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방 미세석회화 조직검사에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유용성

        최미선,송종남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유방암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진단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는 유방 X선 촬영 과 유방 초음파 검사이다. 특히 유방 미세석회화는 조직학적 진단을 필요로 하며 유방 미세석회화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미세석회화 진단에 기본이 되는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 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를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유방 미세석회화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확대 촬영을 시행한 241예를 대상으로 X선 유도 하 조직검 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의 연령대 별 분 포와 병소의 위치를 분석하고 확대촬영 시행 후 이루어진 검사를 분류해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와 초음 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빈도를 분석하고 악성과 양성의 결과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X선 유도 하 조직검 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64예(26.6%)로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1 2예(4.9%)에 비해 5.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장비의 발달과 입체정위 흡입법(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등의 발달로 미세석회화의 조직 학적 진단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각각 검사의 특성과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 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유방 미세석회화 병변에서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제공한다고 사료된다. Social interest in breast cancer has increased. The most basic exams for diagnosis include breast X-ray and breast ultrasound. In particular, breast microcalcification requires histological diagnosis, and breast microcalcification biopsy is commonly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assess X-ray guided biopsy (needle localized open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which are basics in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Targeting 241 cases in which magnification mammography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due to breast microcalcification, age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 of lesions were analyzed in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By classifying exams performed after magnification mammography, the frequencies of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were analyzed, and malignant and benign results were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64 cases(26.6%) were X-ray guided biopsy, which was 5.4 times higher than 12 cases(4.9%) of ultrasound guided biopsy. Due to development of ultrasound equipments, 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 etc. the methods of histological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have become diverse, but wh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exam, X-ray guided biopsy is thought to be most accurate and useful.

      • KCI등재

        담금질 조건에 따른 방짜유기의 미세조직 변화 연구

        이재성,전익환,박장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청동유물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미세조직의 출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재 전통방식으로 방짜유기를 제작하는 한국민속촌 유기공방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작방법과 담금질 조건을 조사하였으며, 여기에서 제작된 방짜유기의 미세조직과 조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공방에서와 유사한 조건으로 재현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전통 유기공방에서 수행하는 담금질 조건을 자세히 기술함과 동시에 작업 조건에서 나타나는 변동성을 미세조직의 관찰 결과와 함께 제시하였다. 유기공방의 화덕 온도는 750~850℃로 측정되었으며 다음 단계의 작업을 위하여 화덕에서 막 꺼낸 청동소재의 표면온도는 대략 600~685℃로 측정되었다. 이 같은 큰 폭의 온도 편차는 담금질 과정을 거쳐 생산된 방짜유기에 다양한 미세조직을 초래하였다. 특히 외부기온에 따른 온도편차가 큰 겨울과 비교적 영향이 적은 봄에 각각 제작된 방짜유기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 α상을 중심으로 그 배경에서 마르텐사이트(β)상, γ상, α+δ 공석조직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다양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특히 실험실에서 재현한 시험편에서도 짧은 시간동안 가열할 경우 α+γ상 또는 α+(β)+γ상 등 다양한 미세조직이 형성되었다. 이처럼 미세조직에서 관찰되는 다양성은 유물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실제 유기공방에서 담금질시 적용하는 열처리 조건이 온도측정으로부터 예측되는 작업조건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rmal conditions in practice at the traditional bronze workshop of the Korean Folk Village in Yongin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microstructures of some high tin bronze objects made there. Laboratory experiments approximating the conditions of the workshop were also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workshop furnace was measured to range from 750°C to 850°C while the surface temperature of an object, upon its removal from the furnace for additional thermo-mechanical treatments, was generally in the range of 600°C to 685°C. This variation in working temperatures was reflected in varying microstructures developed upon quenching. The products of the Folk Village were found to consist of microstructures where the α grains of the Cu-Sn system were distributed in the background of different phases including the β -martensite phase, retained γ phase, α+δ eutectoid or their mixtures. This variability, which is also identified in objects made in ancient times as well as in our laboratory experiments, suggests that the actual thermal conditions given during the quenching treatments are much more complicated than is inferr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s. This paper will present detailed accounts of the thermo- mechanical treatments as observed in the high tin bronze workshop of the Korean Folk Village and discuss the evolution of varying microstructures in terms of the substantial variability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raditional forged high tin bronze technology of Korea.

