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속에 나타난 ‘반복강박’의 의미에 대한 고찰 - 이청준의『조율사』를 중심으로 -

        이은애 ( Lee Eun-a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본 연구는 이청준의 소설『조율사』를 중심으로 문학 속에 나타난 ‘반복’의 문제를 정신분석적으로 독해해 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는 명제처럼, 이청준 소설은 ‘언어’, ‘불안’, ‘반복’ 등 정신분석적 접근이 요청되는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흔히 이청준 소설을 심리소설이라고 칭하는 것도 이러한 측면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환자는 증상을 통해 무의식에 근원을 둔 고통스러운 어떤 경험의 기억을 반복하는데 소설『조율사』에서는 세 가지 현상이 반복된다. 첫 번째는 글쓰기에 대한 ‘조율’의 반복이다. 소설 속 주인공인 ‘나’는 이미 오래전 부터 글쓰기를 포기하게 된 소설가이다. ‘나’뿐만 아니라 ‘나’와 친교를 맺고 있는 ‘나’의 주변 문인 친구들 모두는 창작 활동은 하지 않고 창작에 대한 구상 및 준비활동만을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그들은 이 행위를 ‘조율’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수시로 만나서로의 창작에 대한 열망 및 창작 포기에 대한 불안이 엄습해 올 때마다 스스로들 ‘조율’이라고 부르는 행위를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은 불안에 대한 회피이자 방어로써 ‘조율’은 라캉식으로 말하자면 ‘써지는 것을 멈추지 않는’ 행위이다. 다시 말하면 쓰지는 못하면서도 영원히 ‘쓰여지기가 멈추지 않게’ 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 장치 내지 제어장치인 셈이다. 두 번째는 배앓이나 복통의 반복과 단식에 대한 생각의 반복이다. 창작 행위의 위축 및 좌절로 인해 마신 술로 건강을 상실한 ‘나’는 위기와 불안의 순간마다 복통을 경험하며 육체적 극단의 치유 방식인 단식에 대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한다. 이러한 것도 ‘나’의 정신적, 육체적 불안을 제어하지 못할 경우에 ‘나’는 이미 오래전에 실종되어 생사를 알 수 없는 외종 규혁 형의 기억을 깨워내며 반복적으로 찾아보곤 한다. 이것이 이 소설에 나타나는 세 번째의 반복 현상이다. ‘나’의 세 가지 반복 행위는 어떤 기억의 고통이나 불안이 엄습해 올 때마다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강박적 증세이다. 이러한 강박적 행동은 자동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정신분석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반복강박’이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강박 행동은 주체의 외상적 사건으로 인한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불안 등의 강박관념의 출현에 대한 회피이자 방어이고 죽음이라는 실재계가 출몰하거나 덮쳐오려는 것을 은폐하고자 하는 동종요법이다. 또한 이 증상은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실재가 정상화되고 상징화되는 과정이다. 본 소설에 나타난 세 가지 반복적 행위의 근간은 주체의 욕망의 진실을 말해야 하는 글 쓰는 이, 즉 작가의 ‘진실 말하기의 불가능성’이라는 원외상에서 비롯되고 촉발된 (무의식적) 불안에 대한 방어의 강박적 행위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소설『조율사』에 나타난 이와 같은 작중인물의 반복적 행위를 통하여, 우리는 내밀한 인간 심리의 근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복강박’의 작동 방식을 파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반복’이란 기억 속에 끊임없이 출몰하여 주체를 괴롭히는 그 ‘고통’을 제어하려는 심리적 작업이며, 또한 그것은 반드시 상징계의 영역에서 ‘고통의 상징화’ 과정을 통해야만 한다는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의 명제처럼, 작품『조율사』의 인물들은 ‘조율’, ‘단식’, ‘잊혀진/불확실한 인물찾기’라는 일종의 ‘상징화 놀이’를 반복함으로써 주체의 고통을 ‘견딜만함’으로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sychoanalytically read the issue of 'repetition' shown in literature, focusing on a novel『Tuners』by Lee, Chung-Joon. Out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continuously suggested by the author,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repetition through the novel『Tuners』. According to Freud, patients repeat the memory of certain painful experiences originated from unconsciousness through symptoms. In the novel『Tuner』, three phenomenons are repeated. First, it is the repetition of 'tuning' of writing. 'I'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a novelist who has given up on writing for a long time. Including myself, all the surrounding literary friends of mine just keep planning and preparing for the creation without performing any creativ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y just repetitively continue their criticism through discussions and volubility based on their passion for creation even without producing any actual works. They call this act 'tuning'. They frequently meet with each other and repeat the act called 'tuning' whenever feeling anxious about giving up on writing and their passion for creation. Second, it is the repetition of thinking about bellyache, stomachache, and fasting. Whenever facing the fear after losing my health by alcohol, I repetitively feel bellyache and stomachache, and also repetitively think about fasting as a physically-extreme healing method. In case when this cannot control 'my' psychological and physical anxiety, I refresh my memory about my maternal cousin Gyu-Hyeok who has been missing for a long time and then repetitively search for him. This is the third repetition shown in this novel. Those three repetitive acts of 'mine' are such compulsive behaviors continuously showing whenever feeling pain or anxiety about certain memories. As these compulsive behaviors are shown automatically and repetitively, the psychoanalysis call this phenomenon 'repetition compulsion'. According to the psychoanalysis by Freud and Lacan, the repetitive compulsive behavior conceal a painful memory or anxiety by a 'traumatic incident', so that the repetition compulsion is not only the avoidance and defense of this obsession, but also the 'homeopathy of death' for the appearance of the real called 'death'. These repetitive behaviors are the process of normalizing and symbolizing the real. In conclusion, the basis of those three repetitive behaviors shown in this novel could be the compulsive behavior for defending the anxiety originated from the original trauma which is the 'impossibility to speak up the truth' of 'mine' as an author who should talk about the truth of desires of a subject. Therefore, the repetition of tuning, stomachache and fasting, and finding the elder brother Gyu-Hyeok could be a symbolic play to get out of the anxiety about facing the real that is the world of death of 'talking about the truth'. In other words, according to Lacan, it could be the 'homeopathy of death'. The subject's repetitive compulsive behaviors are the pathway in which the real is normalized through the symbolization. Through the character's repetitive behaviors shown in the novel 『Tuners』,we could understand the operating method of 'repetition compulsion' occurring in the basis of humans' inner psychology.

