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브루너(J. Bruner)의 발견학습이론의 음악교육적 적용과 단계적 발견학습의 모델

        승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3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cognitive learning. In the 1960s, Jerome Bruner developed a theory of cognitive and thinking growth that has had a propound effect on education. Bruner said that knowing is a process. H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 subject being studied, the need for active learning a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and the importance of reasoning in learning. Discovery learning, as proposed by Bruner, encourages students to actively use their intuit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Teachers propose issues or problems and students gather data and observations to develop hypotheses, confirm or refine their hypotheses, and explain or prove their hypotheses. The method of discovery learning is not limited to such highly formalized subjects as mathematics and physics. Its application is important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music education. Research regarding discovery learning and its conceptual approach in music education is continuing. The content for study in discovery learning has a large range, and various roles for the teacher/learner have been proposed. For success of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a stage model that has definite steps is needed with development of intentional instructor questions for each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ulti-faceted. An understanding of J. Bruner's discovery learning method as applied to music education is developed with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Study of the types of discovery learning and instructor questions for application in the steps of a music learning model are developed, and an effective stage model with specific content for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is proposed. A stage model with 3 styles of discovery learning, including a guided discovery style, a convergent discovery style, and a divergent discovery style, is suggested for music teaching/learning. Each style i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decision making, the roles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 the style of the instructor ques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arning. 학습을 통한 지적 능력의 발달은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연구 주제이다. 인지심리학자인 브루너(J. Bruner)의 지식의 구조론과 발견학습 아이디어는 오늘날까지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학습이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발견학습의 기본 성격은, 내용면에서는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하는 학습이며, 방법면에서는 학습자의 ‘발견적인 절차’에 따른 학습이고, 목표면에서는 ‘탐구적인 사고방법의 형성’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다. 탐구학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발견학습의 아이디어는 음악교과에서도 학습자의 음악적 지식 체계의 구축과 음악적 사고방법의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왔다. 발견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습득하여야 할 교과의 지식은 다양하다. 발견학습은 간단한 개념을 이해하는 내용에서부터 정보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산출할 수 있는 내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습의 수준을 포함한다. 또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업은 교사와 학습자에게 더욱 구체적이고 적극적이며 많은 역할을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은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견학습을 음악교과에 적용함에 있어, 3가지 유형의 발견학습(유도-수렴-확산 발견학습)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각 유형에 적절한 교사의 질문을 구체화시켰다. 본 연구에 제시된 3가지 유형의 발견학습은 각각 일반적 특성,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학습활동 의사결정권,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교사의 질문, 음악학습의 내용․활동․평가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발견학습과 반응중심학습 모형의 매력과 함정

        구리나(Ri-na Ku)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각광을 받고 있는 학습자중심교육 가운데 발견학습과 반응중심학습 모형을 고찰함으로써 각각의 매력과 함정을 밝히는 데에 있다. 발견학습은 지식의 구조를 학습자들이 스스로 발견하도록 하는 학습방법으로서 그것은 학습자의 자발성과 적극성을 고양시킨다는 매력을 가진다. 그러나 일상적 발견과 교육적 발견은 그 의미가 다르며, 일상적 발견을 그대로 교육적 발견에 적용할 경우 학습자가 지식의 구조를 발견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교육은 일상과 다른 논리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반응중심학습은 교육과 일상의 관련에 주목하여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석을 거부하고 학습자가 각자 자신의 삶과 경험에 비추어 문학을 이해하도록 유도하는 학습방법이다. 이 모형은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이점을 보이지만 그 다양성이라는 것이 단지 동일한 수준의 다양성을 뜻하는 것에 그칠 뿐 새로운 의미를 탐구한다는 뜻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이 경우 일상의 논리가 교육을 잠식하게 되며 결국 교육에 대한 부정으로 귀결된다. 발견학습에서 반응중심학습 모형으로의 흐름은 교사가 제시하는 중간언어에 대한 의구와 불신이 한층 더 짙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며, 그와 함께 교육의 지위가 점점 위태로워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attractions and pitfalls of the discovery learning and the response-based learning. Discovery learning and response-based learning are attractive because they respect spontaneity and diversity of learners, respectively. However, the former caused confusion in education by not distinguishing between the contexts of daily life and education, while the latter wa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and education, which led to denial of education. The flow from the discovery learning to the response-based learning is a process in which the distrust of the middle language presented by the teacher gradually intensifies, and the status of education is increasingly at stake.

