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 세계문학과 번역의 위치

        김용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1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in terms of translation. The role of translation is indispensable to world literature in that it is an important process in which literary works move up to a more universal and general level beyond their specificity or locality. Goethe’s and Marx’s theory of world literature would also be hard to emerge without the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nslation of literatures between cultures. Exploring world literature as translation means how literature moves around the world, how literature moves from source culture to target culture, what changes and refractions are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how these crossings and migrations transform the culture. Transl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texts are not only linguistically translated in the text but also across cultures and ideas. Translation as a process includes both new cultural phenomena which translated texts produce in the target culture rather than translation of specific objects or texts, and the process of refraction, hybridization, and transformation that occurs when new ideas or concepts enter into the target culture. Once based upon this view, the materiality of the translation process without obsessing with the equivalence or transparency of translation reveals itself. Translation in world literature is a major mechanism that shows its important operation, as well as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asymmet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By engaging with the location of translation in mind, world literature seeks to think of itself in a way that translates the inequality of the world literary space and revisits it through transcultural practice. 이 글은 ‘번역’의 관점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번역은 해당 작품이 그 특수성이나 지역성을 뛰어넘어 보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 도달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세계문학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과제이다. 괴테와 맑스가 말한 세계문학론 역시 문학의 국제적 유통과 문화 간 번역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등장하기 어려웠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을 탐구하는 것은 ‘문학’이 어떻게 ‘세계’를 이동하는가, 문학이 자신의 원천문화를 떠나 목표문화로 나아가는 번역 과정 속에서 어떤 변화를 겪는가, 이런 횡단과 이동이 목표문화에 어떻게 이식, 굴절, 변형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말하는 ‘번역’은 텍스트 내의 언어적 번역뿐만 아니라 이념들 간의 문화번역까지 염두에 둔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민주주의, 진보, 계몽, 근대성과 같은 사상이나 이념이 목표문화 속에 수용되어 야기되는 굴절, 혼종, 변형의 과정 역시 번역 개념에 포함된다. 이런 시각을 가질 때, 번역의 등가성이나 투명성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번역과정의 물질성에 주목하게 된다. 번역은 중심과 주변의 불균등성과 비대칭성을 동시에 안고 있는 문제이며 세계문학의 중요한 작동을 드러내는 핵심 기제이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은 번역의 위치를 항상 염두에 두고 세계문학 공간의 불균등성과 불평등성을 문학의 세계구성을 통해 번역하는 한편 그 번역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정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英譯)의 실제와 방향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를 중심으로

        정혜경 ( Jung Hye-ky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한국 고전문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작품의 英譯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집적된 관련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현재 해외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이들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의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는 오늘날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미문화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영문으로 된 몇 안 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유의미할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전공자에 의해 번역된 이 책은 초창기 학술서 번역의 중요한 모형으로서 향후 한국 고전문학 영역의 문제와 전망을 탐색하기에 유용하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방식을 살핀 결과, 이 책은 원어(Source language)가 목표어(Target language)로 충실히 구현되었으며, 독자 중심의 번역을 구사함으로써 텍스트가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텍스트의 체제 재구성, 디테일구현, 현대 문체의 적용 및 의미중심 번역을 통해 영미문화권 독자가 느낄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가독성(readability)을 높였다. 하지만 이러한 꼼꼼한 번역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오역에서부터 단어와 문맥의 오독, 장르에 대한 이해 부족, 의미중심 번역의 문제, 번역의 비일관성, 그리고 본문과 인용문의 비유기적 번역에 이르기까지 제 문제가 존재했다. 이러한 내용적 오류를 교정하고 실천적 차원에서 학술서 번역의 문제를 다루려면 한국의 고전문학 전공자들과의 협업 체계가 구축되고 번역서를 수정·보완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술적 차원에서 번역 양상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야 한다. 특히 고전문학 학술서는 저자의 장르론과 문학관이 투영되어 있으므로 저자와의 충분한 문학적 소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고전문학 학술서에 인용된 작품은 개별 작품의 번역과는 다르게 의미적 해석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저자의 해석과 비평이 타당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축자역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인용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문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To globaliz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s English translation and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works. The materials regarding Korean literature circulated in the global market should be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mproved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general.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which i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rare works translated in English and distributed in British and American societies through various channels. Moreover, it is a material of great value in that it is widely used a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n Korea. This book was translated in English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who studied Korean education, and therefore, represents a prototype of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t also helps to examine the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Judging from the examina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the source language is well translated into the target language in the book. The translation was done from readers` viewpoint so that the text can be approachable. In particular, it minimizes the chance of British and American readers feeling different/foreign and increases readability by reorganizing the text, realizing the details, using a modern style of language, and translating liberally. Despite the meticulous translation, however, various problems are present including simple errors, misreading of words and contexts, misunderstanding of the genre, issues of free translation, inconsistency in translation, and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quotation in translation. To correct and practically deal with such errors in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cooperation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jors and a system which can additionally correct and improve the English transl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academical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 and make an effort to offer a new method of its improvements. In particular,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 the authors/researchers` view of literature and genre argument, and therefore, translating them requires sufficient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 authors. Finally, unlike translating individual works, works quoted in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translated literally, rather than liberally, to allow reader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ors`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Such works should also be translated in connection with the text so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function as quotations.

