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검토

        이종수(李钟,洙) 한국고대학회 2010 先史와 古代 Vol.33 No.-

        이 글은 부여 유적과 유물의 특정을 토대로 고고자료에 보이는 주변지역의 문화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문헌기록에 나타난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기사와 비교하여, 시기별로 나타나고 있는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여 문화에 보이는 외래문화 요소로는 중원지역의 한문화 요소와 북방지역의 흉노.선비문화 요소를 들 수 있다. 중원문화 요소로는 한식 목곽묘제와 동경, 칠기, 동전, 기와, 한식 토기, 철제 무기류, 철제 생산공구, 거마구, 장식품 등을 들 수 있으며, 북방문화 요소로는 두광족협의 목관묘제, 순마풍속, 동물문양 패식, 동복, 자작나무 껍질을 이용해 만든 그릇, 금제 귀걸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외래문화 요소는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부여 성립초기에는 흉노 혹은 오환 등을 통해 북방문화 요소가 유입되고 있다.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전후한 시기에는 흉노문화를 대신하여 선비문화 요소가 부여에 유입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 양상은 노하심 고분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원전후한 시기부터는 중원 한과 빈번한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중원 한문화 요소가 점진적으로 북방문화 요소를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모아산 고분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부여는 중원지역과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발달된 선진문화를 수용함으로써 동북지역의 절대강자로 군림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3세기 이후 전연과 고구려가 강대해지면서 중원지역과의 교류가 단절되고, 주변국의 침략으로 인해 서서히 몰락해 나가다 494년 부여왕과 그 일족이 고구려에 망명함으로써 멸망하게 된다.

      • KCI등재

        중국 도시상업은행 로고디자인의 문화요소 표현과 인식 연구

        가장장 ( Jia Tingting ),박용진 ( Park Yong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중국의 도시상업은행(Chinese Urban Commercial Banks)은 금융의 세계화와 도시브랜드화의 산물로, 대중에게 첫번째로 전달되는 시각적 이미지로서 대중의 경제생활과 (이로인한) 강력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학술적 관심을 받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스 그룹(focus group)과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해 세계 10위권의 중국 도시상업은행 로고의 문화적 요소 표현과 대중적 인식도(recognition)를 객관적으로 조사하여 미래 중국 도시상업은행 로고의 디자인 혁신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표적인 중국은행 로고 사례를 조사해 은행 로고의 주요 문화요소를 금융업종 문화요소, 브랜드 문화요소, 지역 문화요소, 인문 문화요소로 요약했다. 둘째, 글로벌 10위권의 중국 도시상업은행 로고 문화 요소를 포커스 유닛법과 결합해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로고 속 문화요소의 인지 상황을 분석하고 토론한다. 연구 결과에 따라 중국 도시상업은행 로고 디자인에 문화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것이 브랜드에 대한 내적 공감대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금융문화요소와 지역문화요소에 대해 대중적 인지도가 높았고, 브랜드문화와 인문문화가 포함된 요소에 대해서는 선택 선호도가 높은 반면,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난징은행의 인문문화, 항저우은행의 지역문화, 충칭은행의 금융문화, 창사은행의 브랜드문화는 문화요소 표현과 인지도에서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UCB 로고 디자인의 문화 요소에 대한 최초 탐구로 은행 브랜드 로고의 연구 범위를 넓힐 뿐만 아니라 CUCB 디자이너와 시장 연구원에게도 객관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해준다. Chinese Urban Commercial Banks (CUCB), born in the era of financial globalization and city branding, are closely linked to the public's daily economic life. As the first visual impressions conveyed to customers, their logos show strong cultural features that deserve more academic atten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selection and recognition of CUCB logos with high cognitive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tegorizes the cultural elements of CUCB logos into financial industry cultural elements, brand cultural elements, regional cultural elements, and humanistic cultural elements based on its investigation. The World’s Top 10 CUCB logos are chosen as the research objects, and their cultural elements expressions are analyzed through a focus group approach. The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elements in logo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Likert scale. The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 public believes that adding cultural elements into the logo design of CUCB can enhance the inner identity of the brand, and shows a higher selection preference for logos containing brand culture elements and humanistic culture elements. But, when it comes to recognition, it is weaker for those two elements and stronger for the other financial and regional cultures. Secondly, the humanistic cultural elements of Bank of Nanjing, the regional cultural elements of Bank of Hangzhou, the financial cultural elements of Bank of Chongqing, and the brand cultural elements of Bank of Changsha are more consistent in the expression and recognition of their logos. Therefore, this study is the first exploration of cultural elements in the logo design of CUCB, trying to explain its expression laws of cultural elements, which extends the scarce research on banking brand identity, and the research method also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at may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bank logos as well as an objective reference for CUCB designers and market researchers.

