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전춘별사>와 고전문학교육의 관계항 탐색

        최홍원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1 No.-

        이 연구는 미래 사회의 환경과 문학 조건의 변화 속에서 고전문학 교육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고전문학 교육의 인식과 관점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교육 범주와 심급을 설계하고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것에서 문제의 해법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와 과제에 따라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를 연구 자료로 설정하고 고전문학생활사에서 방법론을 마련하였다. 이는 그동안 교육의 장애물로 작동하였던 <만전춘별사>의 국문학적 쟁점과 이견이 오히려 미래 교육에서 의미있는 자질과 특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다.

      • KCI등재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최홍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2

        This study is planned as a part of discussion about literat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It aims at seeking for perspectives for plans of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heterogeneity of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Approaches toward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are examined carefully through revised curriculums and textbooks in North Korea. Also, above all, after analyzing literature curriculums of North Korea, three characteristics are drawn as flows. Aspects of aims and objectives : unchanged political subordination and sprouts into the essence of literature Aspects of areas and organization : disappeared literature area and integrated literature-driven organization Aspect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 central control and biased political thought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Korean Literature』 of North Korea, I find out both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modern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in the aspect of contents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ies. As considerable differences and gaps as well as common elements are discovered through analyzing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it is time to shift educational points of view from exiting traditional democracy to cross-culturalism. Based on the shift, people should recognize the true nature of ethnic homogeneity and cultural heterogeneity in the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and need to develop a new curriculum in the contention. At this point, a transformation approach can be a specific method in the plan and development. 이 연구는 통일을 대비한 문학교육 논의의 일환에서 기획된 것으로, 남북한 문학교육의 이질성에 주목하여 통일 문학교육의 기획과 설계를 위한 시각과 관점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개정된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문학교육의 실태와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통일 문학교육에 대한 접근 시각을 점검하고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의 문학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세 특질을 도출하였다. 1. 목적과 목표의 측면: 여전한 정치적 예속과 문학의 본질로의 맹아 2. 영역과 구성의 측면: 문학 영역의 배제와 문학 중심의 통합적 구성 3.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의 측면: 중앙 통제와 정치사상으로의 경도 다음으로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와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현대문학, 고전문학과 세계문학 교육이 동질성과 이질성을 동시에 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남북한 문학교육간의 공통된 요소 못지않게 상당한 차이와 간극을 확인하였다면, 기존의 민족주의에서 상호문화주의로 교육적 시각을 전환할 것이 요청된다. 이러한 전환을 바탕으로 민족적 동질성과 문화적 이질성의 실체를 동시에 인정하고 이들의 길항 속에서 새로운 통일 문학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며, 변혁적 접근법은 이러한 설계와 개발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삶의 문제와 가치 실현으로서 가객 시조의 문학교육적 탐구 ㅡ 김천택의 시조를 대상으로

