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최홍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2

        This study is planned as a part of discussion about literat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It aims at seeking for perspectives for plans of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heterogeneity of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Approaches toward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are examined carefully through revised curriculums and textbooks in North Korea. Also, above all, after analyzing literature curriculums of North Korea, three characteristics are drawn as flows. Aspects of aims and objectives : unchanged political subordination and sprouts into the essence of literature Aspects of areas and organization : disappeared literature area and integrated literature-driven organization Aspect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 central control and biased political thought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Korean Literature』 of North Korea, I find out both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modern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in the aspect of contents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ies. As considerable differences and gaps as well as common elements are discovered through analyzing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it is time to shift educational points of view from exiting traditional democracy to cross-culturalism. Based on the shift, people should recognize the true nature of ethnic homogeneity and cultural heterogeneity in the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and need to develop a new curriculum in the contention. At this point, a transformation approach can be a specific method in the plan and development. 이 연구는 통일을 대비한 문학교육 논의의 일환에서 기획된 것으로, 남북한 문학교육의 이질성에 주목하여 통일 문학교육의 기획과 설계를 위한 시각과 관점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개정된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문학교육의 실태와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통일 문학교육에 대한 접근 시각을 점검하고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의 문학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세 특질을 도출하였다. 1. 목적과 목표의 측면: 여전한 정치적 예속과 문학의 본질로의 맹아 2. 영역과 구성의 측면: 문학 영역의 배제와 문학 중심의 통합적 구성 3.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의 측면: 중앙 통제와 정치사상으로의 경도 다음으로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와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현대문학, 고전문학과 세계문학 교육이 동질성과 이질성을 동시에 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남북한 문학교육간의 공통된 요소 못지않게 상당한 차이와 간극을 확인하였다면, 기존의 민족주의에서 상호문화주의로 교육적 시각을 전환할 것이 요청된다. 이러한 전환을 바탕으로 민족적 동질성과 문화적 이질성의 실체를 동시에 인정하고 이들의 길항 속에서 새로운 통일 문학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며, 변혁적 접근법은 이러한 설계와 개발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현실주의 동화의 교육적 의미 탐색을 위한 일 고찰 : 문학 교사들의 현실주의적 인식을 중심으로

        임성규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본고는 현실주의 동화의 교육적 함의(含意)를 탐색하기 위하여 리얼리즘의 세계관에 기반을 둔 현실주의 동화의 리얼리즘 구현 양상을 밝히고,예비 문학 교사들의 현실주의적 인식을 고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현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실제로 아동 문학 교육 중에서도 가장 논의가 부족한 부분이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의 아동문학 교육임을 인식하고,현재적 난점을 넘어 아동문학의 독자성과 개별성을 살릴 수 있는 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아동 서사문학 중에서도 비판적 리얼리즘에 입각한 현실주의 동화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갈등을 핍진하게 형상화함으로써 아동문학의 독자인 초등학교 아동들과 교육대학의 예비 문학 교사들에게 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인식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전형과 형상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는 현실주의 동화의 미학적 세계관은 기존의 통념을 넘어 새롭게 재조명 될 필요가 있으며,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온전한 아동 서사문학의 지형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실제로 아동 서사문학과 교육은 판타지 동화와 전래동화 그리고 현실주의 동화가 서로 조밀하게 엮어 짜인 구조를 지향해야 한다. 하지만,현실주의 동화의 경우 현행 초등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정치성의 우위를 짐작할 수 있으며,그러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압력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기초적 토양 마련을 위해 보다 본원적인 문학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 작업 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본의 지배와 목표 지향적 단순 논리로 인해 점차 획일화되고 있는 아동들의 현재적 삶 속에서 현실주의 동화가 지니는 가치들이 기존의 상투적이고 고형화 된 인식을 전복시키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의 정신을 걸러주는 일에 일조할 수 있음에 천착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판적 사고를 추동하는 현실 인식의 힘을 길러주기 위한 현실주의 동화 교육은 아동문학 교육의 한 축으로 기능해야 하며,이에 대한 정치하고 심도 있는 모색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search educational meaning of realism juvenile story through realistic perception of prepared literary teacher. Realism juvenile story have centered position in the children's narrative literature. It is late that finding direction of realism juvenile story education. Actually, realism juvenile story have important presence i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low. It's cause based on dullness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tudy being contrary to activity of children's literature study. Improvement of literary teacher education is another task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is relation to children's literature teaching-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classroom. So, it is narrow problem that simple substitution realism to popular vision and critical view. Realism juvenile story is basic structure of all children's literature narrative literature and based on realism that have aesthetic philosophical world view and techniqu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tart to reading best literary text first. Theoretical system infusion is secondary issue. Specially, best realism juvenile story reading is enable to healthy perception development through actualization of typical character and event. It reflect structural contradiction and nature of actuality. Problem of actuality have to perform not simple reading but debate culture with literary teachers. Because It enable children to changing surface thinking, quest of realism juvenile story reading and educational meaning is beginning now. The suggestion for realism juvenile story education have to made through more sophisticated and deep study.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중학교 문학교육 현황 고찰 - 『조선어문(新編, 2014~2016年)』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영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5

