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문형에 대한 일고찰

        함병호(Ham, Byeong-Ho)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1 No.-

        본고는 한국어 문형의 유형과 각 유형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먼저, ‘문장의 기본적인 틀’로 정의되는 기본문형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① 필수성분으로 구성된다. ②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평서문이다. ③ 담화 맥락을 반영하지 않으며, 무표적인 어순을 가진다. ④ 단문이다. ⑤ 명사구와 격조사가 결합한 형식이 반영된다. 문형의 유형에는 기본문형 이외에도 변이문형과 원체문형이 있다. 기본문형이 논항구조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이론적인 문형인 반면에 변이문형은 선행 맥락이나 화자와 청자의 지식과 관련되어 기본문형에서 확장된 문형이기 때문에 논항구조와 정보구조가 함께 반영된 문형이다. 그리고 원체문형은 모든 문형의 출발점으로, 말하고자 하는 대상과 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사고를 반영하는 가장 추상화된 문형이면서 ‘화제-평언’의 정보구조가 반영된 문형이다. 따라서 문형은 ‘원체문형→기본문형→변이문형’의 순서로 추상적인 형식에서 구체적인 형식으로 실현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ypes of Korean sentence patter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basic sentence pattern is defined as the ‘basic sentence frame’ that represents various sentences. The basic sentence pattern in Korea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① The sentence pattern is composed of essential components ② The sentence pattern is a declarative sentence with subject and predicate. ③ The sentence pattern does not reflect the discourse context. ④ The sentence pattern is simple sentence ⑤ The sentence pattern reflects the form in which noun phrases and case Josa combine. In addition to the basic sentence pattern, the variant sentence pattern and the original sentence pattern exist in the sentence pattern. While the basic sentence pattern is a theoretical sentence pattern that is based on the argument structure, the variant sentence pattern is an extension of the basic sentence pattern, so it is a sentence pattern that involves information structure such as precedent context and knowledge of speakers and listeners, in addition to the argument structure. And the original sentence pattern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sentence, and is the most abstract sentence pattern that reflects human thinking in that the sentence consists of the object to be spoken and a description of it. Therefore, sentence patterns appear in the order of "original sentence pattern → basic sentence pattern → variant sentence pattern" from abstract form to concrete form.

      • KCI등재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 : 문형 지도를 중심으로 Centered on the Instruction of Sentence Pattern

        이춘근,김명순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읽기·쓰기 능력의 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문장 교육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문법 교육의 퇴조와 더불어 문장 교육이 매우 소홀히 다루어져 왔는데 그 와중에서 문형 교육은 더욱 그러하였다. 이 논문은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문장 교육의 한 부분으로 문형지도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문형 교육이란 문장의 통사 구조를 가르치는 교육이다. 일부에서는 아동의 언어 습득 과정에서 이미 문장의 통사 구조에 대한 직관이 습득되므로 별도의 교육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직관적인 지식은 불충분하며 읽기·쓰기 능력을 높은 수준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문장의 통사적 사용 능력이 발달하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본다. 문형 교육의 목적은 텍스트에 사용되거나 될 수 있는 모든 문장의 통사 구조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통사적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통사론적 지식을 선정하여 가르쳐야 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문형 지도 내용과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문형 1) 기본 문형 : ① 주어, 서술어 ② 주어, 보어, 서술어 ③ 주어, 목적어, 서술어 ④ 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 2) 통합 문형 : (독립어), 주어…(보어)…(목적어)…(보어)…서술어 2. 단계별 지도 방안 ◀표삽입 본문참조▶ The sentence education is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 and writing competence. But for the ebb of grammar education, until now, the sentence education is neglected in the instruction of reading and writing, still more the instruction of sentence pattern[henceforth SP]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instruction of SP for the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instruction of SP is the instruction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entence. In the language acquisition, children already acquired the intuition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entence, but it is insufficient. To develop the competence of reading and writing on the high-qualified level, they have to be able to deal with a difficult sentence structure in the text skillfully.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 of SP is to develop the syntactic competence handling any sentence used or usable in the text skillfully. To achieve this goal, students have to learn the knowledge of syntax.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 are as follows : 1. SP 1.1 basic 4 SP : S+V, S+C+V, S+O+V, S+O+C+V 1.2 Integrated SP : (I), S…(C)…(O)…(C)…P 2. These contents must be instructed by stages.