      • KCI등재

        일반논문 : 영문법 교재에 적용된 이해 중심 발견 학습

        엄태경 ( Tae Kyung Eo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영문법 교수의 큰 흐름인 형태 초점 교수법과 의식고양 과제를 ``발견학습`` 이라는 교과 교육 이론의 큰 틀 안에서 분석하고, 영문법 학습 교재에 수록된 발견 학습의 예를 ``문법발견연습``과 ``구별연습``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해 중심, 산출 중심, 검사 유 형의 연습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1955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발 간된 상업적 영문법 학습 교재 21권을 대상으로 연습의 유형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시제 와 태 항목에 대해 교재에 실제로 수록되어 있는 이해 중심 발견 연습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기 술하였으며, 해외 교재에 수록된 발견 연습의 예를 함께 제시하여 국내 교재에서는 찾아보기 어 려운 유형의 연습과 영어 교수·학습 연구의 성과물이 교재에 반영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영문법 교재에 수록되었던 ``문법발견연습``이 주로 문법 구조의 지식에 대한 발문 위주의 것이었 다면, 최근 해외의 문법발견연습은 진정성 있는 읽기와 듣기 자료를 활용하고 문법 구조의 사용 맥락을 발견하게 하는 등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다채로운 연습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었다. ``구별연습``은 국내 교재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형태상으로는 선택형 문항 등을 포함 하게 되어 단순한 검사 문항으로서 분류되기 쉬우며, 아직은 구조화된 입력 및 이해 중심 연습 에 대한 국내 교재 개발자들의 인식이 높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 학습에서 성공하기 위 해서는 산출 형태의 연습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더욱이 언어 습득 이론에 근거한 연습이 아닌 세환효과(washback effect)에 영향 받은 검사로만 교재의 연습이 구성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 국의 상황을 잘 알고 있는 교재 집필자와 교사가 함께 논의하여 교수·학습 이론에서 나오는 다 양한 아이디어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구체화하고 이를 교재에 반영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성공적 인 언어 습득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focus on form approach`` and ``consciousness-raising task``, which are a major flow of recent English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wer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discovery learning``. For this, the cases of discovery learning in English grammarbook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grammar discovery`` and ``discrimination`` practice. And the application of the discovery learning to grammar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was suggested. While grammar discovery practices in English grammarbooks published in Korea were mainly focused on questioning on the knowledge of grammatical structures, grammar discovery practices of overseas materials were using authentic reading and listening materials or had learners discover the appropriate context for using the grammar structures. Discrimination practices were hardly observed in domestic grammarbooks. This practice type is often misunderstood as a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textbook developers in Korea still seem to lack the awareness about input-based and understanding-based practices. In order to succeed in learning English,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various forms of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es. Material writers and teachers should try to develop practices and tasks that help realize a variety of research results in the classroom. And they should strive to include and employ those practices in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구성적 학습방법으로서의 "발견학습"

        홍윤경 ( Yun Kyung H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발견학습을 `구성적` 학습방법으로 해석하는 것에 있다. 발견학습은 학습자가 다수의 구체적 사실들로부터 일반적 원리를 스스로 도출하는 `귀납적` 학습방법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귀납적 학습방법으로서의 발견학습은, 엄밀하게 따지면, 교사의 설명식 수업에 의거한 학습과 차별화되지 않는다는 난점을 안고 있다. 귀납적 학습방법의 원리를 따르는 `추상모형`은, 첫째, 교사와 달리 학생은 구체적 사실들로부터 일반적 원리를 도출할수 없다는 점, 둘째, `추상`을 통하여 획득할 수 없는 개념도 있다는 점에서, 발견학습의 모형으로 견지될 수 없다. 귀납적 학습방법 역시 추상모형에 들어있는 인식론적 난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이러한 인식론적 난점은, 발견학습을 학문적 추론방식을 획득하는 `구성적` 학습방법으로 규정할 때에 극복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은, 교사의 탁월한 언어구사력을 통하여, 인식의 주관적 조건을 전달하고, 그로 말미암아 학습자로 하여금 학문적 추론방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에 의거한 학습을 전형으로 삼는 구성적 학습방법은, 교사의 언어적 설명이 학습자의 `발견`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귀납적 학습방법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learning by discovery` not so much `inductive method` as `constructive method. `Learning by discovery` has been defined as the inductive method to discover the general principle which is common in many concrete facts. However, this point of view cannot solve how to differentiate it with learning by instruction. `Abstractionism`, which is a model of `learning by discovery`, is grounded on the inductive method. It is not relevant as a model of `learning by discovery` because, firstly, children cannot abstract the principle from concrete facts, while teacher can do it, and secondly there are some concepts which cannot be acquired through abstraction. These difficulties can be overcome by determining `learning by discovery` as a `constructive method` for acquiring scientific reasoning. Subjective condition of knowing, which is the essence of discovery, is transmitted through constructive method. Teacher`s excellent command of language, which is exhibited in the Socratic art of conversation, makes a learner discover scientific reasoning. Constructive method is an alternative to inductive method, for it highlights up the point that teacher`s command of language including instruction, is indispensible for learning by discovery.