        The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currently in use and to make constructiv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 first determined the requirements of the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the complex role of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The language curriculum aims to develop four major skill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a socialist, moral character and patriotism. The third is to strengthen the national culture. The fourth is to acquire basic humanities skills by exploring the world’s best culture. Korean-Chinese Language is not only a language subject, but also a humanities subject. Next, we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new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 for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ly compiled textbook did not cut out the content of the Korean-Chinese language, but integrated it into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e method has shifted from the existing knowledge transfer class method to the learners-oriented class method, which values the learners’ thinking. Finally,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and found the following features: Literature is a medium to confirm national identity; literature is a medium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is a method to promote world culture. As a minority in China, the Korean-Chinese literary education fully respect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The Korean people’s identity and tradition is upheld in China’s education policy. At the same time, education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found a way of embracing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hrough integrating world literature. 이 연구는 현재 중국 조선족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선어문(新編, 2014~2016年)』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조선족 중학교 문학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문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조선어문』 교과서의 복합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조선어문과정표준(朝鮮語文課程標準)’을 살펴보았다. ‘조선어문과정표준’에서는 『조선어문』 교육을 통해 크게 네 가지의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첫째는 언어 기능을 강조한 조선어문 사용 능력의 함양이고, 둘째는 사회주의 도덕 품성과 애국주의 사상 감정의 양성이며, 셋째는 민족문화를 이어가는 조선 민족의 일원이 되는 것이고, 넷째는 중국의 우수문화와 외국문화를 섭취하여 기본적인 인문적 소양을 갖추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어문』 교과는 조선어라는 모어이면서도 소수민족어, 계승어라는 정체성을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애국심을 심어주고 한민족 문화를 계승하며 세계의 우수문화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인문적 품성 교과의 역할도 지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의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새로 편찬된 『조선어문』 교과서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종합성학습’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기존의 ‘지식 전달식 수업’ 방식에서 학습자의 생각을 중요시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 현황을 ‘국민적 정체성 확인으로서의 문학교육’, ‘한민족 문화 계승으로서의 문학교육’, ‘세계 문화 수용으로서의 문학교육’ 등 3개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은 중국의 교육정책 속에서 소수민족이라는 정체성을 인식하면서 중국의 문학 전통을 충분히 존중하고 남·북한 문학을 중개적(仲介的) 관점에서 수용하였으며 동시에 세계문학을 폭넓게 포용(包容)하려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은 조선족 청소년 학습자가 다양한 문학적 자양분을 섭취하여 문학 문식성 신장뿐만 아니라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데까지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초등문학교육 설계 양상 분석 - 아동문학작품 갈래 용어의 제시를 중심으로 -

