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유사성이 한국의 농수산물 및 식품수출에 미치는 영향

        박가희,가순호 국제지역학회 2022 국제지역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수출대상국의 문화적 유사성과 농수산물 및 식품 수출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가 문화적 유사성과 총수출액의 관계 분석을 다루고 있는데서 나아가 본 연구는 농수산물 및 식품 수출을 수출 다양성과 수출 집중도로 분해함으로써 어떤 경로로 수출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2001-2015년 한국의 수출 자료를 바탕으로 수출 다양성과 수출 집중도를 계산하고, Hofstede 문화차원지수를 이용해 문화적 유사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수출대상국의 문화적 유사성이 낮으면 수출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진국의 경우 문화적 유사성이 낮더라도 수출 다양성과 수출 집중도가 증가하지만, 개도국의 경우 문화적 유사성이 낮으면 수출 다양성과 수출 집중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문화의 충돌과 윤리교육의 과제

        송선영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오늘날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들과 충돌들의 양상을 윤리문화 연구와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탐구하는데 있다. 대체로 다문화 사회는 세계화에 따른 노동력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거나 국가 형성의 초기부터 다인종으로 구성되면서 발생한다. 한국의 경우는 전자에 가깝다. 특히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한국의 다문화 사회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공공차원에서 보완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어떤 삶의 유지할 것인지를 근본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윤리문화의 유형들과 관련해서 보면, 첫째, 시민사회윤리문화와 공동체윤리문화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전자는 계약 및 공정성 등의 시민성에 기초한 시민사회적 삶을 의미하고, 후자는 정의적(affective) 덕성에 바탕을 둔 공동체적 삶을 강조한다. 둘째, 종교윤리문화의 유형으로서 여기에는 한국의 경우처럼, 불교, 기독교, 유교 등의 다원종교적 삶의 유형과 기독교 정신의 경우처럼, 단일종교의 삶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들에서 삶의 방향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다면, 윤리문화의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윤리문화 충돌의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19세기 아놀드의 입장을 검토하기로 한다. 당시 자유주의적이고 물질적인 삶의 환경의 발달은 오히려 윤리적 삶의 성장을 방해하고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것은 영국의 윤리문화의 두 가지 원동력이었던 도덕적 행동의 힘과 지성의 힘이 조화롭게 전개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 이러한 부조화의 경험을 교훈으로 삼아, 오늘날 한국에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산의 "국경없는 마을", 인천의 차이나타운 지역, 국제결혼 가정의 사례들을 검토한다. 국경없는 마을의 경우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사회윤리문화의 유형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들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윤리문화의 유형의 삶이 우리 모두에게 요구된다. 반면, 인천 차이나타운 지역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화교 및 지역민 모두 지역적 애착이 강한 공동체적 삶을 유지해 왔고, 그래서 이들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시민사회윤리문화의 유형의 삶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촌 지역 중심의 국제결혼 가정의 경우에는 한국 가족 구성원들의 공동체적 애착이 오히려 결혼 이주민 여성에게 부담 또는 내적 강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집단의 경우에는 한국 가족 구성원들의 배타적인 공동체적 삶을 개방적으로 전환시킬 것인가의 과제가 있다. 이와 같은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문화 충돌의 가능성의 양상을 예방 및 극복하기 위해 아놀드의 해결 방식을 도입해 본다. 그가 제시한 도덕성의 입장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이었다. 즉, 인간이 사회를 구성해서 삶을 영위하는 장소에 상관없이, 그것을 이끌고자 하는 도덕적 기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어떤 절대적인 가치를 우선 상정해서 그것을 적용하고자 하는 모습이 아니라, 사회 및 집단 속에서 윤리적 삶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모습 이 자체가 인간 삶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본다면, 윤리교육은 장기적으로 어떤 인간적인 아이들을 육성할 것인가의 과제가 가장 절실하다.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과 한국의 자녀들은 본격적으로 전개될 미래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윤리적 삶의 주체들이다. 이들에게는 어릴 때부터 단계 별로 인간적인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현재에 다양한 윤리문화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그 충돌의 가능성은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방식에서 윤리교육을 통해 충분히 예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of the possible aspects of clashes and conflicts of ethical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ies, in particular, in England of the 19th century by Matthew Arnold and in contemporary Korea. Concerning the types of ethical culture, firstly, there seems a ethical culture between community, based on th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and civil society from the faculty of moral judgment; secondly, a ethical culture of religion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In the experience of the clash of ethical culture of England, Arnold would propose the harmony in human lives between two forces of conduct and of intelligence. This is his conception of culture. In the case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here is increasing the immigration of foreign workers and of international marriages, we must consider their types of ethical lives. The type of ethical culture of community, for example, need to be applied to foreign workers who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contract or fairness. For the basic prevention of ethical culture from some conflicts in Korea, furthermore, the main goal of ethical education is on the conception of ``human children`` based on the ``likeness of moral fibre`` of Arnold. Its advantage to Korean society may enable children foreign as well as domestic, the subjects of future lives in Korea, to improve their own ethical growth without any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by race and group.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imilarity on the Path of the Knowledge Transfer to Foreign Subsidiary