      • KCI등재

        김구용의 「소인(消印)」에 나타난 수금의식(囚禁意識) 연구

        이수명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김구용의 「소인(消印)」은 살인의 누명을 쓰고 취조를 받는 ‘나’가 무죄를 주장하고 항변하지만 실제로 살인을 했는지의 여부는 끝내 밝혀지지 않고 다른 곳으로 이송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중편소설 분량의 산문시이다. 본 논문은 「소인(消印)」의 ‘나’는 표면적으로는 무죄를 진술하지만, ‘나’의 하루 동안의 상황을 추적해 보건대, 살인을 했을 가능성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 있다. 그것은 그동안 ‘나’에 의해 자행된 거미나 나비의 살해, 강간범의 살해 시도가 작품 속 녹빛 외투 여자의 피살로 반복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반복은 프로이트 심리학에서 강박으로 이해된다. 반복과 강박의 결합은 반복강박이나 운명강박으로 전개되고 이 강박에 사로잡힌 사람은 자신을 행위의 반복에 대한 능동적 주체가 아니라 수동적 존재로 이해한다. 자신도 어찌할 수 없는 운명의 반복에 사로잡혀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은 「소인(消印)」에서 구체적으로 자신이 살인을 저질렀음에도 살인하지 않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요컨대 「소인(消印)」에 나타난 수금의식(囚禁意識)은 바로 이러한 반복과 강박에 수금되어 있는 ‘나’의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수금이라는 말은 실제적으로 감방에 갇혀 있다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반복강박에 수금되어 있는 내면적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Kim Ku-yong’s “So-in” is a prose poem in novella length about a murder suspect who claims his innocence. Till the end it is unclear whether he is guilty or not.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y of his being the real murderer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retation. Though the narrator/suspect does not doubt his innocence in surface level, his testimony reveals the uncomfortable details like the brutal killing of butterfly and spider and an unsuccessful attempt to strangle a fellow prisoner. These murderous qualities appear to be repeated by the murder of the woman in green coat. Repetition is, in Freudian view, the compulsion. The victim of the compulsion sees himself not as an active subject but as a passive agent, or more accurately a prisoner of his repetitive behavior. In this view it is possible the murderer feels he did not kill. In short, the imprisonment consciousness in “So-in” shows the inner world of the victim of repetition. “Imprisonment”, one of the most repeated word in this work, could mean not only the imprisonment in a real prison, but also the inner imprisonment in his repetition-compulsion.