      • KCI등재

        『能力』을 나타내는 형용사술어문의 문형과 용법

        박해환 ( Hae Hwan Par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1 No.1

        본고는 『能力』를 나타내는 일본어의 형용사술어문에 대하여 문형론의 관점에서 문의 구조와 단어의 의미와의 관계를 분석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能力』를 나타내는 형용사술어와 문형의 파악, 각 문형과 명사구나 형용사술어의 의미 특징·조사의 역할 등과의 관계의 분석, 이들 형용사술어문의 주요 문형과 용법 및 문 구조의 특징의 파악 등이다. 분석의 결과, 『能力』를 나타내는 일본어의 형용사술어문의 주요 문형과 용법으로서, 『N2は(が)+N1が+形』문형은 『能力』판단의 기본 문형, 『N1は·が+形』 문형은 『能力』판단의 항목의 생략이나 축약, 『N2は·が+N1に+形』 문형은 『强い, 弱い』의 『能力』판단, 『N3で+N2は(が)+N1が+形』문형은『能力』판단의 공간의 배경,『N3に+N2は(が)+N1が+形』문형은『能力』판단의 시간의 배경, 『N3は(が)+N2より+N1が+形』문형은『能力』판단의 비교의 기준 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能力』를 나타내는 형용사술어문의 그 외의 주요 특징으로서는, ①2항목 표현이 기본 문형인 것, ②본의와 전의의 양쪽에 현저한『賢愚』의 표현과의 접점, ③『强い, 弱い』에 현저한『耐性』의 표현과의 접점, ④본의와 전의의 용법의 특징 차이가 크지 않은 점, ⑤조사『に』와 조사『が』와의 교체 가능성 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국어 문형지도의 실제적 연구

        강복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3 公州敎大論叢 Vol.29 No.-

        이상에서 논급한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기본문형 설정은 서술어를 중시하여 설정하는 것과, 성분을 중시하여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 데, 국민학교 아동의 지도를 감안해서 후자를 택하였다. 2. 국민학교 교재 내용을 참고하고 문법적인 설명을 할 수 없는 점으로 보아 기본문형을 다루는 것보다는 광범위한 문형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글월의 성분은 놓이는 차례가 있는데 그 차례는 I - (…D) - S - (…D) - O - (…D) - C - (A (D)) - P의 순서로 배열된다. 4. 성분의 생략에는 S, P, O, C의 생략이 있고 성분 도치는 국민학교 저학년에서는 간단한 도치만 올 지도하고, 차차 학년이 높아질수록 복잡한 도치의 문장을 지도해 나가야 효과적이다. 5. 문형 지도는 문법 교육이 아니기 때문에,어린이들에게는 문법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되며 일 상생활에서의 용례를 많이 들어 반복 대체 훈련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학습할 문형을 체계화함으로써 문형과 문형 사이에 단절이 생기지 않아 단계적으로 문형 지 도를 할 수 있다. 7. 문형 학습 실제에 다양한 방법(병풍식 놀이,주사위 놀이, 그림놀이,괘도놀이, 글자 카드놀이 등)으로 지도하면 어린이들이 싫증을 느끼지 않으며, 1학년 2학기 말 경에는 문장의 형식이라든지, 글을 이어가는 방법이 기본 문형에 맞는 글을 써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아 효과적인 문형 지도 방법으로 학습의 실제에 적용할만 하다고 할 수 있겠다. 8. 1학년의 문형 학습은 정리(미독)단계에서 실시하고 40분 수업중에서 양은 3〜4문(Sentence) 을 모델 케이스로 잡아서 10〜15분 정도로 함이 적당하고 학습한 문형과 학습할 문형 사이에 단절 이 있으면 안 된다. 9. 문형 지도는 한정된 교과 시간에만 국한하지 말고 이야기회 시간, 아침 협의회 시간, 또는 학습 지도시 발표할 때 둥을 통하여 바른 문형에 맞는 말을 수시로 지도하며, 현행 교과서에서 찾 을 수 있는 용례 뿐 아니라 많은 보충 자료를 동원하여 반복대체 훈련을 시킴으로써 문형 학습에 더욱 성과가 크리라고 생각한다. 10. 학년별 문형 학습과의 관련 내용,즉 주술 관계,복문 구성, 관형어,접속어, 지시어,문소의 생략, 복문의 분석, 연결어미, 특수격, 둥 지도에 있어서도 필자가 고안한 다양한 문형 학습 방법과 같이 지도하면 칠판 수업이나 말을 통한 지도보다도 효율적인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11. 10분간 문형 지도의 교수 학습 과정을 고안 활용함으로써 지도에 편리하고 같은 과정에 의 하여 반복 실천해 나아가면 자주적인 학습으로 전개되어 갈 것이다. 12. 문형 학습 과제 노트에 의하여 능력별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가정에서 공부할 기회가 많아 지고, 기습 문형을 반복 연습하는데 성과가 있다.

