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학작품에 나타난 외부적 장소성 분석 - 1970년대~2000년대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

        한성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9 서울학연구 Vol.- No.74

        The study noted the location of Garibong-dong, Guro-gu, which is part of the numerous sites that make up the city of Seoul, which still frequently appears as a place for the urban minority and as a background for crime films despite the recent upheaval of globalization from the past industrialization. Garibong-dong is distinguish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from Bucheon, Ansan, Gyeonggi-do, and Seollee Village, Itaewon, and Little Tokyo in Dongbu-Ichon-dong that are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spaces. It dates back to the place of labor-class and minority workers in our society, including industrial workers, before Korean-Chinese’ moving, who are a major member of Garibong-dong. In other words, it is worth identifying the meaning as a place in Seoul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nd changing the site in the late 1980s, when most factories moved to a local city outside Seoul and changed into a space occupied by other minority groups of Korean- Chinese and foreign workers. This study adopted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in 1976 by E. Relph in his book Place and Placelessness. Namely, it is based on the definition that sense of place is formed when human activities, experiences, etc. are performed within a particular physical environment and added meaning to it. Therefore, sense of place can be a subjective ‘interpretation’ because human activity, experience and meaning itself are subject. Nevertheless, it is emphasized that the essence of a place is in the ‘inside’ experience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outside’. These fragmented concepts of externality and internality form the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study. Despite the limitations that the subject of the study is not representative of Seoul or the entire city, among the various places that make up Seoul, one can see the outer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formed by the conditions of the city’s social exclusion and otherness in minority group. It will also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growing number of social issues such as foreign workers, wedding immigra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oul as a place. 가리봉동은 산업화시대인 1960~70년대부터 세계화를 맞이한 2000년대 현재까지 우리사회의 소수자들의 장소를 형성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의 본질은‘외부’와 구별되는 ‘내부’의 경험 속에 있으며, 깊고 완전한 동일시를 경험한다는내부성과는 대립되는 의미로서의 외부성에 대해 주목하고,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배경으로 한, 세 개의 소설을 통해 서울의 특정 장소에 대한 외부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장소의 외부성은 내부성과 마찬가지로 몇 가지의 세부적 개념으로 구분되나, 장소의 본질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는 실존적 내부성과 달리, 공통적으로 자아 혹은 주체와 장소가 긍정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있거나 소속감을 느끼고 그 장소에서 자신이 받아들여짐을 경험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가리봉동의 경우, 산업화시대인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서울로 상경한 공장 근로자의 거주지로, 이후 1990년대부터는 주로 중국동포 근로자들의 집단 주거지역으로 변화해 왔다. 이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우리 사회의 소수자 집단으로서, 가리봉동 벌집촌이라는 공간적 구조에서 그들의 세계를 재현하였다. 즉, 경계인으로서 임시적으로 머무는 장소, 초국가적 제3의 공간, 소외와 배제 등으로 함축될 수 있는 외부적 장소성을 형성하여 왔다는 것을 세 권의소설을 통해서 파악되었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서울 어딘가에는 다시 그들만의 장소들이 형성될 것이다. 이에 대한 우리사회의 흐름 속에서, 차이를 억누르지도 않고 ‘타자’(지배적 규범과 다른 모든 것들)를 억압하지도 않으면서 ‘동화되지 않은 타자성 (unassimilated otherness)’에 개방적인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어야 할 일이다.

      • KCI등재

        장소의 문화화를 타겟으로 한 농촌마을 권역종합정비사업 모델 : 영천시 가상권역 사업을 중심으로

        한성미,엄붕훈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1

        This study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Gasangri, Yeongcheon city area, based on the use of the cultural factors and strengthening them in study area. Unlike other cases of today's Korea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plan keenly concerns not only for tourists but also for the village people. Since culture means the quality of life also, this project especially deals with 'community', 'well-being', and 'convenience' for the inhabitants. On the other hand, it attempts to connect with "Cyan Museum", which is the first grade art gallery remodelled from closed school, to make village of culturally abundant atmosphere. In result, seven sub-projects of the expansion of basic living foundation, and two improvement of landscape in area have planned. Among stereotype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similar programs of tourism, the project makes difference on targeting for the meaning and resource of place culture.

