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의 동화정책에 이용된 신화

        Hosaka, Yuji 한국일어일문학회 1999 日語日文學硏究 Vol.35 No.1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동화정책은 특히 1930년대에 들어와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철저화시키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1937년에 조선총독에 취임한 미나미지로오(南次郎)는「내선일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한국에서의 총동원 체제를 만들어 나갔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는「內鮮史實의 再認識」을 실천정책 목표들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국사 교과서가 수차례 개정되어,「일선동조론」 애 대한 기술이 점차 강화되어 갔다. 즉 일본의 국조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의 동생 수사노오(소전명존)가 신라에 강림하여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내용이 국사교과서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사노오와 檀君이 異名 同一神이라는 연구도 활발히 나와,「일선동조론」에 일조하고 있었다. 일제는「일선동조론」 에 반대하는 입장에서서 학설을 주장했던 츠다(津田左右吉)에게 유죄를 선고하는 등 언론탄압을 강화해 갔다. 「일선동조론」 은 조선총독이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한국통치이념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그 당시 친일파들은 이러한 역사적 동화이념을 받아들이는 논리를 펴고 있었다.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한일은 고대에서 같은 신을 모신 같은 민족이었는데 한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화되어 본연의 모습을 잃어 버렸다. 그래서 한일병합은 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고 일본과 하나가 되는 길만이 한국의 회생의 길이다. 3.1독립운동선언문을 쓴 최남선도 친일행각을 했으나, 「일선동조론」 의 핵심인 수사노오(소전명존) 한국시조설에는 반대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어 말살정책이 진행되던 일제말인 1943년에 한국어로 쓴 역사책을 펴내, 수사노오가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일선동조론」을 조용히 부정했다. 신화를 동원한 일제의 동화정책은 최남선과 같은 학자의 반대에 부딪치기도 하면서 여러가지 모순이 내재된 상태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구말 음조 패턴에 관한 고찰-일 한 동일 문장을 사용한 비교 대조-

        키타노타카시 ( Kitano Takas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9 日語日文學硏究 Vol.108 No.-

        이 연구는 한국어 서울 방언을 모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에 나타나는 음조 패턴에 대해서 같은 내용의 문장을 사용해서 일본어와 한국어 양언어로 어떤 차이와 공통점들이 있는지 실험과 고찰을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조 패턴이 높은 빈도로 같은 음조 패턴이 관찰되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 상승은 발화 의도를 거의 가지지 않는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국인의 어미 상승 현상은 그들의 모국어인 한국어 서울 방언의 특징인 무악센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일본어 모어화자 중에서 어미 상승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을 근거로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모방하고 있다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서 나타나는 어미 상승현상의 원인을 보다 확실히 할 목적으로 키타노(2017) 의 연구에서 같은 문장을 낭독해서 조사의 사용경향을 분석한 결과 특정 조사와의 공기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은 의도적인 발화 의도를 가지지 않는 단순한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키타노 (2017) 의 연구결과를 보강해서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의 원인을 발화 의도를 가지고 있는 의식적인 언어 활동이라는 면보다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언어 현상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escribe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UPTALK phenomenon among Korean learner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pitch patterns made by Korean learners wi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Clear similarities were demonstrated in the position and patterns of UPTALK in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among many of the participants. Previous researchers have also demonstrated that UPTALK among Korean learners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and it is simply influenced by the Seoul Korean, which is known as a intonational dialect .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Korean learners imitate the UPTALK behavior of native Japanese speakers, especially among young females, such as when UPTALK has been observed in conversations. My previous research (Kitano 2015)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providing evidence that Koreans learning Japanese use UPTALK for case-marking particles,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mostly use UPTALK for conjunctive particle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and it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additional analysis, which is described in this paper, indicat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UPTALK patterns of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Korean learners use UPTALK with bo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with clear similarities in the position and pattern of the UPTALK phenomenon,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less UPTALK with Japanese sentences. This again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with intended meaning of intonation