        Cho Yeon Sung(조연성)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經營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과 동적 문화관점을 배경으로 해외 진출 자회사로의 지식이전 과정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 따라 본사 자회사 간 상호몰입, 의사소통, 조직문화 유사성, 흡수 역량, 경영성과의 5개 잠재변인으로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조직문화 유사성의 매개효과를 포함 한 8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203개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호몰입은 조직문화 유사성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흡수역량에는 그렇지 못하였다. 반면 의사소통은 흡수역량에만 영향을 주었다. 조직문화 유사성은 흡수역량에 영향을 주었으며, 흡수역량 또한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었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조직문화 유사성이 몰입과 흡수역량에서 관계에 서만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문화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본사와 자회사 간의 몰입 활동이 지식이전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국적기업은 본사와 자회사 간의 조직 활 동에서 몰입 활동에 도움을 주는 조직문화 유사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교육과 자원투입에 적극적이어야 함을 시사한다. In the sense of the needs of knowledge transfer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subsidies, knowledge transfer is important for MNEs. This study presents a integrated analytical models can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al asset between headquarter and subsidiary, the cultural similarity, the absorptive capacity and the performance of foreign subsidiary. Using the 5 potential variables measured by nineteen questions and there are 8 hypotheses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ultural similarity. This study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about total 203 foreign subsidiaries us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result, the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similarity but dose not have the effect on the absorptive capacity.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sorptive capacity. The cultural simila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sorptive capacity. Also, the absorptive capacity affect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ultural similarity shows a full mediating only the relationship the commitment and absorptive capacity. That is, it gives an implication to the research that is trying to classify and analyze the ro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similarity according to the form of previous knowledge. This is because it can be assum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imilarity plays a role in transferring an implicit form of knowledge.

      • KCI등재

        ‘같으면서도 다른 하나’ : 열린 주체로서의 문화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김화경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시민인문학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전지구적 영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화의 다원화 현상에 주목하여 그로 부터 야기되는 다양한 종류의 대립과 분열을 ‘문화' 또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개념적 혼동으로부터 야기된 철학적 질병으로 보고 이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문화’라는 개념의 사용에 관한 의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밝힌다. 타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기 위 해서, 또한 동일한 한 문화 안에서 발생하는 충돌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 개념 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문화는 상대적이지도, 보편적이 지도 않으며 단지 다원적이며, 상호적이며 가능적일뿐이라고 주장한다. ‘문화’는 본질적으로 ‘사이’를 함축하고 있다. 문화들 사이의 상호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공통적인 만남의 공간을 문화들 사이의 ‘중간고리’라고 부르며, 이 ‘중간고리’가 갖는 의미와 역할, 중요성의 근거를 현대 언어분석 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의 생활양식의 공유가능성과 가족유사성의 개 념 분석 속에서 찾아보았다. 모든 문화는 상호침투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기에 ‘열린 주체’로서 역할을 한다. ‘열린 주체로서의 문화’는 ‘같으면서 다른 하나’에로의 지향을 의미한다. ‘같으면서 다른 하나’로서의 문화는 어떻게 우리가 낯선 문화들 속에서 차이들에 대한 상호인정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통합된 움직임을 구현하여 화합할 수 있는지 에 대한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의 근거를 제공한다. If two completely different cultures come across, how can two individuals that are a part of these cultur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sides, looking at merely one culture, there may also be different opinions and misunderstandings arising among individuals. How can they come to a modus vivendi? Actually, a set of shared standards is the precondition for solving conflicts and for a meaningful communication. Shared standards consist of "the common human ways of acting." In this article, I refer to Ludwig Wittgenstein, who is regarded as a modern analytical philosopher, and I am going to explain how his concepts "form of life" and "family resemblance" contribute to relating "the common human ways of acting" to mutual understanding. My intention is to make clear how a concept of culture if it is regarded as a flexible identity enriches various cultures in an equal way and thus utilizes universalism.

