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末 遼東政局과 朝鮮

        남의현(Nam Eui-Hy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명 후기 遼東政局의 변화를 이해하는 문제는 명 왕조의 성격, 요동사회, 나아가 16-17세기 동아시아 질서 변화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매우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명 후기 요동정국의 중요한 주제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의 對外關係가 對明에서 對淸으로 전환되는 원인 분석의 틀과 연관시켜 보고자 하였다. 우선 후기 요동정국의 특징으로써 명의 몽골정책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명나라가 몽골의 알탄 칸과 馬市의 개설을 재개하여 변경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던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明·몽골관계는 후기 명나라 변방 군사력의 약화라는 약점을 가지고 시작했다는 의미에서 명 초기의 몽골관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곧 馬市의 재개는 명나라가 몽골과의 빈번한 전쟁에서 찾아오는 변방의 위기를 감소시키고 막대한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지출과 수요를 축소시키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선택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명나라의 이러한 선택은 북변정세, 나아가 명후기 요동정세마저 약화시키는 중요한 정책상의 한계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明의 女眞에 대한 정책 역시 한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밝혀보았다. 명초기에는 建州衛를 建州 3衛로 분리시키는 등 여진통제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누르하치 등장 이후 건주여진은 海西女眞을 통합하여 明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명 후기의 여진은 형식상으로 명나라의 羈?衛所와 같이 인식되었으나 실은 명이 통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성장하여 朝鮮에 군사를 파견하여 왜구를 섬멸하겠다고 공언할 정도였다. 이것은 곧 명나라가 초기부터 진행해온 여진정책의 한계를 분명히 보여준 것이고 오히려 건주여진이 요동의 대부분을 장악할 수 있다는 전주곡과 같은 것이었다. 명나라의 여진 통제의 실패, 몽골과 여진에 대한 마시의 개설 등은 명나라 변경에 대한 통제력의 약화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으로 명과 조선의 변경지대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더 이상 변경지대는 명의 관할이 될 수 없었으며 이는 변경지대에 대한 명 지배력의 상실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상황들은 동아시아 질서가 明에서 淸으로 그 중심이 변화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여진은 後金이 성립되는 시기(1608~1616) 를 전후하여 명을 압도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조선과 동등한 세력임을 자부하였으며, 명나라에 선전포고 하였다. 天命 4∼天命 11년(1619-1626)은 조선이 명과 후금 사이에서 고뇌하였지만 후금 중심으로 실리외교를 전개하던 시기로, 평가할 수 있으며, 天總 元年-順治元年(1627-1644)은 2차례의 전란으로 朝鮮·明관계가 朝鮮·淸 관계로 바뀌면서 불안정한 朝鮮·淸관계가 지속된 시기로, 순치연간 이후는 入關이 완료되고 淸이 내부적으로 안정을 찾으며 조선과 청의 관계가 정례화되고 비교적 안정을 찾아가는 시기로 정리할 수 있겠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era to understand nature of Ming Dynasty, Liaodong society and the essence of change of order in east Asia during the 16-17th centuries. This study explores several important topics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era, and examines their correlation with the cause of Joseon's diplomatic change, moving from Ming to Qing First, the background of Ming's effort to maintain stability and peace in the border area by re-opening the horse market to Altan Khan of Mongolia is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ing's policy towards Mongolia which character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era. Late Ming-Mongol relationship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earlier years in that military power of Ming in the border area in later years was weakened. It is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Ming's re-opening the horse market to Mongolia was to reduce the risk in the border area caused by frequent wars with Mongolia, and also reduce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needed to defend the excessively long borderline. Such a move of Ming, as a result, can be assessed as a significant political limitation that weakened their political position in the northern border as well as in Liaodong.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mitations of Ming's policy towards Jurchen. In early Ming era, Ming had control over Jurchen; for example, the division of Jianzhou wei(建州衛) into 3 wei(衛). But after the appearance of Nurhachi, Jianzhou Jurchen integrated Haixi Jurchen and grew into a power that became a threat to Ming. Jurchen in late Ming dynasty, which was nominally recognized as a vassal state. However, they had actually grown to be a power beyond Ming's control and declared that they would send the military forces to Joseon to annihilate the Japanese pirates. This was the prelude of Jianzhou Jurchen's hegemony in Liaodong and showed the limitation of Ming's policy against Jurchen right from the beginning. Ming's failure to control Jurchen and re-opening of the horse market to Mongolia and Jurchen directly showed weakening of Ming's power in the border area, and such weakening of Ming's power was also shown in the border line between Ming and Joseon. Ming was not dominating power in the border area any more and lost its control in the area. This kind of situation meant the center of east Asia had moved from Ming to Qing. During the establishment period of Later Jin (1608-1616), Jurchen was confident that they could overpower Ming and were equal to Joseon, and declared war against Ming. During the period of Tienming 4~11 years (1619-1626), Joseon was torn between Later Jin and Ming but slanted towards Later Jin and conducted pragmatic diplomacy.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year of Tienchomg and the first year of Sunchi (1627-1644), after 2 wars, Joseon got estranged from Ming and got closer to Qing and after Sunchi, Qing got more stabilized internally and the relatioship between Joseon and Qing became more formal and stabilized as well.

