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 ‘진정성’ 개념을 중심으로

        김화경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시민인문학 Vol.43 No.-

        본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논의가 주로 자기 홍보나 정보 전달 등 특정한 목적을 위한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기능이나또는 내면의 고백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꾀하는 치유적 기능에 집중하여 전개되면서 정작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충분히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진정성(Authenticity)’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기 성찰적 글쓰기’에서 다루고 있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함축하고 있는 인문학적 성찰의 가치를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여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부합하면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의 독도 영유권 위증에 관한 연구 -시모죠 마사오의 사료 왜곡을 중심으로 한 고찰

        김화경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6 No.-

        Shimojo Masao(下條正男) take charge of the chief of “Takeshima Issue Study Group‘ under the control of general affairs department of Shimane-ken of Japan. His study on Dokdo has been the theoretical base of Japanese government for Dokdo sovereignty insistence. However his study was not based on the correct historical fact but on the false proof to justify Japanese Dokdo acquisition. One of the clear instance of his false proofs revealed in his paper 「Thinking of Korea․Japan's visual, Takeshima issue」 in the report work of 『A survey report about Takeshima Issue』 which was published by Web Takeshima Research Center in July 2007. He insisted false historical material at the interpretation of‘Park Sae-dang(朴世堂)'s Interpretation about 『Ulleungdo(鬱陵島)』’ and ‘『Choseon Map(朝鮮圖)』 before Kim Jeong-ho’. This paper aimed to clarify the false insistence by Shimojo Masao. And this paper revealed his inability to interpret Chines character in Park Sae-dang's 『Ulleungdo』 interpretation as well as his false insistence about every records of Choseon concerning ‘Usando’ is not all of ‘Dokdo’ but ‘Jukso(竹嶼)’ that is ‘Takeshima’. This kind of false interpretation stems from the negation of originality of Korean historical view on Dokdo. Also, Shimojo Masao insisted a theory which 'Usando' at the right position of ‘Ulleungdo’ in 『Chseon Map』 which was preserved in Nakanoshima library established by Osaka prefecture showing 'Usando' located between Gangwondo province and Ulleungdo at the right side of the map was descended from the tradition of 「Paldochongdo(八道總圖)」 of 『Shinzeung- dongkuk-yeoz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But this insistence was planned to ignore the amended location of the island in the map after 「Paldochongdo』. In this, we can recognize Shimojo Masao's Dokdo research have a bias for the historical fact at his will and distort the reality. Naturally, Japanese government's false insistence on Dokdo based on Shimojo's theory should be abandoned and again, we clarify the fact in the paper.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에서의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교육의 중요성

        김화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철학적 성찰에서부터 출발한다. 타인의 고통을 받아들이는 능력인 감수성은 동정심을 통해 가능하다. 동정심은 일종의 연민의 감정으로 특히 타자의 고통이나 불행 등에 대해서 스스로가 직접 느낌으로써 갖게 되는 도덕적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정심만으로는 행위에 관한 도덕적 판단을 제시할 수 없으므로 이런 동정심을 불러일으키는 힘인 공감의 능력이 우리가 타인의 고통에 직면해서 어떻게 행위를 해야 하는 지에 관한 윤리적 문제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등장하게 된다. 본 논문은 쇼펜하우어의 동정론과 레비나스의 타인의 얼굴을 통한 고통의 윤리적 의미 등을 다루면서 도덕의식의 기초가 되는 동정심과 그것의 작동원리인 공감력이 어떤 구조를 통해 스스로의 한계와 제약을 극복하면서 인간의 윤리적 행위를 이끌어 내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대학에서의 인문 교양교육이 인간다운 삶의 조건에 대한 이론적 제시뿐만이 아닌 윤리적 삶에 대한 실천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이념으로 삼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tarts fro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pain of others. Sensitivity is an ability to perceive the pain of others and it is a moral emotion that can be generated from compassion. Compassion is the feeling of pity for others. Especially, it can be considered as a moral emotion that we feel in response to the suffering or misfortune of others. As it is impossible to give a moral judgment only with understanding, sympathy that brings compassion appears as a critical factor on how to behave when faced with the pain of others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Sympathy is the basis of moral sentiments. Referring to the ethical meaning of suffering, the theory of sympathy by Schopenhauer and the concept of the ‘Face of the Other’ by Levinas, this study examines how sympathy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behavior. Such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formation of compassion and sympathy will be meaningful to reveal whether compassion and sympathy for the pain of others can overcome individual limitations and in how far it can effectively lead to a moral act. Ultimately, it will offer an opportunity to reconfirm that the liberal education in colleges not only suggests theoretical approaches on the conditions of life pursuing human dignity but also should enable to lead an ethical lif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본의 아메노히보코 설화 연구