        한명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iterary genre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were presented in ‘2015 Korean Language Art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I discovered that 23 kinds of genre terms wer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 followings are among findings. (1) The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table’ of the curriculum consists of 10 literary genre terms. (2) In the 16 ‘Literary standards’ of 3 parts contain 16 literary genre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3) The curriculum include 17 examples of literary works, of which 12 literary genre terms were presented to achieve the standards. Although the number of literary genre term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as increased, they were not categorized and organized. Therefore, the literary genre terms should be presented systematically in the next curriculum for the improv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새로운 ‘내용체계’와 영역별 성취기준에 따른 ‘학습 요소’를 보였다. 여기에 초등문학교육의 설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교육과정이초등문학교육을 뒷받침하는 아동문학작품을 제시한 양상, 즉 어떤 갈래의 작품을얼마나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용체계’에 ‘동요, 동시, 시, 노래, 그림책, 동화, 이야기, 소설’의 10종, 문학 영역의 16개 성취기준에 ‘시, 노래, 이야기, 그림책, 극, 말놀이’의 6종, ‘성취기준 해설’에 ‘시, 노래, 이야기, 서사, 옛이야기, 창작동화, 극, 아동극, 애니메이션, 말놀이, 생활문, 수수께끼’의 12종, ‘국어 자료의예’에 ‘시, 노래, 이야기, 그림책, 만화, 극, 애니메이션, 전기문, 감상문, 일기, 생활문, 수필’의 12종에 해당하는 작품 갈래가 17개의 목록에 제시되었다. 종합하면초등문학교육의 설계에 제시된 문학 갈래 용어는 모두 23종이며, 4대 갈래별로보면 서정 4종, 서사 8종, 극 4종, 교술 7종으로 집계된다. 그 양은 과거 교육과정보다 증가하였으나, 갈래 용어의 중복 및 구분의 모호함이 개선되지 않았고, ‘서사’, ‘이야기’ 및 ‘극’과 같은 상위 갈래와 그에 속하는 하위 갈래의 용어가 동일한 층위로 제시되는 등의 비체계성을 보였다. 아동문학작품의 갈래 이론이 확립되어 있지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보아도, 문학의 기본 갈래 용어조차 체계적으로 제시되지않은 양상은 개선되어야 할 문제다. 차기의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에는 문학작품의갈래 용어가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초등문학교육을 정교하게 뒷받침할 수 있기를전망한다. 이를 위한 아동문학의 갈래 체계가 수립되어야 함도 과제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산골아이>의 문학교육적 의미와 가치 연구 -정신분석학 관점에서의 내용 분석과 가치 내면화 과정을 중심으로-

        성은혜 ( Eun Hye S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5 No.-

        황순원의 <산골아이>는 두 가지의 삽화에 옛이야기를 활용하여 주인공인 ‘아이’가 꿈을 통해 그 이야기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산골아이>는 내용적 측면에서 교육적 의미와 효용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내용뿐 아니라 문학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 문학교육 장면의 측면에서 의의를 분석하였다. 2장의 내용 분석에서는 각각의 이야기가 지니는 의미를 브루노 베텔하임 식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도토리’에서의 ‘여우고개’ 이야기는 성적 호기심과 반응, 퇴행의 현상을, ‘크는 아이’에서의 ‘반수할아버지’ 이야기를 통해서는 오이디푸스적 욕망과 이에 대한 현실적 반응과 적응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아이’가 두 가지 옛이야기를 자신에게 적용, 변용하며 이야기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과 문학적 장치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꿈’이라는 문학적 장치는 프로이트에 의하면 동경이나 결핍에 대한 보상이자 욕구를 표출하는 수단이 된다. 꿈을 통해 이야기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아이’의 모습은 문학 작품이 무의식과 의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형상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4장에서는 <산골아이>에 담겨 있는 문학교육적 장면과 요소의 의미를 추출해 보았다. 전달자인 할머니를 교사로, 수용자인 아이를 학습자로, 옛이야기를 학습할 텍스트로 치환하면 작품 속의 상황은 문학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면과 유사하다. 가치를 내면화하는 문학 교육을 위해서 텍스트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해야 한다. 또 문학교육에서 등한시되고 있지만 필요하고 훈련이 가능한 듣기·말하기 교육과 반복 학습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습자의 태도에서 요구되는 적극성과 몰입도도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학은 내용적으로는 가치와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 형식적으로는 언어로 완성이 된 것이기에 문학교육은 내용의 내면화와 함께 언어 기능에 대한 학습이 가능해야 한다. 문학교육이 작품의 내용 분석, 지식의 일환으로 교육되고 있는 현실에서 작품의 가치가 내면화되고 언어 기능 능력을 향상시키는 도구로서 활용되기란 어렵다. <산골아이>는 훌륭한 문학텍스트가 어떻게 수용되고 가치 내면화되는지를 방법과 함께 보여주고 있기에 문학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process of hero’s value-internalization through dream on two episodes(An acorn, Growing-up child) in ‘San-Gol-I’ written by Hwang sun-won. Up to now, the text was analysed by educational meaning and efficiency in the dimension of content, but this study intends to analyse text’s content as well as literature education which mak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s of literary text. In chapter 2, researcher examined the meaning of two tales by B. Bettelheim’s viewpoint who is famous Freudian. In ‘tale of fox hill’ within ‘An acorn’ which is first episode in the text were found out sexual curiosity and reaction, regression, and in second episode ‘Ban-Su grandfather’ within ‘Growing-up child’ were found out oedipus’s complex and realistic adaption against that affairs. In chapter 3, researcher examined literary installation which makes hero internalization of two tales with adaption and transformation. In this process dream is a installation which functions reward on yearning and dearth expression for desire in the text. Hero``s figure who internalized tale’s value through dream show the fact how literary text influences reader’s consciousness as well as unconsciousness. In chapter 4, researcher abstracts meaning and scenes for literature education in the text for classroom condition. In the text, there are instructional situations and conditions, that is, grandmother who tell a story is teacher, hero who listen the story is student for learning, tale are learning materials. Literary education for value-internalization must reflect learner’s interests in the text for classroom, and it is necessary to repeat teaching plan for drilli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y. Finally, it’s true that teacher’s flow and positiveness and student``s that make important influence in learning situations. In conclusion, literary education in schooling makes all student language-function as well as value-internalization through learning literary text which have values and meaning in content. At now it is difficult to make student the value-internalization and cultivate ability of language-skill,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ing is only for content analysis on text and knowledge learning for testing. The literary text ‘San-Gol-I’ present various meaning in the event of teaching literature and it show how brilliant text accepted by reader.