      • KCI등재

        김춘수 시 「유월에」의 반복성 고찰

        박종윤(Park, Jong-yoon)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4

        본고는 김춘수의 꽃에 관한 시 중 「유월에」에 나타난 반복의 다양한 양태, 즉 반복성을 고찰한다. 「유월에」의 특징인 반복성은 시의 구조적 측면의 반복과 정신분석학에 기반한 반복이다. 이들을 분석한 본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월에」는 구조의 미학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며, 시구와 이미지의 확산 병렬적 반복을 통해 자유시의 리듬을 형성한다. 매개 행위(‘빈 꽃병에 꽃을 꽂다’)를 중심으로 밝음 이미지와 어둠 이미지가 반복되어 시적 리듬의 주류를 이룬다. 매개행위를 포함시켜 보다 큰 단위로 볼 때, 밝음과 어둠의 분위기가 교차하면서 반복된다. 특히 밝음 단위들에서는 반복의 차이가 명확하다. 반복은 병렬을 통해 시의 의미를 구조화하는 역동적인 생성 원리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둘째, 「유월에」는 라캉의 욕망 개념에서의 반복을 내포하고 있다. “빈 꽃병”이 아내의 주체적 결여이며, “실내”를 가득 채우고 오래도록 아내의 표정을 밝게 할 수 있으리라는 “꽃”은 환상 대상이며 이를 좇아서 욕망이 작동되고 있다. 만족될 듯한 아내의 욕망은 채워지지 않고 다른 대상을 향하여 라캉적 환유의 반복을 계속 시도한다. 이러한 욕망에서의 반복이 차이를 동반함으로써 들뢰즈가 해석한 니체의 영원회귀 개념을 함축한다. 마지막으로 「유월에」는 정신분석학의 죽음충동에 근거한 반복강박의 한 양상이다. “벽인지 감옥의 창살인지 혹은 죽음인지 그러한 어둠”이라는 구절은 김춘수의 전기적 사실, 즉 일본 헌병대와 경찰서에 이유 없이 감금되면서 경험한 트라우마와 관련이 있다.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반복강박의 재연은 고통 속 쾌락, 즉 라캉의 주이상스 개념과 연결된다. 김춘수는 이 트라우마를 평생에 걸쳐 산문이나 시에 강박적으로 반복하였으며, 「유월에」도 그러한 양상의 하나이다.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repeatability, effect, and significance of Kim Chun-soo’s flower 「in June」. In the rough sketch of poems (1959), 「in June」 is arranged as the first work, but it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works. The characteristic of this poem is repeatability and appears in two aspects. Repetition in the structural aspect of poetry is a repetition based on scientific psychoanalysis. The results of this paper that analyzed them are as follows. First, 「in June」 is a work that stands out for the aesthetics of the structure, and specifically, it forms a rhythm through parallel repetition of the spread of the first pitch and im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brightness series, which is a positive image, and the darkness series, which is a negative image, are repeating, centering on the mediating behavior (‘put flowers in an empty vase’), forming the mainstream of poetic rhythm. When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brightness/darkness unit including the mediating behavior, the atmosphere of brightness and darkness is also intersected and repeated, and the difference in repetition is clear, especially in brightness units. In other words, this repetition plays a role as a dynamic generation principle that structures the meaning of poetry through parallelism between variation and deformation. Second, it implies repetition in terms of desire,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human existence. In the poem 「in June」, Lacan’s concept of psychoanalytic desire is well revealed. The “empty vase” symbolizes the wife’s lack of subjectivity, and the “flower” symbolizes the fantasy object a. It is an illusion to be able to satisfy his wife for a long time by filling the “room,” and the desire was working by following this fantasy. The wife’s desire to be satisfied is not satisfied, but continues to try to repeat the exchange rate toward other objects. Repetition in this desire is accompanied by differences, suggesting Nietzsche’s concept of eternal return. Finally, 「in June」 is an aspect of repetition compulsion based on death drive. The first pitch, “Wall, prison bars, or death, such darkness,” is related to Kim Chun-soo’s biography, that is, the trauma experienced by Japanese military police and police stations for no reason. I was able to read 「in June」 the repetition compulsion that could appear in people who suffered painful trauma. Kim Chun-soo obsessively repeated this trauma throughout his life in prose and poetry, and 「in June」 is one aspect.

      •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반복강박 내담자의 임상 사례연구

        정윤선 ( Jeong Yun S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4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1 No.0

        주양육자인 엄마와 경험하게 되는 대상관계의 질은 유아가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바라보며 타인과 관계할지를 결정하는 심리구조의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아동기 초기에 형성되는 심리구조는 시간 속에서 여러 관계 경험을 거치면서 학습되고 강화되어 더욱 견고해진다. 외상 경험의 시기가 초기일수록 그 견고성은 더욱 단단하게 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는 자아동질적인 심리구조를 지키기 위해 자아가 방어 기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때로는 그 경험이 자기파괴적이며 고통스러울지라도 아동 초기 때부터 삶을 같이해 온 이 익숙함은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 상담의 현장에서는 내담자들마다 지니고 있는 각자의 독특한 사고, 감정, 행동 양식들을 접하게 된다. 그렇게 밖에 선택할 수 없는 그들의 사고와 정서, 행동에는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빠른 패턴이 있다. 반복강박은 그 양식이 사회에서 용납되지 않고 대상과의 관계에서도 부적절한 결과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침투적이고 침습적으로 파고들어 내담자를 고통스럽게 한다. 이렇게 삶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부정적인 사고와 행동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병적인 증상이다. 대상관계 관점에서 반복강박 내담자에 대한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의 병리적 대상관계 패턴을 파악하고 그 자동적 양식을 이끌어내는 근본적인 심리적 구조를 바꾸는 것이다. 이들에게는 치료의 장에서 건강한 치료자와 함께 하는 전혀 새로운 대상관계 경험이 필요하다. 이전과 다른 새로운 심리적 구조를 건설할 때 병리적 반복 현상으로부터 근원적 탈출과 치료, 변화의 지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반복적인 강박사고와 행동을 보이는 내담자를 대상관계 기법으로 상담했던 사례를 통하여 이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인지하지 못하고 묵인되었던 역기능적인 관계 양식이 상담자와의 새로운 관계 경험 속에서 변화되고 치료의 장 밖에서도 스스로를 건강하게 양육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The quality of object relations experienced with a mother, the primary caregiver, i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determines how a infant perceives and views the world and relates to others. The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is formed in early childhood is learned and strengthened through various relational experiences over time, making it more solid. The earlier the traumatic experience, the more solid it becomes, as the ego uses defense mechanisms to protect the ego-syntonic psychological structure. Although the experience may be self-destructive and painful at times, this familiarity that has been with us since childhood is rarely changed. In counseling, you will encounter unique ways of thinking, feeling, and behaving that are unique to each client. There are fast patterns in their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that operate unconsciously because they have no other choice. Repetitive compulsions are penetrating and invasive, causing suffering to the client, even though they are unacceptable in society and have inappropriate outcomes in relationships. These negative thoughts and behaviors that are constantly repeated in life are not just habits, but pathological symptoms. From the object relation perspective, the goal of therapy with repetitive compulsive clients is to identify the clients’ pathological object relation patterns and to change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structures that lead to their automatic patterns. They need a completely new experience of object relations with a healthy therapist in the therapeutic setting. When constructing a new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fundamental escape, treatment, and continuity of change from pathological repetition. The present researcher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is through the case of a client with repetitive obsessive compulsive thoughts and behaviors who was counseled using object relation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e unrecognized and tolerated dysfunctional relationship patterns will be transformed in the new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the counselor and that they will be able to nurture themselves healthily outside of therapy.