      • KCI등재

        장애인평생교육 문화융합(cultural convergence) 기반의 발달장애 재활 설계 요소 개발 : 재활과학-특수교육 기초 유관 분야 구심점

        김영준,한승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 지원을 위한 실천적 지원체제에 있어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평생 교육과 발달장애재활 간 문화융합을 위한 설계 요소를 개발하는 데 목적를 두었다. 연구 방법은 특수교육, 재활과학 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2개의 팀을 구성하여 FGI를 실시한 절차가 적용되었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설계되어야 할 요소들이 크게 세 가지의 상위 범주(보편적 문화융합 요소,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각 상위 범주별로 하위 범주가 구체적으로 구 성되었다. 먼저, 보편적 문화융합 요소로는 원리적 차원에서 “개방적 창의융합”이 제시되었고, 이는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유관 분야 간 융합 타당성을 탐구 및 실천하는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두 번째 로,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재활과학-특수교육 분야 간 공동 실천 모델 개발, 교과교육 지식 및 기술, 교수․학 습방법, 학습 진로 로드맵 구축, 취업․직무경력 개발 로드맵 구축, 독립생활 개발 이력 인증체계 형성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로,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지역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적 통합 구성체계 형성, 코디네이터형-전문교사 형 전문인력의 자격개발경로 구축, 학교 유형-센터 유형 간 조직적 체계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독 립생활 지원은 성인기의 전체 생애 동안 장기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문화융합을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기반 발달장애재활의 전문적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design elements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a key area in th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procedure for conducting FGI by forming two teams for professor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was formed. The research was presented in three upper categories (universal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field-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and policy-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that should be designed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subcategories were specifically composed for each upper category. First, as a universal cultural element, open creative convergence was presented in principle, which can be explained as a principle of exploring and practic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related fields for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field-centered cultural factors included development of joint practice model between fields of rehabilitation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subject matter education knowledge and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career roadmaps, employment and job career development roadmaps, and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life development history certification system. Third, as policy-centered cultural elements, the formation of a curriculum integration composition system between local related institutions, the establishment of a qualification development path for coordinator-professional teacher-type personnel,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atization between school-center types were presented. The study concluded that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only be guaranteed for the entire life of adulthood, but also a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 KCI등재

