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조현재 한국미래교육학회 2016 미래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된 무기력, 자아탄력성, 진로적응성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된 무기 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생 2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된 무기력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요인 중 수동성, 통제성, 지속결여, 과시결여가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낮았다. 둘째, 학습된 무기력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요인중 수동성, 과시결여, 책임결여가 높을 수록 자아탄력성이 낮았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사고, 문제해결, 친밀행동, 자율행동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았다. 넷째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 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과 자아탄력성 진로적응성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냄으 로써 향후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ego resilience, career adaptability. the survey data from 296 university students was collected.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d helplessness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Among learned helplessness‘ sub-variables, passivity, control, endure deficit, display deficit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Second, learned helplessness influenced ego resilience. Among learned helplessness’s sub-variables, passivity, display deficit, responsibility deficit significantly influenced ego resilience. Third ego resilience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Among ego resilience‘s sub-variables, posi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intimacy behavior, autonomy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Forth ego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tudy result reveal the importance of ego resilience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adaptability.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s.

      •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영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경기교육논총 Vol.5 No.-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된 무기력을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인 Seligman (1975)온 통제불능의 경험이 학습된 무기력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신의 반응과 이 반응에 대한 강화가 무관적임을 학습하거나 무관적일 것으로 기대하는 데에서 발생하였음을 입증해 주었다. 이와 같이 학습된 무기력은 우리사회 구성원들의 자아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설명하는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즉 무기력한 개인들은 어떤 일에 대해 스스로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신념을 발달시키기 때문에 수동성을 증가시키고 미래에 대한 기대와 동기를 감소시켜 수행능력이 저하되어 심리적 장애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개인이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무기력 증상에 저항할 수 있는 면역성을 갖는 것은 미래지향적인 현대사회에서의 건강한 삶의 질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 부딪치더라도 쉽게 포기하지 않고 통제력을 재정립하여 무기력에 대처하는 강인한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첫째 개인으로 하여금 성공과 실패에 대한 적절한 통제력을 사회화과정에서 경험하게 하여 통제 불가능한 무기력 상황에서도 "나는 결과를 통제 할 수 있다"는 신념을 발달시켜 무기력증상을 탈피하는 면역성을 길러야하며, 둘째 개인은 무기력 증상을 경감시키는 「목표를 향한 적극성, 성취욕구, 자신감, 칠전팔기의 정신력, 포부와 야망」의 특성들을 개발시켜 무기력에 저항하는 면역효과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무기력에 대한 면역효과률 가짐으로써 개인이 심리적으로 위축되지 않고 건강한 자아성장을 하게하는 것은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앞으로 무기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특성을 연구, 개발하고, 동시에 학습된 무기력을 치료하기 위한 구체적인 치료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성향 관계 분석

        박수현,김성훈,이안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에 따른 귀인성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연구 결과를 토대로 질적연구를 실시하는 통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양적연구를 위한 K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 372명(남230, 여142)과 그 중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높은 학생 4명(남2, 여2)을 질적연구의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먼저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성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질적연구는 8주간 주 2회의 수업 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보다 높은 외적 귀인성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나타나게 하는 내적요인으로는 운동기능, 성격, 과거 운동 경험, 체육교과 인식이 나타났으며, 외적요인으로는 수업환경, 수업 운영방식, 동료와의 상호작용,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학습된 무기력이 높은 학생들의 특징으로 남학생들은 산만함, 눈치보기, 여학생들은 외모의식, 친구 따라 하기 모습이 나타났다.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의무적 참여, 수업이탈의 모습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생들의 체육수업에서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성향이 많은 영향을 미치며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교육상황에서 교사들이 학습된 무기력을 가진 학생들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귀인으로 변화를 유도하여 무기력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ers' learned helplessness and their attribution tendenc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examined the student's character of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This study conducted integrated research adding qualitative research to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72 students (male: 230, female: 142) in their first grade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K city. Among them, four students (male: 2, female:2) showed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when observed as participants of qualitative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it was appeared that the students with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had greater external attribute tendencies than students with low level learned helplessnes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the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former's helpless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motor function, personality, past sports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As for external factors, class environment, class operating method, and interaction with peers a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found to influence the former's passiv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respect to the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students' behavior features, male students showed a loose attitude and tried to rea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ace. The female students were aware of their appearance, and tried to copy other friends' actions. Common features were mandatory participation and class deviation.