      • KCI등재

        자유주제 : 2천년대 한국시 연구 -"무한’, "반복’, "과잉"을 중심으로-

        박상수 ( Sang-su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6

        ‘외설비평’은 인간성의 중핵이지만 상징계의 원리로는 포섭하거나 파악할 수 없는 불가해한 정념과 실재계적 파열의 지점을 포착하여 기존윤리비평의 한계-즉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아서 좋다’를 벗어나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이상하게 좋은데, 과연 그이상한 초과 지점은 무엇인가’의 관점에서 시에 접근하려는 방법론이다. ‘외설비평’은 ‘윤리비평’과 차원이 다른 또 하나의 독립된 사태가 아니라‘윤리비평’에 근원적으로 내재된, ‘윤리비평’이라고 하는 정상성을 지탱하는 동시에 언제든지 ‘윤리비평’을 전복하는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예외지점임을 인식하려는 ‘시차적(視差的) 관점’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외설비평의 관점에서 2천년대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으로 ‘무한’, ‘반복’, ‘과잉’을 제안한다. 이미 윤리적 가치판단이 전제된 ‘자아/주체’의 분석틀보다는 윤리적 전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다른 개념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김언, 이준규의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이 둘의 작품은 표면적으로, 쉽게 이해하기힘든 언어구조를 선보이고 있지만 ‘무한’, ‘반복’, ‘과잉’이라고 하는 2천 년대 한국시의 경향을 적절하게 자기 시의 내적 동력으로 삼고 있다. 먼저 김언의 시는 세계라는 사태, 타자라는 사태가 자신에게 균열을 만들고, 욕망을 자극하고, 상처를 주고, 불안을 만들어내는 것을 막기위해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을 강박적으로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려는, 철저하게 의식적인 노력의 산물이다. 김언의 시적 주체는 정신을 잃지 않기 위해 자신과 사건의 잠재성을 애써 과도하게 찾아내거나이미 발생한 것을 지우고 모든 사태와 타자를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중화시키기를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자신을 무한으로 개방함으로써, 타자의 향유 대상으로 제공하지 않게 만든다. 자신의 현실성과 실정성을 지우면 타자의 욕망에 응답해야 할 이유도, 근거도 사라지기 때문에 타자와 대면하여 불필요한 불안에 시달릴 이유도 없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강박적 생각’의 반복인데 구체적으로는 모든 가능성을 반복적으로 다시 검토하는 추론행위로 나타난다. 한편 이준규의 시는 표면적으로 불필요한 ‘반복’과 불필요한 ‘과잉’이무의미하게, 무한히 지속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준규의 시적 주체는 강박적으로 ‘의심하는 주체’이다. 이준규의 시적 주체는 ‘A/~A’라고 하는 단순한 논리를 표준모듈로, 즉 ‘긍정판단/부정판단’을 한 쌍으로 겹쳐서 눈앞의 모든 사태를 불확실한 무한으로 만들어낸다. 역시 강박증자의 원리를 미적 방법론으로 채택한 이준규의 시적 주체에게 대상과 사물들은 그것들 간의 관계가 긴밀하고 중요해서라기보다는 제각기 어떠한 정서와도 분리된 채 무심히 나열될 수 있다는 그 사실 때문에 쾌락을 가져다준다. 그의 시가 한없이 길어지면서 ‘과잉’의 상태로 가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이준규의 시적 주체가 생각을 멈추려면 뭔가를 긍정하거나 믿을 수 있어야 한다. 생각의 고정점이 필요한 것이다. ‘의심’에서 ‘긍정’으로 옮겨가는 일은 생각을 멈추고 현실의 한 사람으로 타자를 만나고 행동하고 관계를 맺으며 세계의 일부로 존재해야함을 받아들이는 일이기도 하다. 이제 시의 결론을 맺는 일은 곧 현실의 자기 상처와 균열을 맞닥뜨리는 일이 된다. 따라서 타자와 세계가 자신에게 결핍을 상기시키며 그 영향력을 행사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준규의 시적주체는 다시 ‘A/~A(not A)’의 문장구조를 반복하면서 자기 앞의 모든 것을 의심하고, 의심을 반복하고 번복하면서 ‘단순한 무한’의 세계로 돌아오려고 한다. 그에게 이것은 바로 ‘과잉의 시’를 쓰는 일이다.결국 김언과 이준규의 시가 개성적인 것은 자신과 타자와 세계를 무한으로 개방시켜 무화시키고, 어떤 것과도 관계 맺지 않고, 책임에서 비교적 자유롭고자 하는 외설적 쾌락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설비평’의 도입은 2천년대 시인들의 작품뿐만이 아니라 이후 한국 시를 훨씬 더 종합적인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동시에 시를 더 풍부하게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한국 시비평은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아서 좋다’는 관점에 더하여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이상하게 좋은 초과 지점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말해야 한다. 2천년대 한국시단에 등장한 젊은 시인들은 바로 이러한 윤리적 초과지점을 도입하여 비로소 새로운 문학작품을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Obscene criticism`` captures the passion and the real bursting, can not understand the point of rupture in the symbolic. ``Obscene criticism`` approaches not ``political, ethical, it is a good fit’ but in terms of ‘political and moral right to conclude it is difficult, but good weird, really weird beyond the point’. ``Obscene criticism`` and ``ethical criticism`` is not yet even a rather different situation independent of each other. ``Obscene criticism`` should support the sanity called ``ethical criticism. At the same time provide a vision to overthrow the ``ethical criticism`` at any time, and it is also the name of another ``parallax (視差的) perspective. Such a concept in terms of obscenity criticism to analyze the second millennium poets of the work, we propose an ``infinite``, ``repeat``, ``excessive``. Relatively free concept is more important than the ethical premise framework of ethical value judgments have already been made ego / subject. So this study will analyze the work of ‘Kim Un’ and ‘Lee Jun-gyu’. On the surface, the work of the two has a difficult language structure easy to understand. However, they possess ``Infinite``, ``repeat``, ``excessive`` that are second millennium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 poetry. First, Kim Un’s poetic subject prevents to that the others, and the world will create a crack, stimulate desires, to hurt, and anxiety producing. For this purpose he makes that "not sure" everything surrounding himself with compulsive. This is the result of a thorough conscious effort. The poetic subject of Kim Un is trying to avoid losing consciousness. He is looking at the potential for excessive struggled with his own case, made clear that it has already occurred, and all things will be impossible for others to repeat the neutralization. As a result, this action is to open ourselves to the infinite, does not make himself available to the enjoyment of the other targets. The reason you need to respond to the desires of the other Clearing his reality also, evidence disappears. So why face-to-face with the other vanishes also suffer unnecessary anxiety. This is a repeat of the ``obsessive thoughts. Specifically, it appears to infer the act of repeatedly re-examined all possibilities. Meanwhile, on the surface, Lee Jun-gyu work is unnecessary ``Repeat``, unnecessary ``excess`` meaningless appear to be sustained indefinitely. Lee Jun-gyu poetic subject is obsessive with ``suspicion that the subject``. Lee Jun-gyu poetic subject has the simple logic called ``A /~A`` standard modules, he making it the ``affirmation/negation determining’ and then, making re-birth in the front as well as all things uncertain infinite. Lee Jun-gyu is the methodology adopted by the Obsessive-Compulsive``s aesthetic principles. Target and things to poetic subject of Lee Jun-gyu will not have to close and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Rather, they give each bring emotion and pleasure because of the fact that no one could be listed in no less than a discrete sense. As long as his work endlessly to go into a state of ``excess`` is a reason. The poetic subject of Lee Jun-gyu something positive to stop thinking and be able to believe it. There needed to fixed point of the ideas. Moving to ``positive`` from ``suspect`` means that he must act to stop thinking. As one of the means to act to meet the real person. This will also accept that he is part of the world. After all, tied to the conclusion of this work is to meet the self-cuts and cracks of reality. Therefore, Lee Jun-gyu poetic subject is again repeat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A/~A (not A)``, while in front of all his doubt. He repeated and reversed the question and enter the world of "simple infinite. He continued to write ‘excessive poetry’. Finally, Kim Un and Lee Jun-gyu discards their self and others and the world. Because of this reason, their work may obtain personality. They do not relate to anything, not responsible for anything. This takes place in their obscene pleasure here. Obscene criticism is very important. This will give you access to Korea portry provided a point of view as well as the second millennium poets in a much more comprehensive angl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sent a good viewpoint overlooking the poetry richer. Now, Korea poetry criticism must overcome the perspective of ‘ethics criticism’, they can party with ethical aspects. Now we have to say that ``political, ethical, it is difficult to conclude right. But it is strangely something good point certainly. 2000s young poets of Korea has just introduced a starting point for such obscene. This made it possible for the new literature. Do not forget this.