      • KCI등재

        관광자의 Self-Visual Image와 관광지 친밀감 간 관계 연구

        노은정,이철진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4

        With the growing usage of SNS, one particular tourist behavior we should pay attention to involves storing their experiences via images of photos and videos and sharing them through SNS. The importance of this behavior is significant considering tourists recall their memories of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se images, which impacts satisfa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analyze how these images produced by tourists (self-visual image) influence destination intimacy (i.e., cultural similarity, acculturation intention, local cultural adaptation) to tourist destination. A total of 34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25.0. The findings reveal that self-visual images containing natur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ltural similarity and acculturation intention. Tourism and convenience facilities causes a negative impact on cultural similarity. Finally, cultural similarity and accultur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local cultural adapt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 are discussed. SNS 이용의 증가와 함께 주목할 만한 관광자들의 관광행동은 관광지에서 자신들의경험을 사진이나 영상 등의 이미지로 저장하고 SNS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다. 이러한관광행동은 관광자들에게 이미지를 통해 관광지에 대한 기억을 환기시킬 뿐 아니라만족감을 형상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자기시각이미지)가 목적지와의 친밀도(문화유사성, 문화수용의도, 현지문화동화)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349개의 표본을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광지 친밀감 요인 중 문화유사성과 문화수용의도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자연환경과 사회적 환경 및 접근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광지 친밀감 요인 중 문화유사성에 대하여 편의시설 및 관광시설이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문화유사성 및 문화수용의도 모두가 현지문화동화에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자들의 이미지 형성과 회상이 관광지에 대한 친밀감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고, 그 하위개념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중·일 3국 브랜드개성 유형의 유사성과 차이성 비교를 통한 문화적 공통성과 특수성에 관한 연구

        하인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3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brand personality literatures among cross nations in view of culture value Big five, personality trait Big five and Maslow's motivation theory. Through the comparing with brand personalit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culture value big five, personality trait big five, and motivation theory, the results might provide a more complete insight into the unique values of their cultures. The three literatures of this study which developed for Korean, Chinese and Japanese-based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and thus, may provide a understanding about for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 China and Japan. First, the similar dimensions found is “Sincerity"(仁) compared with three nations. It is found the similarity among three country’s brand personality dimension; Korean-“Affection", “Sincerity", Chinese-“仁"(Sincerity), Japanese-“Peaceful", “Sincerity" that carry more specific cultural meaning. These similar dimensions are in accordance with “Conservatism"(cultural value big five), “Agreeableness"(personality trait big five) and “social need". The presence of “Sincerity" dimension of three national based brand personality may reflect the visibility that obedience, maintaining harmony and interdependence has in Asian cultures. Second, the different dimension found is “Ruggedness" compared with three nations. It was not found “Ruggedness" personality dimension in Korean and Japanes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勇"(Ruggedness) personality dimension in Chinese. In the view of personality trait big five and need theory, the Chinese has relatively higher value on “social needs" and "masculinity" as compared with Korean and Japanese. Therefore, “masculine” was more prominent attributes in the Chinese brand personality than in the Korea and Japan brand personality and played distinctly different roles in each culture. This may mean that when people in China perceive commercial brands, place emphasis on the values of Openness and Social ne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from a new perspective, suggested the implications in the establishing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rand strategy and manag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relied on a limited number of brand personality literatures and provided only conceptual comparis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degree of generalizability of these results. 본 연구는 한중일 3국 브랜드개성 유형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문화가치관, 성격 모형, 동기 모형의 준거 모델을 기준으로 각 나라가 지닌 문화적 공통성과 특수성을 비교 탐색하는 것이다. 3국의 브랜드개성에 관련된 문헌을 수집 조사하는 질적연구접근 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냈다. 한중일 3국이 지닌 브랜드개성 유형의 공통성은 한국의 “정감”(affection), “성실”(sincerity): 일본의 “평화”(peacefulness), “성실”(sincerity); 중국의 “인"(仁)으로 이러한 공통성은 문화가치관의 “보수주의”와 “내재적 동기”에 의한 “집단주의적 가치관”을 중요시함과 동시에 동양적 개인주의를 추구하는 “인(仁)"의 문화적 공통성이 발견되었다. 한중일 3국이 지닌 브랜드개성 유형의 차이성은 중국의 “용”(勇)으로, 중국은 한국과 일본에 비해 사회적인 성향의 동기가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보다 적극적인 문화수용의 태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동북아시아의 동질적 문화권 하에 3국은 어느 정도 유사한 문화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개별적인 하위범주의 특성으로 보면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다국적 브랜드는 한중일 3국의 문화적인 보편성과 특수성을 어떻게 동시에 조화시켜 해당 국가에서의 브랜드 마케팅전략을 어떻게 전개해 나갈 것이냐 하는 문화 분석의 과제를 안겨 준다.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및 제품 시장의 유사성 및 제휴의 협력 형태에 따른 제휴기능 범위의 선택

