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도시를 위한 인문정책 방향 : 수원시를 중심으로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시민인문학 Vol.28 No.-

        인문학의 대중화는 이제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이러한 인문학 대중화 사업을 위해 시민강좌사업과 인문도시 사업 등을 추진해오고 있 다. 그 중에서도 인문도시 사업은 도시와 대학이 하나가 되어 인문학의 방향과 운영을 함께 모색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대학의 인문학을 도시의 시민들 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수원시는 3년 전부터 교육부의 인문학 대중화 사업과는 별도로 지자체의 이념 과 시장의 신념에 의해 인문학을 중심에 놓는 도시정책, 즉 인문학 중심도시를 설계하고 시행해 왔다. 교육부의 사업과 수원시의 사업이 비록 서로 다른 맥락에 서 시도되었지만 그 지향하는 바는 인문학이 시민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 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 글은 논자가 수원시의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수원시 인문학 중심도시 추진계획> 용역과제의 연구책임을 맡으면서, 한 도시가 어떤 목적과 방향을 갖 고 시민을 위한 인문학 대중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의 도시정책과 인문학 대중화의 관련성을 밝히면서, 첫째, 도시 의 인문정책은 시정 초기 단계부터 도시정책과 하나가 되어 실시되어야 함을 주 장했다. 둘째, 도시의 인문정책은 시민들의 행복을 위해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지적했다. 셋째, 이러한 관점에서 인문학 사 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인문학의 대중화는 한 도시의 공동체적 삶, 예를 들어 시민의 행복, 안전, 건강 또는 공정의식을 정상화시키는 데 일조해야 한다. 그리고 인문학이 단순히 대학 밖으로 나오는 것만으로는 만족해서는 안 되며 그것이 시민사회의 수준을 높이 고 나아가서는 시민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어야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come common to talk about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of Korea.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ve promoted to develop the business of humanities and the Humanistic City project, including several academic lectures for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the Humanistic City project has been common concern for both city and universities. It would be right to deal with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for it w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share the benefits of humanities for the public who are alienated. Since 2012, Suwon City embarked the project for the humanities-centered development of the city. It has been the moto of the local government and has shown many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contexts. The project, I believe, has been successful, for it has given a chance to show that the Humanities project really works. In this article, I will show that this Humanities project has been successful in the case study of Suwon City. The article, which was originated from my own experience as a leading researcher in the workshop entitled as “Suwon si Humanities-centered City Plan,”is ordered as follows. First, I will show why we should start with the attention of the beginning level of city policy. Second, I will explain why the city humanities project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citizens of Suwon confront. Third, I will propose several practical cases which are useful to understanding the humanities project that can be practically worked. I find that academic events are not sufficient to make public the humanities. Nevertheless, we come to realization that the concerns for the normalized life of city community, such as happiness, safe, health, and justness of citizens are critically important to level up or enhance the civic life of community.

      • KCI등재

        지역밀착형 인문학 프로그램 ― 수원의 인문도시를 중심으로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시민인문학 Vol.33 No.-