      • KCI등재

        1950년대 지식-번역의 장(場)과 문인번역자의 위상

        김진희(Kim, Jin-hee) 한국근대문학회 2014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5 No.2

        장만영의 번역 출판 작업은 1950년대 이후 한국 정부가 추진했던 지식의 새로운 체계화 작업과 이를 통한 교양 있는 시민 양성이라는 커다란 정책 담론의 방향 안에서 이루어졌다. 장만영은 1950년대 번역의 장에서 영어와 일어 두 언어에 대한 능력과 문장력을 갖춘 시인으로 시인전집과 시전집 등 다수의 번역물을 출간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그런데 장만영을 포함하여 번역의 장에 불려 나온 문인번역자들은 1950년대 후반이 되면서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번역자 집단으로부터 주변화된다. 1950년대 후반부터 교수번역자들은 출판사와 협력하여 번역 작품의 선정, 심사, 결정 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번역 장의 중심에는 국가권력, 출판자본, 교수번역자들이 존재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일본어를 읽고 쓰고 이해하며 중역에 능통한 문인번역자였던 장만영은 ‘단독’으로 세계문학을 모국어로 한국문학의 장에 소개했다. 장만영은 한국 문학을 세계문학에 포함시킴으로써 문학의 중심이었던 일본으로부터 탈식민의 기획을 성취했고 나아가 한국문학을 세계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새롭게 자리매김했다. 이는 일본어와 일본문화로부터의 탈피에 대한 강박증이 중역에 대한 경멸을 불러일으켰지만, 오히려 중역을 통해 장만영과 중역의 주체들은 모국어에 대해 고민하면서 영어 중심의 세계문학 구상이 미국 중심의 문화로 재편되어 가는 한편에서 일본어와 한국어, 영어의 사이에 서서 세계문학을 구상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1950년대 번역의 장에서 번역의 주체가 원역으로 번역했는가 아닌가의 문제보다는 모국어를 통해 어떤 문학적 실천을 하고 있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장만영은 1950년대 번역의 장에서 외국의 시집 및 시인을 수용하는데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낸 문인번역자로 모국어의 아름다움, 세련된 표현, 창작적 번역을 통해 당대 문학-문화-지식의 장에 시문학 장르를 새롭게 자리매김했으며, 세계문학의 견지에서 한국문학을 구상하는 중요한 실천을 보여준 번역의 주체였다. After the 1950s, the publishing process of translated works by Jang Man-young took place within a framework of larger policy discussion, centered on the nurturing of educated citizens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new knowledge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t that time. On the one hand, Jang Man-young’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blishers that were approached by the state policy orientation allowed him to become one of the most published translators in the 1950s. On the other hand, having learned in Misaki English School (1934-1936), his literary talents in both English and Japanese were also the reason why he was a popular translator. With accelerating demands, literary translators began to be marginalized from those who taught translations in the universities starting in the late 1950s. Since the late 1950s, in collaboration with the publishers, professors of translations began exerting enormous influence in the selection, screening,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of the translation literatures. State power, publishing capitals, and the professors were at the center of translation commun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Jang Man-young, who were fluent in read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language, introduced world literature to Korean literary world on his own. Jang Man-young accomplished the post-colonization of Korean literature by subsuming it to the category of “world literature,”and he went on to seek new imagination towards modern literature by “otherizing” Korean literatur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orld literature. While obsessive complex toward post-colonialism often became the cause of contempt against double-translation, Jang Man-young and others were able to dream of the world literature as they pondered upon their mother language in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 as well as English-French and Japanese. In other words, as the English-centered world literature gradually became subsumed into America-centered cultural framework, they were able to “otherize” the Japanese language in envisaging world literature in between Japanese, Korean, and English. This compels the readers t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how the translators of the 1950s engaged in literary practice through their mother language, rather than whether or not their translations were loyal to the original works. In that sense, Jang Man-young was a literary translator who produced noteworthy works of foreign poets, establishing a new genre of poetry in the contemporary literature-culture-knowledge paradigm through the beauty of its mother language, sophisticated expressions, and creative translation. He was an agent through whom an important framework was implemented to shape Korean literature from the stand point of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석모용(席慕蓉)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고찰