        오유진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6

        Firms form an alliance with other firms from other industries or countries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resource, expand its market and finally survive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When forming an alliance, industrial or national similarity between partners can be a risk to the firm performance, thus firms control transaction cost by determining the appropriate functional scope of the alliance. Furthermore, selecting suitable functional scope depending on the cooperation type of an alliance is also an important issue for a fir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theoretical model for determining functional scope depending on the similarity between partners and type of alliance (Equity joint venture and repeated partnership). Also it is verified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alliance cases from 2000 to 2009 in high-tech industries. This study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whether an alliance involved a single function or more. As a result, when product market similarity is high, opportunistic behaviors increase between firms and they tend to expand the alliance scope in order to promote trust. Also, when partners are culturally distant, they tend to choose a broad alliance scope to control transaction cost. Conversely, in case of repeated partnership, firms tend to focus on sole function rather than expanding scope which requires hefty investment. In addition, in case of equity joint venture, firms opted for broader scope to build commitment with one another. While prior research focused on the impact of functional scope of an alliance on firm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firms’ decision making. It examines the difficulties that arises in various cases determined by industrial and national similarity and the type of an alliances, proceeding to investigation of firms’ choice of alliance scope to tackle such difficulties. Finally, it clarifi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기업은 다른 산업 혹은 국가에 있는 기업들과 제휴를 맺어 새로운 지식 및 자원을 획득하고 시장 확장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휴에서 양 기업 간의 산업 혹은 국가적 유사성은 기업의 성과에 위험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기업은 그에 따른 적절한 제휴 기능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거래비용을 통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제휴의 형태에 따른 적절한 제휴의 기능 범위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휴 시 양 기업 간의 국가 및 산업의 유사성과 제휴의 형태(합작 기업의 여부 및 반복된 제휴 형성)에 따른 기업의 제휴 기능의 범위 선택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이테크 산업에 있는 기업들의 2000년도부터 2009년도까지의 제휴사례들로 실증 분석을 하여 이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제휴 시 한가지 기능 범위에 초점을 맞추었는가와 두 가지 이상의 기능 범위를 기능 범위를 포함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 시장의 유사성이 높으면 경쟁관계에 놓인 기업들간 기회주의적 행동이 발생하기 쉽고, 이를 통제하기 위해 기업은 제휴의 기능 범위를 넓혀 양 기업 간 신뢰를 쌓고자 한다. 또한 문화적 거리가 크면 양 기업간 거래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업은 제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반복된 제휴형성을 한 경우 기업은 많은 투자가 필요한 넓은 제휴의 기능범위를 선택하는 것 대신 하나의 제휴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또한, 지분 기반 합작기업을 설립한 경우 양 기업간 몰입을 높이기 위해 제휴의 기능 범위를 넓게 가져가는 경향이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제휴의 기능범위를 조절함에 따른 기업 성과에 주로 초점을 맞춘데 반해, 본 연구는 제휴 시 양 기업간의 산업 및 국가적 유사성과 제휴 형태에 따라 기업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이 제휴의 기능범위를 어떻게 선택하는지, 즉 기업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통문화에 대한 저작권 규범체계의 적용과 그 한계에 관한 고찰