        이 논문은 경기대 인문학연구소와 수원시가 2014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도시 사업을 수행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인문학 프로그램의 의의와 방 향은 지역에 근거해야 한다는 점을 반성하면서 지역밀착형 인문학 프로그램의 특성을 자세하게 서술했다. 인문도시사업을 비롯한 많은 인문학 프로그램들이 지역의 중요성을 무시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면서, 지역밀착형 인문 학 프로그램의 의미와 진행이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했다. 1절 “인문도시와 시민인문학”에서는 지난 몇 년 동안의 수원시의 인문도시사 업의 성과를 되돌아보면서 인문학은 시민인문학이 되어야 한다는 점, 즉 인문학 대중화의 궁극적 목적은 지역 시민사회의 변화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2절 “수 원 인문도시의 미래와 전망”에서는 수원 인문도시사업의 방향은 지역에 대한 이 해와 지역의 변화,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 찾기라는 본래의 목적을 잊지 않고 전 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3절 “지역밀착형 인문학 프로그램; 사례 분석”에 서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제작함에 있어 지역성의 중요성을 실제로 수행했던 두 가지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의제 개발, 진행 방식, 그리고 평가시스템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4절 “에필로그; 인문학 프로 그램도 영화 제작처럼”에서는 프로그램의 목적이 명확하고 동기화가 잘 되었을 때 좋은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지역과 주민들의 관계를 정상화 시킬 수 있는 시민인문학의 특성을 다시 강조했다. 인문학 프로그램 제작 시 많은 경우 지역에 대한 몰이해와 무관심이 인문학 강좌에 대한 참여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 그런 의미에서 지역밀착형 프 로그램은 중요하다. 지역에 밀착된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가져 올 수 있고 인문학 대중화의 본래의 취지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확신한다. This article traces my experience of running the 2014 Humanities show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performed as a cooperative work of Kyonggi University ’ s Humanities Center and Suwon city. Reflecting that the humanities programs must be based on the locality, I describe in detail the meaning and process of the local based humanities program. In chapter one, looking back on the results of the Humanities show for years I emphasize that humanities should be humanities for citizens and the change of the citizen society as well, which are the ultimat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In chapter two the points of understanding and changing locality and revealing the identity of locality are emphasized in which all humanities shows could be well developed. In chapter three I propose two examples of the humanities programs based on locality. You can see here the essential particular of the practicing cases of making agenda, the method of the programming process, and the evaluation system. In chapter four I emphasize the fact that if the aim or reason of humanities program is clearly described, the well finished program is made. Many humanities programs, when made, consist mostly of inappreciation and indifference of localities, then consequently bring about downgrading degree of participation of citizens for taking the humanities lectures. In this meaning local based humanities program becomes important, by which self directed participation is invited, and then we can be successfully guided with the right path of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 KCI등재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에 대한 소고

        최현철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시민인문학 Vol.23 No.-

        이 글은 이러한 인문학의 개념적 분석과 인문학 교육 일반적 이념, 목적, 의의를 중심으 로 우리나라의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의 현실적 조건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다. 그리고 인 문학이 학교에서 벗어나 올바른 시민 인문학 교육의 방향성을 새롭게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고 있는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에서의 인문학 교육의 실태를 조사 하고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그래서 2장과 3장은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에서의 인문학 교육이 지니는 문제점과 그 요 인들을 분석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중등교육에 있어 인문학 교육은 인문학이 하부- 과목들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이런 현실 에서 질 좋은 인문학 교육이 실현되기는 어렵다. 고등학교 시절, 인문학 수업은 선택 과목 으로 되어 있지만, 수학능력시험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이유로 인문학 교과목을 선택하 기는 드물다. 또한 고등 교육에 있어서의 인문학 교육의 문제점은 학생들의 현실과의 괴리라는 측면 이 지적되는데, 여기에는 대학 인문학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에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교육 과정, 그리고 전공에 비해 인문학 교육을 전담하는 전임교원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사람 들은 현재 우리 대학교육에서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왜곡된 인식으로 인해 교양 교육에 있 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제 대학을 중심으로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의 방향성은 시민교육이다. 그리고 인문학은 제도권을 넘어 시민들에게 다가가야 할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firstly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humanities education based on conceptual analysis of the humanities and humanities education generally ideology, objectives, significance. This paper argue that humanities and humanities education has to prepare for the correct direction of civic humanities education. So chapter 2 and 3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in humanities that is performing in high-schools and universities. it must be indicated that in high-school the humanities education does not play its radical role, since it just focuses on the achievement of the basic knowledge in each sub-disciplines in humanities. The genuine quality that humanities education seeks for does not come from this, thus we cannot say that high-school students is receiving actual humanities education in good way. In high-school, humanities classes are opened as selective course, but it is really rare to select humanities courses in the reason that the courses doe not help to get high score in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Also the problems that is indicated in higher level of humanities education is its lack of practicality with students's real life, very old-dated and stock study materials and activities, and dissatisfaction of the full-time faculties who have exclusive responsibility on humanities education. The university-education in Korea does not give right responsibility on general education comparing to major department education, and this has caused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general education. Now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in universities is a civic education. Humanities beyond the institutions should reach out to citizens should prepare a variety of content.