        최홍원 한국시조학회 2024 시조학논총 Vol.60 No.-

        이 연구는 가객 시조에 대한 이해가 조선 후기 문학사와 연결된 거시적 담론에 압도된 나머지, 정작 문학이 현실의 문제 사태에 대한 주체의 가치 실현이라는 공리를 간과하고 있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객 시조의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탐색하고 교육 내용을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로 김천택의 시조 작품을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김천택 시조의 작품 세계가 지닌 다기성을 살피고, 문학사에 경도된 교육의 국면을 추적함으로써 그동안 가객 시조에 대한 이해와 접근이 편향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삶의 문제에 대한 주체의 가치 실현이라는 관점을 마련하여, 문학의 의미와 효용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객 시조의 다기성은 삶의 조건에서 비롯되는 갈등을 해결하는 상이한 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표현동기와 전달동기의 측면에서 양상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이에 따라 3장에서는 삶의 문제에 대한 가객 시조의 대응 양상을 ‘갈등의 드러냄과 언어적 해결’, ‘갈등의 숨김과 동경 세계의 구축’, ‘청중의 욕망과 가치의 실현’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문학사와 작자에 경도된 기존의 문학교육론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문학 활동으로서 새로운 교육 내용을 탐구하였다. 삶의 문제와 주체의 가치 실현은 가객 시조와 국어/문학 능력을 연결하고 매개하는 관점으로 기능하여 ‘문학의 본질’, ‘문학의 기능’, ‘문학에 대한 태도’의 교육을 새롭게 제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flection that the understanding of Gagaek Sijo [歌客 時調] is so overwhelmed by the macro discourse connected to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朝鮮] that it overlooks the axiom that literature is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of the subject in response to problems in reality. Based on this critical awarenes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newly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of Gagaek Sijo and suggest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purpose, Kim Cheon-taek’s [金天澤] Sijo [時調] work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Section 2 examines the multiplicity of Kim Cheon-taek’s [金天澤] world of Sijo [時調] and traces the phases of education focused on literary history, confirming that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Gagaek Sijo [歌客 時調] has been bias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 and utility of literature by establishing a perspective of realizing the subject’s values regarding life’s problems. From this perspective, the multiplicity of Gagaek Sijo [歌客 時調] was seen as originating from different ways of resolving conflicts arising from life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life and features of value realizatio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 terms of motivation for expression and transmission. Accordingly, in Section 3, the responses of Gagaek Sijo [歌客 時調] to the problems of life are derived as “revealing and verbally resolving conflict,” “hiding conflict and constructing a world of longing,” and “realizing the audience’s desires and values.” Through this exploration, it is possible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theory focused on literary history and authors and propose new educational content as a learner-centered literary activity.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s value for life’s problems operates from a perspective that connects and mediates Gagaek Sijo [歌客 時調] and Korean language/literature skills, and based on this, education of “the essence of literature," “function of literature,” and “attitude toward literature” is provided.

      • 해석과 수용의 거리와 접점 - 이조년의 시조를 대상으로 -

        최홍원 개신어문학회 2012 개신어문연구 Vol.0 No.35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importance of reception through discrepancies between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At the same time, I want to suggest how interpretation should play the role in the process the learner appreciates the work in general. Lee Jonyeon(李兆年)’s Sijo functions as the materials to show the various facets of aspects of reception historically because the work has shown the complex appearances of reception for a long time. That’s because the meaning of the text is not fixed on only one. Rather, it always comes with a new meaning. Also, it is accepted as various dimensions in that. More specifically, I historically took a look at the appearances of reception and awarenes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rough Shin Wi(申緯)’s 『Soakbu(小樂府)』 and then reviewed the context of containing of Lee Jonyeon’s Sijo targeting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I progressed analysing the outcomes of the appreciation by contemporary readers. Based on the study, I confirmed that the ambiguity of emotion which is turned out in the work falls into the task which the learner should construct and accordingly the positive constructing of meaning should be emphasized. In addition, I proposed that the experience of another dimension which goes beyond the cognition horizon of the subject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o get over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s dimension. Therefore, I demand that adequate materials and theory should be provid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readers and the process that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result in collision and competition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reception.

      • 매체 개념과 국어교육의 가능성 연구

        최홍원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2005 先淸語文 Vol.33 No.-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Furthermore, through it, I want to look for the way of media education in future and the potenti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seeking expansion of horizon and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media because it can be power to view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new one with concept and system unlike before. First of all, in this, the concept of media is defined as a medium which enables people to transmit meaning and consists of spoken, written and electron means. This definition lets us se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point of media. In addition, the idea that media affect thought of human beings beyond means of expression suggests that we view things culturally. According to it, it can be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come laying stress mainly on written media. Media can propose a new vision for systemat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stablishing scopes which are made up of viewing and representing. Besides, it is expected that we can form productive subjects through prismatic perceptions about language. However, there are actual problems in developing contents of electron media education: effect of techniques, changing rate of advent and decline, interruption of things the outside of language and so on. After all, it means that we should follow principle education based on the property rather than manuals about concrete realization, As one example of this possibility, in this study, the work whose target is to find out attribute and meaning of media has been proceeded based on the Roman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 KCI등재