        이철남 무용역사기록학회 2019 무용역사기록학 Vol.54 No.-

        Recently the copyright issue in the traditional cultural field is being discussed due to the copyright claim on traditional dance. The copyright norms is unfamiliar to those who are engaged in traditional cultural fields in Korea. Despite this unfamiliarity,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copyright law is applied to the field of traditional culture is increasing. The copyright cases that have occurred in the field of literary works such as books in the past are now spreading to art, music, and dance. In this article, I have discussed some issues in judging the creativity and substantial similarity of cultural heritage-based works through representative cases of art works and musical work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opyright system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specific author has exclusive copyright for the work. On the other hand, many cultural heritages presuppose that ‘communities or groups’ have created, maintained and propagated them, and it is not easy to identify copyright holders because their boundaries are ambiguous.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exclusive right such as copyright, a clear boundary must be set for the work, which is an object of rights, but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has continuously changed from the past is not clear. Therefore, I suggest the open source model as an alternative to exclusive copyright. 최근 이매방의 전통춤에 관한 저작권 행사를 계기로 전통문화 분야에서의 저작권 쟁점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에서 전통문화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저작권 규범체계는 매우 낯설다. 이와 같은 낯설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전통문화 분야에 저작권법이 적용되는 사례는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서적 등 어문저작물 분야에서 발생하던 저작권 사례들이 이제는 미술, 음악, 무용 등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미술저작물과 음악저작물에 관한 대표적인 사례를 통하여, 문화유산 기반 저작물의 창작성과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서의 쟁점들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저작권제도가 가진 한계를 살펴보았다. 저작권제도는 해당 저작물에 대해 특정의 저작자가 독점배타적인 저작권을 갖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지만, 다수의 문화유산들은 그것을 창조하고, 유지하며, 전수하는 ‘공동체나 집단’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공동체 등은 그 경계가 모호한 것이어서저작권자를 특정하기는 쉽지 않다. 아울러 저작권과 같은 독점배타적인 강력한 권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권리의 객체인 저작물에 대해 명확한 경계선이 설정되어야 하는데, 과거로부터 지속적으로 변화하여온 전통문화는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이와 같은 저작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서오픈소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세시와 베트남의 세시 구조 비교

        구본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If you look a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s of Vietnam, you can realize similarities with our country in lifestyle and rituals. This paper is based on the question, where does this similarity come from?, and why did the two countries, which would not have any connections, share the same cultural code? In order to find the answer,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structure of Annual cyclical rituals in the two countries. Annual cyclic rituals is a cultural phenomenon developed based on the ritual of farming, and it refers to a special act of life, ceremonial act that is customarily repeated every year at a certain time. Annual cyclic rituals is a basic culture in which the ethnic culture of a nation is fully integrated. Therefore, if you analyze Annual cyclic rituals, you can see the life style, the natural view, the faith view, and the cosmos view of the people of one country. In this paper, we will systematically compare and analyze the overall structure of Korea and Vietnam, which have lived in double cropped culture.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provide a basi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both countries and their peoples. 베트남의 전통문화, 풍습 등을 살펴보면 생활양식, 의례 등에서 우리나라와 너무도 유사한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유사성이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 어떠한 연관성도 가지고 있지 않을 것만 같은 두 나라는 어떤 연고로 동일한 문화 코드를 공유하게 된 것일까? 라는 질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양국의 세시 구조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세시란 농경의례를 모태로 하여 발전한 문화현상의 한 갈래로 해마다 일정한 시기가 오면 관습적으로 되풀이하여 행하는 특수한 생활행위, 즉 주기전승(週期傳乘)의 의례(儀禮)적인 행위를 가리킨다. 세시는 한 민족의 민족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기층문화이다. 때문에 세시를 분석하면 한 나라 민중의 생활양식이나 자연관, 신앙관, 우주관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1기작과 2기작 문화 속에서 생활해온 한국과 베트남 세시의 총체적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양국 문화를 보다 깊이 이해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