      • KCI등재

        장소와 경험, 그리고 ‘동네’ 인문학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시민인문학 Vol.31 No.-

        장소성은 인문학 대중화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장소를 근거로 해야만 인문학 대중화의 목표가 분명해지며 실질적인 인문학 교육프로그램도 구 체성을 띈다. 장소에 대한 이해는 세계를 인식하는 적합한 방식이다. 인문학이 궁극적으로 사람들에게 최선의 생활양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장소가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책임윤리가 탄생할 수 있는 곳도 바로 장소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어가는 과정 에서 만들어지며, 다양한 인문적 덕목도 이에 근거해서 마련된다. 책임을 지는 주체는 국가나 사회와 같이 추상적인 집합체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장소에 놓인 사람이다. 그러므로 인문학은 장소 경험의 주체로서의 사람들에 대해 초점을 맞 추어야 하며, 인문학 대중화의 큰 밑그림은 구체적인 장소를 살아가는 사람들로 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민인문학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면서 그에 필요한 철학적 논의로서 장소와 경험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장소 경험의 실천적 논 의를 위해 산촌자본주의와 동네인문학의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지역과 장소에 대한 논의는 인문학 대중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구 사항이며, 시민인문학의 정신 을 구현하기 위한 인문학 프로그램도 장소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통해 만들어져 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Place must be considered for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y. When the popularization is based on the plac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are thus concretely specified. Understanding the place is an appropriate way for us to realize what the world is. Supposed that humanity gives the best forms of life, the insight of place can be a starting point. The birth of responsibility ethics is built in the accumulated process of experiencing place in which variable virtue items of humanities are arranged. The subject taking responsibility is not an abstract aggregate of nation or society but individuals living in the place. Humanity must be so focused on the individuals as the subject experiencing the place, and the rough sketch of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y must start from them. In this article I proposed a new direction for such citizen humanities, human city, humanity policy of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and saw the significance of place and experience. Then for the practical arguments of the placeexperience I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rural capitalism and town humanities. In any way the discussion of locality and place is necessary to succeed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and the citizen humanity programs are completed through confirming the place.

      • KCI등재

        인문학 인성 프로그램의 평가 및 제안 - 서울구치소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식,이백철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시민인문학 Vol.27 No.-

