result of translating 『訓子問答; Child’s Catechism』,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faith and theology in the early Korean church, sev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the content and form faithfully followed the tradition of Reformed catechism. second, it is that Christian apologetic characteristics are strongly implied against traditional Chinese religious ideas that hindered the spread of Christian faith.. And third, it contained rich prayer styles, and included 《Ten Commandments’ hymn》 that were not found in other Reformed church catechism. His influence on the theology and faith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is not small, as among his doctrinal texts, Entrance to Truth Doctrine(眞道入門問答) and A Catechism for Children(訓子問答) were obtained in the original texts by early Korean church missionaries along with his other writings. 본 고는 내중 선교사인 그리피스 존이 쓴 『훈자문답(訓子問答)』의 번역과 소개를 목적으로 쓰여졌다. 당시 그리피스의 많은 작품들이 내한 선교사들에 의해 한문 원전대로, 혹은 그들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초기 한국 교회에 소개되었다. 그가 중국에서 번역한 한문성경과 신앙서적들은 초기 한국 교회의 신앙과 신학 형성에 크게 공헌하였는데, 중국의 아동들을 위한 교리문서로 저술된 『훈자문답(訓子問答)』도 마찬가지였다. 초기 한국 교회의 신앙과 신학 형성에 영향을 준 『훈자문답』을 번역한 결과 몇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내용과 형식이 개혁주의 교리문답서의 전통을 충실히 따랐고, 둘째, 기독교의 진리를 전파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중국의 전통적인 종교 사상에 대한 변증론적 성격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셋째, 풍부한 기도의 양식들을 담고 있었으며, 다른 내중선교사들이 저술한 교리문답서나 혹은 개혁파 교회의 교리문답서에서는 볼 수 없는 《십계명가》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 미국의 근본주의가 한국장로교회의 분열에 미친 영향

        윤은수(Yoon, Eun Su)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19 동서신학 Vol.2 No.1

        The American fundamentalism emerged as a challenge against the liberal theology of the 19th century. In the center of it was the Princeton Theology Seminary. So were fundamentalism theologians like Gresham J. Machen and Cornelius Van Til. They set up a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to protect fundamentalism when Princeton was imbued with liberal thoughts. When they fought for liberalism, Park Hyung-Ryong, who graduated from the Soongsil University established by Missionary Baird in Pyeongyang was in the center. 미국의 근본주의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 관한 도전으로 생겨났다. 그 중심에 프린스턴 신학교가 있었고, 메이첸(Gresham J. Machen)과 반틸(Cornelius Van Til)과 같은 근본주의 신학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프린스턴이 자유주의 사상으로 물들 때 근본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웨스트민스터신학교를 세우기도 했다. 그들이 이렇게 자유주의와 싸울 때, 그 자리에 베어드 선교사가 평양에 세운 숭실학교를 졸업한 박형룡이 있었다.

      • 한국 교단들의 신학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교리사적 이해

        이기주(Lee, Gi-joo)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Korean denominations think about human death from a doctrinal viewpoin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ir theology. Humans are inescapable from the question, "What happens to humans after death?" because humans long for eternity. The traditional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at the soul separates, and the body rots when a human dies. Still, the soul remains in the other world and will be resurrected with the body at the Second Coming of Jesus. However, many modern theologians claim that this is influenced by Greek philosophy and that the Bible teaches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that is, dying as a whole person and living again as an entire person. The problem is that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death that several denominations in the Korean church claim or believe are not adequately organized, and even if there is, the contents are too weak, and they do not fit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Korean churches rely only 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from early missionaries. Therefore, they believe that a person is composed of a body and a soul, and when a person dies, the body is buried, and the soul goes to heaven or hell. These thoughts were unshakable thoughts and faith. However,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Methodist Church rejects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follow the biblical account of human beings as whole beings. And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also accepts the knowledge of human beings as holistic people, as stated in the ‘Direction of Faith and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refore, today's Korean church needs to gather theologians and pastors to establish a biblical and healthy theology that the Reformed Church aims for. Perhaps this is also highly advisable for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이 글은 한국 교단들이 인간의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그들의 신학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교리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은 죽음 이후에 어떻게 되는 것인가?”의 물음에 대하여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인간은 영원을 사모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물음에 대한 전통적인 대답은 인간이 죽으면 영혼이 분리되고 몸은 썩으나 영혼은 저 세상에서 있다가 예수님의 재림 때 몸과 함께 다시 부활하게 된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현대신학자들은 이것은 헬라 철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성경은 전인으로 죽고 전인으로 다시 산다는 ‘죽은 자의 부활’을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한국 교회의 여러 교단들이 주장하거나 믿고 있는 인간 이해와 죽음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정리가 된 것이 없거나 있다고 할지라도 그 내용이 너무나도 미약하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한국 교회의 현실에 맞는 신앙고백이 아쉽다는 점이다. 어쩌면 한국의 교회는 그저 초기 선교사들이 전해 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만 충실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은 영혼과 육체로 되어 있으며, 이 사람이 죽으면 몸은 땅에 묻히고 영혼은 하늘에 가거나 지옥으로 간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흔들리지 않는 사상이고 신앙이었다. 그러나 한국기독교장로회와 대한기독교감리회에서는 일반적인 인간 이해를 거부하고, 인간을 전인적인 존재로 보는 성경적 이해를 따르고 있다. 그리고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서도 ‘21세기 한국장로교의 신앙과 신학의 방향’에서 전인적인 존재로서의 인간 이해를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오늘의 한국교회는 각 교단들이 인정하는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이 모여서 개혁교회가 지향하는 성경적이고도 건강한 신학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해 본다. 어쩌면 이것은 한국 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해서도 지극히 바람직할 것이다.