      • KCI등재

        치료 저항성 강박장애 환자에서 반복 경두개자기자극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개방 연구

        이세정,정영은,서호준,채정호 대한정신약물학회 2009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0 No.4

        최근 강박장애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rTMS의 적용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연구 결과가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저항성 강박장애 환자에서 시행한 우측 배측 전전두 피질에 가한 저빈도 rTMS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24명의 치료 저항성 강박장애 환자에게 우측 배측 전전두 피질에 운동역치 100%의 세기로 1 Hz rTMS를 15일간 매일 20분씩 가하는 치료를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예일-브라운 강박척도, 해밀턴 불안척도 및 전반적 임상적 인상-심각도 등을 사용하여 치료 전 기저 시점, 치료 종결 시점(3주차), 치료 종결 이후 4주 시점에서 평가하였다. 15회의 저빈도 치료 결과 예일-브라운 강박척도, 해밀턴 불안척도 및 전반적 임상적 인상-심각도 등의 임상 척도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강박장애 환자에서 3주간 시행된 우측 배측저빈도 rTMS 치료가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보다 통제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Recently,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repea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with various stimulation frequencies as a nove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However, findings about the efficacy of rTMS in treating OCD have been inconsistent.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effect and safety of low frequency rTMS on the righ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OCD. Methods:Twenty-four patients with treatment-refractory OCD received a daily treatment of 20 minutes low frequency rTMS (1 Hz) to the righ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with power of 100% of motor threshold, for 15 days. Clinic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 (Y-BOCS), Hamilton Anxiety Scale (HAMA), and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at baseline, at the end of the rTMS treatment (3 weeks), and 4 weeks after finishing the rTMS treatment course. Results:After 3 weeks treatment with low frequency rTMS, Y-BOCS, HAMA and CGI-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low-frequency rTMS on the right prefrontal cortex for 3 weeks showed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s in patients with OCD. Further controlled trials are indicated to assess the efficacy of rTMS in the treatment of OCD.

      • KCI등재

        강박장애 환자의 시각적 기억 및 언어적 기억 손상과 조직화전략의 매개효과

        박희수,신민섭,권준수,이영호,하태현,노규식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4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impairment of visual and verbal memory, and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on the impaired memor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patients. In this study,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RCFT) and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K-CVLT) were administrated to 28 OCD patients and 28 normal control subjects to assess their visual memory and visual organizational strategies as well as verbal memory and verbal organizational strategies(semantic cluster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group of OCD patients indicated impairment in visual memory but didn't in verbal memory over a group of normal control. And impairment of visual memory was mediated by impaired organizational strategies used during encoding visual information. In conclusion, a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nducted were consolidated and their implications, the mean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년의 트라우마와 반복강박 -아나 마리아 마투테의 『첫 번째 기억』을 중심으로

        전미연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3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4 No.2

        아나 마리아 마투테(Ana María Matute)는 스페인의 ‘50년대 세대(la generación de medio siglo)’를 대표하는 일원이다. ‘50년대 세대’는 비록 유년기에 내전을 경험하지만 전쟁에 대한 기억은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결정적인 상흔으로 각인된다. 마투테 작품에 나타나는 유년의 트라우마는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 유년의 트라우마는 기억의 층위에 통합되진 않지만 잠복기를 거친 후 강박적으로 사후에 출현한다. 역사적 트라우마도 개인 트라우마와 유사하게 방어기제의 작동으로 잊혀진 후, 잠재기를 거쳐 반복강박의 형태로 발현된다. 본고에서는 마투테의 소설 『첫 번째 기억』을 중심으로 유년의 트라우마 양상을 반복강박으로 발현되는 역사적 트라우마와 연계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프랑코 부르주아 가정의 억압과 속박에서 방어기제로 사용되는 외상성 애착, 이중 사고에 의한 현실회피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이후 마요르카 섬의 추에타에 대한 반유대주의 역사, 카인과 아벨 신화를 통한 인류 역사의 트라우마가 개인의 트라우마와 상호 공명하는 양상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살아남은 자의 윤리적 책무로서 어머니 부재의 근원적 트라우마에 기반한 트라우마 각성이 지닌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Ana María Matute is a representative member of the ‘50s generation’, also known as the ‘Children of war’. Although the ‘50s generation’ experienced the civil war in their childhood, the memory of the war remains an indelible scar in their identity formation. Childhood trauma in Matute’s novel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Traumatic impressions made in early childhood are not consciously integrated into the layers of memory, but after a period of incubation, they emerge obsessively afterwards. Whether it is a long historical trauma of a group or an individual trauma, it is often forgotten by a defense mechanism and then manifests itself in the form of repetitive compulsions after a long latent peri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traumatic aspects of childhood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trauma that manifests itself in the form of repetitive compulsions in Matute’s novel First Memory. We analyze the processes of traumatic attachment, doublethink, and reality avoidance used as defense mechanism in the context of oppression and bondage of a Franco bourgeois family. We discuss the history of anti-Semitism against the Chueta on the island of Majorca, and how the trauma of human history resonates with personal trauma through the myth of Cain and Abel. It is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trauma awakening based on the underlying trauma of maternal absence as an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survivor.