      • KCI등재

        形容詞述語文における助詞「と」の文型と用法

        朴海煥(박해환)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고는 문형론의 관점에 근거하여 일본어형용사술어문에 사용되는 조사「と」의 문형과 용법의 특징을 분석 고찰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사「と」가 사용되는 주요한 문형에 대하여 각 문형의 주요 용법, 술어형용사와 명사구의 의미특징과 조사의 의미역할 등 각 용법의 문형적 특징, 다른 용법 및 문형과의 관계, 다른 조사와의 관계 및 접점 등의 내용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일본어의 형용사술어문에 사용되는 조사「と」의 주요한 문형과 용법은,「N2は·が+N1と+形」문형의「친소 관계 판단의 대상, 비교 기준에 의한 동등 판단, 동가 판단의 대상, 기준성의 동가 판단, 공간량의 기점 기준」,「N3は(が)+N2と+N1が+形」문형의「일반적 관계 판단의 대상, 친소 관계 판단의 대상, 전면적 관계 부재 판단」,「N3に+N2は·が+N1と+形」문형의「비교 기준에 의한 동등 판단, 단순 비교 기준 판단」 등이었다. 또한, 조사「と」가 사용되는 형용사술어문의 문형과 용법의 그 외의 특징으로서, 조사「と」의 문형이 나타나는 것은「추상적 관계, 정신 및 행위, 자연현상」 등의 3개의 상위 의미 그룹 중에서「추상적 관계」의 그룹뿐인 것, 조사「と」의 문형에는 1항목표현이 보이지 않는 것, 조사「と」는 조사「に·から」 등과의 접점 및 상호간의 교체가 자유로운 경우가 많은 것, 문형에 있어서의 명사구의 교체 및 항목 순서의 교체가 가능한 경우가 많은 것, 각 문형의 3개나 2개의 명사구의 항목은 축약의 형태로 2개나 1개로 변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은 것, 문형에 있어서의 본의의 형용사와 전의의 형용사와의 특징의 차이가 분명한 것 등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初級日本語敎科書におけるトピック -トピックに基づいた文型練習-

        기타무라나오코 동아시아일본학회 2005 일본문화연구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급 문형과 토픽과의 관계에 촛점을 두고, 초급 일본어 교과서를 분석하여 어떠한 문형과 토픽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명확히 조사하여, 교실활동에 있어서 교사가 토픽을 중심으로 문형정착을 위한 응용연습을 행할 때 참고가 되는 자료를 작성하는 것이다. 최근 다수 출판되고 있는 문 형 중심의 일본어 교과서를 가지고 학습할 때, 문형의 의미와 형태와 함께 그 문형이 어떤 장면에서 사용되는지를 학습자가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 때문에, 최근 발행된 초급 일본어 교과서의 대부분이, 토픽을 중심으로 작성된 본문 중에서 문형을 추출해서 제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하나의 문형에 대해 교과서내에서 제시할수 있는 사용장면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 학습한 문형일지라도 실생활 속에서 학습자가 바르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 일본어 교과서 본문의 토픽을, 필자가 작성한 플레임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토픽 안에 어떠한 문형이 사용되어 있는지를 조사했다. 조사대상 문형에는, 각 교과서에 제출되어 있는 문형과『일본어 능력시험 제출기준 [개정판]』(2002 국제교류기금) 3.4급 문형.문법항목 일람을 대조하면서, 동사에 접속하는 것을 중심으로 98문형을 선출했다. 토픽마다 제출되는 문형수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요인은 교과서 작성자가 학습자의 실생활에 근접한 토픽을 넣도록 배려하거나, 일본사정을 함께 배울수 있도록 궁리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토픽과 문형에 따라 범용성(汎用性)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이 있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에게, 토픽과 문형의 관계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조사대상을 넓혀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작성한 자료를 더욱 충실히 함과 동시에 깊은 고찰을 해 나가고 싶다.