      • KCI등재

        한국인의 연령별 일본 이미지와 관련 요인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카가미토미요 ( Kagami,Tomiyo ),박애스더 ( Esther Park ),오카무라카요 ( Okamura Kayo ),코마츠미도리 ( Komatsu Midor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2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연령별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도가 일본 이미지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2년 12월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13-18세, 20세, 25-29세,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의 각 연령, 총 1049명이다. 설문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 이미지 척도는 카가미 토미요, 박지선 외 (加賀美常美代·朴志仙 ほか, 2010)에서 사용한 형용사 19항목에 사회적, 환경적인 내용을 추가하여 40항목을 작성하였다. 국민의식 척도는 카라사와 미노루(唐澤穰, 1994)의 ‘국민의식 척도 일본어판’을 토대로 한국인 유학생 5명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항목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일본에 대한 관심은 카가미 토미요, 박지선 외 (2010)의 18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에 의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이미지의 요인 분석 결과, ‘신뢰성’, ‘집단주의적 선진성’, ‘재해·사회문제의 심각화’, ‘공격성’, ‘개방성’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인의 국민의식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한국인으로서의 자존심’, ‘국가적 우월성’, ‘외국에 대한 개방성’, ‘저(低)자기 관여적 배타성’, ‘한국의 발전 우선’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일본에 대한 관심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 ‘국제적 문제’, ‘일본 대중문화’, ‘한일간 영토·역사문제’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이, 일본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 이미지를 종속변수, 국민의식·일본에 대한 관심을 독립변수로 한 중회귀 분석을 연령대별(10대, 20대, 30·40대, 50대 이상)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본에 대한 관심의 하위 요인 중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과 ‘일본 대중문화’의 2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동시에 있을 경우, ‘신뢰성’, ‘개방성’과 같은 일본에 대한 친화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카가미, 2013)으로 나타났다. 10대~40대까지는 영토·역사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낮은 것이 신뢰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은 ‘집단주의적 선진성’과 같은 다양하고 다각적인 일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명확해졌다. 한편, 부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국제적 문제’임이 밝혀졌으며, 10-40대까지는 국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경우, 이것이 일본의 공격성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이나 TV에 의해 국제적인 문제를 일상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30대 이상의 연령층은 국민의식 중 ‘국가적 우월성’을 가진 경우, 이것이 일본의 공격성 이미지와 관련이 있었다. 이처럼 일본 이미지 형성 요인에 한국인의 사회적 아이덴티티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일본 이미지의 형성에 관한 새로운 측면으로,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적극적 접촉이나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의 정도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국민의식이 관련 요인으로써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s’ National Identity(NI)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ir interests in Japan relate to the perception of Japan.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hrough online survey. The survey, completed on December 2012,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49 samples in 5 different age groups: age 13-18, 20, 25-29, 30-39, 40-49, 50-59, and +60. In terms of the subjects’ residential distribu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reas: 374 for Seoul, 260 for Gyeonggi-do, 262 for metropolitan cities, and 180 for other areas. There was no skewed effect based on location. Conten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o assess barometer for image toward Japan, 40 items including 19 adjectives from Kagami, Park, et al(2010) and other social and environmental items were used. Barometer of NI was composed after inspecting ‘Scale of NI-Japanese version’devised by Karasawa(1994) as a reference. 18 items from Kagami, Park, et al(2010) were utilized to scrutinize interest toward Japa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pertaining to image toward Japan, five factors including ‘credibility’, ‘collectivistic advancement’, ‘deterioration of natural disaster and social problems’, ‘belligerence’, and ‘opennes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Koreans’ NI, five factors including ‘pride as Korean’, ‘national superiority’, ‘openness toward foreign nations’, ‘exclusivity toward low relevance’, ‘development of Korea first’ were also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interests in Japan, four factors including ‘active contact with Japan’, ‘international problems’, ‘popular culture of Japan’, ‘territorial and histor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Japan’ were extracted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to investigate how NI and interests in Japan influence Koreans’ perception of Japan, regression analysis via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image toward Japa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NI’ and ‘interest regarding Japan’ as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age groups (13-18, 25-29, 30-49, +50). As a result, ‘active contact’ and ‘popular culture’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that affect Image of Japan positively. Furthermore, these two factors appeared to have influence on ‘credibility’ and ‘openness’ that endorse friendly image to Japan. Low interests in territorial and historical problem from teens to subjects in the 40s affected ‘credibility’. Furthermore, ‘active contact toward Japan’ appeared to affect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image of Japan, such as ‘collectivistic advancement’.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problems’ turned out be a factor that affects image of japan negatively. For subjects from teens to the 40s who showed concerned over ‘international problems’, they appeared to relate their opinions to ‘belligerence’. Furthermore, subjects +30 appeared to perceive that there are relations between ‘Japan’s belligerence’ and ‘national superiority’. Based on these outcomes, it can be stated that Korean’s social identity can have possible effect in forming image of Japan. As outcomes from the above indicate, this particular study revealed some of new factors that have tremendous influence in forming image of Japan. These factors include ‘active contact with Japan’, degree of interests in the‘popular culture of Japan’ as well as ‘Korean’s NI’.