      • KCI등재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서설(序說)

        박윤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본 연구는 문학의 본질에 천착한 문학교육 평가의 거시적인 틀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간의 문학교육 평가 연구들이 지엽적이거나 개인적인 아이디어 차원의 제안에 그쳤고, 문학의 본질에서 가장 크게 어긋나 있으면서 문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평가라는 생각에서 연구를 출발하였다. 먼저, 평가 및 인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철학과 심리학, 교육학 등을 포함하는 학제적 접근을 통해 점검하고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평가관과 지식관을 정립하였다. 평가는 ‘수업 결과의 평가’와 ‘목표 성취를 위한 평가’를 넘어,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한 평가’로 재개념화하고,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한 전방위(全方位) 설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앎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통해 ‘교육’에 대해 재고해 봄으로써 문학교육 평가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작품을 통해 삶과 자아에 대한’ 교육과 평가로 변화되어야 할 당위를 문화심리학의 인지 패러다임에서 찾고, 문학의 본질적 양식이자 인간의 기본적인 사고 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를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학교육의 대상이자 현상, 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문학교육 평가는 내러티브에 기반할 때 문학과 교육의 가치를 회복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내러티브 기반 문학교육 평가’란 내러티브의 의미 층위가 문학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등 평가의 전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이에 문학의 속성이자 내러티브의 자원이 되는 삶과 경험, 상상력이 내러티브적 교섭을 통해 내면화(internalization), 외면화(externalization)되는 과정을 전제하고,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경험과 상상력, 내면화와 외면화의 기제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추출한 얼개를 바탕으로 거칠지만 이론적 차원에서 내러티브에 기반한 문학교육 평가의 틀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suggest a broad frame of evalu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literatur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was incomprehensive or it just represented personal ideas. Although evalu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literature education, it deviated from the nature of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why I started to conduct this research. First, I examined the changes of evaluation and cognition paradigm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cluding philosophy, psychology, and pedagogy. Then, I established the view of evaluation and knowledge for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Evaluation should be more than ‘evaluation of the result of class’ and ‘evaluation for goal achievement’, which made me reconceptualize ‘evaluation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and propose ‘an omnidirectional plan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Furthermore, I intended to create the basis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y reconsidering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earning. Hence I found the necessity for current evaluation to be changed into education and evaluation ‘of life and identity through works’ in a cognitive paradigm of cultural psychology, and offered narrative as an essential frame of literature and human basic thoughts. Narrative has significant meanings as the object, phenomenon and principle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can restore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s when based on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ased on narrative’ means that the layers of meanings of narrative involve the whole process of evaluation such as th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content and methods. Thus, I examined experience, imagination, the mechanism and aspect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n the premises of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life, experience, imagination as the properties of literature and the source of narrative through narrative connection. I proposed a general, theoretical frame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ased on narrative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i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문학의 역할과 의의