      • KCI등재후보

        Usefulness of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in Breast Microcalcification Biopsy

        최미선(Mi seon Choi),송종남(Jong nam Song)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유방암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진단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는 유방 X선 촬영과 유방 초음파 검사이다. 특히 유방 미세석회화는 조직학적 진단을 필요로 하며 유방 미세석회화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미세석회화 진단에 기본이 되는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 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를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유방 미세석회화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확대 촬영을 시행한 241예를 대상으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의 연령대 별 분포와 병소의 위치를 분석하고 확대촬영 시행 후 이루어진 검사를 분류해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빈도를 분석하고 악성과 양성의 결과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64예(26.6%)로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12예(4.9%)에 비해 5.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장비의 발달과 입체정위 흡입법(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등의 발달로 미세석회화의 조직학적 진단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각각 검사의 특성과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유방 미세석회화 병변에서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제공한다고 사료된다. Social interest in breast cancer has increased. The most basic exams for diagnosis include breast X-ray and breast ultrasound. In particular, breast microcalcification requires histological diagnosis, and breast microcalcification biopsy is commonly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assess X-ray guided biopsy (needle localized open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which are basics in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Targeting 241 cases in which magnification mammography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due to breast microcalcification, age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 of lesions were analyzed in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By classifying exams performed after magnification mammography, the frequencies of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were analyzed, and malignant and benign results were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64 cases(26.6%) were X-ray guided biopsy, which was 5.4 times higher than 12 cases(4.9%) of ultrasound guided biopsy. Due to development of ultrasound equipments, 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 etc. the methods of histological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have become diverse, but wh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exam, X-ray guided biopsy is thought to be most accurate and useful.

      • 미세석회화 유방병변의 병리학적 진단을 위한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유용성 : 입체정위 흡입 생검법과의 비교

        김미선,이원홍,윤향이,차현정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2 No.1

        목적 : 미세석회화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 하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병리학적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석회화 병변에 대한 조직검사를 시행한 총 154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100명은 입체정위 흡인 생검법 (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을, 54명은 일반 생검법을 시행하였으며, 석회화 동반 여부는 유방촬영장치를 이용하여 X-선 촬영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후 시행된 조직 검사의 병리조직학적 진단의 결과를 확인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초음파 유도 하 조직 검사를 통하여 얻은 검체의 병리검사 결과는 입체정위 진공흡인 생검법의 경우 총 98명 중 23명(23.46%)이, 일반 생검법의 경우 총 50명 중 31명(60.78%)이 악성 종양으로 밝혀졌다. 결론 및 고찰 : 초음파 유도하의 조직 검사의 경우, 입체정위 진공흡인 생검법(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의 병리 검사와 비교 했을 때 악성 종양의 발견 확률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입체정위 진공흡인 생검법의 경우 X-선 촬영을 통한 미세석회화에 대한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나 미세석회화를 포함한 전체적인 병변의 형태를 감별 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어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초음파 상에서 보이는 미세석회화의 경우 초음파 유도 하 조직 검사가 유용할 것이다. 또한 초음파 상으로 보이지 않는 석회화 병변일지라도, 유방촬영 또는 확대촬영을 통해 석회질의 위치를 좌표화 하여 위치를 파악한다면 초음파를 통한 조직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방사광 전파위상대조 동결미세단층촬영법을 활용한 3차원 조직학

        김주헌,한성미,송현욱,서윤경,문용석,김홍태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4

        3D histology is a imaging system for the 3D structural information of cells or tissues. The synchrotron radiation propagation phase contrast micro-CT has been used in 3D imaging methods. However, the simple phase contrast micro-CT did not give sufficient micro-structural information when the specimen contains soft elements, as is the case with many biomedical tissue sam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technique to enhance the phase contrast effect for soft tissue imag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the imaging beam lines of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PAL). The biomedical tissue samples under frozen state was mounted on a computer-controlled precision stage and rotated in 0.18° increments through 180°. An X-ray shadow of a specimen was converted into a visual image on the surface of a CdWO4 scintillator that was magnified using a microscopic objective lens (X5 or X20) before being captured with a digital CCD camera. 3-dimensional volume images of the specimen were obtained by applying a filtered back-projection algorithm to the projection images using a software package OCTOPUS. Surface reconstruction and volume segmentation and rendering were performed were performed using Amira softwar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synchrotron phase contrast imaging of frozen tissue samples has higher contrast power for soft tissue than that of non-frozen samples. In conclusion, synchrotron radiation propagation phase contrast cryo-microCT imaging offers a promising tool for non-destructive high resolution 3D histology. 조직표본의 실제적인 3차원 구조에 대한 정보를 3차원 조직학이라고 하였다. 무른 성분들이 섞여 있고, 물을 포함 하고 있는 조직 내부의 미세구조의 3차원적 분석을 위해 방사광의 X선을 광원으로 하는 위상대조 미세단층촬영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X선 위상대조영상 분석에서 물을 포함하고 있는 조직에서는 위상대조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였으며, 표본을 얼렸을 때 위상대조가 강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방사광 전파위상대조 동결미세단층촬영은 포항가속기연구소 X선 영상빔라인에서 수행하였다. 표본을 동결상태로 유지하면서 0.18° 간격으로 180° 회전하였으며, 표본을 통과한 X선에 의해 섬광기에 맺힌 영상을 광학렌즈로 확대하여 CCD카메라로 모았다. 각 표본 전체 투사영상을 OCTOPUS 소프트웨어로재구성하여 2차원 단면영상으로 만들고, Amir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였으며, 단면영상에서 각 구조에 대한 구역화와 랜더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물에 의한 위상대조 방해 영향을 줄이기 위해 표본을 얼렸을때 위상대조는 강화되었으나 동결팽창에 의한 조직변형이 관찰되었다. 표본을 막힌 공간에 넣고 주위를 포매제로 채워 급속냉동 동안 표본이 압박되도록 하였을 때 위상대조의 강화와 동결팽창에 의한 조직변형을 줄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체조직 내부 미세구조의 비파괴, 고해상도 3차원 영상분석에 있어 조직표본을 동결포매제로 포매 후 급속냉동하고, 방사광에서 방출되는 X선을 광원으로 하는 전파위상대조 동결미세단층촬영법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수술 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미세전이 발견을 위한 면역 조직 화학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