      • 문화재로 본 임진왜란 참전 명군(明軍) 비(碑) 고찰

        이수경(Lee, Su-Ky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5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명나라는 대규모 원병을 조선에 파견했다. 전쟁 중 많을 때는 약 10만 명의 명군이 조선에 주둔했는데, 대부분은 1598년 전쟁이 끝나고도 명군의 조선주둔은 계속되었다. 명군은 1600년(선조 33) 9월 명나라로 귀환했다. 임진왜란 참전 명군과 관련된 곳에 제단, 사당, 명군의 공덕비가 세워졌다. 특히 공덕비는 전란 직후 명군 스스로 전승기념 성격을 띠었다. 이러한 기념물은 일제강점기에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군 관련 유적들을 파괴하거나 파괴할 대상물로 삼았다. 그 중 몇몇 비석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본 글에서는 기왕의 연구와 더불어 더 체계적으로 명나라 장수의 비 실체를 파악하고자 한다. 비의 형태, 비를 세운 시기와 주체, 비문의 내용, 비가 수록된 조선시대의 사료, 일제강점기 철거될 비 현황 등을 파악하여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in 1592, the Ming Dynasty dispatched large-scale soldiers to Joseon. During the war, about 100,000 Ming Dynasty soldiers troops were stationed in Joseon, most of which continued to be stationed in Joseon even after the war ended in 1598. Ming Dynasty soldiers returned to the Ming Dynasty in September 1600. Altars, shrines, and memorial stones of Ming Dynasty soldiers were erected in places related to the veterans of the Imjin War. In particular, Gongdeokbi Monument took on the character of commemorating the transmission of Ming Dynasty soldiers himself shortly after the war. These monuments were targeted to destroy or destroy the remains of Ming Dynasty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Imjin War in Japanese colonial era. Some of the monument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attempts to more systematically grasp the non-realities of the Ming Dynasty s longev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ument were summarized by grasping the form of the monument, the time and subject of the monument, the contents of the epitaph,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ing the monument, and the status of the monument to be demolished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사물 소재 ‘銘’에 담긴 의미 연구

        김성훈(Kim Sung-Hoon)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銘은 무엇보다도 다양한 사물소재를 통해서 경계의 뜻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사물을 의인화하는 비유적 표현이 나타나는 작품이 많은데, 특히 소재로 사용되는 것들로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소재의 다양성’ 측면으로 말하자면 그 어느 문학 장르에도 뒤지지 않는 것이 ‘銘’이라는 한문학 장르이다. 그렇기 때문에 ‘銘’이라는 문학 장르에 담아낸 여러 작가들의 사물 소재 선택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특히 의인화 대상으로의 사물소재 역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의인화의 대상으로 삼은 사물로 책상, 걸상, 병풍, 의자, 이불, 장척, 술병, 벼루, 빗, 거울, 옷걸이, 솥 등 매우 다양하다. 필자는 ‘銘’을 연구 대상으로 하되, 작가들이 이러한 다양한 사물들을 소재로 취택하여 ‘銘’을 지은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물론 사물을 소재로 취택한 양상이 어떤 문학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지 반문할 수도 있겠는데, 주지하듯 사물을 소재로 한 여타 장르의 작품들이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한시에서의 사물소재는 영물시의 한 편린으로만 존재하고 있고, 작가의 개별적 상황 등에서 사물을 소재화 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별도의 장르적 의의를 추출하기는 곤란하다. 이에 비해 사물소재 ‘銘’은 창작 동기와 작가가 특정 사물을 대하는 인식이 비교적 분명하며, 마음속에 각인하여 실천으로 옮기는 효용 측면에서 볼 때 특별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물소재 ‘銘’ 작품들은 비교적 미의식이 일정하고 공통적인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는 곧 장르적 변별성으로 나타난다. ‘銘’의 특징은 무엇보다 교훈과 반성 그리고 경계이다. 이런 내용이 일견 딱딱한 훈계만으로 끝나지 않는 이유는, 간결미와 균제미가 나타난 되도록 짧고 간략하면서도 폐부를 찌르는 교훈이 담긴 것이며 무엇보다 실천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文과 行의 융합 미학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작가들이 특정 사물 소재를 취택한 양상이 명확히 드러나게 된다. Myeong means border by using various kinds of materials. Myeong means border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Many works personifies materials to be all of materials that are used to be materials. Myeong of Chinese literature has variety of the material than any other literature genre. So, selection of materials of many writers is thought to be very much meaningful. Personification of materials can be various, for instance, desk, chair, folding screen, bedclothes, Jangcheok, bottle, ink stone, comb, mirror, clothes hanger and pot. The author researched Myeong to select various kinds of objects and to select various kinds of materials and to examine shape of Myeong. Of course, selection of objects may have literary value, and other genre of works may have material of object. For instance, material of Chinese literature can be a part of Yeongmulsi to materialize objects under author s situation. Sorting of genre value is difficult. Myeong of the object cognizes not only motives of creation but also cognition on specific objects. Myeong works with object material have constant aesthetic consciousness to be common and to discriminate genre. Myeong has lesson, reflection and border. Such content does not finish with admonish because of concise, symmetry, lesson, short and brief. In a word, Myeong is said to be fusion aesthetics of Mun and Haeng. Authors have selected object material clearly.