      • 마태복음의 놀라운 예수: 마태 내러티브의 놀람 모티브에 관한 연구

        김재현(Kim, Jae-Hyun)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3 No.1

        믿음과 신학에 있어서 놀람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성경은 놀라운 책이며, 놀라운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복음서를 읽어보면 놀람-모티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 글에서는 특히 마태복음에 있는 놀람 모티브를 고찰하였다. 놀람과 관련된 어휘 중에서 마태복음은 ἐκπλήσσω, θαυμάζω와 φοβέω를 사용하는 반면, ἐξίστημι를 단 1회만(마12:23)을 사용한다. 마태 화자가 ἐκπλήσσω 동사를 사용한 경우를 보면, 예수 가르침의 권위, 지혜, 능력, 성경 해석 등 모두 예수의 가르침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태 화자는 이를 통해 예수의 가르침이 준 충격을 전하고자 했던 것이다. θαυμάζω 동사는 주로 예수의 기적과 관련된 반응에서 사용되었으며, 복음서 내러티브에서 예수의 대적들이 느꼈던 경이로운 감정을 표현하는데도 사용되었다. φοβέω의 동사형과 명사형은 주로 예수의 신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자나 하나님의 아들 주제와도 맞물려 있다. 특히 마태복음에서 φοβέω는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부활하신 하나님의 아들 주제와도 결합된다. 마태복음은 백부장의 믿음에 대한 예수 자신의 놀람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언약 백성이 약속된 메시아를 거부함에 비해, 언약 밖의 사람들이 믿는 역설에 대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마태복음 내러티브에서 예수는 “놀라운 예수”이다. 그리하여 그 예수를 전하는 기독교 복음은 놀라운 복음이다. 복음서가 전해주는 놀라운 예수와 놀라운 복음은 그토록 파격적인 것이었고, 그 파문은 20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다. In faith and theology, wonder occupies an important place. The Bible is an amazing book and is full of amazing stories. This article specifically considered the wonder-motif in Matthew's Gospel. Of the vocabulary related to wonder, the Gospel of Matthew frequently uses ἐκπλήσσω, θαυμάζω, and φοβέω, while ἐξίστημι is used only once (Mt 12:23). When Matthew's narrator uses the verb ἐκπλήσσω, it is related to Jesus' teaching. Through this, the narrator of Matthew wanted to convey the impact of Jesus' teaching. The verb θαυμάζω is mainly used in reactions related to Jesus' miracles, and is also used in the Gospel narrative to express the wonderful feelings of Jesus' enemies. The verb and noun forms of φοβέω are mainly closely related to the divinity of Jesus, and are also related to the theme of ‘the Son of Man’ or ‘the Son of God.’ In particular, in Matthew's Gospel, φοβέω is also combined with the theme of the crucified and risen Son of God. The Gospel of Matthew also tells of Jesus' own wonder at the centurion's faith. While the covenant people reject the promised Messiah, the fact that people outside the covenant believe it is a paradox, and Jesus' wonder is a reaction to that paradox. In the Matthew narrative, Jesus is “the amazing Jesus.” Thus, the Christian gospel that preaches that Jesus is a wonderful gospel. The amazing Jesus and the amazing Gospel delivered by the Gospels were so wonderful, and the ripple continues to this day, 2000 years later, and will continue to do 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