      • KCI등재

        〈동사서독〉: 실패를 향해 나아가는 사랑 이야기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7

        본 논문의 목적은 〈동사서독〉의 남녀 주인공인 구양봉과 자애인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여러 등장인물들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실패하는 사랑을 향해 나아간다. 사랑하는 대상을 충분히 잡을 수 있는데도 여러 가지 이유로 사랑의 대상을 포기해 버린다. 이들은 현실적인 이유로 사랑에 실패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신분석적으로 볼 때는 사랑에 실패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다. 구양봉은 사랑한다는 말을 한 번도 하지 않음으로써 자애인이 자신을 떠나가게 만들고, 황약사는 사랑에 실패하기 위해 처음부터 배우자가 있는 유부녀를 사랑하고 욕망한다. 맹무살수는 아내가 자신을 사랑하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남자를 사랑한다며 오인하고 아내 곁을 떠난다. 이들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 후에는 그 대상을 그리워하고 기다린다. 마치 그리워하고 기다리기 위해 사랑에 실패하는 사람들처럼 보인다. 영화에서 주요 인물들은 모두 실패 신경증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기 처벌이나 죄책감 때문에 사랑의 욕망이 충족되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피하는 것이다. 현실적인 욕망이 충족되는 것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실패를 선택하는 것이다. 남자 주인공인 구양봉은 실패 신경증과 함께 반복 강박과 운명 신경증도 함께 보인다. 구양봉은 사랑하는 여인이 죽은 후에는 똑같은 꿈을 계속 반복해서 꾸는데, 꿈속에서 사랑의 실패를 반복한다. 이것이 바로 반복 강박이다. 또 그는 사랑의 실패를 포함한 모든 것을 운명과 연결시킨다. 이것이 바로 운명 신경증이다. 〈동사서독〉에서는 등장인물이 서로 닮음으로써 혼동되고 오인된다. 완사녀는 도화삼랑과 닮았고, 모용연은 자애인과 닮았다. 모용연/모용언은 동일 인물로서 남자와 여자를 왔다 갔다 하면서 사랑과 복수의 양가적인 면을 보여 준다. 모두가 너와 나의 관계로 닮은꼴이고 그것이 동일한 구조 위에서 움직인다. 영화는 경칩에서 시작하여 경칩에서 이야기가 끝나는 순환 구조를 취하면서 사랑의 실패를 반복적으로 보여 준다. 〈동사서독〉에서 모든 사람은 사랑을 놓치고 사랑에 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in ‘Ashes of Time’, focusing on the love story of Ouyang Feng and Brother’s Wife. Most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film move toward love that fails. They give up the object of love for trivial reasons even though they can afford to get the one they love. They seem to fail in love for practical reasons on the surface, but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y do something to fail in love on an unconscious level. Ouyang Feng makes his lover leave him by never saying “I love you” to her. Huang Yaoshi loves and desires a married woman with a spouse from the beginning in order to fail in love. Blind Swordsman misunderstands that his wife loves a man other than him and leaves his wife even though his wife genuinely loves him. So all of them miss and wait for their loved one after they break up. They look like people who fail in love in order to miss and wait for their object of love. It can be interpreted that main characters mostly show failure neuroticism. They unconsciously avoid the fulfillment of their desire for a lover because of self-punishment or guilt. They unconsciously choose to fail on their own because they cannot endure the fulfillment of their desire in reality. Ouyang Feng, the male lead character, shows repetition compulsion and fate neurosis along with failure neuroticism. Ouyang Feng dreams the same dream repeatedly after the death of his beloved woman, and in his dream he repeats the failure of love. This is the repetition compulsion. He also links everything to fate, including the failure of love. This is the very fate neurosis. In “Ashes of Time,” characters are confused and misunderstood because they resemble each other. Girl with a Mule resembles Blind Swordsman’s wife, and Murong Yang resembles Brother’s Wife. An person called Murong Yang or Murong Yin alternately plays male/female characters and shows the ambivalence of love and revenge. Everyone 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and it moves on the same structure. The movie repeatedly shows the failure of love, taking a circulatory structure that begins the story when Spring awakens and ends it when Spring returns. In ‘Ashes of Time,’ everyone misses love and loses love.