        한・중・일 공동연구에의 제안 ― 언어와 문화 ―

        이준서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5 No.-

        언어와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부인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또한, 언어교육, 특히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적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준서(2016)에서는 언어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한・일 문화요소추출시스템(Cultural Element Mining System)을 개발하였다. 문화요소추출시스템은 형태소분석이 완료된 대용량코퍼스를 활용한 것이데, 색인단계, 검색단계를 거쳐, 1차문맥, 2차문맥까지 고려하여 각 언어의 문화요소를 발견해주는 도구이다. 한・일 문화요소추출시스템을 통하여 유의미한 단어와 단어 사이의 공기빈도(frequency of co-occurrence)가 기계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데, 공기빈도 결과를 비교・대조함으로써, 각 언어의 특징적인 문화요소가 발견되는 것이다. 문화요소추출시스템은 개발단계에서부터 다언어로의 확장성을 고려한 것이어서, 형태소분석만 마치면 다른 언어코퍼스를 간단히 이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국어와의 비교・대조를 통하여 발견되는 문화요소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문화요소는 외국어교육의 현장에 바로 도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외국어교육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이문화를 비교・대조함으로써, 자국의 문화와 대비된 다른 나라의 이문화의 특징이 더욱 더 부각되어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이 더욱 더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re is no denying that language and culture have very close relation which cannot be separated. Therefore, by supplementing cultural element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foreign language education(cf. ‘linguaculture’, Fantini 1995, ‘languaculture’, Agar 1994, ‘language and culture’, Byram & Morgan 1994). LEE & Han(2016) has tried to develop the Japanese & Korean Cultural Element Mining System(CEMS) for the purpose of boost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EMS is a tool to find out the distinctive cultural elements by comparing the other different language from the analysis of words’ frequency of co-occurrence. Since CEMS was intended to expand to the multi-languages from the very first stage of development, it is very easy to add another language such as English and Chines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Korea-China-Japan joi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the Cultural Emement Mining System.

      • KCI등재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이시영,장우권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4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deduce components of a public library culture and define a library culture. Thus, the study gathers the opinions and the experiences of the expertise in this specific area of a library culture. Furthermore, the study takes gathered informations and dates into consideration, to derive a measurement of final components, delphi technique. Through usage of Delphi technique, it allowed selected final components to operat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ments, which then it helps to measure each element’s critical importance, identify priorities of each element by using a hierarchical decision making method.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used a two-step delphi survey which was conducted on a panel of experts (Facul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and the librarians), deduced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ulture. In the primary survey, the study found 29 components (material culture 6, non-material culture 23). In the secondary survey, it deduced 21 components (material culture 3, non-material culture 18).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prioritization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components presented in following orders, <cultural values>, <cultural behavior>, and <cultural materialism>. The Most weighted values of each components were, <cultural materialism> of ‘data usage and its method.’; <cultural values> of ‘core values of librarianship’; <cultural behavior> of ‘library ethical consciousness.’ appeared as such. 이 연구는 도서관문화의 정의를 규명하고, 공공도서관문화의 구성요소들을 객관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의 생각과 경험을 수집한 뒤 그 내용을 수렴하여 최종 요소를 도출하는 델파이기법과 도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요소별 쌍대비교를 통해 요소간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검증할 수 있는 계층적의사결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델파이기법과 계층적의사결정방법에 의해 도출된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패널(문헌정보학과 교수와 도서관 사서)을 대상으로 1․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문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29개 요소(물질문화 6, 비물질문화 23)를 추출하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21개 구성요소(물질문화 3, 비물질문화 18)를 도출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를 쌍대비교를 통해 나타난 우선순위는 <정신문화>, <행동문화>, <물질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가중치가 가장 높은 요소로는 <물질문화>의 ‘자료 이용 및 이용법’. <정신문화>의 ‘사서의 가치관’, <행동문화>의 ‘도서관 윤리․의식’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外宣语篇中的文化元素汉韩翻译研究