        교정시설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인문학 교육은 2007년 인권연대가 의정부교도소에서 주관한 ‘평화인문학’이 시작점이 되었다. 이후 2012년부터는 법무부 교정본부 차원에서 전국 교정시설로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설된 각종 수형자 인성교육의 가장 주요한 내용으로 자리 잡았다. 다만, 단기간에 전면 확대시행 됨에 따라 인문학교육의 체계가 정립되지 않아 기관마다 다른 실정에 있어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교정시설 인 문학 교육의 도입과정과 실태를 알아보고 향후 바람직한 교정시설 인문학 교 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구치소 신입 수형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만족도와 효과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신입수형자 150 명 중 신입교육 참여자 65명에게 교육 실시 후 2014년 5월 13일~ 5월 23일에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교육취소자 4부를 제외하고 총 61부를 최종 분 석에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는 교육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 로젠버 그가 개발하고 전병제가 번역한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Frequency), 기술통계, Shapiro-Wilk 검정, Mann-Whitnet U test, Wilcoxon Sign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문학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인문학 교육 참여 전 교육에 대한 기대 5점 만점에 3.9점, 교육의 흥미정도 4.03점, 내 용의 이해정도 3.84점, 마음가짐에 도움 정도는 4.15점이었으며, 인문학교육을 받고 어디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는 자신에 대한 이해가 40명(25.6%)로 가장 높았다. 인문학교육 전·후 자아존중감의 비교는 인문학교육이 수형자의 자아존 중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638, p=.004). 결과적으로 인문학을 통한 인성교육은 수용자가 스스로 자아성찰과 자아형성을 재구조화하는데 효 과가 있다. 다만 수용 현실에 맞는 인문학 교육과정 개발과 인문학적 생태환 경 조성, 전 수용자로 확대하는 개선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표본수가 충 분하지 않아 다각적인 분석과 검증이 연계되지는 못하여 앞으로 대상자를 확 대하고 반복적인 지속 연구로 일반화를 이끌어나갈 필요가 있다. The humanities education for inmates in prison first started at Eu Jung Bu correctional institution by the Citizens' Solidarity for Human Rights in 2007. Since then, it has been spread to all facilities, and also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programs in Korea, now. However, due to its full-out implementation in a relatively short time, many problems have been found especially in the areas of instructor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Seoul Detention Center case of th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and propose measures to correct the problems. For this purpose, I have researched how a new inmate first has been adjusted and changed in the facilitity during the incarceration. By doing that, I found how the humanities courses were provided, how it worked and suggested the desirable measures to improv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in prison setting.. I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65 orientation participants among 150 new arrived inmates from 13th to 23rd, May of 2014. With those questionnaires, I used total 61 as final analysis. As for the assessment tool, I used the questionaire, which measur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Rosenbeg Self-Esteem Scale, RSES. SPSS 12.0 was used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n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Shapiro-wil, Mann-whitnet U Test and Wilcoxon Sign Rank Test. As the final outcome, I fou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course of humanities was 3.9 point out of 5 point, 4.03 point for the level of interest for the course, 3.84 point for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cours, 4.15 point for one's attitude of mind. 40 participants answered 'yes(25.6%)' for the question of what they get assisted by the course of humanities. Comparison of self-worth before and after the course shows tha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inmates' self-worth(Z=-2.638, p=.004). Consequently, the education of humanisim through humanities have proven to have effect of reconstructing self-examination and self-identity for inmates, though there should be developed specific humanities' courses suitable for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mates in correctional institution. Therefore, I suggested that we should bring about much improvement for the system of managing instructors and create ecological system for humanities, besides, expanding it on every inmates in prison. Because there was not enough samples, I wasn't able to connect multilateral analysis and verification. However, it needs to be generalize with the help of repeating research and expanding subject of this program.

      • KCI등재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 데이터(data)활용을 중심으로

        김호연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시민인문학 Vol.30 N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인문학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넓게 보아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시도로 그 의미가 크다. 이미 우리 시대의 트렌드가 된 융합은 거 스를 수 없는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융합이 얼마나 실질적이 고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융합 열풍에 조응하는 통일 된 개념이나 진지한 논의의 부재 그리고 철학적 빈곤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는 융합적 시도의 안착과 이를 기초로 한 학문공동체의 성숙을 도모 하기 위해 융합이라는 용어에 대한 과도한 의미부여나 융합에 대한 이해타산적 접근에서 벗어나 융합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서 진지하게 숙고해봐야만 한다. 이런 견지에서 이 글에서는 융합이라는 용어와 유형의 다양성,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야기한 학문생태계의 지형도 변화와 인문학의 새로운 정체성 확보를 위 한 여러 시도들 그리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문학의 활용에서 제기될 수 있는 위험요소 등을 살펴보았다. 빅데이터 인문학 또는 디지털 인문학 또는 인문학 적 정보학, 무엇으로 지칭하던 간에, 이는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수평적인 관 계 속에서 새로운 영역을 창조하는 두 문화의 건설적인 융합 시도임에 틀림없 다. 성공적인 융합은 두 영역의 상호존중에 기초한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협업은 협동의 질에 달려 있으며, 협동의 질은 사람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좌우 할 것이다. An effort to establish identity of humanities utilizing big data has significant meaning a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fusion of humanities and digital technology. This fusion has already became trend in our time that we cannot ignore. There is various opinions about how much is this fusion actual and effective. There are also concerns about the unified concept corresponding to this fusion trend, about the lack of serious discussion, or about the poverty of philosophy.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maturity of scholastic community based on settlement and attempt of fusion,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various problems around fusion rather than attaching too much significance to the word“ fusion”or accessing in calculating point of view.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mainly looked close to diversity of the word and types of fusion, transformation of academic map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numerous attempts to establish new identity of humanities, and risk factors that can be suggest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utilizing big data. It is a concrete fact that big data humanities, or some would say digital humanities or humanistic information science, is a very constructive fusion attempt of two culture creating new realm in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humanities.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fusion, collaboration based on mutual respect for each fiel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re collaboration depend upon the quality of cooperation, and finally, the quality of cooperation will be decided upon the understanding toward human being.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에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김연권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시민인문학 Vol.30 No.-