      • KCI등재

        Bruner의 발견학습과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의 유아주도적 놀이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하수연 ( Sooyeun Ha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주도적 놀이의 수행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의 수행과 관련되는 방안을 찾기 위해 Bruner의 발견학습이론과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관련 논문 및 문헌, Bruner의 발견학습이론과 Ausubel의 유의미학습이론에 관련된 논문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선택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는 발견학습, 학습계열성, 지식의 표상방법 등이, Ausubel의 이론에서는 유의미 수용학습, 선행 조직자, 학습위계 등이 적용 가능하다. 둘째, 자유로운 상상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는 지식의 구조가, Ausubel의 이론에서는 선행조직자, 발달준비도, 포섭의 원리가 적용 가능하다. 셋째, 내적동기에 의한 즐거움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는 내적보상, 학습경향성 등이, Ausubel의 이론에서는 인지범주와 정서-사회범주, 학습태세가 적용 가능하다. 넷째, 주변과의 관계 맺음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 내러티브 사고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주도놀이에서 교사의 참여방안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child-directed play and to analyze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and Ausubel’s meaningful acceptance learning theory in order to find methods related to this standards. To this end, the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2019 Revision Nuri Course, play,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and Ausubel’s significance learning theor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self-directed selection, heuristic learning, learning sequence, and representation method of knowledge can be applied in Bruner’s theory, and meaningful acceptance learning, advance organizer, and learning hierarchy can be applied in Ausubel’s theory. Second, for free imaginati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is applicable in Bruner’s theory, and advance organizer, developmental readiness, and subsumption is applicable in Ausubel’s theory. Third, for enjoyment by inner motivation, inner compensation and learning tendency can be applied in Bruner’s theory, and cognitive structure, emotion-social category, and learning attitude can be applied in Ausubel’s theory. Fourth, narrative thinking is applicable in Bruner’s theory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s.