      • KCI등재

        조선 후기 科文選集 『儷林』을 통해 본 科試 문체로서의 銘

        이미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4 고전과 해석 Vol.42 No.-

        본고는 조선 후기 科文選集 『儷林』을 소개하고, 이 자료의 가치와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그간 소략했던 과시 문체로서 銘에 대한 연구를 축적하고, 순조 대에 특히 출제 비중이 높아진 銘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과시 관련 자료 255종 중에서 銘이 실린 과문선집은 4종이며, 그중에서도 『儷林』(건/곤)은 비율상 ‘銘 선집’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정기 및 비정기 시험․월과․응제 등 방대한 분량의 銘 답안을 시기와 성적순으로 기재했다. 또한, 과시에서 자주 출제되었던 科文六體(사서의․오경의․시․부․표․책)를 제외한 과시 답안을 위주로 실었다는 점에서 보기 드문 과문선집이다. 『儷林』은 두 가지 면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첫째, 국가의 명으로 각종 시험에 제출된 답안을 종합적으로 모은 『臨軒功令』(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11437)과 함께 정조~순조 대에 출제된 銘을 시기적 공백 없이 재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儷林』이 1776년부터 1828년까지 銘 답안을 실었다면, 『臨軒功令』은 1785년부터 1875년까지 명 답안을 실었고 1776~1784년, 1800~1816년의 공백이 있다. 두 문헌을 아울러 살펴본다면 조선 후기 과시 문체로서 명 창작의 실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시험 대비에 효율적인 구성과 편집을 한 조선 후기 과문 참고서의 사례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儷林』은 시기별로 어떤 시제가 출제되었는지 볼 수 있도록 짝․홀수 면 맨 끝에 시험 정보와 성적, 급제자 정보를 적었다. 또한 답안이 한 면에 다 담기 어려운 분량이면 과감히 명 부분을 생략하거나, 일부만 실었다. 이처럼 『儷林』은 엄정성면에서 다소 한계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것 자체가 이 문헌의 제작 목적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儷林』에 대한 소개와 자료적 가치를 통해 순조 대 명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순조 대 명은 건물명 관련 이미지를 통해 왕의 은사를 강조하는 내용이 많았다. 다양한 장소와 건물을 명 시제로 출제한 정조대와는 달리, 순조 대에는 왕이 주로 활동했던 창덕궁과 창경궁 안 건물명으로 시제가 한정되어 있었다. 이는 곧 왕권의 강화와 수험생에게 내리는 은사를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1811년 10~12월에는 특이하게도 의장기와 관련된 시제가 중복 출제되는데, 당대 흉년과 재변으로 인해 불안정한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조정의 노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Late Joseon Dynasty Gwamun collection 『Reolim(儷林)』, and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material. Through this, we will accumulate research on Myung(銘) as a literary style and tr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yung, whose use in examinations increased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Among the 255 types of Joseon civil service exam-related materials stored in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there are a total of 4 types of materials containing the Myung. Among them, 『Reolim』 can be said to be a ‘Gwamun Collection’ in terms of its proportion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answers to regular and irregular exams, listed in order of time and grade. In addition, it is a rare gwamun collection in that it mainly contains answers excluding the ‘Gwamun of Six Types’ that were often asked in exams. 『Reolim』 has material value in two aspects. First, with the 『Imheongongnyeong(臨軒功令)』, which i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answers submitted to various exams at the command of the state,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questions asked during the reigns of King Jeongjo and King Sunjo without any gaps in time. Second, it shows an example of an exam reference book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as efficiently structured and edited for exam prepar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yung of King Sunjo’s reign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material value of 『Reolim』, many of the Myungs of King Sunjo’s reign emphasized the king’s favor through images related to the names of buildings. Unlik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which included questions on various places and buildings,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questions were limited to the names of buildings within Changdeokgung Palace and Changgyeonggung Palace, where the king mainly worked. It is presumed that this wa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emphasize the favor given to prospective officials. Additionally, from October to December 1811, unusually, questions with the title of the ceremonial flag were asked repeatedly. This can be regarded as an effort to calm public sentiment that was unstable due to poor harvests and disasters at the time.