      • KCI등재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 분석

        한성미,임승빈,Han, Sung-Mi,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6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전형적인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의 형태를 보이고 있는 가리봉동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을 분석하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찾음으로써, 국내 외국인 거주자 및 주거지역의 증가에 의한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그러한 다양성이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도시경관 형성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 나타난 쪽방촌과 열악한 공간적 환경은 외부자의 부정적 인식과는 달리 거주자에게는 그들의 경제여건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의미를 보였다 둘째, 연길에서의 그것과 유사한 색채 및 한글과 한문이 혼용된 간판은 옌볜거리에서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서, 내부인인 조선족에게는 구성원들 간의 내적 소통의 수단으로 조선족 문화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옌볜거리에서는 물리적 건축 환경 요소보다는 집단적 삶의 일상성을 충족시키는 구매활동, 여가 및 정보교환 활동이 장소성 형성에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공간적 전유(appropriation)현상과 주변과의 격리현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격리현상은 외부인에게 부정적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다섯째, 조선족의 고향에 대한 인식, 문자 및 언어, 음식문화 등에서의 문화적 이중성(dualism) 및 혼재(mingling) 양상은 현재 옌볜거리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옌볜거리의 장소적 현상에 있어서 임시성(temporariness)이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임시성은 불법체류라는 조건 하에서 더욱 강화되고, 이는 주거환경에 대한 무관심 등의 부정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나, 동시에 그러한 임시성으로 인한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내부자간의 협력과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장소성 형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hose elements that form a sense of place in Yen-Ben Street, which represents a typical ethnic enclave in Seoul, to provide a basic resource in the creation of an urban landscape that can provide a positive space for cultural d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 of a physical environment that develops a sense of place was in fact the poor dwellings that correspond to the economic condition of Korean Chinese. While this element has a negative cognition to outsiders, Korean Chinese feel positively toward it. Secondly, signboards were a physical element of sense of place which retains cultural identity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side the community. Thirdly,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such as shopping, recreation,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hat are found in the pursuit of daily life act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even more than architectural elements. Fourthly, the appropriation of space by Korean Chinese and the isolation from the surroundings were obvious. This isolation is perceived as a negative sense of place formation to outsiders in Yen-Ben Street. Fifthly, the aspects of cultural dualism, mingling the concepts of home country, language, writing, and food have also affected the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in the area. Sixthly, transience was a prominent phenomenon of Yen-Ben Street and is strengthened by illegal immigration. Although transience causes negative impacts such as in a lack of concer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 acts as a positive factor in the sense of place by mitigating uneasiness, and strengthening insider ties and cooperation.

      • KCI등재

        방사광 동결 미세 단층촬영을 이용한 사람 두피 조직의 3차원 구조분석

        한성미,김홍태,김기홍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4

        The scalp maintains body temperature, plays a role in reducing external shocks and injuries, and is involved in hair growth. Hair growth is regulated by the nervous system, vascular system, immune system, etc., has a constant cycle, and repeats growth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scalp and of the hair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has received attention in various research fields, such as dermatology, cosmetology and material engineering. Interest in hair has become as important as that is health and has reached its highest level in the fields of disease, beauty and cosmetics. On 3D reconstruction of phase contrast X-ray micro-CT,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structures of scalp skin were clearly defined, and on phase contrast imaging, the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 of scalp skin could be observed without the preprocessing of scalp skin samples. A synchrotron radiation phase contrast micro-CT imaging system can be applied as a useful tool in scalp skin science. 두피는 체온유지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모발의 성장은 신경계, 혈관계, 면역체계 등에 의해 조정되며,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성장과 탈락을 반복한다. 두피와 모발 구조의 특징에 대한 분석은 피부학, 미용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연구분야의 관심을받아왔으며, 모발에 대한 관심은 건강만큼이나 중요하게 되었고 질병, 미용, 성형분야까지 최고조에 이르게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방사광 x-ray CT를 활용한 3차원 재구성에서 두피의 내부 및 외부구조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위상대조영상을 사용하여 전처리 과정 없이 두피의 3차원 미세구조를 관찰 할수 있었다. 방사광 x-ray CT 영상 시스템은 두피 과학에 유용한 도구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서래마을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 - 프랑스인 주민과 방문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한성미,임승빈,엄붕훈,Han, Sung-Mi,Im, Seung-Bin,Eom, Boong-Hoo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4