      • 학습된 무기력과 우울증에 관한 연구

        우종하(Woo Jong Ha)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교육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과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Seligman은 실험실에서 실시한 개 실험에서 무기력이 학습됨을 증명하였으며, 무기력을 학습한 개는 어떤 시도도 포기하였다. Seligman은 동물의 학습된 무기력이 인간의 우울증과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학습된 무기력은 심한 절망감을 불러일으켜 그것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우울증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방 및 치료법으로는 인지 재구성, 귀인 재훈련, 인지적 모델링, 인지적-행동수정, 교사의 학생에 대한 무조건의 긍정적 배려 등을 들 수 있다. The field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epression has exploded over the past decade. A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depression has been proposed by Seligman. His ideas are based on laboratory experiments in which animals are taught that they are helpless to do anything about a stressful situation. The learned help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suggests that people most prone to depression are those whose lives have been filled with situations in which they were unable to obtain gratification or avoid pain by their own action. Failure in school usually signifies that the person’s efforts have been in vain; his responses have failed to bring about the desired gratification. Physical disease or aging produce helplessness by their very nature. Successful treatment often depends on getting the individual to realize that his own responses can be instrumental in obtaining gratification. The techniques suggested here are some examples of therapy for the phenomenon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epression; there is Ellis’s rational-emotive therapy, cognitive modeling, cognitive-behavioral modification, attribution-retraining, and conditioning. Most of today’s teachers go far beyond the limited number of techniques and strategies usually associated with a single theory in their school settings.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잠재프로파일 : 영향요인 탐색 및 집단별 특성 차이

        우연경 ( Woo Yeon-kyoung ),노언경 ( No Unkyu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패널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구성요인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후, 개인 및 환경 변인이 학습된 무기력 유형 분류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탐색하고, 무기력 유형에 따라 인지, 정서, 행동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학습된 무기력의 구성요인인 통제신념 결여,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 능동수행 결여를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의욕 집단(23.7%), 무기력 평균 집단(47.9%), 무기력 상 집단(24.7%), 무기력 상-동기결여 집단(3.7%)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성별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양육태도 중 자율성지지, 강요가 학습된 무기력의 잠재프로파일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부모의 강요가 낮을수록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낮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습된 무기력 유형에 따라 인지, 정서, 행동적인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기력을 높게 경험하는 집단이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보이며, 주의집중 어려움을 크게 경험하고,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며,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과 교사와 진로에 대한 대화 빈도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된 무기력 해소를 위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arned helplessness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whether individual and social variables predict profile membership.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factors of learned helplessness: loss of control, loss of motivation, loss of positive emotion, loss of performance. First, results yielded four latent profiles, characterized as Motivated group (23.7%), Average Helplessness group (47.9%), High Helplessness group (24.7%), and High Helplessness - Low Motivation group (3.7%). Second, several factors predicted membership in the latent groups. Students with higher efficacy in learning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a lower level of helplessness group. And, the higher autonomy supportive the parenting attitudes are, the more likely students are to belong to a lower level of helplessness group.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profiles for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Students who were on high helplessness - low motivation profile showed the lowest levels of achievement and attention, learning time and frequency about career path with teacher.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helplessness grounded by four distinct latent profiles. Implications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learned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 드러난 마츠코의 자기서사와 쇼의 무기력증 극복 과정

        노진희(Roh, Jin-he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3 No.-

        영화 <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은 무기력증에 빠진 쇼가 아버지의 부탁으로, 죽은 마츠코 고모의 집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마츠코의 인생을 따라 가며 보고 느낀 과정을 다룬 영화이다. 따라서 다음의 논의에서는 이를 쇼가 자신의 무기력증을 극복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이유는 남들로부터 혐오스러운 인생이었다며 손가락질 당했던 마츠코의 인생은 사실은 그렇지가 않았고,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과도 같은 경지에 이르렀던 인생이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쇼는 자신의 인생도 마츠코와 마찬가지로 마음대로 되는 것은 없지만 실패한 것이 아니며, 인생을 가치 있게 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누군가에게 무엇을 주었는가가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쇼의 무기력함은 극복된 것이다. 그런데 앞에 마츠코의 일생과 쇼의 무기력증 극복 과정을 단계화 시켜 살핀 논의는 다음과 같이 다시 정리할 수 있다. ‘마츠코의 아파트를 정리해달 라는 부탁을 받는 단계, 일방적으로 마츠코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마츠코에 인생을 능동적으로 들여다보는 단계, 마츠코의 자기서사를 파악하는 단계, 마츠코가 집을 나갔던 그 순간으로 돌아가게 하는 단계’는 무기력증 환자의 치료과정으로 환원시키면 ‘무기력증 환자를 움직이도록 추동하는 단계, 무기력증 환자가 증상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사를 주입하는 단계, 무기력증 환자가 능동적으로 서사에 몰입하는 단계, 무기력증 환자가 서사를 이해하며 완성화시키는 단계, 무기력증 환자가 자기서사를 변화시키는 단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동안 무기력증 환자는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을 고립시키는 것으로부터 탈피해 자신의 삶에 의미와 생기를 되찾게 될 것이라고 본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nquesting the Show" Apathy syndrome in the film <Memory of Matsuko>. First, I examined about The epic of self of the Matsuko. This becomes known when human relation Matsuko in the center. Second, I examined the process of overcoming Show"s Apathy syndrome. It solved from the process which sees lifetime of Matsuko. The show realizes the value of life of the Matsuko from this process. And makes the value of life of oneself think again. This paper is able to overcome the weapon power symptoms observed there.