      • KCI등재후보

        莊子哲學에서 命의 必然性과 循自然의 境地

        김현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문화 Vol.0 No.10

        중국 고대의 인류에게 命의 주체는 君이나 天과 같은 尊貴한 존재이며, 命의 의미는 그와 같이 존귀한 존재에 의한 命令이기에 거스를 수 없는 성격 또한 지니고 있다. 특히 殷商 시기의 帝와 관련하여 命 개념은 그 주체가 지닌 意志性 및 人格性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老子』와 『莊子』로 대표되는 선진 시기의 도가철학 가운데 특히 『장자』에는 命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노자와 마찬가지로 장자가 그의 철학에서 최고 개념으로 채택한 道는 意志性이나 人格性과는 무관하다.장자는 複合的․重層的 원인으로서의 사태들에 의해 必然性을 지닌 결과로의 이행을 ‘일이라고 하는 사태의 변함[事之變]’이라 드러내고 또한 이를 ‘命의 운행[命之行]’과 같다고 한다. 複合的․重層的 원인으로서의 사태들에 의해 必然性을 지닌 결과로의 이행은 人知로는 알 수 없고 人爲로 어찌할 수도 없다.『장자』에서 필연성의 의미를 드러내는 命의 용례 이외에 循自然의 의미를 드러내는 命의 용례는 특히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즉 「德充符」의 “常因自然”, 「應帝王」의 “順物自然”이 그것인데, 이는 『노자』의 “道法自然”과 연관이 깊다.필연성의 의미를 드러내는 命의 용례가 앎과 관련되어 언급되고 있다면, ‘循自然’의 의미를 드러내는 命의 용례는 境地와 더욱 연관이 깊다. 모든 현상을 일[事]의 변함이자 命의 운행으로 이해하는 태도는 개별 物의 차원에 얽매여 얻고 잃음에 대해 의식하고 그로 인해 기뻐하거나 슬퍼하는 것이 아니다. 개별의 物을 아우르면서 소통시키고 있는 道의 차원에서 얻고 잃음에 대한 의식을 초월하고 분별적 의식으로 인해 일어나는 감정 또한 끼어들 수 없는 존재가 지니는 境地이기 때문이다.장자는 人知로 알 수 없고 人爲로 어찌할 수 없는 命 혹은 命의 운행에 대해 편안해하는 安命의 工夫를 제시한다. 命은 어찌할 수 없는 필연에 의한 것이기에, 그것에 의해 마음을 어지럽힌다면 그 결과로 자기 자신은 물론, 타인과 나아가서는 만물에 이르기까지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이를 볼 때, 장자는 道를 최고 범주로 삼는 속에서 ‘命’ 개념을 통해 어찌할 수 없는 일[事]의 변함에 대해 無爲自然의 원칙으로 대응할 것을 요구하고, 나아가 循自然하는 境地에 도달할 것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朝鮮初期 朝?明 二重受職女眞人의 兩屬問題