      • KCI등재

        者敬語を表す文体における日韓比較 - 韓国ドラマの韓日対訳から見る文体使用の違い -

        김지은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3 No.-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하고 똑같은 운용을 한다고 생각한다(田所2015). 그러나, 한국 드라마의 한일 번역 자료에서 두 언어의 문체 사용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점도 있었다. 발화 5개 중 1개 이상이 두 언어의 문체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두 언어의 청자 대우 문체의 운용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언어의 각 문체의 사용 빈도를 보면, 원본의 한국어에 비해서 번역본의 일본어에서는 정녕체가 적은 반면에 문체생략체(文体省略体)와 보통체가 많았다. 두 언어의 문체가 불일치 하는 타입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일본어 보통체가 대응하는 타입이었다. 먼저, 한국어의 반말에 일본어 정녕체가 대응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추량형과 명령형의 반말을 여성 화자가 사용할 때, 일본어로는 정녕체인「でしょう」「なさい」로 바뀌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반말을 일본어에서는 문 말을 생략하는 문체생략체를 사용함으로써 공손함을 조절하는 양상이 보였다. 한편,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것은 합쇼체보다 해요체에 많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요인으로는 화자의 속성과 심리 상태, 그리고 번역 상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중 변동적인 화자의 심적 요인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도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점을 중심으로-

        윤호숙 ( Youn Ho-sook ),윤정훈 ( Yoon Jeong-hun ),최진희 ( Choi Jin-hu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국제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일본어 학습의 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의 중요성에 의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특히 문화에 관한 관심도 연구는 대부분이 제2언어에 있어서의 동기부여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특히 식문화)` `일본 여행`이고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 시 필요한 학습항목에 관해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이 앞으로 일본어 수업과 교재개발 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학습내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관심도가 낮은 항목이라고 해도 교육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은 존재한다. 즉, 학습자가 관심이 높다고 해서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에만 너무 국한되면 교육의 기본 가치가 문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학습할 때 전제가 되는 `일본의 개요` 등은 교재개발과 수업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유학` 등 장기체류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일본의 생활 정보`에 관한 학습내용도 필요하다. 본고의 의의는 선행연구에 비해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관심도를 조사할 수 있었으며 일본어교육과 교재개발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였고 학습내용의 방향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에 관한 관심도를 더욱 검토하여 금후 일본어 교육과 교재개발에 적극 활용하려고 한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on learning Japanese and learning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est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required. However, there were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this area which concern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cultural impact has been merely dealt with as a motivational factor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as detailed the degree of th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possible. In the result of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highly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such as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Specially about food)” and “Travel to Japan” whereas “Overview of Japan” and “Japanese public Culture” are less popular. Thus, this issue of learning items is needed for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future and the items like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and “Travel to Japan” are considered to put in priority when people make lesson plans and its textbooks. However, the parts which the learners felt less interested in is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since there are some learnable contents in it. In other words,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nstructors only focus on this area which learners prefer to lear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ning and textbook development.Also“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is recommended to learners who want to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can examine the specific survey items which detailed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teres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will identify through this study.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Media`, `Japan`s daily life`, `Travel to Japa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 and textbook development. Also, `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 is recommended to the learners who want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extract specific survey items detailed in interest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y was uninteresting points to consider in the Japanes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onsidering the high learning content future needs was is tha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try to take advantag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 KCI등재

        정신 및 행위를 표현하는 한,일어 동사 대조 연구 - 의미 분야별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