        김화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2

        본 연구는 일본에 전해지는 아메노히보코 설화를 고찰함으로써, 신라 사람들이 일본에 진출한 양상의 일단을 구명하기 위해서 마련되었다. 그리하여 먼저 아메노히보코와 혼인을 했던 아카루히메(阿加流比賣)의 탄생담을 고찰하였다. 그녀의 탄생담은 일광감응과 난생 모티프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런 모티프로 된 한국의 신화로는 주몽(朱蒙)의 탄생담이 있었다. 하지만 아카루히매가 히메코소 신사(比賣碁曾神社)의 주재신으로 좌정한 여신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여신 숭배는 고구려의 유화(柳花)에서 신라의 알영(閼英)으로 이어지는 전통을 이어받았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였다.그리고 아메노히보코 집단은 일본의 하리마나타(幡磨灘) 연안에 상륙하여 우즈강(宇頭江) 유역을 따라 북상하여 다지마(但馬)에 정착했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면서 규슈(九州)의 이도지마 반도(島半島)에도 그의 후손이라는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아, 신라 사람들의 일본 이주가 한번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여러 번에 걸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또 아메노히보코 집단이 다지마로 이주한 경로는 이즈모(出雲) 신화에서 이즈모 세력이 일본에 진출한 그것과는 반대되는 방향이었다. 그래서 신라 사람들의 일본 진출은 하나의 경로만 이용된 것이 아니고, 여러 경로가 이용되었을 것이라는 상정을 하였다. 따라서 이 설화의 고찰을 통해 신라 사람들이 일본으로 이주를 한 것은 여러 차례에 걸쳐, 다양한 경로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해명하였다고 하겠다. A Study on the Folktale of Amenohiboko of JapanFocusing on the People of Silla advanced into Japan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과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의 운영방안 연구 - 수요조사 기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화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At the center of the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 to foster communication ability lies the stable and systematic establishment of writing education. Communication ability is a core competency for students. In particular, instructing talented college students, who will later assume positions of responsibility, is linked to writing ability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thinking and expression. In response, Korean universities are planning and running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s as an alternative to regular curriculum writing education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of students who want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This paper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more on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writing programs. Universities should apply the method of “select and focus” to establish writing programs that have the greatest academic effect on students’ writing ability instead of expanding excessively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s because their extraordinary expansion rather undermines the authenticity of writing education. The paper describes various methods for promoting universitybased writing education that is essential to initiate a writing clinic correction map. Curriculum-linked writing programs and intensive writing courses should be set up for each level of writing, such as a training project for writing experts, help to internalize the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s. In addition, changes toward desirabl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remised on the university's willingness to provide an e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is part of the university's social responsibility of fostering talented people. 의사소통능력은 미래의 인재로 성장할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특별히사고와 표현의 과정을 거쳐 습득할 수 있는 글쓰기의 능력과 연결된다.의사소통능력함양을 위한 대학 교육의 변화의 중심에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구축이 놓여있다.이에 국내 대학들은 글쓰기 능력의 향상을 원하는 학생들의 현실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정규 교과과정의 글쓰기 교육의 대안으로서 비교과 글쓰기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성과확산을 위한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지나친 외연 확장이 오히려 글쓰기 교육의 진정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보고,대학은 선택과 집중의관점에서 글쓰기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방안에 보다 더집중해야함을 제안하였다.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글쓰기클리닉 첨삭지도의활성화와 교과 연계 글쓰기 프로그램의 정착화,글쓰기 전문가 양성 프로젝트와 같은단계별 수준별 글쓰기 집중 코스 등을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으로 살펴보았다.또한 우수인재 양성이라는 대학의 사회적 책무는 효율적인 교육 환경을 마련하고자 하는 대학의 의지가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함을 지적하면서 바람직한 글쓰기 교육의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 교육의 국제화와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운영 방안 연구