        정선희(Jeung Sun hee)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현재 우리나라의 각 대학의 교양 과목들을 살펴보면 인문교양이라고 할 수 있는 철학, 역사학, 문학과 관련된 과목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양 과목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융합적 인재 양성, 통섭, 창조성 등을 논할 때에 늘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인문 교양이면서도 그 실제적 교육의 면은 아직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인문교양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의 고전문학이다. 주지하다시피 고전문학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민족에게 가치 있다고 여겨지면서 계승되어온 작품들이기에 우리의 사상, 미학, 생각과 생활이 모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옛 문인, 사상가들이 정제된 문체와 논리적인 구성으로 깊이 있는 사상이나 문학적인 감수성을 다채롭게 표현해낸 작품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 하고 교육되지도 않은 채로 국문학과의 전공과목으로만 교육된다면, 우리의 고전문학은 더 이상 문학으로 감상되거나 후대로 계승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에서의 고전문학 교육은 대체로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었기에 요점만 간단히 알고 있거나 그나마 알고 있는 작품의 종류나 수도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읽고 감상하면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현재적인 텍스트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을 고민할 시점이다. 이에 인문교양교육에서 기초가 되는 읽기ㆍ말하기ㆍ쓰기 교육에서 고전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먼저 생각해 보고, 다음으로는 우리 문학의 전통과 통시성을 교육하는 방안을, 더 나아가 현대문학과 문화예술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면서 창작을 교육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인문교양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독서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실용적ㆍ도구적 의미에서의 글쓰기 강좌에서 한걸음 나아가 독서와 토론과 유사한 과목들이 많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과목들의 독서의 대상으로 한국의 고전소설이 채택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고전소설에는 다양한 개성의 인물들이 등장하므로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서사 내의 갈등 양상은 예나 지금이나 보편적으로 있을 수 있는 것들이기에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소설에 형상화된 옛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가치관은 현대문학이나 사회학, 신문방송학, 외국 문학 등의 교과목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고전문학을 통해 말하기와 글쓰기 방식을 교육하는 방법은 글쓰기나 논술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 교육 제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고전소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활용된다면 인문교양교육이 정상화되어 대학생들이 다양한 지적 활동과 학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읽기를 유도하여 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현대사회는 세계화되어 있지만 이런 시대일수록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일이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계승하는 일이다. 그럼에도 이제까지는 전통적 문화 자산을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교육하지 못하였기에, 이러한 논의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작품 독서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considering actual condition of human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suggesting using classical korean novels as solutions for its problems. That is, to discuss the role and meaning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o develop liberal arts that use classical korean novels. It is also to diverge from indicating classical korean novel just as one of major subjects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o consider ways to educate its various present values. I hope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literary tradition and identity of ethnic and to view korean culture variously through classical korean nove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se classical korean novels for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which is for cultivation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expression and the ability to reason. It is because classical korean novels are works that ancient writers and philosophers variously express thoughtful thoughts and literary sensitivity by a refined style and logical organization. Furthermore, with education that thematically connect classical korean novels and modern novels, students can diachronically experience korean literature, and by conceiving ideas and ways of remaking classical korean novels into modern poets, novels, movies and dramas, they can realize its contemporary values. The thesis of this manuscript is essential for invigoration and norma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hat can help students expand liberal art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l help set a found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mental and academic activities.