      • KCI등재

        효과적인 성경교수를 위한 창조적 교수-학습 모형 설계-로렌스 리차즈의 HBLT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선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Effective Bible teaching is not just a simple delivery of information from theBible, but has the goal of spiritual maturity and the changes of the students intheir lives. There is a huge gulf between the ancient world of the Bible and themodern world. Not only the differences of time and space, but there are gaps inculture, custom, language, life style, and value system. Building a bridge over thevast difference, Bible teachers are to impart the truth of the Words and help thestudents understand the Bible, have personal faith, and change their lives. LawrenceO. Richards suggested the Creative Bible Teaching based on the principles ofguided discovery learning. It consists of three steps: focusing on the students’interests (Focus), helping them discover what God has given us in the Bible(Discovery), and encouraging them to respond to what God expects us to do(Response). This teaching method imply HBLT approach and are composed offour basic sections “Hook(gaining attention)–Book(studying the passage)-Look(implications of passage to life)-Took(application of truth to life).” First, theteacher gains attention of the students to focus on the passage of the day. Then,he seek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passage through inductive Bible study. Next, he applies the understood passage to daily living to discover theimplications. Finally, he encourages the students to practice the implications intheir lives. Richards’s HBLT approach is an effective Bible teaching method, leading students’ spiritual growth and the change of life. It is a creative teachingmethod that can be applied from preschoolers to adults. The purpose of thisstudy is planning of creative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Richards’s HBLTapproach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church school. Although only one Sundayschoo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4-6) is presented inthis study, a lot of changes and growth are found in all departments of thechurch school when this model is actually performed. First, the attitudes of thestudents are changed positively. Next, the teachers also grow as responsible andtrained Bible teachers. Most of all, the Words is reaffirmed as truth in the heartsof the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y experience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their lives. Of course, the HBLT approach cannot be the sole method for aneffective Bible teaching. However, it is a creative and prominent Bible teachingmethod as it helps the students enter into the biblical world with curiosity anddiscover the truth there, and respond to the truth. Therefore, if each churchreorganizes this teaching method and plans and performs it according to theirown situation, an effective Bible teaching that leads to the maturity and change ofthe students should be possible. 효과적인 성경교수는 단지 성경의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영적성숙과 삶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성경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가하는 것이다. 사실 고대 성경의 세계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사이에는 커다란간극이 있다. 단지 시간적, 공간적 간극뿐 아니라, 문화, 관습, 언어, 생활양식, 가치관등의 간극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경의 세계를 낯설게 만든다. 성경교사는 이 간극을뛰어넘어, 성경말씀이 학습자들에게 진리로 전달되어 성경을 이해하고 인격적으로 믿으며 삶이 변화되도록 돕는 자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창조적인 성경교수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 행해오던 강의법은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교수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말씀의 적용을 통한 삶의 변화를 도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반면, 창조적인성경교수방법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으로서 발견학습의 원리를 따른다. 즉, 학습자의관심에 초점을 맞추는 “초점”,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성경에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발견하도록 돕는 “발견”, 그리고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기대하는 것에 반응하도록 격려하는 “반응”이라는 세 단계를 따르는 것이다. 로렌스 리차즈(Lawrence O. Richards)는 이 원리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성경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HBLT 접근법으로서, “Hook(주의 끌기)-Book(주제 연구하기)-Look(적용점 찾기)-Took(실천사항 찾기)”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학습자들의관심을 그 날의 학습 주제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유도하여 성경본문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리고 귀납적 성경연구를 통하여 주의 깊게 성경본문을 연구하여 명확하게 본문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다음으로는 이해된 본문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함축된의미를 탐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습자들이 발견한 본문의 함의를 삶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리차즈의 HBLT 접근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말씀을 단순히 지식적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속에서 말씀을 체험하고 이를 내면화하여 삶에 적용하도록 도움으로써, 학습자들의 영적 성숙과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성경교수방법이다. 무엇보다 유아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적용할 수 있는 창조적인 교수방법이다. 본 연구는 리차즈의 HBLT 접근법에 기초하여 교회학교에서 시행할 수 있는 창조적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모형은 교회학교에서 직접 실행되었던 것으로서, HBLT 접근법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부(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성된 공과 커리큘럼 중의 하나만을 제시하였지만, 실제로 이 수업모형을 실행하였을 때 교회학교 전 부서에서 많은 변화와 성장의열매가 있었다. 먼저 공과에 임하는 학습자들의 태도가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되었다. 다음으로 교사들 또한 책임 있고 훈련된 성경교사들로 성장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성경말씀이 학습자들과 교사들에게 진리로서 재인식되고, 삶속에서 체험되는 성령의 역사가있었다. 물론 HBLT 접근법이 효과적 성경교수를 위한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하지만,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경의 세계로 들어가, 그 속에서 진리를 발견하고 그 진리 앞에 반응하도록 돕는데 있어 탁월한 성경교수방법이다. 따라서 개 교회에서 각 교회의 실정에맞게 이를 재구성하여 수 ...

      • KCI등재

        데이터 분석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학습 시스템 개발 연구

        이영호,구덕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데이터 분석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학습 시스템 개발 연구이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분석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발견학습 모형에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모델을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이 모델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다. 둘째, 이 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을 위한 딥러닝 기반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학습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모형을 생성하고, 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딥러닝을 적용한 발견학습 및 시스템 설계 연구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미래 사회에서 학습자의 데이터 분석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ep learning based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learner's data analytical thinking ability.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ep learning was applied to the discovery learning model to improve data analytical thinking ability. This is a learning method that can generate a model showing the relationship of given data by using the deep learning method, then apply the model to new data to obtain the result. Second,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based system for DBD learning model. Specifically, we developed a system to generate a model of data using the deep learning method and to apply this model. The research of deep learning based learning system will be a new approach to improve learner's data analytical thinking ability in future society where data becomes more important.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김명숙,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08 영재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수도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15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을 구성하는 학습자요인으로서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적 학습전략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구조모형을 상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과학관련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효능감이나 내재적 가치를 나타내는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전략의 사용이나 자기조절을 나타내는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관련태도 중 과학적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과학문제발견력중 창의성관련 범주인 정교성이 높았다. 그러나, 과학관련태도의 다른 하위범주와 과학문제해결력의 다른 하위범주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은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정교성이 높았으며 과학의 탐구동기와 탐구수준과도 정적 관계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문제발견력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과학탐구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1과 창의성 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2의 분석결과가 모두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인 과학관련태도가 직접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가치의 인식을 갖는 동기요인과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의 사용을 매개로 하여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based on science related attitud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of the gifted in science. A total of 153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university- based gifted education center.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and Science Problem Finding Test. In order to examin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we assumed scientific problem finding model related to science inquiry , modelⅠ (domain specific), and scientific problem finding model related to creativity, model II (doma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MSLQ were significa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s sub fact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science related attitudes. Only scientific attitude as a sub factor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laboration of creativity category in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In other h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laboration, inquiry motivation and inquiry level in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Second, as the results of SEM analysis, we confirmed model I and model II were the best adequate through the indices of best fit (TLI, CFI>.90, RMSEA<.08);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was directly influenced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ut science related attitudes indirectly influenced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through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were discussed.