        이명주 ( Myung Ju L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2 No.2

        本稿は、韓 · 日兩言語の語彙面における對照硏究の一つの試みである。單語は命名の單位で單語の意味は現實を反映する。本論では、特に、單語の對應關係に重点を置き、意味分野別に兩言語の語彙の構造を計量的な方法を用いて比較分析する。日本國立國語硏究所編『分類語彙表』の「用の類」「2.3人間活動─精神および行爲」に分類されている動詞10047語を、三冊の日韓辭書を調べて韓國語との對應關係を調査し、對應語の有無によって「有對應關係」と「無對應關係」とに二分した。さらに、「有對應關係」は、對應の程度によって韓國語でも同一に對應できる「一致對應」と一致はしないが對應語は存在する「差異對應」とに分ける調査を行なった。調査の結果、「2.3人間活動─精神および行爲」に屬する動詞の約90%には韓國語に對應語が存在すること、「漢語+する」及び「外來語+する」と形式的に同一の對應をする動詞が50%以上であること、韓國語には一つの對應單語しかないが、日本語はそれと同じ意味を持つ動詞の形式が複數存在することなどがわかった。それから、意味分野「2.36待遇」に分類されている日本語動詞は97%以上が、韓國語にも單語單位で對應し對應比率がもっとも高いこともわかった。韓國語に對應語のい理由は、まず日本の固有の事物を表現する單語であるとのことがあげられる。そして、日本語と韓國語の單語自體の語構成の差からの原因もある。つまり日本語の場合は助詞を除いて形成された動詞と、動詞連用形止め+する動詞の割合がかなり高いこともあるし、複合動詞の發達も韓國語に對應語のない原因の一つになると考えられる。

      • KCI등재

        한일국제결혼가정 자녀를 둘러싼 계승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가와구치게이코 ( Keiko Kawaguc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7 No.1

        본고는 한국(서울·경기도지역)의 학교,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일국제결혼가정의 자녀를 대상으로 모어·계승일본어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그 현황과 과제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1)공립초등학교, 2)다문화가족지원센터, 3)각 지역의 커뮤니티의 의한 교실, 4)NPO의 4개로 분류하였으며 담당강사 총 16명에게 개인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한국에서 계승일본어교육이 점점 가정의 영역 외에서도 전개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각각의 운영상/교육상의 문제점 도 밝혀져서 앞으로의 실천적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는 한일자녀들의 일본어계승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정내뿐만 아니라 공교육, 지역에서 더욱 활발한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직 교육방법을 정립되지 않은 교육실천면에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Japanes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Korean-Japanese famil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adopts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as main methodology for research and analysis. The 16 interviewees are teachers of Japanese who teach Japanese heritage language at 1)elementary school, 2)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3)classes organized by the Japanese community, and 4) a class organized by NPO.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Japanes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outside homes has been developing. At the same time, some problems and challenges in organizing and managingthe courses of Japanese have been found, which suggests some practical strategies for further possible implementation.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for children of Korean-Japanese families to learn their heritage language. More research in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effective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香山連荊氏の出自と任務について ─渡来系氏族のルーツ─

        마노 토모에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3 No.2

        이 논문은 724년에 사성(賜姓)으로 가구야마노무라지를 받은 형(荊)씨에 주목해서 그 출신과 임무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 형(荊)씨는 고대 소수 씨족이라 역사상에서도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쇼무조의 도다이지 건립에 관련한 일편의 도래인 활약을 무시할 수는 없다. 쇼무조는 “나가야노오키미의 변”이나 전염병으로 인한 후지와라 4형제의 사망, 자연재해 및 식량기근, 공지공민제의 붕괴 등으로 사회 불안이 깊어지는 상황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쇼무천황은 진호 불교에 기대서 국가 안태를 원한 것이다. 724년에 쇼무천황이 도래인에게 사성(賜姓)했는데 그 때 형궤무라는 인물이 가구야마노무라지를 받았다. 815년, 사가천황 칙찬(勅撰)으로 편찬된 “신찬성씨록”에는 백제인 달솔인 형원상이라는 인물이 기록되어 있어서, 형궤무는 그 후손으로 추측된다. 조사해보니 가구야마노무라지 형씨는 도다이지 사경소에서 경사(経師)의 임무를 맡고 있었다. 그러나 그 후손인 기요사다와 기요무네가 835년 가구야마노야쓰네를 다시 받게 되었기 때문에 가구야마노무라지는 소멸했다. 그 이후 일본 역사기록에서는 형씨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눈을 한국으로 돌려서 한국 문헌으로 형씨의 출신 고사를 시도해 보고, 형씨의 뿌리를 더듬어 그 역사를 살펴보려고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Kei-shi who received Kaguyamano-muraji in 724 and to clarify its origins and duties. Kei-shi is an ancient minority clan and has not gotten much attention historically. However, at Emperor Shomu, it is not possible to ignore the activity of the toraijin clan who wa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odaiji. Emperor Shomu was deeply socially uneasy because of the deaths of four brothers Fujiwara caused by the epidemic, the natural disaster and the food famine, and the collapse of the public system. For that reason Emperor Shomu prayed for national security by means of guardian Buddhism. Well, in 724 Emperor Shoumu gave a name to a visiting person, at that time, a person named Keino-kibu got a reunion of Kaguyamano-muraji. In 815, "Shinsenshojiroku" compiled by Emperor Saga 's order, a person named Keino-insan of Baekjae was recorded, and Keino-kibu is presumed to be its descendant. As a result of survey, Kaguyamano-muraji was in charge of work of sutras of Todaiji Temple. In 835, since Kaguyamano-yasune was renamed descendant generation grandchildren Kiyosada and Kiyomune, the Kaguyamano-muraji disappeared, so it became impossible to confirm Kei-shi in subsequent historical facts. Thus, we will change the point of view and try to verify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일본어 실현가능문의 성립조건 -한국어의 "지다"형과의 비교분석-