        인터넷 기술과 정보통신의 기기의 발전으로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특히 경제적인 차원에서 빅데이터는 21세기의 원유로 불리고 있 으며, 구글이나 아마존 같은 회사들은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엄청난 경제적 이익 을 추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인문학적 차원에서도 빅데이터에 관심을 가질 필요 성이 있으며, 빅데이터를 경제적인 유용성과 활용성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비 판적 성찰의 눈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4가지 질문을 제기하 고 그에 대한 답을 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있다. 첫째 질문은‘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시대에 인간과 인문학은 어떤 도전에 직 면해 있는가?’이다. 데카르트 이후 몇 세기 동안 사유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의 이 미지는 확고한 것이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시대에 인간 존재는 사유하는 주체 로서보다 거대한 무형의 연결망 속에 포획당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또한 빅데이 터 시대는 인간에 관한 모든 것 역시 데이터화된 정보로 수렴된다. 이런 점에서 빅데이터 시대에 인간은 디지털화된 정보의 양적인 총체로 전락될 우려가 있다. 두 번째 질문은‘빅데이터는 인문학 혹은 인문학자에게 어떤 활용가치가 있는 가?’이다. 실로 빅데이터는 인간과 세상에 대해 어떤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 어주는 열쇠가 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문학자는 유한한 시간과 쓸 데없는 노동에서 해방되어 인간과 세계에 좀 더 거시적인 동시에 미시적인 통찰 력을 가질 수 있다. 세 번째 질문은‘인문학은 빅데이터 분석에서 어떤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이다. 빅데이터는 다학제적인 연구이다. 흔히 전통적인 인문학자는 빅데이 터분석을 통계학이나 전산학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 러나 빅데이터 분석은 스토리텔링이나 언어학의 참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폭 넓은 인문학적 소양을 필요로 한다. 네 번째 질문은 결론으로서‘빅데이터 시대에 한국의 인문학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이다. 한국의 인문학자는 우선 인문학적인 자료의 디지털화 작업에 더 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또한 인문학적 기반의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아울러 다학제적인 빅데이터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지니면 서 전통적인 인문학의 굴레에서 벗어나 인문학의 외연을 늘려야 한다. The era of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ve come due to the digital and communication revolution. Especially, big data is regarded as oil of 21th century and has increased the interest of information management companies such as Google, IBM, Oracle Corporation in terms of the economic aspect. 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ole and tasks of humanities in the era of big data. For this, this article brings out four questions and answers each question. First question is “What impact did the introduction of big data have on people’s worldview and on epistemology? The image of ‘le sujet pensant’of human beings has been solid since Descarthes’cogito. However, the human beings are captured as a knot water in enormous information network in the era of IOT and big data. Second question is“ What value does big data have for the field of humanities and the humanities major professors?”In fact, the analyse of big data can offer a new key that interprets deeply and exactly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 addition, the humanities scholars can be liberated from time restriction and physical labor such as data collection and analyse, and have mor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insight through the application of big data. Third question is“ How can the field of humanities or the humanities major professors contribute to the interpretation of big data? Big data is interdisciplinary science. Traditional humanities have very limited interest on big data because they regard big data as search domain of knowledge such as statis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 analyse of big data requires broad liberal humanity mind as well as the collaboration of storytelling and linguistics As a conclusion, the last question is“ What are the current challenges faced by the Korean humanities? Korean scholars need to carry out more digitalization of korean humanities materials. In addition, they hav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interdisciplinary study of big data and have more attention to train dataanalysts based on humanities.