      • KCI등재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 ( Jee Young You ),김춘경 ( Choon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809명이었고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 통계처리프로그램으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간의 Pearson 상관계수,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은 학습된 무기력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은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친구관계, 활력성, 감정통제는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변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신감과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활력성, 친구관계가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변인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높아서 다양한 정서, 행동적 문제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나 상담사에게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resilience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809 4th~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earned-helplessness, self-efficacy, self-resilience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The data analyzed by using frequence,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helplessness with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Second, Subordinate concept, confidence and efficacy of self-adjustment of self-efficacy have effects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ubordinate concept, relationship of friend, vitality, emotion-control of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th, Subordinate concept, confidence of self-efficacy and vitality, relationship of friend of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subordinate concept of learned-helples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creased by increasing self-efficacy, self-resilience to theaters and therapists. Finall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융합 연구

        위성욱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H대학교와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학습된 무기력 점수는 5점 중 2.55점(±.61)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통제력 결여’가 2.85점(±.44)으로 가장 높았고, 교우관계, 학업성적, 가족 간 협력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교우관계가 안 좋거나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 가족 간 협력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높았고,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ir learned helplessness. We have carried out research on 799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learned helplessness was 2.55 (±.61), Of the sub-domains, ‘lack of control' was the highest with 2.85 (±.44). And It was found that the helplessness was high in the case of poor fellowship,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poor family cooperation.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anagement to reduce the learned helplessness by developing differentiated program that can reduce the learned helplessness of university students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learned helplessness of university students.

      •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김재철(Kim, Jae Chul),문종길(Mun, Jong gil)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그것이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인문고 학생 704명이었고,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 다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의 원리를 활용하여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학습된 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지 보기 위해 학업성취 수준(학업성취 하, 학업성취 상)에 대한 경로계수 동일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전체 분산의 54.1% 설명하고 있었고,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학업성취 상 등급의 영향력이 학업성취 하 등급의 영향력 보다 더 컸고, 학업성취 상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반면, 학업성취 하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중에서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이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이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귀인성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is a survey data of 704 high school students in P and I city during from July 10 to July 18, in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v20 and Amos v20. Major findings are follows. First,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earned helplessness. A total 54% of variance in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Second, Th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But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low,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 KCI등재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문은식(Ehun Shik Moon),배정희(Jung Hee Ba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련되는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의 구조적 관계 양상이 남고생과 여고생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강원도의 12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54명(남 518명, 여 336명)에게 인간관계, 학습사,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패귀인,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에 의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남고생은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들이 10개의 경로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들 관련변인들의 학습된 무기력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16%로 나타났다. 반면 여고생은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들이 10개의 경로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들 관련변인들의 학습된 무기력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13%로 나타났다. 둘째, 남고생과 여고생 모두 부모관계가 학습된 무기력에 직접적인 효과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동기를 통해 간접적인 효과를 주었고, 교사관계 및 학습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간접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남고생의 사회적 변인(부모, 교사, 친구관계)과 학습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조절동기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여고생의 사회적 변인(부모, 교사관계)과 학습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조절동기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부적으로 간접적인 효과를 준다는 점에서 성별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고생의 실패귀인은 사회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지만, 남고생의 실패귀인은 어떠한 효과도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social-motivational variables, and learned helplessness in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54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518 boys and 336 girls sampled from 12 high schools in Kangwon province, Korea.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Scale, Failure Attribution Scale, Self-Determined Motivation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Learned Helplessness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boy high school students, the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motivational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via 10 pathways, and their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eaned helplessness was 16%. On the other hand, for the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motivational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via 10 pathways, and their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eaned helplessness was 13%. Second, in both of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via academic self-efficacy. Finally, for the boy high school students, their social variables (relationship to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nd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learned helplessness via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whereas for the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ir social variables(relationship to parents and teachers) and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attributional belief for academic fail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