        시조 ‘3장 6구’와 ‘종장 첫 구’의공서(共棲)와 시조 연구의 과제 —시조 형식론과 율격론을 다시 살피다—

        최홍원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This study aims at focussing on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scope and object of the terms about ‘three Jang six Gu[3章6句]’ and ‘the first Gu of Jongjang[終章1句]’, which are the key concepts to account for the fixed form of Sijo[時調]. I set a goal to solve the problem by tracing the historical origi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materials of the Sijo[時 調] study of the beginning stage, I clarify that the ‘first Gu of Jongjang [終章1句]’ is a meter unit based on syllabic meter of three letters while the Gu[句] of ‘three Jang six Gu[3章6句]’ is a unit to have one meaning. I arrive at a conclusion that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Gu[句] concepts in Sijo[時調], for example, six Gu[6句], twelve Gu[12句], and eight Gu[8 句], and they are derived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awareness one another. I try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distinguishing meters and units of meaning by adding terms and concepts like foot, Madi and Tomak, in addition to existing Gu[句]. I conclude that new understanding is needed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meters because the first Madi of Jongjang [終章] functions as the essence of Sijo esthetics. I especially pay attention to the truth that the first Madi of Jongjang[終章] applies to an independent Jang in Kagok-chang[歌曲唱] and look into the effect and function in the meaning dimension. Accordingly, I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an attempt to explain the esthetic effect of the first Madi of Jongjang as a new perspective and concept like Kagok-chang[歌曲唱]. I hope that this study might examine and criticize the outcome of the Sijo research academically which was conventionally accepted and kept for the most part in the meanwhile and could be a little chance to be embodied to appropriate theories and terms about the explanations of Sijo[時調] which were stated in the abstract and normative dimension. 이 연구는 시조의 정형성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두 개념, ‘3장 6구’와 ‘종장첫 구’가 공서(共棲)되어 구가 가리키는 범위에 차이가 존재하는 점에서 출발하여, 문제의 역사적 연원을 추적하고 그동안의 해결 방안과 대안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조 형식론과 율격론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용어 사용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는소극적인 차원 혹은 과거 연구사의 복원과 재구에서 벗어나, 현상의 저층에가로놓여 있는 시조 형식론과 율격론을 다시 들추어내고 이에 대한 새로운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우선 초창기 시조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3장 6구’에서 구가 하나의 의미 내용을 가진 의미적 단위인데 반해, ‘종장 첫 구’의 경우 3자의 자수율에 따른 율격적 단위에 해당하는 것임을 살폈다. 6구, 12구, 8구와같이 시조에서 구 개념이 다양하게 존재하였고, 이들이 서로 다른 배경과 인식 속에서 배태된 것임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그동안 구 이외에 절, 음보, 마디, 토막과 같은 용어와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율격과 의미 단위의 변별을 통한 문제 해결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단순히 용어의 변별과 교체를 제안하는데 그치지 않고, 종장의 첫 마디가 시조 미학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는 만큼 율격적 특질을 넘어선 새로운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특히 종장의 첫 마디가 가곡창에서는 독립된 하나의 장에 해당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율격뿐만 아니라 의미 국면에서의 효과와 기능도 살폈다. 이에 따라 종장의 첫 마디는 율격적 단위이면서 의미적 기능도 갖는만큼, 새로운 관점과 개념으로 미학적 효과를 설명하는 시도가 뒤따라야 함을 촉구하였다. 이로써 그동안 상당 부분 관습적으로 수용, 답습되었던 시조 연구의 성과를 학문적으로 점검하고 재검토하며, 추상적‧당위적 차원에서 진술되었던 시조의 설명을 엄정하고 적확한 이론과 용어로 구체화하는 작은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주세붕 <오륜가>의 표현 전략 연구 -교훈시조 작품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홍원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4 No.-

        This study aims at probing Ju Sebung’s Oryunga from the viewpoint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uniformity of the contents and conveyance about didactic sijo for a long time and its literary value has been underestimated. Thus, the objective is looking at its meaning with fresh eyes from the perspective of message and persuasion. Such critical minds give rise to the expression strategy and effects as follows. Those are 1) the effect of figuration and materializ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characters, 2) the effect of appropriateness and justification of opinions through negative assumption, and 3) the effect of getting rid of repulsion and euphemistic voice expression through making use of various endings. As mentioned above, Ju Sebung’s Oryunga shows a variety of expression strategies in the worries about audiences and sijo genre. Accordingly, it boosts the effect of conveyance and persuasion. It is time to reconsider its meaning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n that it carries out a role to bear various expression strategies and methods of didactic si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