        김정식,이해혁,남계현,김희경,배동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y immunohistochemistry, possible micrometastasis in the pelvic lymph nodes previously considered free by conventiona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o assess thei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n=51) operated on between February 2001 and May 2004 for cervical cancer without histopathologic lymph node involvement. Lymph nodes(n=282) from 5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ode-negative cervical cancer were evaluated for micrometastasis. These were submitted to immunohistochemical study using AE1/AE3 anti-cytokeratin monoclonal antibodies to identify neoplastic epithelial cells. RESULTS: Lymph node micrometastases were immunohistochemically detected in 3 of the 51 patients(5.9%), comprising 3 of 282(1.1%) pelvic lymph nodes examined. One patient(Ib2) had adenocarcinoma and others(Ib1,Ib2), squamous cell carcinoma. All of them had negativ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In three patients, there were recurrences(66.7%,2/3), and one patient(Ib1) died from the pelvic recurrence. CONCLUSIONS: We recommend an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for lymph node micrometastase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egative nodes. Micrometastasis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rther treatment strategies and follow up.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cervical cancer warrants further study. 목적: 자궁 경부암으로 수술후 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경우,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미세전이의 유무를 확인후 이에 대한 의미와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5월 까지 본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받은 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51명의 골반 임파절들을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검사하였으며, 총 282개의 골반 임파절 슬라이드를 anti-cytokeratin antibodies AE1/AE3 (DakoCytomation,California,USA)로 염색하였다. 결과: 자궁경부암 병기별 환자들의 분포는 1a1: 7 명,Ia2: 4명,Ib1: 29명,Ib2: 5명,IIa: 5명,IIb: 1명이며,환자들의 평균나이는 46.3세(27-64세)였다. 면역 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한 임파절들에서 미세전이는 51명중에서 3명(5.9%),전체 임파절 282개중 3개(1.1%)에서 발견되었다. 한명(Ib2)은 조직학적 유형으로 선암이었고, 나머지 2명(Ib1,Ib2)은 편평세포암이었다. 미세전이가 있는 3명 모두 임파혈관 침윤(lymph-vascular space invasion)은 없었다. 이들 3명중 2명에서만 재발이 되었고, 한 명(Ib1)은 재발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결론: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미세전이 유무가 향후 재발 요인 및 예후에 대한 예측인자로서 가능성을 보이며, 수술 후 항암 방사선 요법등의 치료 방침 설정 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조선왕실 주조 청동활자의 복원과 과학적 분석

        윤용현,조남철,이승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2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인 계미자, 경자자, 을해자 등 10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계축자인 동국여지승람의 복원 활자를 통하여 주조할 당시의 합금비율, 주조방법과 각 주조 단계 별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청동활자의 평균 조성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을해자의 평균 성분조성(Cu: 86.7%, Sn: 9.7%, Pb: 2.3%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와 주석, 납의 합금 비율을 구리 87%, 주석 15%, 납 8%로 정하였다. 주요 금속활자를 복원하기 전에 모합금을 제작한 후 다시 모합금을 용융하여 활자를 복원하였다. 1차로 복원한 계축자의 성분조성은 Cu 85.81~87.63%, Sn 9.27~10.51%, Pb 3.05~ 3.19%의 범위를 보였다. 2차로 복원한 계축자는 1차 주조 후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주조한 것으로서 성분조성은 Cu 87.21~88.09%, Sn 9.06~9.36%, Pb 2.80~3.05%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1차로 복원한 활자에 비하여 주석과 납의 함량이 소량 감소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을해자의 평균조성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원한 계축자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청동의 전형적인 주조조직인 수지상(dendrite)조직 이 잘 발달해 있으며, 납편석물들이 조직 내에 산재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1차 주조 후 관찰한 미세조직과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2차로 활자를 제작한 후 미세조직을 비교한 결과 1차로 주조한 것에 비하여 2차로 주조한 것이 일부 공석상 영역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나 조직별 차이점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복원 실험을 통해 활자 주조방법의 기준 및 합금조성의 비율 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활자 복원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The Role of Microtubule in the Regulation of Endochondral Bone Formation in the Developing Mouse Cranial Base