      • KCI등재
      • KCI등재

        인문도시 광산에서 피어난 광주시민자유대학

        박구용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시민인문학 Vol.33 No.-

        이 글은 인문도시 광산에서 시작된 <광주시민자유대학>의 이념과 실천을 공 유하기 위해 썼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미래의 인문학의 방향을 ‘시민 인문학’, ‘소통 인문학’, ‘놀이 인문학’으로 설정한다. 이 기초 위에서 인문도시 광산 프로그 램을 마이너리티 정신의 지향으로 해석한다. 이 맥락에서 인문도시 광산의 ‘빛뫼 인문학’은 세계시민적 인문복지 프레임을 찾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선조들의 민립대학 설립 의지를 받들어 지역성, 공공성, 상호주체성, 자립성, 지속가능성의 원칙으로 광주시민자유대학을 만든다. 광주시민자유대학은 모든 존재가 공생 공 감하는 ‘인문한국’의 꿈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hare the idea and practice of <Free University of Gwangju>, To this end, I first set the direction of future humanities as ‘Citizen Humanities’, ‘Communication Humanities’, and ‘Game Humanities’. On this basis, the program of ‘Humanities City Gwangsan’ is interpreted as a spirit of minority spirit. In this context, ‘Bichmoe Humanities’ of ‘Humanities City Gwangsan’ finds the global civil humanitarian welfare frame. In the process, we will build <Free University of Gwangju> with the principles of locality, publicness, inter-subjectivity, independence, and sustainability. <Free University of Gwangju> is a dream of ‘Hhuman-Korea’ where all existence is sympathizes and sympathizes.

      • KCI등재

        인문도시를 위한 시민인문학의 한 사례 ― 제주에서 철학하기

        윤용택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시민인문학 Vol.33 No.-

        우리가 어떤 일을 하든, 그것을 하는 의미와 목적과 이유를 알아야 한다. 도 대체 왜 살아야 하고,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것인가? 인간은 어떤 존재이고, 어 떻게 사는 게 인간답게 사는 것인가? 그러나 인간은 구체적 개인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인간이면 누구나 안고 있는 보편적 문제도 있지만, 시대, 지역, 계층에 따 른 사회적 문제, 그리고 개인마다 다른 실존적 문제들을 안고 살고 있다. 따라서 인문학은 인간이면 누구나 안고 있는 문제를 다루는 일반 인문학뿐만 아니라 시 대, 지역, 연령, 계층, 직업 등 특수 상황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인문학이 필요하다. 지역이 달라지면 인문학도 달라져야 한다. 제주도는 자연환경, 역사문화, 정 치사회 측면에서 우리나라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이 많다. 제주가 안고 있는 여러 현안 문제들, 이를테면 개발과 보존, 전쟁과 평화, 열림과 닫힘, 지역정체성, 선 주민과 이주민간 문화적 갈등, 지역의 미래비전 등에 대해서도 철학적 고찰, 더 나아가 인문학적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주지역에서 행해지는 인간다운 삶 을 위한 철학적 담론과 제주의 자연, 사회, 역사, 문화 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의 사례가 다양한 인문도시를 위한 맞춤형 시민인문학의 문을 여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Whatever we do, we need to know the meaning, purpose and reason of doing it. Why should I live, and how do I live? What are humans, and how should humans live? Individual lives as specific human beings, not as a universal human being. Humans have not only universal problems, but also generational, regional, social, and personal problems. Therefore, we should have a variety of customized liberal arts, considering regional, age, hierarchy, and occupation, as well as general liberal arts, dealing with issues common to all humans. If things change, liberal arts should change. Jeju Island is different from the rest of Korea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historical culture, and political society. Various issues surrounding Jeju Island, such as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war and peace, openness and closure,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 vision, nee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I hope that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humanities debate in Jeju and the philosophy of nature, society, history, and culture will help to explore the civil liberal arts and humanity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