        한성주 조선시대사학회 2007 朝鮮時代史學報 Vol.40 No.-

        A Study on the Jurchens who were dually appointed from both Chosun and Ming in the Early Chosun DynastyHan, Seong-joo 조선시대에는 북방의 여진에 대해 懷柔와 征伐을 위시한 强穩兩面의 羈策을 실시하여 국경지방의 소요를 억제하는 한편 4군 6진을 설치하여 압록강과 두만강을 조선의 行政權이 미치는 실질적인 국경으로 만들었다. 여진에 대한 강경책은 정벌 등의 무력적 행위를 통해 나타난 반면 회유책은 그들의 來朝를 받아들이는 통교정책과 官職을 수여하는 授職政策이 그 근간이 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세종대 4군 6진의 설치 이후에는 수직정책이 광범위하게 실시되었는데, 이것은 여진 藩籬 또는 藩戶 구축과 깊은 관련이 있다. 즉 여진에 대한 수직을 통해 여진세력을 회유복속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진 번호를 구축하여 변방을 안정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종은 기존의 수직정책을 변화시키기 시작했는데, 주로 向化人을 대상으로 하던 수직정책을 두만강압록강 거주 여진인에게까지 확대하고, 明官職을 이미 가지고 있는 여진인에게도 조선의 관직을 수여하기 시작하였다.명관직을 가지고 있는 여진인에 대한 조선의 관직 수여는 동맹가첩목아 死後 그 아들인 童倉에 대한 문제부터 시작되었다. 동창에 대한 수직은 명 관직을 받은 여진인에 대한 조선의 관직 수여의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파악되는 조명 이중수직여진인의 수는 世宗代에는 22명이며, 世祖代에는 76명이나 되었다.세조대에는 압록강 유역의 建州三衛와 通交하게 되고 建州衛都督 李古納哈建州左衛都督 童倉에게 각각 知中樞院事의 관직을 제수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명과의 외교적 문제로 비화되기도 하였다. 또한 조명 이중수직여진인인 浪兒罕에 대한 처벌이 조선과 명 사이에 외교문제화 되었다. 즉 명에서는 이고납합동창 등이 명 조정의 職事를 받았음을 강조하면서 조선에서 이들에게 관직을 준 점, 낭발아한을 처벌할 때 명에 보고하지 않은 점 등을 문제 삼고 있었다.이렇듯 朝鮮 初期 朝明 二重受職女眞人의 발생은 조명간 외교적 문제를 유발하여 여진의 조명 양속적 성격을 발생시켰다. 한편 조선에서 명관직을 받은 여진인에 대해 수직을 단행할 수 있었던 것, 또 명에서 건주삼위와의 통교 및 낭발아한의 처벌에 문제를 삼은 것은, 당시 동북아시아의 정세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즉 북방 몽고 세력의 재성장과 그로 인한 명의 遼東에서의 영향력 상실, 조선의 4군 6진의 설치와 여진의 이동 및 성장 등으로 인하여 15세기 동아시아 정세는 또다시 급격히 변화하고 있었으며, 위 사례들은 당시의 요동 정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鮮初 女眞 勢力은 조선과 명으로부터 각각 官職을 받고 조선과 명에 來朝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취하였지만, 조선과 명 어느 쪽에도 완전히 服屬되어 있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중국의 학자들은 明代 女眞衛所를 근거로 여진이 중국의 행정구역에 편입되어 있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여진위소는 명대의 일반적인 위소와는 다른 羈衛所로서, 명의 官員이 파견된 것이 아니라 여진의 大小酋長이 그대로 衛所官職에 임명하였고, 그 관직은 世襲되었으며, 여진위소 官職者는 來朝와 朝貢이라는 형식을 통해 명과 통교하였을 뿐이며 그 독자성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렇게 본다면 명의 여진에 대한 위소관직 수여는 조선의 授職政策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조명 이중수직여진인의 존재는 여진의 조명 양속적 성격 ...

      • KCI등재

        왕안석의 명(命)개념에 대한 연구

        이원석(Wonseok Lee)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5

        이 연구는 왕안석의 명(命)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의 성명학설(性命學說)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왕안석은 맹자가 말한 명(命)에는 “올바른 명”[正命]과 “올바르지 않은 명”[非正命]이 있으며, 전자는 인위가 철저히 배제된 것이고 후자는 인위가 조건이 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그의 이런 이해는 ‘올바른 명은 인위가 배제된 것’이라는 한대(漢代) 양웅(揚雄)의 관점을 이어받고 조기(趙岐)의 삼명설(三命說)을 수정한 결과 얻어진 것이었다. 왕안석에 따르면, “올바른 명”은 인간이 예측할 수 없는 것이므로 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은 인위가 조건이 되는 명, 곧 “올바르지 않은 명”이었다. 그는 사람이 선한 행동을 반복하면 길(吉)한 명을 얻고, 악한 행동을 반복하면 흉(凶)한 명을 얻는다고 말함으로써 인간이 적극적 행동을 통해 자기 운명을 바꿔 나갈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왕안석은 인위의 적극적 실천을 제기하지만, 도덕 실천을 하늘의 명령으로서 정당화하는 맹자 및 후대의 주희와 달리, 그 실천의 형이상학적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적극적 실천론은 개혁이 필요하던 당시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현실에 참여하고자 하던 사대부들의 지향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philosophical meanings contained in ‘the theory of nature and mandate’[性命學說] established by Wang An-shih by analyzing his concept of Fate [命]. Wang An-shih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Fate suggested by Mencius has two sorts, one ‘correct fate [正命]’ that is not influenced by human activities at all and the other ‘incorrect fate [非正命]’ influenced by them. This understanding like this was the result of inheriting the viewpoint of Yang Xiong [揚雄] in the Han [漢] Dynasty who insisted that correct fate excludes human activities, and modifying the ‘theory of three sorts of fate’ [三命說] raised by Zhao Qi [趙岐]. According to Wang An-shih, ‘correct fate’ is unpredictable and thus it is meaningless to discuss correct fate, and what people should pay attention to is ‘incorrect fate’ influenced by their activities. By arguing that one may attain fortunate fate through repeating good deeds and unfortunate fate through repeating evil deeds,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people may be able to change their fate through active struggles. In this way, Wang An-shih proposed the active practice of human acts, but different from Mencius and Zhu Xi who justified moral practices as the decree of Heaven, he did not suggest metaphysical grounds for the practice. Nevertheless, his theory of active practice was highly compatible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that required reforms and literati’s inclination to be involved in social affairs in those days.