        신의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1

        대만 작가 席慕蓉은 간결하고 쉬운 중국어로 애정, 인생, 자연을 주제로 시와 산문을 창작하였다. 그의 작품은 대만과 중국대륙에서 모두 놀라운 출판부수와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현재도 시가와 노래로 애송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는 그녀의 일부 시가 초중등 어문 교과서의 교재에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한국에서 席慕蓉관련 연구는 한편도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인이 번역한 역서도 없다. 이는 매우 아쉽고도 특이한 일이다. 현재 한국에는 1994년 중국동포 金學松씨가 번역한 역서 한권만이 출판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공간에서는 중화권 출신 중국인이 자발적으로 번역소개하고, 이를 국내 독자들이 수용하는 방식의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도 席慕蓉작품처럼 인터넷상 중국 현당대 문학작품의 전파 방식은 점점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席慕蓉작품처럼 한국의 독자들에게 쉽게 수용되며 사랑받을 가능성이 충분한 중국어 문학작품을 발굴하여 소개하지 못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중화권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작품을 생존 작가의 가벼운 애정시라 여기어 한국 학술계에서 학술 연구가 전무한 점과 이와 관련하여 현재 현당대 문학연구와 번역이 주로 중국 대륙작가 위주로 편향되어 있는 점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席慕蓉文學作品,在台灣和中國大陸在內的全世界華文文學界里的廣泛傳開,但是韓國學術界却沒有反應,沒有學術論文也沒有飜譯書,這是一種?奇怪的現象。只有一本金學松飜譯的韓文飜譯書和韓國的因特網博客里的席慕蓉作品的韓文飜譯,但這些也都不是韓國人飜譯的,是在中國受到敎育的中國人包括朝鮮族同胞飜譯的。金學松的韓文飜譯書愛情的季節與?見面里的一些部分采取了意譯的方式,飜譯的個性豊富,但?離開原文的意圖。因特網上席慕蓉作品的飜譯比較重視原文的形式和內容,但不勾個性和創造性。席慕蓉的作品傳到韓國的過程和韓國人認識到其他中國有名作家的過程不一樣。席慕蓉作品沒有學術界的事前工作的狀況下,韓國讀者直接從網上學習到相關知識,共享席慕蓉的作品。這意味着席慕蓉的文學作品給韓國大衆留下了?深的印象。但是現在在網上自行飜譯流傳的席慕蓉作品需要一些專家的整理和補充。最同時還需要學術界該擔任的角色,希望韓國的飜譯和硏究方面的專家進行發展席慕蓉文學作品的整理和補充。