      • KCI등재

        특집 : 문학 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사

        윤대석 ( Dae Seok 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문학사 교육의 위상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문학사 교육 탈구축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사의 탈구축 작업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국어과 교육 과정은 문학사 교육을 국민 교육의 장으로 삼았으나 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문학사적 지식은 독립적인 지식과 개별 작품들을 통합하는 지식의 역할을 할수 없게 되었다.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과 해석을 이끌어 내는 방향으로 전환한 문학 교육은‘복수의 문학사’를 제재를 통해 구성하였기에, 단일하고 평면적인 해석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민족 문학사와 괴리되었다. 그 때문에 문학사적 지식은 고전과 현대의 상호텍스트성을 지시하는 전통의 연속성과 민족 문학의 정전을 부각시키는 한국 문학의 범위에 관한 지식으로 축소되었다. 이러한 문학사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문학 교육학계에서는 문학사 교육의 목표를 지식 습득보다는 지식과 능력이 결합된 안목의 획득으로 재설정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통합적이고 관계적인 문학사적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문학사교육을 갱신하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고정된 실체로서의 민족 문학사를 해체하고 복수의 문학사를 도입하거나 그 복수의 문학사를 토대로 자신만의 소문자의 문학사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또한 문학 연구 영역의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문화사적 문학사를 서술하자는 제안도 제출되었다. 이러한 민족 문학사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문학사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문학사 교육은 정치적 장이자 비평적 장으로서 문학사를 새롭게 탈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hang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describe the efforts to deconstruct it.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was used as a main tool to imagine the national community and raise the feeling of national unification. But it ceases to be the knowledge which controls the interpretation of each texts, as in 1990’s Korean education changed it’s points to learner itself. Literary education which was changed to drag out the various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learners can not coexist th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hich produces only the unified and plat interpretation. In this phase the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egan. The aim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as reset as gaining an appreciative eye for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 united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as deconstructed to plural histories of literature and small-letter histories of learners themselves. And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write the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which reflect the recent achievement in literary studies.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can be consisted of cultural histories and micro histori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김나림 ( Kim Na-rim ),김지영 ( Kim Ji-yo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예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18명의 예비유아교사이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 변량분석 및 Scheffe 사후분석, Pearson 상관분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은 ``보통``보다는 높은 편으로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습경험이 있고, 문학교육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예비교사가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은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교육기관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문학교육과정이 제공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used modified tool for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The tool for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was also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independent t-test, One-way-ANOVA, Scheffe post hoc 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and Cronbach`` a. The result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ly positive. The more experience, in registering for literature courses and practice the subjects had, the more positive aspects they were able to show. The higher the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subjects had the more positive aspects they were able to show. With regard to teaching efficacy, when subjects had more practical experience and higher interest, they showed high teaching efficacy. Thus,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literatur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been identified.

      • KCI등재

        해방 직후 초등 문학교육 담론의 형성과 특성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8

        이 연구에서는 해방 직후 출판된 초등 교육에 관한 담론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해방 직후 1947∼1948년 사이에 출판된 3권의 책에 나타난 초등 문학교육 담론의 검토함으로써 초기 초등교육 이론의 형성 맥락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각 담론에 나타나는 초등 교육의 목적과 역할, 문학 교육의 역할, 문학교육의 방법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방 직후 초등 문학의 문학적 담론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당시 자유주의 담론의 영향으로 ‘활동으로서의 문학관’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학 담론은 문학교육에 영향을 미쳐 감상과 경험, 해석에 대한 문학 학습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유주의 담론이 국어교육에서 교육 방법 차원에서 영향을 미치고, 내용 차원에서는 민족주의 계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이번 분석을 통해 자유주의 담론이 교수학습 방법뿐 아니라 국어교육의 내용 및 하위영역 구성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딜타이(Dilthey)의 이론이 해석과 체험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생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해석 및 체험에 대한 문학교육에서의 담론화 양상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탐색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the discourses related to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relatively shortly after liberation. Through the review of the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ree books publish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1947∼1948),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heory of early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is traced. The purpose and role of elemen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main problem of elementary education, the role of literary education, and the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discourse of elementary literature were extract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iterature as an activity’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were positively accepted under the influence of liberal discourse at that tim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literary discourse emphasized literary learning centering on appreciation and experienc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liberal discourse has influenced the way Korean education is taught. However, as a result of the literary discourse of elementary literatur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discourse of liberalism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teaching method of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Dilthey’s theory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and methods of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earch for acceptance, interpretation and experience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subsequ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