        정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No.-

        The translation of publicity discourse plays an important role of external publicity an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national culture abroad. The cultural elements in the publicity discourse condense the details of a country’s culture. Therefor how to translate the cultural elements in the translation of publicity discourse is an important topic. Firstly, according to Nida's classification of culture, this study divides cultural elements into ecological elements, material cultural elements, social cultural elements, religious cultural elements, and language cultural elements. This study also sorts out the specific contents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Secondly, the study analyzes the translation methods used for specific cultural elements which includes in People's Daily Online of Korean edition on WeChat official account platform.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strategies and methods of translating Chinese cultural elements into Korean. 대외 홍보용 텍스트 번역은 대외적 교류와 대외적으로 본국의 문화를 전파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대외 홍보용 텍스트에 나타나는 문화 요소는 한 국가의 문화적 핵심을 함축하고 있어 어떻게 대외 홍보용 텍스트에서의 문화 요소를 잘 번역할 것인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어 대외 홍보용 텍스트에서의 문화 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여러 문화 요소의 번역 방법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문화 요소를 나이다(Nida)의 문화 분류에 따라 생태 요소(ecological elements), 물질 문화 요소(material cultural elements), 사회 문화 요소(social cultural elements), 종교 문화 요소(religious cultural elements), 언어 문화 요소(language cultural elements)로 나누어 각 문화 요소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인민망 한국어판 공식 계정에서 ‘중한 대역’ 란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 문화 요소가 가지고 있는 번역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국 문화 요소의 한국어 번역 전략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전통 문화 요소의 활용에 대한 연구 -〈대요천궁(大鬧天宮)〉과 〈백사, 연기(白蛇, 緣起)〉를 예로-

        류슈천(Liu Shu-chen),이종한(Lee Jong-H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3

        중국의 애니메이션 영화가 발전하기 시작한 이후, 희곡 공연 격식, 국화, 연화, 전통 건축, 전통 의상, 고전 민악, 석전(石磚) 조각과 같은 중국의 전통문화 요소를 애니메이션 작품 창작에 활용하는 것은 애니메이터라면 모두 추구하는 부분이 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많은 외래문화가 대중 미디어를 통해 현대의 젊은 세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현대인들 마음속에서 전통문화의 지위에 위기를 가져다주었지만 중국 전통 문화의 전파와 전승, 발전과 혁신을 위해 새로운 실행 가능성이 있는 참고 의견과 훌륭한 전파 경로를 제공하였다. 1941년 중국에서 처음으로 상영한 대규모 투자의 애니메이션 영화 〈철선공주(鐵扇公主)〉에서 최근의 신작 〈대성의 귀환〉, 〈강자아(姜子牙)〉 등 작품까지 중국의 수많은 전통 문화 요소가 융합되었음을 볼 수 있다. 본문은 중국의 전통 문화 요소가 풍부한 훌륭한 애니메이션 영화 〈대요천궁(大鬧天宮)〉과 〈백사, 연기(白蛇, 緣起)〉를 예로 들어 작품 속 캐릭터 조형, 배경 디자인, 배경 음악 요소와 같은 전통 문화 요소의 활용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당대의 뉴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해 전통 문화를 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보다 깊이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전통 문화 요소는 자체의 기본 특징을 따르는 한편, 대중 미디어와의 결합 및 시대에 알맞은 혁신 발전을 통해야 대중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고 전승될 수 있으며 보다 생기 있는 생명력을 지닐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중 미디어와 결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한 애니메이션은 예술과 상업이 융합된 결과물이다. 현재 수준 높은 일부 애니메이션에는 모두 풍부한 전통 문화 요소를 내포하고 있고 문화 내용이 없는 애니메이션은 훌륭한 애니메이션이 되기 어렵다. 성공적인 작품이라면 뛰어난 제작 수준을 가져야 하는 동시에 풍부한 전통 문화 내용을 작품에 주입해야 한다. 훌륭한 전통 문화 요소는 작품에 두터운 문화 기초와 강한 문화적 감화력을 더해주고 보다 가치를 지닌 문화 작품과 시대적 특색을 띤 전통 문화 혁신 요소를 창조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본문에서 두 애니메이션 영화 중 활용한 전통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오늘날에 전통문화 전승과 발전은 맞이하는 도전과 기회를 논하고, 전통문화를 미디어와 결합하여 전파하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Shrek〉 Since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animation film,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al elements such as opera performanc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New Year pictures, traditional architecture, traditional clothing, classical folk music, stone and brick carving, and other traditional techniques. They are used in the creation of animation works, has become a common pursuit of the generation of animation.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a large number of foreign cultures have impacted the contemporary young people with the help of mass media, which not only challenges the inherent posi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hearts of the contemporary people, but also provides new feasible reference opinions and good communication channels for promoting the dissemination and inheritance,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China’s first large-scale animated film Princess Iron Fan, released in 1941, and recent works such as Monkey King: Hero is Back and Jiang Ziya all incorporate many excellent traditional Chinese cultural elements. This paper, taking Havoc in Heaven and the White Snake: origin, with rich Chinese traditional culture elements of the good Chinese animation film as an example. Analyzing the role of modelling, scene design, the background music, such as the us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elements, further explore the combination of contemporary new media to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ment of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 Through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can be more easily accepted and inherited by the public. And it have more fresh vitality by combining with mass media and innovating and developing with the times on the premise of following their own basic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the mass media to the spread of the animation is the product of the integration of art and commerce. Now part of good animation will contain rich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the thickness of the no animation is hard to become a good animation culture connotation. The success of the works are made in good level. At the same time, the rich traditional culture connotation of it. Excellent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will add profound cultural deposits and powerful cultural appeal to the works, so as to create more valuable cultural works and traditional cultural innovation elements with mor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 KCI등재