      • KCI등재

        번역문학의 수행성과 동아시아의 근대성 : 『번역가의 탄생과 동아시아 세계문학』에 대한 서평

        김남혁 ( Kim Namhyu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7 No.2

        박진영의 _번역가의 탄생과 동아시아 세계문학_(소명출판, 2019)은 한국문학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번역가들과 그들의 번역 방법론(중역), 그리고 이를 통해 수행됐던 세계문학에 대한 상상과 복수의 동아시아 근대성을 탐구하는 책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번역가와 번역문학을 감싸고 있는 역사적 조건과 맥락, 그리고 그것들이 발생시킨 효과들을 동아시아라는 시좌에서 살펴본다. 이에 따라 저자는 원본과 사본의 위계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기왕의 비교문학과 번역학의 관점들과 절연하고, 원본과 사본 간의 접촉과 횡단 그리고 그것들의 파생 결과들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파헤친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한국근대문학과 세계문학에 대한 한국인의 관념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문학사 안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번역주체들에 대한 탐구로 연결된다. 홍난파, 이상수, 양재명, 진학문, 김동성, 김억, 임학수, 양건식 등의 생애와 그들이 남긴 번역문학들, 그리고 그들의 번역 방식들이 본문에서 역사적인 관점에서 검토된다. 한편 이들의 번역 방식은 대개 일본을 경유한 중역의 형태를 띠곤 했는데, 저자는 이러한 중역을 선험적인 이분법에 의거해 가치 판단하는 대신, 주체와 타자의 인식들이 다양하게 대립하고 중첩되기도 하는 복잡한 교차로로 인식한다. 이 때문에 중역은 문학사에서 감추고 은폐해야 할 부끄러운 한계가 아니라 다양한 사상들이 만나고 분기되는 이채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바로 여기서 동아시아의 시좌 혹은 방법론은 번역(중역)과 관련된 문학적 실천과 수행성을 일본과 중국 그리고 한국으로 확장시켜 준다. 세계문학은 동아시아 국가들 간에 번역이란 실천을 통해 상상됐으며, 역사적 흐름 속에서 연속과 단절의 부침을 드러냈고, 이 때문에 세계문학에 대한 관념과 동아시아 근대성은 복수성을 지니게 됐다. The Birth of a Translator and East Asian World Literature explores many translators who have not been dealt with significantly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and their method of translation : the double translation. This study also covers the Western literary imagination, the notion of world literature, and East Asian modernity.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is book is that it considers translation and the double translation as literary activities. So the double translation in this book means not inferior features of literature in translation in modern Korea but different ways to produce literary effects. So, if you take translation as performativity, the hierarchical order of original/translation, source/copy, and so forth can be questioned. According to this book, the methodology in translation studies and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has supported that order of rank and has evaluated the perfection of translation. While those studies place a priority of authenticity, this book pays attention to performativity. Because of such differences, this study could investigate so many korean translators who has been passed unnoticed : Nanpa Hong, Hakmun Jin, Eok Kim, Geonsik Yang, Haksu Im, Namsun Choi, and so on. They often depended on the double translation from japanese. However that was the unique way how they could produce so many translated works. In addition to that, the notion of world literature could be extended by their translation activities. Consequently, the world literature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East Asia has revealed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So we may call it the plurality of world literature.