        Hyuk-Jae Kwon(권혁제),Jong-Min Lee(이종민),Kyoung-Won Cho(조경원),Jeong-Oh Shin(신정오),Sung-Won Cho(조성원),Min-Jung Lee(이민정),Han-Sung Jung(정한성)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2

        머리뼈바닥의 발생 중에 일어나는 연골속뼈발생은 다양한 세포현상과 연골바탕질 대사가 관여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연골세포에서는 증식, 형태변화, 증식 종료, 비대, 세포자멸사가 일어나고, 연골세포 주변으로는 연골바탕질이 활발하게 생성되었다가 제거되면서 뼈조직에 의해서 대체됨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미세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머리뼈바닥 발생 중 연골속뼈발생 동안의 미세관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세관의 구성 단백질인 튜불린에 결합하는 약물 노코다졸을 사용하여 머리뼈바닥 조직을 기관배양 함으로써 미세관과 머리뼈바닥 발생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된 조직에서 일어나는 형태학적, 분자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 세포 개수 계산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나비뒤통수결합 부위 내의 미세관에 가해진 변화에 의해서 Ki67, 뼈발생표지자 BSP, BMP4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비대층 구역에서는 연골세포의 비대과정이 억제되었고, 뼈발생중심에서는 연골조직의 제거 및 뼈조직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는 미세관이 연골속뼈발생의 다양한 과정에 관여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머리뼈 성장 및 머리뼈 바닥 기형과 관련된 질병을 이해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ndochondral bone formation of the developing cranial base is a complex process. This mechanism requires precise orchestration of many cellular events and cartilage matrix metabolism, such as proliferation, becoming round in shape, termination of proliferation, hypertrophic size-increase, and finally programmed cell death. Active formation and degradation of cartilage matrix take place, in which microtubules are involved for intracellular events; bone apposition follows these events. However, the involvement of microtubules during these changes in the developing cranial base has not been identified yet. Thus, we investigated the involvement of microtubules in the regulation of endochondral bone formation during cranial base development. Using tubulin-binding drug nocodazole, we examined the effects of alter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icrotubules during in vivo organ culture of the mouse cranial base. Cultured specimens were analyzed with HE staining, immunohistochemistry, and cell counting in order to study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tissues. Disruption of the microtubular array by nocodazole reduced cells expressing proliferation marker Ki67, osteogenic marker BSP, and BMP4 within the sphenooccipital synchondrosis region; chondrocyte hypertrophy was ceased in the hypertrophic zone; degeneration of cartilage matrix and bone matrix apposition was inhibited in the ossification center of the basooccipital cranial base. Our data demonstrated that disruption of microtubules by nocodazole have multiple inhibitory effects on the sequential changes that occur during endochondral bone forma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normal microtubule-polymerization in cranial base development.

      •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통제되는 조건 하에서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피부조직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미세먼지 체임버의 설계, 제작 및 효율적인 운영

        장현태,이태규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미세먼지는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로 PM2.5라고 하며 질산염, 암모늄, 황산염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 화합물, 금속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을 가진 미세먼지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모낭을 통해 피부 속으로 쉽게 침투하고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작용을 통해 피부질환을 악화시키고 피부 노화를 앞당긴다. 또한 미세먼지의 조건은 계절, 지역별로 다르고 매우 다양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특정 성분의 영향을 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피부조직을 실제 환경과 유사한 혹은 원하는 조건(온도, 습도, 빛의 세기, 조성 등…)의 미세먼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체임버를 구성해야 한다. 미세먼지가 벽에 달라붙는 벽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반응기의 재질, 농도 혹은 온도의 균일성을 위한 교반기의 rpm, 반응기에 잔류하는 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한 정화시스템, 햇빛과 유사한 파장을 가지는 광원, 미세먼지 입자를 원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는 입자생성기 등 다양한 조건을 최적화하여 체임버를 설계, 제작하고 피부조직 노출 실험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