      • KCI등재

        商代부터 공자까지 ‘命’론의 발전사 및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운명론, 초기·후기 천명론의 구조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연덕희 ( Yeon Duk-h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본 연구는 상대 갑골문에 보이는 명(令)을 기준으로 여기에서 발전된 다양한 명(命)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인류의 ‘명’ 관념은 신이 ‘직접’ 세속의 복·화를 내린다는 ‘① 신→ 명(세속의 복·화)→ 인’의 원형구조가 시발점이다. 이 원형구조에서 ‘② 신→ 명(順:세속의 복, 逆:세속의 화)→ 인(행실)’이라는 원시 종교적 구조가 발현한다. 상대 말에는 명이 불변하는 ‘③ 신→ 명(세속의 복·화:불변)→ 인(행실: 무관)’의 심화된 운명론과 명이 가변하는 ‘④ 신→ 명(세속의 복·화:가변)→ 인(행실:상관)’의 초기 천명론의 씨앗이 상호 논쟁을 만들었다. 주대에는 인간의 관념이 ‘신’에서 ‘인’으로 전이가 가속되면서 ‘명’의 의미도 내재하는 도덕적 명과 외재하는 세속의 명(복·화)으로 양분되었고‘⑤ 신→ 도덕적 명(불변:내재)→ 세속적 명(복·화의 가변:외재)→ 인(행실:상관)’의 명·복 일치, 즉 초기 천명론으로 발전한다. 마지막으로 공자에 이르러 ‘⑥ 신→ 도덕적 명(불변:내재)→ 인(도덕적 명의 실현을 추구)’이라는 명·복 불일치의 후기 천명론이 확립된다. ⑥에서 ‘신’은 인간에게 내재된 도덕성의 원천 혹은 뿌리로 제한되고 세속의 복·화와 분리(제거)되어 올바른 방향(가르침)만을 제시할 뿐이다. 사마천은 백이와 숙제의 삶을 통해 ‘하늘의 도는 선인에게 복을 악인에게 벌을 내린다.’라는 ‘복선화음’의 법칙, 요컨대 ②·④·⑤에 대한 강한 의심을 제기하였는데 공자의 ‘⑥ 명·복 불일치’를 통해 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젖과 꿀이 흐르는 복된 세상은 신의 권능이 아니라 인간의 손으로 직접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命deriv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令presented on oracle bone inscriptions of the Shang Dynasty. Regarding humanity’s idea of “M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1) 神→ 命(secular fortune and misfortune) → 人” in which God “directly” bestows mundane blessing and misfortune is the starting point. In such a structure, the primitive religious structure of “(2) 神→ 命(順: mundane blessing, 逆: mundane misfortune) → 人(deed)” emerges. At the end of the Shang Dynasty (商代), 命of “(3) 神→ 命(worldly blessing and misery: unchanging) → 人(deed: related)” created a seed for mutual argument for unchanging (不變) intensified fatalism. Moreover, 命of “(4) 神→ 命(mundane blessing and misfortune: variable) → 人(deed: related)” created a seed for mutual argument for changeable (可變) early Mandate of Heaven (天命論). In the Zhou Dynasty, as the human conception accelerated the transition (轉移) from “神” to “人”, the meaning of “命”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cluding intrinsic (內在) moral 命and extrinsic (外在) mundane blessing and misfortune. fortune (命·福) of “(5) 神→ moral 命(immutable: immanent) → mundane 命(mutability of blessing and misfortune: extrinsic) → 人(deed: related)” coincided, that is, developed into an early Mandate of Heaven. Lastly, with Confucius, the late Mandate of Heaven of Ming fortune inconsistency that states “(6) 神→ Moral 命(immutable: immanent) → 人(seeking the realization of moral 命)” was established. As Samacheon(司馬遷) mentioned the deaths of Baek-i(伯夷) and Seok-suk(叔齊), he raised the rule of “福善禍淫,” which states that “The Way of Heaven blesses the good and punishes the wicked.” In short, Samacheon raised strong doubts about (2), (4), and (5). This could be explained through Confucius’ (6) discordance between Ming and blessing. In addition, the blessed worl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was made by human hands, not by the power of God.