      • KCI등재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과 보급의 현황

        권세훈 ( Se Hoon Kwon ),김갑년 ( Kab Nyun Kim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 나라의 문학을 외국어로 번역해서 현지의 출판시장에 내놓는다는 것은 단순히 상업적인 이윤추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외국 독자는 문학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며 동시대인으로서 공감대를 이루게 된다. 문학은 이처럼 번역을 통해 모국어의 울타리를 벗어나 세계문학의 한 부분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번역가 없는 세계문학은 공허한 개념이다’라는 말이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번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 일본 작가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설국≫을 영어로 번역하여 노벨문학상까지 받게 만든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Edward G. Seidensticker)이다. 원작의 독창성과 예술성이 좋은 번역과 만날 때 외국 독자를 감동시키는 새로운 언어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특히 문학은 고유의 지속성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문화적 전파 효과가 크다. 그러나 한국문학은 세계문학 내에서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이것은 최근 K-팝을 비롯한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통해 해외에서 부각된 한류현상이나 학습만화와 같은 실용적인 도서 내지는 장르소설(인터넷소설)의 인기와도 대조된다. 물론 정통 문학이 물질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리는 일상적인 삶속에서 전반적으로 퇴조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문학 번역출판의 문제점은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번역하는 번역가가 많지 않다. 특히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할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면서 독자적으로 번역할 수 있는 원어민 번역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한국문학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있지만 원어민 번역자는 전체적으로 100여명에 불과하다. 이것은 문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술서에도 해당된다. 개념어의 번역에 전문가적 지식이 요구되는 학술도서나 문체의 아름다움을 살려야 하는 문학 모두 번역가의 특별한 능력이 요구된다. 원어민 번역가의 부족은 해외출판사 입장에서도 또 다른 고민거리이다. 흥미로운 번역물이 접수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얼마나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되었는지 판단해줄 전문편집위원이 없기 때문에 출판을 주저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한국문학의 번역출판은 지난 10여 년 동안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판 발행으로 끝난 경우가 많은 것은 ‘해외 독자가 무엇을 원하는가’보다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에 더 많이 치중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한 라디오 방송국(SWR)의 문학담당 기자이면서 한국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서평을 써온 카타리나 보르하르트(Katharina Borchardt)는 2011년 9월 한국문학번역원이 주최한 세계번역가대회에서 한국 문학의 독일 수용에 관한 주제발표를 했다. 이에 따르면 지금까지 독일에서 번역 출판된 한국문학의 주된 테마는 여전히 남북분단이나 민주화 투쟁이며 작가들 또한 50대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이다. 이 기자는 독일 사회에서 지적 호기심이 많고 서적 구매력이 높은 젊은 여성들의 취향에 맞는 작품에도 신경을 쓸 것을 권한다. 가령 현대 시민사회에서의 고독한 개인의 삶이라는 문학의 보편적 주제가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표현한 작품이 호응도가 더 높을 것이다. 번역할 작품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작가, 번역자, 해외 출판사 사이의 긴밀한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한국문학 번역 출판은 대부분 치밀한 마케팅전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왔다. 세계 출판시장에서 중소 서점이 몰락하는 대신 대형 서점의 체인화가 진행되고 국제적인 저작권 에이전시 역시 글로벌한 차원에서 움직이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문학 역시 이러한 시스템에 편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미국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문학의 입지를 넓히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몇몇 한국 작가의 경우 국내외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고 책을 출판하고 있으며 개별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한 부분으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많은 것이 새롭게 기획되고 감동 번역을 통해 현지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문학 영어번역 양상 멀리서 읽기(2)-고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전기화,김지윤,유건수,전세진,정기인,정성훈,Seth Chandler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한국 고전문학의 영어번역양상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1889년부터 2023년까지 번역된 1868개의 고전문학 작품과 206권의 단행본의 목록을 만들고, 그 서지 사항을 근거로 하여 시기별 발간량 추이, 여성 작가의 비율 추이, 장르별 번역 추이, 작가와 산출 연대별 번역 추이, 번역가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고전문학 분야의 연간 발간량은 지난 60년 동안 일관된 증가나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정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재번역 및 재출간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 작가의 비율은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특히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 데이터 수집 기간 중 가장 높은 16.8%를 기록했다. 이러한 여성 작가 비율의 증가는 번역자 개인의 관심과 영미 학계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장르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글문학, 한문학, 구비문학 순으로 비중이 높으나, 이 비중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구비문학이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기록문학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2000년대 이후 한문학 및 산문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품이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번역된 작가들은 鄭澈, 黃眞伊, 尹善道 등 고전시가 작가들로 확인되며, 번역 작품의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상위 작가 명단은 金萬重과 惠慶宮 洪氏 등 고전산문 작가들로 나타난다. 번역된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작품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 작품이 다수 번역되었다. 한편 번역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볼 경우, 초기 선교사 번역가들과 20세기 중후반 한국학 개발 시기의 번역가들의 작품이 여전히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개인적 취향과 환경이 번역 양상에 영향을 끼쳤다. 현재로서는 고전문학의 실제적 다양성을 영어번역에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최근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 번역 양상에까지 충분히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reliminary study offers a comprehensive view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Using bibliographic data from 206 books and 1868 works of translation published between 1889 and 2023, it analyzes trend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published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female authorship, literary genre, and historical era among source texts, and the translators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analysis indicates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in publishing over the past 60 years, and finds a tendency for specific works to be retranslated or republished. Female authorship of source texts gradually increases over time, reaching a maximum of 16.8 percent in 2011-2020. This increase may reflect individual interests of specific translators and the influence of English-language academia. In terms of genre, Hangul literature makes up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n oral literature. However, this changes over time, shifting from oral literature prior to 1960 to written literature in the 1970s. From the 2000s, prose and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grew. Authors with the most translated works include classical poets like Jeong Cheol, Hwang Jin-i, and Yun Seon-do, while a weighted measure of translated works results in prose writers like Kim Man-jung, Lady Hyegyeong, and Il-yeon. Joseon-era source texts are predominant, particularly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Early missionary translators and thos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from the mid-to-late twentieth century remain the largest overall contributors, with their personal tastes and available resources influencing overall trends. This suggests that the concerns of recent researchers, who argue for a fuller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classical works, are not yet sufficiently reflected in English translation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 KCI등재