        신생공화국의 국가 건설과 문화 요소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정세진(Jung Sej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3

        신생공화국의 국가 건설에는 하나의 특정한 문화적 요소가 강조되는 바, 이러한 견지에서 특이한 문화 유형에 속하는 타지키스탄의 국가건설 과정에서의 문화적 요소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실제적인 예가 될 것이며 본 논고는 타지키스탄의 예를 중심으로 신생국의 국가건설 과정과 문화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고는 지역적 특수성과 국가발전 현상, 그리고 특정 지역의 문화 유형을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토대를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로 연구되었다. 특히 타지키스탄의 예는 신생독립국의 국가건설 과정과 문화 요소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매우 적합한 연구 대상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고는 신생공화국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본 논고는 타지키스탄의 문화 요소 중에 사만 왕조와 건국자인 이스마일 소모니 등 역사적 세기와 영웅적인 인물, 그리고 아리안 문화의 역사적 전통성 등의 문화 요소를 통해 타지키스탄의 국가건설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규명하는 시도였다. 즉 중앙아시아의 국가건설을 문화 요소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타지키스탄의 민족 주체성과 문화적 변인 요소가 국가건설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하는 시도였다. This articles explores the relations between state building and culture factor focused on Tajikistan. This article examines Aryan culture, the historical Samanid, and Islamic fundamentalism to explore Tajikistan"s culture factor. Chapter II examines state building and culture factor focused on Central Asia. Chapter III review Tajikistan"s state building and culture factor. Chapter IV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state building and Islam. This paper attempts deepen new independent state"s building and culture identity after the collapse USSR, so this article gives motif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Central Asia"s states.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discourse and culture identity and nation identit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whole overview of the treatment in Tajikistan"s historical culture and the tradition.

      • KCI등재

        플레이스 브랜딩 구축을 위한 문화상징요소의 중요성 연구

        황선영(Sun Young Hwang),윤은기(Eun Gee Yun)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3