        최근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장소 만들기를 비롯한 경관계획의 증가와 함께, 도시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 특성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마을, 도심 속 명소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장소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소 마케팅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장소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장소의 창조와 장소마케팅으로 인해 획일화, 상업화된 장소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계획 설계 분야에서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심층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프랑스인의 40% 이상이 거주하고 있고 서울시의 명소로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는 서래마을을 대상으로 주민과 방문자의 장소성 지각의 차이와 장소적 현상을 통해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래마을은 프랑스인 주민의 주거 및 교육환경의 필요에 의해 형성된 장소로서, 이에 부합하는 활동과 의미의 범위에 한정되는 내부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서래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이 결여된 형태로써, 이는 주민의 소극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둘째, 방문자의 경우에는 프랑스 마을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그에 따른 활동 및 의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의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 여부는 이러한 외부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방문자의 활동 및 장소에 대한 의미부여는 한국인으로 형성된 상권의 활성화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장소의 상업화 및 활동의 확대는 서래마을의 내부성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내부성과 외부성의 역전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서래마을은 내부의 경험이 아닌, 방문자의 기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소로써, 프랑스적 상징성을 활용하여 이루어진 대중적 정체성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프랑스인의 거주목적으로 이루어진 내부성은 진정성이 결여된 프랑스적 기호를 매개로 한 가공된 장소성으로 재생산 되었으며, 이는 장소의 본질적 측면 보다는 과장되고 상업화된 장소로서 피상적인 가면성을 나타내고 있다. Places such as famous urban sights and foreign settlements have recently been created in Korea, which reflects the increase in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and the number of place-making and landscape-planning projects. Understanding place identity is required in environmental design and planning. This paper examined the components of the identity of place through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placeness"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of Seo-Rae Village, Seoul, Korea. More than 40% of French nationals in Korea reside in the village, which many Koreans visit as an urban sightseeing place. Twenty-five French inhabitants and forty-one Korean visitors were surveyed. Insideness of Seo-Rae Village was formed by limited activities and needs of the residents, primarily children's education and food purchases. Residents mention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especially buildings, lacked theauthenticity of French styl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rench village influenced the visitors' activities. The authenticity of French style, however,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visitors and outsideness of the place. Visitors' activities and cognitive meanings of the place were formed mainly by the commercial environment established by Korean investments. Commercialization of the place and related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insideness of the place. The village shows the phenomenon of the reversal of insideness and outsideness. The "placeness" of Seo-Rae village has been shaped by visitors' tastes rather than the true experience of insideness. Mass identity formed by mass media using French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is phenomenon. Insideness formed by inhabitants appeared to be a pseudo-place, which was created by the French tastes of visitors and lacked French authenticity. Seo-Rae Villagerepresents a superficial cloak.

      • KCI등재후보

        지방 소도시의 장소성 분석 연구- 전라남도 강진군의 원도심 중앙로 일대를 중심으로

        한성미 한국경관학회 2018 한국경관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sense of place in Joong-Ang Street in old downtown of Gangjin-Gun based on the theory of sense of place by E. Relp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hysical factors which form sense of place in joong-Ang street are modern buildings, elongated sections, low skyline, and narrow pedestrian road due to the illegal parking space. A remarkable phenomenon is that the physical decline starts severe at the point where modern buildings and low skyline are exist in eastern part of the street. On the other hand, people intensively act and use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and academies in western part of the street, which shows physical and behavioral disconnectedness. Also, the street forms rather the space for the cars, not for the pedestrians. Meanwhile, people consider the eastern part negatively as dangerous and declined space. To form the street as a place that operates it's social function, they should widen the pedestrian road so that people use it often and comfortably. Furthermore, it is need to give vitality to the old downtown through preserving and using modern buildings connecting with neighboring tourism resource. 지방 소도시, 특히 원도심은 대도시로의 인구유출과 구성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쇠퇴의 정도가매우 심각하다. 그러나 경관적 측면에서 볼 때, 근대건축물과 필지구획 형태 등 가치 있는 물리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전히 주민들의 일상생활의 장(場)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렐프(E. Relph)의 장소성 이론에 준거하여 강진군 원도심 중앙로의 장소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요인으로는 근대건축물 및 세장형(細長型) 필지, 임시주정차 공간으로 더욱 좁아진 보행로와 낮은 스카이라인을 들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대상지 동측의 스카이라인이 낮아지고 근대건축물이 위치하는 곳을 기점으로 쇠퇴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반면, 서측에는 병원, 학원 등의 편의시설이 집중되어 주민들의 일상에 필수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동일한 가로에서 물리적․행태적 단절감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중앙로는 보행보다는주로 차량중심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주민들은 중앙로 동측 부분에 대하여 쇠퇴하고 위험한 공간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로가 가로의 사회적 기능을 충실히 하는 장소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좁은 보행로를 확장하여 보행 인구를 증가시키고, 동측 공간의 근대건축물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근대문화 자산의 보전과 함께 인근 관광지와 연계하여 침체된 원도심 공간에 활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광주 폴리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재고 - 제 1차 광주폴리를 중심으로 -