      • KCI등재

        어문학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형 활용도 분석을 위한 기초적 연구 - 초,중급 표현 문형을 중심으로 -

        석주연 ( Ju Yeon Su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본고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작성한 한국어 작문을 바탕으로 이들이 표현 문형을 습득하고 활용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의 공개 초·중급 표현 문형의 목록을 활용하여 중국 내 대학 한국어 관련학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71편을 분석하였다. 초·중급 표현 문형을 통틀어 1회 이상의 활용된 빈도를 살펴보면 전체 초·중급 표현문형의 46.6%가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급 표현 문형의 경우 1회 이상 활용도가 100%인데 반해 중급 표현 문형의 경우 1회 이상 활용도는 31.9%에 그친다. 중급 표현 문형 중 단 한 번도 활용되지 않은 문형은 80개로 중급 문형전체의 69%에 달했다. 초급의 표현 문형 중 50회 이상의 고빈도를 보이는 문형은 ‘-(으)ㄹ 수 있다’, ‘-지 않다’, ‘-고 싶다’, ‘-(으)ㄹ 때’이다. 활용된 초급 문형중에는 의무양태적 성격이 분명한 문형보다는 화자가 지식이나 정보에 대한 확신의 정도를 구현하는 인식양태적 성격이 분명한 문형이 보다 더 많이 나타남을 볼수 있었다. 또 표현 문형 ‘-고 있다’는 58회의 빈도를 보여 초급 표현 문형 목록에 추가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중급 표현 문형 중 학습자 작문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하는 문형은 ‘-기 위해(서)’로 모두 22회의 빈도를 보인다. 활용된 중급 문형들 중에서는 화청자 간 대면 상황에서 많이 나타나는 의무양태성 표현들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전반적으로 ‘-고 하-’가 생략된 인용 표현 문형이나 구어성이 높은 표현 문형들 역시 전혀 활용되지 않은 양상을 보였다. 조사된 개별 표현문형 하나하나의 빈도는 활용이 전무하거나 미미한 문형의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방안과 활용도 증진 방안 모색을 위한 일종의 기초적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에게 더 활용되고 덜 활용되는 표현 문형의 종류를 아는 것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제공될 입력부를 학습자 친화적으로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 examine how frequently Korean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appear in Chinese learner corpus of Korean language and how Chinese learners make use of them in 71 writings. The 46.6% of total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were used more than once in the corpus. The 100% of basic level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were used more than once. The 31.9% of intermediate level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were used more than once. ‘-(으)ㄹ 수 있다’, ‘-지 않다’, ‘-고 싶다’, ‘-(으)ㄹ 때’ of basic level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shows high frequency of more than fifty times. The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of epistemic modality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those of deontic modality. ‘-고 있다’ can be added to basic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reflecting its high frequency in the corpus. ‘-기 위해(서)’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ntence pattern among the intermediate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We can find few sentence patterns of deontic modality among the intermediate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used in the learner corpus. Both the sentence patterns with -고 하- deleted and more colloquial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were never used in the learner corpus. We can make use of the frequency analysis for designing an optimal pedagogical inputs for Chinese learners.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문형 교육을 위한 제언

        이행선(Lee, Haeng-Sun),김문기(Kim, Mun-Gi)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2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형’ 교육과 관련된 사항을, 학습자 중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 ‘문형’, ‘문법’, ‘표현’ 등의 용어와 개념을 구별하여 ‘문형’의 개념과 범위 설정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했다. 둘째, 학습자를 고려한 문형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이때 ①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용언 어휘뿐만 아니라 그 의 미도 구분해 주어야 한다. ②문형의 제시 방식이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③문형에서 제시한 예문이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교재에서 문형을 제시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 여기에서는 ①단원의 구성에서 ‘문형’을, ‘문법과 표현’과 구분하되 융통성 있게 적용하도록 제안했다. ②필요한 문형 정보를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함을 제안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issues related to ‘sentence patter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ers. First, we distinguished the terms such as ‘sentence pattern’, ‘grammar’ and ‘expression’ and discuss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setting the concept and scope of ‘sentence pattern’, Second,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sentence pattern education considering the learners. ① It must be sorted the predicate as well its mean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② The level of the learner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how the sentence patterns are presented. ③ The examples presented in sentence patterns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and utilize for the learners. Third, we discussed how to present sentence patterns in Korean textbooks. ① In the composition of the unit, ‘sentence patterns’ are distinguished from ‘grammar and expression’, but it is proposed to be applied flexibly. ② We suggest that the sentence pattern’s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easy to understand and utilize for the learn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sentence pattern educ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the method of presenting practical sentence pattern’s information, and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KCI등재후보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지 표현 문형의 교육 요점 제시