        본 논문은 플레이스 브랜딩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의 감성동인에 관한 연구로 문화상징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상징요소를 자연적 요소, 역사 전통적 요소, 인물적 요소, 생활적 요소, 인공적 요소, 행사적 요소로 분류하고, AHP 분석을 통해 6개의 문화상징요소와 25개의구체적 지표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6개 시로 문화상징요소의 측정지표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분석 결과, 역사 전통적 요소(1순위) → 행사적 요소(2순위) → 자연적 요소(3순위) → 생활적 요소(4순위) → 인물적 요소(5순위) → 인공적 요소(6순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화상징요소들의 전체 측정항목들 간의 상대적 우선순위 및 복합 가중치의 분석에서 상대적상위의 우선순위의 측정항목들은 자연환경·경관(1순위 0. 085) → 문화예술공연(2순위 0. 060) → 역사적 사건·장소(3순위 0. 058) →축제(4순위 0. 055) → 유물·유적지(5순위 0. 053) → 전통마을·공간 (5순위 0. 053)이었고, 상대적 하위의 우선순위의 측정항목들은 전문인(22순위 0. 018) → 교육·복지시설(23순위 0. 015) →건축물·거리(24순위 0. 015) → 정치인(25순위 0. 013) 등이 포함되었다. 결과적으로 문화상징요소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의 상대적 우선순위의 문화상징요소들인 역사와 전통의 특수성과상징성을 가진 문화를 자원화 하는 한편, 행사적 요소를 활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이 있어야 하며 지역을 재창조하는 다각적·체계적인 지역개발 계획과 방안에 대한 전략수립에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ultural symbol elements as a study of the emotional drivers of cultural symbol elements for an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place branding. This study classifies cultural symbol elements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natural factors, historical-traditional factors, character factors, life factors, artificial factors, and event factors. Using the analysis method of AHP, the above six cultural symbol elements and 25concrete index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erms of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the order of priority. The analyses done in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the 6 cities within Jeollabuk-Do showed the historical-traditional factors to be most important. Consequently,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cultural symbol elements, place branding strategies through the materialization and symbolization of the historical-traditional factors with the utilization of event factors is necessary. The analysis method of AHP serves as an instru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design concepts and policy decisions for the identity of place bran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wards the strategy-making and design development of amulti faceted and systematic plans for the re-creation of a region through the use of cultural symbol elements.

      • KCI등재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육 단(Lu, dan),안혜신(Ahn, Hye-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느린 발전 속도를 보여 온 중국은 디지털 시대의 발전에 발맞추어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가진 전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전통 문화의 영감과 효과를 지닌 애니메이션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 문화 요소와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바탕으로 중국의 애니메이션과 전통 문화의 관계를 분석 하고자 한다. 또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 전통 문화의 구체적인 역할을 분석하고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캐릭터의 감흥 요소를 추출하여 스토리와의 융합 가능성을 모색하여 애니메이션 작품 제작 및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전통문화는 연극예술 분야에서 등장인물의 모습과 움직임에서 전통요소를 가져오기도 하고, 회화에서 잉크 페인팅과 같은 중국 전통 문화의 독특한 양식을 빌어 잉크의 두께와 잉크의 색으로 캐릭터의 특징을 표현하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 의상을 통해 캐릭터의 특징과 성격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를 통해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도 전통 문화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중국 전통 문화를 적용하는 데에는 캐릭터의 이미지, 라인 및 개성이 주로 포함되며 또한 캐릭터의 성별, 연령, 국적 및 의복이 캐릭터의 이미지에 포함된다. 이처럼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전통 문화를 적용하는 것은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전통 문화의 보급 보호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 전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중국 전통 색상, 전통 미학 및 전통 드라마와 같은 중국 전통 문화 요소는 애니메이션 디자인과 결합되어 더 많은 중국 전통 문화적 의미를 지닌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발전 가능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 기대한다. China, which has shown slow progress in the animation industry, is looking for various possibilitie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ra.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s with inspiration and effect of traditional culture is diverse based on a new perspective on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purports to explore China s relationship between animation and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its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and animation. It also analyzes the specific role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design of animated characters. In addition, this study extracts the sensibility elements of character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and explor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with stories to provide new ways to produce and develop animation works. Study shows that traditional culture brings traditional elements from the appearance and movement of characters in the theater and art field, and expresses character characteristics in ink thickness and ink color by taking unique form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such as ink painting in paintings. Also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directly can be expressed through traditional costumes. Through these various factors,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can be applied to animation character design. Applying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o the animation character design usually includes the image, line and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and also the sex, age, nationality, and clothing of the character are included in the character s image. Applying traditional culture to animation character desig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industry, which will also contribute greatly to protecting 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culture. It also hope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enable the development of animated characters with more traditional Chinese cultural significance by combining them with animatio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