        한성미,Han, Sung-Mi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6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공동화 되어가는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도시 재생적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애초의 목적과는 달리 옛 읍성 터 가장자리에 조성된 10여개의 폴리는 주변 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보행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활발한 이용 대신 방치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정적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폴리와 주변공간을 활성화하여 도시재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폴리들 간의 물리적 통일감을 부여하는 맥락이 없으며, 각각의 독립된 작가 중심의 작품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 그리고 폴리 형성과정에서 시민과의 교감이 부족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폴리조성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결정적 해법으로써 폴리에 인간의 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인간 활동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효과적 방안으로 스트리트 퍼포먼스(street performance)를 제안하였다. 원래 폴리라는 시설물은 어떠한 특정 활동이 정해진 공간이 아니나, 현재와 같이 그것이 이용되지 못하고, 외면 당하거나 방치될 때 스트리트 퍼포먼스의 적용은 부정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광주폴리에 새로운 관계맺음, 창의적인 활동의 무대, 일상의 공간 등의 영역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 광주시가 최근 선보인 2차 폴리는 도서관, 화장실과 같은 명확한 목적을 가진 구조물 및 소규모 이동식 포장마차 등으로서 1차 폴리와는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1차 폴리는 개관을 앞 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이나 철거가 되지 않고, 일부 폴리는 직접 아시아문화전당을 전망할 수 있는 설치물임에 따라 이들 폴리에 대한 지속적이며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계속될 100여개의 폴리 설치계획에 의미 있는 지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Follies that were constructed for the Gwangju-Biennale were for urban regeneration, to activate the empty old-town areas, and to strengthen the tradition and sense of place of the city. However, the ten Follies constructed around the wall of the old castle reveal many problems including that of leaving Follies alone instead of actively using them, damage to shop-keepers nearby, and pedestrian inconvenie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urposes. This study is meant to help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negative phenomena, and to offer plans that will be conductive to the role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activating the Follies and the spaces around them. As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re was no context giving uniformity among the various Follies. Also, the study showed that the insufficience of designers' understanding of the circumference near the Follies and lack of a consensus between the citizens and designer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Follies. The crucial solu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and bringing to life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the Follies was derived as applying "human activity" to the Follies. This study suggested 'street performance' as an effective device for application to human activity. While a Folly has no fixed function, the development of space program categories based on the applied characteristics of each Folly, and the simulation thereof showed effective potential for attracting people and activating those stagnated spaces. Recently, Gwangju city depicted the second Follies in applications such as reading roon, toilet, and movable food cart, which have clear purpose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ones. However, the first Follies will not be moved or demolished. As they are located around the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some of them are supposed to be used to view the center. Consequently, a counterplan for the continuous and efficient use of those Follies is needed. Gwangju has a plan for the installation of 100 Follies throughout the cit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meaningful guide line for improved Follies in the future.

      • 초등학생의 학교 외부공간 환경인지 유형분석 : 외부공간<이미지스케치>분석을 중심으로 Based on the Image Sketch of Exterior Spaces

        엄붕훈,한성미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8 연구논문집 Vol.57 No.2

        The concept that outside environment affects human behavior and emotion has been proved by a lot of studies.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the type of outdoor environmental design was emphasized since it is related to crime and hooligans. In this point of view, to provide appropriate exterior environment to children can be very significant issue because childhood is the time to establish emotion and identity of human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ldren's environmental cognition type to the exterior space in elementary school, and to provide appropriate design guidelines of exterior environment for children.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by image skethches which were drawn as "Ideal School Environment" by children in two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outskirts of Taegu c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bout 4 times more of exterior spaces were expressed than building spaces in children's pictures. 2. High grade children's cognition of exterior spa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low grd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nce between two survey sites, and between sex. 3. Children expressed landscape area, service area, and play area, as the main elements of exterior space in their pictures.