      • KCI등재

        라쇼몽 - 욕망의 진실에 대하여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80

        관객은 〈라쇼몽〉을 보고 혼란을 느낀다. 그 이유는 사실의 차원에서 진실을 규명하려 하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적으로 그런 시도는 무의미하다. 진실은 사실과 무관하다. 오히려 진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실을 무시해야 한다. 진실이 사실과 관계없다고 하는 점은 세 명의 피의자가 동일한 사실을 서로 다르게 진술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사실 따로, 진실 따로이다. 진실은 말의 내용이 아닌 말하는 주체의 의도와 관련되어 있다. 내가 왜 이런 증언을 하느냐? 그것이 바로 주체의 욕망의 진실이다. 영화에서는 세 명의 피의자 모두 각자 자기 욕망의 진실을 이야기하는데, 세 명 모두 자기에게 불리한 증언을 한다. 어느 정도 불리하느냐 하면 자기에게 죽음을 가져오는 불리한 증언이다. 죽음을 불사하는 욕망, 그것이 바로 욕망의 진실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라쇼몽〉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의 욕망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다. 〈라쇼몽〉은 두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것을 반복하고 있다. 사건 현장에 세 사람(도적, 무사, 무사의 아내)이 있고, 이것에 대한 목격담을 이야기하는 세 사람(나무꾼, 승려, 행인)이 있다. 그런데 이 세 사람의 관계가 반복된다. 이것이 바로 반복강박이다. 왼쪽 역삼각형에는 도적, 무사, 아내가 있고 그 안에 단검이 있다. 오른쪽 역삼각형에는 나무꾼, 행인, 승려가 있고 그 안에 아기가 있다. 똑같은 구조다. 여기서 단검과 아기가 반복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아기는 남근의 상징이다. 따라서 단검도 남근의 가치를 가지며 남근의 역할을 한다. 왼쪽 도적의 자리에 해당되는 오른쪽 자리에는 나무꾼이 있다. 두 사람 모두 훔친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적과 나무꾼은 단검을 중심으로 반복한다. 도적은 단검을 망각하고 나무꾼에서는 도적으로부터 빠져나간 단검이 나타난다. 왼쪽 아내의 자리는 오른쪽에서 승려의 자리가 된다. 아내와 승려의 자리는 회의하는 자리다. 무사의 자리는 행인의 자리로 이동한다. 무사와 행인의 자리는 진실의 자리로 두 사람은 일말의 진실을 드러내고 있다. 무사는 아내에 대한 증오와 사랑의 진실을 말하고 있고 행인은 스스로 자기가 추악하다는 진실을 말하고 있다. 사건 현장에 있은 세 사람에게는 중요한 증상이 나타난다. 도적에게는 가장 값비싼 단검을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단검 망각과 말에서 떨어져 포졸에게 잡히는 두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무사의 아내에서는 혼절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무사는 멜랑콜리 증상에 빠져 증오와 사랑의 양가감정을 보이면서 자살한다. 증상은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핵심 실마리이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에 기대어 <라쇼몽>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증상과 심리구조를 통해 무의식적 욕망과 그 진실을 탐구해보았다. The audience feels confused when they see 〈Rashomon〉. The reason is because they try to reveal the truth from the facts perspective. Such an attempt is meaningless psychoanalytically. The truth is irrelevant to the facts. Rather, the truth must be ignored in order to grasp the truth. The fact that the truth is irrelevant to the facts can be seen from the 〈Rashomon> that the three suspects state the same facts differently. Truth and facts are two different things. Truth i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talking subject, not the content of the word. Why do I testify this? That is the truth of the subject’s desire. In the film, all three suspects testify the truth of their desires, and all three give adverse testimony to themselves. Their testimony is so unfavorable that it leads them to death. The desire that does not fear death; that is the truth of desi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ruth of desire of every character in 〈Rashomon〉. 〈Rashomon〉 has two structures and repeats them. There are three people (a bandit, a samurai, a wife of samurai) at the scene of the crime, and there are three witnesses (a woodcutter, a monk, a commoner) who talk about their sightings. Incidentall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people is repeated; this is a repetitive compulsion. The bandit, the samurai and the wife form a triangle with a dagger at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woodcutter, the commoner, and the monk forming another triangle with a baby at the center. These two triangles have an identical structure. Here, the dagger and baby are repeated. According to Freud, the baby is a symbol of the phallus. Therefore, the dagger also has the value of the phallus and acts as one. The woodcutter corresponds to the bandit in the other triangle and they both steal. The bandit and the woodcutter repeat around the dagger. The bandit neglects the dagger and the woodcutter discovers it. The position of the wife corresponds to the monk; it is a position of regrets. The position of the samurai matches to that of the commoner; it is the place of the truth, the subtle truth. The samurai tells the truth of hatred and love for his wife, and the commoner tells the truth that he is an awful person. The bandit shows two important symptoms. The first is to forget the most expensive dagger, ‘the dagger oblivion’, and the second is to fall down from the horse. The wife manifests syncope. The samurai succumbs to melancholy and commits suicide with ambivalent feelings of hatred and love. People’s words always contain lies and a subtle truth exists within those lies. That subtle truth is not the opposite of falsehood as it always appears together with lies. Falsehood is a condition of existence of that truth. This is why it is called the subtle truth, not because it is only partly consistent with the facts. The truth in psychoanalysis refers to the truth of desire. Desire and truth do not exist apart from each other. The truth of desire is always accompanied with falsehood, so only the subtle truth is revealed. 〈Rashomon〉 is a movie that shows the truth of such desire vivi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