        김화경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시민인문학 Vol.36 No.-

        본 논문은 세계화로 인한 교육시장 개방 이후 이에 대응하는 국내 대학 교육의 국제화 정책의 도입과 전개, 현황과 문제점 등을 다루고 있다. 정부의 ‘Study Korea Project’의 추진으로 국내 대학들은 국제화 정책을 통해 우수한 외국인 인재를 유치하여 교육과 연구의 역량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의 대중화와 대학 입학생 감소 등으로 인한 교육재정 부족을 타개하고자 경쟁적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에 재학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무차별적인 양적 성장은 대학, 교수자, 학습자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을 야기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수학 능력 부족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발표와 토의 능력 함양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수업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면서 학문적인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실제에 적용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방안과 기대효과 등을 살펴본다.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를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과 대학의 자립적 교육재정 확보가 피할 수 없는 시대적인 요구라면 이제 국내 대학들도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그들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하여야 하며 실제 강의 현장에서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합하여 진정으로 대학 교육의 국제화를 지향할 수 있는 교육환경의 내실화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 고찰 및 창의융합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적 글쓰기 운영방안 연구

        김화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19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iscussing the ‘Crisis of the 21st Century University’ starts from the awareness that education to date has failed to help human life in the future society. The question of “what to learn and how to teach” is a very old but always newly raised issue that has been constantly being discussed. The current society and its media environment are changing rapidly. The debate on what competencies should be fostered in students so that they are able to adapt constructively to a future society would not be possible foremost without changing the goals, environment and methodology of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and reviews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stems from the demands of age cohorts and from the need to increase a coherent coordination between education, work and life. In addition, it want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y clarifying the link between the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nd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o foster the creative convergence of competencies centered on integrative writing. In the ‘integrated writing’ seminar at Kyonggi University, we focus on creativity and on find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various social phenomena. This lesson, as the essay puts forward, is intended to support the students’ thinking competence, their ability to analyze problems and find creative solutions. Also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the ‘enhancement of argumentation skill’, we aim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road and deep learning’. ‘21세기 대학의 위기’를 논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지금까지의 교육이 다가 올 미래 사회에서의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한다.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질문은 끊임없이 논의가 되어오고 있는 아주 오래된 그러나 항상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이다. 현대사회와 매체 환경은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다가 올 미래 사회를 살아내도록 과연 어떤 역량을 학생들에게 키워주어야 할 것인가의 논의는 무엇보다도 대학교육의 목표, 교육환경, 교육방식의 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교육과 일, 삶과의 연관성을 높여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로부터 도입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다룬다. 나아가서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대학글쓰기교육의 연계성을 명확하게 규명하여서 대학글쓰기교육의 중요성과 위상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대학교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통합적 글쓰기’ 운영방안 연구 사례를 제시한다. ‘통합적 글쓰기’ 수업에서는 특히 다양한 사회현상들을 주제로 글을 읽고, 사고하고,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창의융합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식으로 창의성과 실용성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비판적 사고와 논증 강화를 통해 ‘넓고 깊게 학문하기’라는 글쓰기교육의 본래적 목표를 성취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난생신화의 연구 -난생신화의 남방기원설에 대한 비판적 접근-