      • 발달이론들이 발견학습에 주는 시사

        이민태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71 公州敎大論叢 Vol.8 No.1

        學習과 發達파의 관계를 설명하는 3가지 立場이 있다. S-R로써 說明하는 사람들은 學習과 發 達이 同一凌階의 것으로 본다. Vygotsky는 學習이 發達過程을 先導한다고 보며 Piaget는 發達이 先行해야 學習이 可能하다고 본다. Vygosky는 인간의 高等精神機能은 社會文化 특히 社會的 言 語의 內面化에서 發生 發達하며 이 言語를 통해서 發達을 促進시킬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發 見學習 보다는 敎示學習이 낫다는 論理的 結果를 준다. Piaget는 知能發達에의 言語의 役割을 덜 重視하며 行動에 思想의 發生的 根源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發見學習을 주장하는 理論的 土 台를 준다. 知能의 發達은 知的 構造化의 과정이며 이에는 言語를 통한 敎示學習보다는 兒童의 行動이 構造化 되어야 한다고 본다. 경험과 학습이 發達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Piaget의 理論에는 많은 비판과 異論이 있다. 그러나 言語,經驗,學習 發達등 用語가 Piaget에 의해서 어떻게 쓰여지고 있는가를 파악하면 批判들이 모두 妥當하다고 볼 수 없다. Vygotsky는 言語機 能의 一面만을 보고 Bruner는 言語의 feedback機能을 무시한 것 같다. Ausubel은 言語를 통한 敎示學習도 얼마든지 有意義하며 교실상황에서 敎示學習이 낫다고 주 장한다. Bruner는 發見學習이라야 참 知識을 얻고 思考力을 기르며,知識의 爆發에 학교교육이 다라 같 수 있다고 봄다. 그러나 發見學習와 長短点을 評價하는 데는 Cropbaqh가 지적하듯이 교과목, 교육목표 歸納的 方法의 정도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Bruenr외 學習模型 理論은 Piaget 의 構造와 Vygotsky의「Second signal system」에 영 향을 받은 것 같디-. Bruner의 理諭이 오늘날 교 실상황에서 적절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 발견 학습을 적용한 탐구수업의 효과

        최은미 ( Eun Mi Choi ),김동렬 ( Dong Ryeul Kim ),문두호 ( Doo Ho Mo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 발견 학습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발견 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집단보다학업 성취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1). 이러한 결과는 발견 학습 수업을 통해 과학 현상을 실제로 경험해 보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수업에 흥미를 갖게 되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교과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처치 전·후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발견 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집단보다 과학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p<.01). 이러한 결과는 발견학습 수업을 통해서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과학의 중요성과 가치를 깨닫고, 과학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한 결과로 판단된다. 셋째, 발견 학습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생각을 면담한 결과, 과학 수업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관찰하고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업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그림과 설명으로만 보았을 때는 이해하기 힘들었던 과학내용이 직접 관찰하고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쉽게 이해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discovery learning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Plants" for 2nd grade middle-school students ha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effects of discovery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in which discovery learning was implemented in the lesson than for the group in which traditional lecture style lesson was carried out ( p<.01).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actually experience scientific phenomena through the discovery learning lesson and are engaged in the lesson in the course of discovering and confirming problems on their own, and thus, are able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lesson better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overy learning on attitude towards science, science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lessons. Tests results indicated that attitude towards science improved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in which discovery learning was implemented than for the group in which traditional lecture style instruction was carried out ( p<.01). Such results demonstrate that discovery learning in lessons encourages students` interest and inquisitiveness for science, along with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value of science to positively change their opinions about science lessons. Third, based on interviews with students about the application of discovery learning in science lesson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how science lessons were perceived by them. Many interviewees shared opinions that their interest for the lesson was increased through concrete observation and experiments. Also, science contents which interviewees found hard to understand previously just from looking at pictures and descriptions became easier and more comprehensible through the process of direct observation and finding answers on their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