      • SCOPUSKCI등재

        발아약콩가루를 첨가한 생면의 제조 및 특성연구

        한성미(Sung-Mi Han),한정아(Jung-Ah Ha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5

        약콩을 재료로 가장 높은 이소플라본 함량을 갖는 발아조건을 찾고(본 연구에서는 48시간), 발아시킨 약콩을 열처리 하지 않은 군과 20분 끓이기 처리를 한 군으로 나누어 밀가루양의 각 15%, 20%를 대체하여 면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수분흡수량이나 부피증가율 및 조리 후 당용출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발아콩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았다. 특히 끓인 발아콩가루 15% 첨가군은 당용출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조직감 특성에 있어서, 대조군은 가장 높은 견고성을 나타내었으며 조리 후 1시간 까지 크게 증가함을 보였다. 발아콩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끓인 콩의 경우 동일비율의 열처리 하지 않은 콩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고성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열처리한 발아콩가루를 15% 수준으로 첨가했을 때 경도는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탄력성은 대조군보다 높게, 점착성은 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어 바람직한 제면의 특성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15% 발아콩가루 첨가면은 외관상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20% 첨가면은 색이 짙고 열처리하지 않은 콩가루 첨가면은 콩비린내가 감지되었기 때문에 appearance 와 flavor면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밀가루만으로 만든 국수보다는 발아콩가루를 넣은 면이 외관, 조직감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특히 열처리한 콩가루 15% 첨가 면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Small black beans (SBB) were germinated up to 72 h at 23℃, and 48 h germinated SBBs having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were chosen for noodle preparation. Some of the germinated SBB were treated by 20 min boiling (B) but some were not boiled (NB). For noodles, the germinated SBB flour replaced 15% or 20% of wheat flour, so five kinds of noodles were prepared and tested: control, 15B, 15NB, 20B, and 20NB. Higher amount of bean flour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of L<sup>*</sup> and increase of b<sup>*</sup> values in noodle. After 20 min cooking, the noodles containing germinated SBB flour showed less soluble sugar content in cooked water than control, and the lowest value was observed in 15B. For textural properties, the addition of SBB flour lowered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noodle, but increased chewiness than control. In sensory tests, the most acceptable sample was 15B because of developed texture and better appearance which seem to be good for health.

      • KCI등재

        방사광 X-선 마이크로 단층촬영을 이용한 쥐 눈의 3차원 구조 분석

        이세희,김기홍,한성미,김홍태,김종기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 생체조직 구조물 연구에 고식적으로 시행되어 왔던 조직학적 분석은 시간이 오래 걸리 고 비용이 많이 들며 한번 절편을 내고 난 후에는 조직에 손상이 있어 다른 검사를 시행 할 수 없고 3차원적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광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마이크 로 단층촬영(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기술이 개발되면서 비침습적이면서 조 직의 내부 구조나 조직상태를 단층영상으로 고 해상력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수십 나노에서 수 마이크로 미터의 공간분해능을 제공하는 방사광 X-선 마이크로-CT(synchrotron radiation hard X-ray micro-CT; SR-μCT)을 개발하여 기존에 볼 수 없었던 불투명 물질의 내 부의 복잡한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가속기 연구소의 방사광 7B2 빔라인의 방사광 X-선 마이크로-CT 장치 를 이용하여 BALB/c 쥐눈 조직 시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다른 영상 획득방법에서 어려웠던 시 료 내부구조를 자세하게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실험은 BALB/c 쥐눈의 미세 단층촬영을 위하여 포항가속기연구소의 7B2 빔라인을 이용하였다. 마이크로-CT 촬영은 시료의 회전이 가능한 3축 스테이지 위에 고정시키고, 0o에 서 180o 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를 회전시키면서 각각의 각도에서 X-선 영상을 획득한다. 7B2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 프로그램은 LabVIE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저장 분석한다. 광학현미경에는 2배, 5배, 10배 및 20배의 대물렌즈를 선택할 수 있게 회전판(turret)을 부착하 였다. 섬광결정으로는 0.1~0.5mm 두께의 CdWO4 결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H&E 염색 후 얻은 영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BALB/c 쥐눈의 SR-mCT 촬영 영상은 내부 구조의 관찰이 가능하였고, 조직염색 후 얻 은 영상과 비교한 분석한 결과, 눈을 구성하는 모든 구조들이 잘 일치하였다. 결론: 포항가속기 7B2 빔라인에서 방사광 X-선 마이크로-CT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해상 도의 BALB/c 쥐눈의 영상을 획득하였고, 이를 프로그램 영상처리를 통하여 단면영상과 3D영 상으로 재구성하여한 후 미세한 해부학적 구조와 병변의 발견 유용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시료 의 X-선 흡수도 차이에 의한 영상정보를 나타내는 일반 X-선과 달리 방사광은 빔의 세기가 크고, 퍼짐성이 작고, 파동의 진행방향이 일치하는 특성을 갖는 방사광 X-선을 이용하여 획득 한 BALB/c 쥐눈의 영상은 일반 X-선 영상에 비해 고분해능, 고대조도 영상정보를 제공 하므 로, 눈 조직의 구조뿐만 아니라 질환이 동반된 눈 조직의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