        권승림 ( Seung Lim Kw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지다 (jida)」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실현가능문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성립조건을 제시하였다. 실현가능문은 자발문이 나타내는 자발성과 가능문이 나타내는 상태성이라는 성질을 함께 갖춘 독특한 구문 카테고리이다. 또한「jida」형은 수동과 자발의 마커(marker)임과 동시에 실현가능문도 나타내고 있어, 자발과 가능과의 관련성을 시사하고 있다. 실현가능문이란 일시적으로 가능한 상태가 주체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행위가 저절로 일어난다는 의미에서 자발과 관련되고 있으며, 현재라는 한정된 시간에 있어서의 가능한 상태라는 의미에서 조건가능과 유사점이 있다. 실현가능문을 성립시키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는 주체언급성을 나타낸다. 2) 문에 나타나지 않는 화자인 주체가 함의된다. 3) 함의되는 주체는 화자인 1인칭에 제한된다. 4) 문의 시제는 비과거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This research identifies a existence of the feasible sentence and presents its’ realization conditions. The feasible sentence is peculiar construction category which owns both of a spontaneity of the spontaneous sentence and a possibility of possible sentence. Also 「jida」 form suggests relation between spontaneity and possibility since it is both passive and spontaneous marker and also presents feasible sentence. Feasible sentence means a sentence presents momentary possible status exist on subject. It is connected to the spontaneity in a sense about automaticity of action. Also it is similar to limited possibility in a sense of restricted time, Present. Conditions conclude the Feasible sentence as follows; 1) Comment only action of agent 2) Implicate agent who is speaker not showing on the sentence 3) Implicated agent is restricted to the first person 4) Tense of sentence is immovable to Non past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의 일례 - 학습자참가형평가 실시를 위한 앙케이트 결과에서 -

        에비나미유키 ( Ebina Miyuk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9 No.-

        일본어수업에 학습자참가형 평가를 도입하면, 교사는 학습자의 성취수준을 파악하고 학습자는 수강하는 수업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의 학습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평가과정에서도 교사나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이 촉진된다. 본고에서는 수업에서 학습자참가형 평가를 도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써 한국소재 대학의 교양일본어수업 수강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는 활동적인 수업과 평가에 대한 경험이 있으며, 수업을 통하여 일본어회화 실력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평가’는 ‘교수(평가주체)'가 ‘운용능력(평가내용)’를 ‘필기 및 실기시험(평가방법)'으로 하기를 원하며, 평가기준도 ’교수‘가 작성하기를 원한다. ‘평가’에 대해서는 ‘교수가 성적부여를 위한 수단’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참가형 평가를 비롯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평가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수업에서의 학습자참가형 평가와 상호평가의 도입으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y introducing learner-participating assessment into Japanese classes, teachers can grasp the learner's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lessons they are taking, and learners can be interested in their own learning. In addition, students' learning ability will be promot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eachers and learners during the assessment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Japanese languag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as a preparatory step for the introduc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assessment. The results show that learners have active lessons and assessment experience, and that they often aim to improve their Japanes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lessons. In addition, "assessment" is expected to be evaluated by "professors" as "paper and performance tests" and "professors" as criteria for assessment. As for assessment, learners understood that professors were a means of grading.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mutual assessment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such as learner participation assessment, is examined.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participation assessment and mutual assessment in the course will help Korean Japanese learners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