        아랍권의 한중일 문학 번역 및 한국 문학의 위상

        ELEWA Alaa F.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8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Arab readers came much later than other East Asian works of literature, especially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South Korea was less fortunate in establishing early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Arab world, while early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Arabs, Chinese, and Japanese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early cultural ties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me real-world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activities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reasons for the uneasy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and accordingly, it examines the situations and some of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This paper also aims to highlight various efforts made to activate and solve the problems of Arabic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discuss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Arabic translation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challenges it faces. While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history of translating Korean literary works into Arabic, its current status, and the efforts made to improve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t also reviews some of the practical problems facing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including publishing, promotion, etc.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보다 약 50 년 늦게 출발하였다.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일찌감치 활성화된 아랍 세계와 중국, 그리고 아랍 세계와 일본 간의 교역 및 외교 관계의 영향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오래된 번역 역사임도 불구하고 두 나라 문학의 번역이 그리 순조롭지 못한 측면들이 있었고 아직도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한정된 독자층, 재판 문제, 이슬람권에 어울리지 않은 문화요소, 국제수상작을 중심으로 한 작품선정 등의 체계적인 번역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다양한 현실적 문제를 본 논문에서 자세히 알아본다. 이는 역시 한국 문학 아랍어 번역에서도 나타나고있다. 2000년대 중반에 시작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나, 독자층의 성립, 올바른 홍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한 아랍인의 인식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한국 문학의 번역 활동을 이어가려면 작품 번역 외에도 한국 문학, 역사, 문화 등을 소개하는 ‘아랍어로’ 된 도서와 다양한 행사를 통해서 한국 문학 알리기 활동 등의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번역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평을 통한 번역 검증도 시급하다. 이 같이 본 논문은 먼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일찍이 시작된 번역 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을 다룬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완성된 번역 활동을 위해 실행되고 있는 노력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상호문화적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 문학 번역 과제 개발 연구

        장미경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3 No.-

        한국 문학은 감상의 대상으로서 이미 존재 가치가 충분하다. 또한 모국어 화자를 위한 국어 교육과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한국 문학은 교육의 대상으로 늘 다루어져 왔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할 때 단순히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 및 감상을 넘어 그들의 모국어로 작품을 번역하려는 시도는 또 하나의 창작이라고 불릴 만큼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미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 문학의 번역 작업과 한국어 읽기 교육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실제적 노력이 지속되어 왔고 특히 터키,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해외의 주요 대학 한국어학과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만 국내 교육 환경에서는 동일한 언어권 학습자들이 아니라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고 번역 결과물의 적절성을 판단할 정도의 학습자 언어 구사 능력을 갖춘 한국어 교사가 많지 않다. 그 결과, 한국어 수업 시간에 ‘문학 번역 과제’를 다루기가 쉽지 않고 그만큼 관련 연구도 많지 않다. 그러나 문학작품 혹은 영화나 드라마 같은 K-콘텐츠를 전 세계로 알리는 데 있어 번역은 원작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지 독자 눈높이에 맞게 그들의 언어로 콘텐츠를 재창조하는 매력적인 행위이다. 특히, 다양한 언어 문화권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한국 문학’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보여 주고 학습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대상이며 문학적 소양을 갖춘 한국어 학습자들은 훌륭한 예비 번역가로 성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문학작품 속 문화어휘를 발견하고 그 어휘가 쓰인 텍스트 내 맥락을 이해하여 자신의 언어로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번역 과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그 과제는 ‘문학 텍스트 내에서 문화 어휘를 파악하여 번역하기’로서 동일 언어권 학습자들 간의 토의 단계를 거치고 그 결과를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문학작품의 단순한 이해를 넘어 자신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문화적 번역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사회·문화적으로 가장 적절하게 번역해 낼 수 있는 화용적 번역 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번역 과제 수행은 번역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번역이라는 도구적 활동을 통해 텍스트의 문화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 읽기 능력 향상과 상호문화 역량개발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게 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문학번역을 통한 ‘문화전이’ - 릴케와 한국의 근대화