        리옌(Li Y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Chinese Korean learners, by explaining the difference of meaning of volitive expression, one of the modal expressions, i.e., '-l geoyeyo[ㄹ 거예요]', '-lgeyo[ㄹ게요]', '-llaeyo[ㄹ래요]'. The compositions and the subst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by summarizing from 2 dictionaries and 2 grammar books, the concept 'volition' will be explained from a modal expressions perspective. I also compare the meanings and functions among these volitive expressions under different contexts and put forward how '-l geoyeyo[ㄹ 거예요]', '-lgeyo[ㄹ게요]', '-llaeyo[ㄹ래요]' are distinguished as volitive expressions. based on the summary of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these target expressions mentioned in chapter 2, 114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recruited to have a test to investigate whether they distinguish the differences of functions and meanings. Meanwhile, the target expressions in 4 Korean textbooks from 4 Korean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symmetrical patterns between the errors in the students test and the shortcomings in the textbooks. To bring these matters to a settlement, chapter 4 presents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teach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3 volitive expressions by a) designing teaching method of each volitive expression, b) comparing teaching methods of the three expressions under different contex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a way of presenting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hat can be efficiently appli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for Chinese students and for other foreign learners as well. However, this study only provides one kind of teaching method. The future study will be focused on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hat can make the Korean learning more interesting and efficient. 본 연구는 보편적인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지만 외국인 학습자에게 혼동을 주는 의지 표현 문형 '-(으)ㄹ 거예요', '-(으)ㄹ게요' , '-(으)ㄹ래요'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사전, 문형ㆍ문법책에서 제시된 의지 표현 문형 '-(으)ㄹ 거예요', '-(으)ㄹ게요' , '-(으)ㄹ래요'를 살펴보고, 의지 표현의 선행 연구의 성과를 참고하여 세 개 문형의 의미적 기능과 통사적 제약을 밝히고 각각 문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테스트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의지 표현 문형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테스트 조사 결과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의지 표현의 보편적인 오류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교제에서 나타난 의지 표현 문형이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테스트 조사와 교재 분석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파악하고 부석을 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의지표현 문형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수요목(敎授要目)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의지표현 문형 '-(으)ㄹ 거예요', '-(으)ㄹ게요' , '-(으)ㄹ래요 '에 대해 중국인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 요점을 제시한 연구로서 향후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더욱 다양하고 효과적인 의지 표현 문형 교육 방안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말뭉치 분석을 통한 학술 텍스트의 표현 문형 분포 분석 연구

        박지순,홍혜란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7 No.-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corpus by genre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formulaic expressions, cumulative usage rates of them, and the distribution of higher formulaic expressions by genre. As a result, 282 types appeared, and by genre in the novel 275 were used the most, and 174 were used the least in the academic articles. In the case of the introductory book of each major, 244 types were used, which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ormulaic expressions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genre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use of the entire formulaic expressions, it showed that the top 28 formulaic expression types covered a range of 70.7% of the text, and 44 types covered a range of 80% of the text. If we generalize this, it means that we can understand about 80% of texts of various genres by learning about 50 formulaic expressions.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by genre,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many of the top 30 frequency lists differed from other genres, such as major introductions. Through this analysis result, the formulaic expressions to be dealt with in the grammar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genres in terms of the number and type.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formulaic expression by subgenre of academic text and by disciplines. In addition, in the academic texts the combination of formulaic expressions that express the speaker’s attitude is characteristic, so the list and function of them need to be detailed. 본고는 장르별 말뭉치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표현 문형의 분포, 상위 빈도 표현 문형의 누적 사용률, 장르별 상위 표현 문형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282개 유형이 출현하였으며, 장르별로는 소설이 275개로 가장 많은 유형이 사용되었으며, 학술 논문이 174개로 가장 적은 유형이 사용되었다. 전공 개론서의 경우 244개 유형이 사용되어 하위 장르의 특성에 따라 사용된 표현 문형의 수에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 표현 문형의 사용 분포 면에서 상위 28개의 표현 문형이 70.7%, 44개의 표현 문형이 80.1%의 누적 사용률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일반화시켜 본다면 약 50개 이내의 표현 문형을 학습함으로써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 80% 가량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교육적인 함의가 크다. 마지막으로 장르별 표현 문형의 사용 분포를 비교한 결과, 학술 논문의 경우에는 '고 있, 을 수 있, 에 대한, 지 않, 을/를 통해서, 어/아야 하'가 최상위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그밖에도 상위 빈도 30개 목록 중에서 전공 개론서 등 다른 장르와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 상당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문법 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 표현 문형은 그 수와 유형 면에서 다른 장르와 차별화되므로 이를 고려해 선정하여야 하며, 학술 논문의 하위 장르에 따라서, 또 전공 분야에 따라서 달라지는 문형의 종류와 기능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해 학술 텍스트에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표현 문형의 결합형이 특징적으로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목록과 기능을 상세화 역시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