      • KCI등재

        鄭夢周與明人的交遊 - 以 ≪圃隱集≫ 為中心 -

        여국강(Yu Guojiang)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원나라부터 명나라까지 왕조가 바뀐 후에 명나라는 동아시아의 조공 체계를 신속하게 재건하였다. 하지만, 이 체계는 홍무(洪武) 연간에 결코 공고하지 않았고 건국 초기에 명나라와 고려의 관계가 여러 번 풍파를 겪은 것이다. 바로 이런 상황에 정몽주가 외교 사절로 명나라에 여러 차례 가서 두 나라 관계의 정상화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외교 사절로써 명나라에 가는 도중 정몽주는 매우 많은 시문을 지었는데 사행길에서 따라 보고 들은 모든 것을 매일 반드시 시문으로 기록하였다. 명나라의 사신이 고려에 갔을 때에 정몽주도 여러 차례 시로 화답하였다. 그 시문들이 당시 사람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예를 들면 이색(李穡)은 그 교유시들이 바로 시사라고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포은집(圃隱集)』에 수록된 시문들을 통해 정몽주가 교유했던 명나라 사람들을 확인한다. 이 사람들 중에는 고려에 간 명나라 사절도 있고, 정몽주가 외교 사절로 명나라에 갔던 도중에 지났던 지역의 군사장관, 문신, 고승, 사대부들도 있다. 이를 통해 정몽주가 명나라 인사들과 광범하게 교유한 것을 알 수 있다. 정몽주의 교유시 중에는 명나라와의 외교 정치 요구에서 비롯하여 명나라의 전국 통일, 화이(華夷)지서를 재건하기, 명나라 대신들의 문재무공, 자기가 성세를 친히 만나 보는 것들을 표현하는 작품들도 있고, 정몽주 자신의 기호와 취향을 표현하는 작품도 있다. 명나라 인사들의 인품과 덕성에 대한 흠복과 앙모를 표현한 것이다.『포은집(圃隱集)』중의 시문들을 통해 중국측 사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도 있고, 고려 쪽의 관련 시문들과 함께 대조하면서 읽을 수도 있다. 특히 정몽주가 고손지 등 인사들과 사상에 대해 교류한 시문들은 정몽주의 생애과 사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포은집(圃隱集)』이 시사로써도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replaced the Yuan Dynasty, the Ming government quickly rebuilt the tributary system in East Asia. However, this system was not stable enough. In the Hongwu (洪武) period,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Goryeo. In this case, Jeong Mong-ju was appointed to the Ming Dynasty as the envoy,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repai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way to the Ming dynasty, Jeong Mong-ju wrote a large number of poems. When the Ming dynasty envoys visiting Goryeo, Jeong Mong-ju also wrote many poems. At that time, people spoke highly of these works. For example, Ri-Sag (李穡) said these poems “can be called historical poetry (詩史)”. According to Puyin Ji (圃隱集), this paper has carried on the textual research of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who made a contact to Jeong Mong-ju. Some of these people is the Ming Dynasty envoy to Goryeo, another part is the Ming Dynasty military governors, ministers, buddhists and other hermits. We can find that Jeong Mong-ju had contact with a lot of people in the Ming Dynasty. These poem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 the one hand, Jeong Mong-ju wrote some poems for political needs. The contents include the unity of the Ming Dynasty, the reconstruction of Sino-foreign country system (華夷秩序), the great achievement of the Ming Dynasty, the joy of a golden age, and so on. On the other hand, Jeong Mong-ju also wrote some personal poems. He expressed his own likes and ambition, or admiration for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These poems have great significance. They can make up for the inadequacy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d also prove the relative historical materials of Goryeo. Especially some of them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earch on Jeong Mong-ju’s life and thought. Therefore, we think Puyin Ji (圃隱集) is of great value as a historical poetry (詩史).