        고유리 ( Ko Yuri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4

        본 논문은 문화학적 번역학의 시각으로, 릴케의 번역문학이 도착문화인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고 어떤 사회문화적 기능을 갖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문화전이 Kulturtransfer’ 이론은 번역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문화적 이슈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번역을 ‘문화간 소통과정’으로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본고의 첫 부분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기반인 ‘번역학의 패러다임 전환’과 뤼제브링크의 ‘문화전이’ 이론을 연계하여 선제적으로 다루고, 이어서 이들을 1980년대 이후 문학번역 연구에 구체적으로 접목시켜 본다. ‘문화전이’로서의 문학번역은 도착문화에 맞추어 수용된 원전의 ‘다시쓰기 Rewriting’로 이해된다. 또한 번역은 도착문학 시스템 안에서 유기적 기능을 수행하는 ‘폴리시스템 Polysystem’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번역문학이 도착문화의 정치, 경제, 문화적 시스템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도착문화의 맥락은 번역작품의 선택에서부터 수용과정 전반에 걸쳐 문화의 소통을 지원하기도 하고 제약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전이’ 과정은 도착문화에서 어떻게 수용되는가에 따라서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이 분류방식을 실제적으로 문학번역 연구에 적용하여 구체화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러한 ‘문화전이’의 실례로서, 본고에서는 특히 근대화의 맥락에서 -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 - 한국의 시인들이 번역하고 해석한 릴케문학의 ‘생산적 수용’에 주목한다. 릴케문학 수용의 ‘개척자’로서 작품을 번역하고, 소개한 당시 한국의 시인들은 도착 문화 특유의 번역가이자 문화전이의 주체이다. 이들의 수용양상은 몇몇 작품과 비평에 제한되었지만, ‘릴케예찬 Rilke-Kult’이라고 할 만큼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양태를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 기존의 평가중심적인 번역비평에서 차별화된 - ‘문화전이’ 이론을 모델로 하여 문학번역 및 문화의 소통과정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Die hier vorliegende Arbeit ist im Bereich der kulturwissenschaftlich ausgerichteten Übersetzungswissenschaft angesiedelt. Es werden verschiedene koreanische Übersetzungen von Rilkes Werken untersucht, um meine Forschungsfrage zu beantworten, inwieweit Rilkes Werke in Korea rezipiert worden sind und welche soziokulturelle Funktionen in der Zielkultur diese Übersetzungsliteratur ausübt. Die Kulturtransfertheorie bietet eine Methode, Übersetzen als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zu begreifen, indem unterschiedliche Übersetzungskontexte mit zielkulturellen Faktoren im Mittelpunkt stehen. Im ersten Teil meiner Arbeit wird die theoretische Grundlage erläutert, indem der Paradigmenwechsel der Übersetzungswissenschaft und die Kulturtransfertheorie von Lüsebrink zusammengebracht werden. In diesem konzeptuellen Rahmen wird die neuere Methode der literarischen Übersetzungswissenschaft seit den 1980er Jahren diskutiert und konktretisiert. Die Übersetzung als ‘Kulturtransfer’ versteht sich als ‘Rewriting’ eines Originals, das zielkulturorientiert rezipiert wird. Dazu ist die Übersetzung als ein ‘Polysytem’ zu verstehen, weil sie in dem zielkulturellen Literatursystem funktioniert. Demzufolge beeinflusst die Übersetzungsliteratur die zielkulturellen Systeme von Politik, Wirtschaft und Kultur, so funktionieren die zielkulturellen Kontexte auch gegenüber der literarischen Übersetzung bei ihren Rezeptionsprozessen. Dies kann den gesamten Vorgang des Kulturtransfers unterstützen aber auch verhindern. In meiner Arbeit wird vesucht, die koreanische Rilke-Rezeption unter diesem Konzept des Kulturtransfers mit den fünf Rezeptionsprozessen, in die das Modell Lüsebrinks sich gliedert, systematisch zu analysieren. Mein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produktiven Rezeption‘ von Rilkes Werken durch koreanische Schriftsteller in der Modernisierungszeit - also der Kolonial- und Nachkrigszeit - als Beispiel dieses Kulturstransfers. Diese jungen Dichter haben als ‚Pioniere‘ die Texte übersetzt und transferiert. Sie sind sowohl Übersetzer als auch Akteure des literarischen Kulturtransfers. Die Rezeption zeigt zwar eine Neigung für wenige bestimme Werke, doch war sie so aktiv und dynamisch, dass sie als koreanischer ‚Rilke-Kult‘ gezeichnet werden kann. Meine Arbeit zielt darauf ab, die literarische Übersetzung bzw. den Vorgang der kulturellen Kommunikation - befreit von den bisherigen normorientirten Bewertungen - mit dem Konzept des Kulturtransfers neu zu betrach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