        김화경 국립민속박물관 2018 민속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미시나 아키히데의 한국 난생신화의 남방기원설을 극복하기 위해서 마련되었다. 그는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대만과 중국 동해연안, 한국을 하나의 난생신화 분포권으로 보고, 한국의 난생신화가 중국의 동해안과 대만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한국을 식민지화하면서 지향했던 분할통치를 위한 이론적 틀의 정당성을 뒷받침해주 위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미시나의 견해가 가지는 부당성을 지적하고, 한국의 난생신화는 동이족들이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것이었음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은 성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6세기에 기록된 문헌자료와 20세기에 조사된 구전자료를 가지고 하나의 난생신화 문화권을 설정한 미시나의 전제는 타당성이 없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문헌신화의 영향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그보다 먼저 기록된 자료를 살펴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시나는 문헌에 정착된 한국의 난생신화보다 14세기나 뒤에 조사된 구전자료를 이용하여 후자가 전자에 영향을 주었다는 논리를 전개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그는 한국에 난생신화가 유입된 경로를 북쪽의 예맥족을 통해 들어온 주몽 신화와 남쪽의 해류(海流)를 통해 들어온 수로왕 신화 및 혁거세 신화로 양분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유입경로의 상정은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자료들 사이에 공통점이 없으며, 또 고구려의 주몽 신화나 가락국의 수로 신화, 신라의 혁거세 신화 등은 모두 왕권이 태양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신화들이어서 같은 계통의 자료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그는 중국에 일찍부터 존재했던 난생신화의 존재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 중국에는 기원 전 1세기 무렵에 편찬된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은나라의 시조 설(契)과 진(秦) 민족의 시조 대업(大業)의 탄생 이야기에 난생 화소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도 미시나는 이들 문헌신화의 자료는 고찰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넷째, 장광직(張光直)의 연구에 의해 은나라 설의 탄생담은 중국 동해안과 동북지방에 전해지던 난생신화와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견해를 수용하면서, 은나라 설의 신화나 서국의 서언왕 신화, 고구려의 주몽 신화 등이 모두 난생 화소를 가지고 있고, 대업의 탄생담을 가진 진 민족이 동이 지역에 살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이족이 원래부터 난생신화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이렇게 보는 경우에, 지금까지 학계에서 난생신화 남방 기원설의 대표적인 자료로 간주해오고 있던 반고 신화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것은 3세기 무렵에 오(吳)나라의 서정(徐整)이 저술한 『삼오역기(三五歷記)』에 수록된 창세신화의 성격을 가진 자료이다. 하지만 이것이 중국의 남방에서 발생했다고 하는 견해는 동이족들 사이에 난생신화가 존재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 이전에 제시된 것이었고, 또 현재 화남지방 일대에 거주하는 묘족(苗族)을 동이족의 한 분파로 보는 중국학자들 주장의 타당성을 인정한다면 반고 신화도 동이족의 남하와 더불어 남방으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짙다고 보았다. 특히 묘족들 사이에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고가(古歌)에 난생 화 ... This study was conceived to overcome Mishina Ahkihide(三品彰英)’s theory that Korea’s oviparous myths originated in the south Area. Including Taiwan, East Coast of China, and Korea as well as Southeast Asia in a single zone of oviparity myths, he argued that the oviparous myths were introduced into Korea via the East Coast of China and Taiwan. His argument was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ivide and Rule Principle that the Japanese imperialists were oriented toward in the colonization process of Korea.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point out the injustice in his opinions and demonstrate that the oviparous myths of Korea belonged to the Tungi(東夷) from the beginning.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validity in the premise of Mishina that set a single cultural zone of oviparous myths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s recorded in the sixth century and the orally transmitted materials examined in the 20th century. It is rational to look into materials recorded before a myth in literature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tial relations of the myth, despite which he used orally transmitted materials that were examined 14 centuries after the oviparous myths of Korea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literature and developed logic that the materials had influences on the oviparous myths of Korea. Second, Mishina divided the inflow paths of oviparous myths into Korea into two:one was the Jumong myth(朱蒙神話) introduced via the Yemaek(濊貊) tribe in north, and the other included the Suro myth(首露神話) and the Hyeokgeose myth(赫居世神話) introduced via the ocean currents in south. His division of inflow paths is, however, wrong because there is no common feature among the concerned materials according to his argument. It is also because all of Goguryeo’s Jumong myth, Garak Kingdom’s Suro myth, and Silla’s Hyeokgeose myth say that royal authority derives from the sun and accordingly belong to the same line of materials. Third, Mishina did not include the presence of oviparous myths that had been in China from the early days in the scope of his discussion. There is an oviparous motif in the birth stories of Xie(契), the progenitor of Shang, and Daye(大業), the progenitor of Qin(秦), recorded in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written by Sima Qian and published in the first century before Christ. Mishina, however, did not include these materials of myth in the literature in his consideration. Fourth, Kwang-chih Chang argued based on his research that the birth story of Shang’s Xie sh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oviparous myth that had been passed down in the East Coast and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ccepting his argument and paying attention to the findings that there was an oviparous motif in the myths of Shang’s Xie, King Seowon of Seo Kingdom, and Goguryeo’s Jumong and that Qin with the birth story of Daye lived in the Tungi region, the present study maintained that an oviparous myth should be born among the Tungi since they had their oviparity myths from the beginning. Finally, when accepting the argument that an oviparous myth was born in the Tungi, one will face a question as to how to look at the Pangu myth tha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aterials to support the theory that an oviparity myth originated in south in the academic circles. The Pangu myth offers materials that have the nature of a myth about the creation of the world recorded in Sanwu Liji(三五歷記) by Xu Zheng of Wu Dynasty in the third century. The argument that it origina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was raised before the fact that the Tungi had an oviparous myth of their own came out. If one accepts validity in the argument that the Miao in southern China were a branch of the Tungi among Chinese scholars, the possibility will rise further that the Pangu myth was transmitted to south along with the move of the Tungi to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