      • KCI등재

        조선과 명의 貂皮 교역 연구

        한성주 강원사학회 2019 江原史學 Vol.0 No.32

        Sable in Early Joseon was mainly used as a present for envoy of Ming. Joseon Prohibited foreign trade for gold, silver, and sable at accomodations for envoy from Ming. This prohibition was for presenting sable in national level. However, as time had passed, envoys of Ming sent to Joseon led sable trade with Joseon. Envoys of Ming sent to Joseon in the reign of King Sejong requested sable trade officially. Then times, main trade item among fur was sable. After then, the envoys asked for private trade at the accomodations. At last, foreign trade for some items including sable at the accomodations was allowed in Seongjong. In the past, there had been no sable among tributes sent to Ming. But at the time when Taejong handed over throne to Sejong, Joseon sent sable etc. to Ming. This was the first time for Joseon to send sable as a tribute to Ming. In the reign of Seongjong, the emperor of Ming requested separate tributes(別進獻 [別貢]). Then, the separate tributes included sable. The emperor's request was for royal concubine of Xuande Emperor(宣德帝), Gongshinbuin Han(恭愼夫人 韓 氏) and eunuch Jeong Dong( 鄭同) come from Joseon. Because sable became popular more and more in Ming then, envoys from Ming asked for sable or were engaged in foreign trade. It is thought that request for separate tribute for sable by the emperor of Ming was closely related to popularity of sable in Ming. In the other hand, the emperor of Ming asked separate tribute sent regularly celebrating his birthday. However, Joseon requested to reduce size of separate tribute, saying that sable etc. were not produced in Joseon while they came from Jurchen. Coincidently, Gongshinbuin Han(恭愼夫人 韓氏) and eunuch Jeong Dong( 鄭同) died so that Joseon reduced tributes like sable etc. At last, separate tribute existed no longer. Since then, tribute or trade of sable for envoys from Ming had been remarkably reduced. Therefore, in Joseon, fur like sable became rare so that Joseon could not respond to requirements from envoys of Ming. In fact, fur was not rare. Rather, demand in Joseon for sable increased because of high popularity of sable. Popularity of sable brought increase of sable demand and price increase. High grade sable was imported from Jurchen. Accordingly, after separate tribute for Ming stopped, it was inevitable for sable trade with Ming to be reduced. 조선 초기 貂皮는 주로 明의 使臣에 대한 예물 또는 선물로 활용되었다. 명의사신들이 머무는 使臣館에서 金銀과 초피 무역을 금지한 것도 국가적 차원의 초피증여를 위해서였다. 그러나 점차 조선에 온 명의 사신들은 조선과의 초피 무역을주도하였다. 세종 때 명의 사신들은 毛皮 무역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는데, 당시모피 무역의 중심 물품은 초피였다. 이후 명의 사신들은 사신관에서의 사적인 무역까지 요구하였다. 마침내 성종 때는 사신관에서 초피를 비롯한 각종 물품들의 무역이 허가되었다. 한편 원래 명에 보내는 조선의 朝貢品에는 초피가 없었다. 그렇지만 세종 때 태종의양위와 세종의 즉위라는 시점에서 초피 등을 보냈는데, 이것은 처음으로 초피를명에 예물로 보낸 것이다. 이후 성종 때 명 황제가 조선에 별도의 進獻品을 요구하였는데, 이 別進獻(別貢)에 초피가 포함되었다. 명 황제가 조선에 별진헌을 요구한것은 宣德帝의 후궁이었던 恭愼夫人 韓氏와 조선 출신 환관 鄭同 때문이었다. 명 사신들이 조선에 초피를 요구하거나, 무역에 나선 것은 당시 명에서 초피가점차 유행하기 시작한 것에 원인이 있었다. 명 황제가 초피를 별진헌에 포함시킨것도 명에서의 초피 유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명 황제는 자신의 생일에 맞춰 별진헌의 정례화를 요구하였는데, 조선은초피 등이 조선의 산물이 아니고 女眞의 땅에서 구하는 것이라며 별진헌 물품의감면을 요청하였다. 마침내 공신부인 한씨의 죽음과 정동의 죽음을 계기로 초피등의 물품을 줄여서 보낸 후, 감면을 요청하여 별진헌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되었다. 그 후 명 사신들에 대한 초피 증여나 무역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조선에서도초피 등의 모피물이 희귀하게 되어 명 사신들의 요구에 제대로 응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사실 모피물이 희귀하게 되었다기보다는 조선에서도 초피의 유행으로 그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이었다. 초피의 유행은 초피의 수요 증가와 가격상승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上等의 초피는 여진과의 무역을 통해 마련하고 있었다. 이에 명에 대한 별진헌 정지 이후 명과의 초피 무역 역시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